KR200408411Y1 - 회전우산의 상부구조 - Google Patents

회전우산의 상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411Y1
KR200408411Y1 KR2020050033907U KR20050033907U KR200408411Y1 KR 200408411 Y1 KR200408411 Y1 KR 200408411Y1 KR 2020050033907 U KR2020050033907 U KR 2020050033907U KR 20050033907 U KR20050033907 U KR 20050033907U KR 200408411 Y1 KR200408411 Y1 KR 200408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clasp
umbrella
upper clasp
clas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종열
Original Assignee
하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종열 filed Critical 하종열
Priority to KR2020050033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4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4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0Umbrella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우산대를 중심으로 우산살과 산포가 결합된 상걸쇠부재가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우산에 있어서 우산대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우산의 상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중심의 우산대와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고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걸쇠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재는 단일의 형태로서 내측은 비어 있는 관통공이 마련되고 외측에는 상,하부에 단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여유홈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상걸쇠부재는 내측에 관통되고 상,하부에 단턱이 형성되는 결합공이 마련되어 이루어져 결합시 상기 상걸쇠부재의 결합공 내측에 상기고정부재가 끼워 결합되고 상기 상걸쇠부재의 상부단턱 상부엔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단턱이 얹혀지고 상기 상걸쇠부재의 하부단턱의 하부엔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단턱이 걸려진 상태로 이루어져, 상걸쇠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을 타고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회전우산, 상걸쇠

Description

회전우산의 상부구조{Upper Member Structure for Rotatable Umbrella}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결합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 생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결합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 생략 분해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기술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우산대, 40: 고정부재,
42: 관통공, 44,64,74: 상부단턱,
46,66,76: 하부단턱, 48,68: 여유홈,
50: 상부부재, 52,72: 결합공,
54: 내측단턱, 56: 외측단턱,
60: 하부부재, 70: 상걸쇠부재
본 고안은 우산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우산대를 중심으로 우산살과 산포가 결합된 상걸쇠부재가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회전우산에 있어서 우산대를 중심으로 상걸쇠부재가 제자리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우산의 상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회전우산은 대부분이 중앙의 우산대를 중심으로 산포와 우산살이 결합되는 상걸쇠부재가 제자리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그 구성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대표적인 예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223039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부살통(이하, 상걸쇠부재라 함)(30)이 고정축부(30)의 내측에 끼워 결합되고 이 고정축부(30)의 내측에서 상기 상걸쇠부재(30)가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축부(30)는 다시 우산대(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상걸쇠부재(20)는 회전축봉(21)의 상부에 걸림홈(22)을 형성하고 고정축부(30)는 축공(33)과 중공부(31)를 갖도록 하면서 별도로 분리 구성된 분할편(30a)을 이용하여 상걸쇠부재(20)와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통상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상걸쇠부재(20)나 고정축부(30)의 경우에 회전 작동중 마찰이 발생하게 되는 부위로서 상걸쇠부재(20)의 회전축봉(21)과 걸림홈(22)은 고정축부(30)의 중공부(31), 걸림턱(32) 및 축공(33), 분할편(30a)과 고정축부(30)의 상호 결합 부 위 등이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회전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걸림홈(22)의 지름이 너무 작게 되어 외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되면 상걸쇠부재(20)의 걸림홈(22) 부위가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체적으로 그 부품의 수효가 많고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제조원가의 상승을 가져오게 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관련된 기술구성에 대한 구조를 개선하여 상걸쇠 부재의 회전작동이 보다 원활하고, 회전이 이루어지는 부위의 지름을 최대한 크게 하거나 강도를 보완할 수 있게 구성하여 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파손이 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우산의 상부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부품의 수효를 적게 하면서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의 제작이나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보다 절감시켜 보다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회전우산의 상부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심의 우산대와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고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걸쇠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재는 단일의 형태로서 내측은 비어 있는 관통공이 마련되고 외측에는 상,하부에 단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여유홈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상걸쇠부재는 내측에 관통되고 상,하부에 단턱이 형성되는 결합공이 마련되어 이루어져 결합시 상기 상걸쇠부재의 결합공 내측에 상기 고정부재가 끼워 결합되고 상기 상걸쇠부재의 상부단턱 상부엔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단턱이 얹혀지고 상기 상걸쇠부재의 하부단턱의 하부엔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단턱이 걸려진 상태로 이루어져, 상걸쇠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을 타고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우산의 상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상걸쇠부재를 상,하부에서 각각 끼워 결합할 수 있게 상,하부부재로 구분하여 구성하되, 상부부재는 내,외측에 단턱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는 결합공이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하부부재는 외측에는 상,하부에 단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여유홈이 각각 마련되어 이루어지며 결합시 상걸쇠부재의 상부단턱엔 상부부재의 외측단턱이 얹혀지고 하부부재의 상부단턱은 상부부재의 내측단턱에 얹혀지고 하부부재의 하부단턱은 상걸쇠부재의 하부단턱의 하부에 걸려진 채로 결합되어 상걸쇠부재가 상기 고정부재 중 상부부재의 외주면을 타고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우산의 상부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중심으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공통적으로 중심의 우산대(10)와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고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걸쇠부재(70)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40)는 단일의 형태로서 내측은 비어 있는 관통공(42)이 마련되고 외측에는 상,하부에 단턱(44,46)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여유홈(48,48)이 각각 마련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걸쇠부재(70)는 내측에 관통되고 상,하부에 단턱(74,76)이 형성되는 결합공(72)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재(40)와 상기 상걸쇠부재(70)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상걸쇠부재(70)가 회전되는 부위로서 고정부재(40)의 외주면을 상기 결합공(72)과 서로 대응되게 최대로 크게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40)와 상기 상걸쇠부재(70)의 상호간 결합시엔 상기 상걸쇠부재(70)의 결합공(72) 내측에 상기 고정부재(40)가 끼워 결합되고 상기 상걸쇠부재(70)의 상부단턱(74) 상부엔 상기 고정부재(40)의 상부단턱(44)이 얹혀지고 상기 상걸쇠부재(70)의 하부단턱(76)의 하부엔 상기 고정부재(40)의 하부단턱(46)이 걸려진 상태로 이루어져, 상기 상걸쇠부재(70)가 상기 고정부재(40)의 외주면을 타고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예시한 예의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상걸쇠부재(70)를 상,하부에서 각각 끼워 결합할 수 있게 상,하부부재(50,60)로 구분하여 구성하되, 상부부재(50)는 내,외측에 단턱(54,56)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는 결합공(52)이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하부부재(60)는 외측에는 상,하부에 단턱(64,66) 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여유홈(68)이 마련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40)와 상기 상걸쇠부재(70)의 상호간 결합시엔 상걸쇠부재(70)의 상부단턱(74)엔 상부부재(50)의 외측단턱(56)이 얹혀지고 하부부재(60)의 상부단턱(64)은 상부부재(50)의 내측단턱(54)에 얹혀지고 하부부재(60)의 하부단턱(66)은 상걸쇠부재(70)에 있어서 하부단턱(76)의 하부에 걸려진 채로 결합되어 상걸쇠부재(70)가 상기 고정부재(40) 중 상부부재(50)의 외주면을 타고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미설명부호로서 1은 상부캡, 2는 산포, 3은 우산살, 그리고 4는 고정핀을 각각 나타낸다.
다음은 이와 같이 이루어지게 되는 본 고안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부품을 서로 조립하는 경우에는 상걸쇠부재(70)의 결합공(72)에 고정부재(40)를 끼워 결합하되,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결합시에 고정부재(40)는 여유홈(48,48)이 오므라들면서 지름이 축소된 상태에서 결합공(72)에 끼워 결합되어 상부단턱(74)의 상부에는 상부단턱(44)이 위치하고 하부단턱(76)의 하부에는 하부단턱(46)이 위치하게 되면서 다시 고정부재(40)는 원위치로 여유홈(48,48)이 자체탄성력에 의하여 복귀하게 되며, 상기 상걸쇠부재(70)는 고정부재(40)의 상,하부단턱(44,46)의 사이에 걸려 정위치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분리 이탈되지 아니하고 제자리에서 고정부재(40)의 외주면을 타고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 며, 이와 같은 결합상태에서 고정부재(40)는 우산대(10)와 고정핀(4)에 의하여 서로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상걸쇠부재(70)에는 우산살(3)과 산포(2)가 설치되며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상걸쇠부재(70)의 상부로서 산포(2)의 일부가 끼워 결합되는 위치에 상부캡(1)이 상걸쇠부재(70)와 서로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결국 상부캡(1), 산포(2), 우산살(3) 및 상걸쇠부재(70)의 조립체는 우산대(10)와 결합된 고정부재(40)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예시한 예의 경우에는 결합시에 상,하부부재(40,50)으로 분리 구성된 고정부재(40)는 상걸쇠부재(70)와 결합하되, 상기 상걸쇠부재(70)를 중심으로 상부부재(50)는 상부로부터 하부부재(60)는 하부로부터 각각 서로 결합공(72)의 내측으로 끼워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부부재(50)의 결합공(52)에는 하부부재(60)의 상부를 끼워 결합하되, 여유홈(68)이 오므라들면서 지름이 축소된 상태에서 결합공(52)에 끼워 결합되어 상부단턱(64)의 하부에는 내측단턱(54)이 위치하고 여유홈(68)이 원위치로 자체탄성력에 의하여 복귀하여 상,하부부재(50,60)가 서로 결합되고, 상부부재(50)의 외측단턱(56)은 상걸쇠부재(70)의 결합공(72)에 형성된 상부단턱(74)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단턱(76)의 하부에는 하부부재(60)의 하부단턱(66)이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상걸쇠부재(70)는 고정부재(40)의 상,하부부재(50,60)에 있어서 상부부재(50)의 외측단턱(56)과 하부부재(60)의 하부단턱(66)과의 사이에 걸려 정위치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분리 이탈되지 아니하고 제자리에서 고정부재(40) 중 상부부재(50)의 외주면을 타고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와 같은 결합상태에서 고정부재(40) 중 하부부재(60)는 우산대(10)와 고정핀(4)에 의하여 서로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상걸쇠부재(70)에는 우산살(3)과 산포(2)가 설치되며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상걸쇠부재(70)의 상부로서 산포(2)의 일부가 끼워 결합되는 위치에 상부캡(1)이 상걸쇠부재(70)와 서로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결국 상부캡(1), 산포(2), 우산살(3) 및 상걸쇠부재(70)의 조립체는 우산대(10)와 결합된 고정부재(40) 중 상부부재(50)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고정부재(40) 자체 또는 상,하부부재(50,60)의 결합 형태로 구성되는 고정부재(40)에 관계없이 그 구조가 단순하고 상걸쇠부재(70)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관련된 기술구성으로서 고정부재(40)에 대한 구조를 개선하여 상걸쇠부재(70)의 회전작동이 보다 원활하고, 상기 상걸쇠부재(7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부재(40)의 외주연 부위의 지름을 최대한 크게 하거나 강도를 보완할 수 있게 구성하여 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파손이 되지 않도록 그 구성이 이루어지게 되며, 전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부품 중 고정부재(40)의 수효를 적게 하면서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의 제작이나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보다 절감시켜 보다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2)

  1. 중심의 우산대(10)와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의 외측에 끼워 결합되고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걸쇠부재(7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40)는 단일의 형태로서 내측은 비어 있는 관통공(42)이 마련되고 외측에는 상,하부에 단턱(44,46)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여유홈(48,48)이 각각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걸쇠부재(70)는 내측에 관통되고 상,하부에 단턱(74,76)이 형성되는 결합공(72)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재(40)와 상기 상걸쇠부재(70)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상걸쇠부재(70)가 회전되는 부위로서 고정부재(40)의 외주면을 상기 결합공(72)과 서로 대응되게 최대로 크게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재(40)와 상기 상걸쇠부재(70)의 상호간 결합시엔 상기 상걸쇠부재(70)의 결합공(72) 내측에 상기 고정부재(40)가 끼워 결합되고 상기 상걸쇠부재(70)의 상부단턱(74) 상부엔 상기 고정부재(40)의 상부단턱(44)이 얹혀지고 상기 상걸쇠부재(70)의 하부단턱(76)의 하부엔 상기 고정부재(40)의 하부단턱(46)이 걸려진 상태로 이루어져,
    상기 상걸쇠부재(70)가 상기 고정부재(40)의 외주면을 타고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우산의 상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상걸쇠부재(70)를 상,하부에서 각각 끼워 결합할 수 있게 상,하부부재(50,60)로 구분하여 구성하되,
    상기 상부부재(50)는 내,외측에 단턱(54,56)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는 결합공(52)이 마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부재(60)는 외측에는 상,하부에 단턱(64,66)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여유홈(68)이 마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40)와 상기 상걸쇠부재(70)의 상호간 결합시엔 상걸쇠부재(70)의 상부단턱(74)엔 상부부재(50)의 외측단턱(56)이 얹혀지고 하부부재(60)의 상부단턱(64)은 상부부재(50)의 내측단턱(54)에 얹혀지고 하부부재(60)의 하부단턱(66)은 상걸쇠부재(70)에 있어서 하부단턱(76)의 하부에 걸려진 채로 결합되어,
    상기 상걸쇠부재(70)가 상기 고정부재(40) 중 상부부재(50)의 외주면을 타고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우산의 상부구조.
KR2020050033907U 2005-12-01 2005-12-01 회전우산의 상부구조 KR200408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907U KR200408411Y1 (ko) 2005-12-01 2005-12-01 회전우산의 상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907U KR200408411Y1 (ko) 2005-12-01 2005-12-01 회전우산의 상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411Y1 true KR200408411Y1 (ko) 2006-02-08

Family

ID=4175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907U KR200408411Y1 (ko) 2005-12-01 2005-12-01 회전우산의 상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4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28721Y (zh) 枢纽器及其干涉组件
CN207144646U (zh) 锁具的套环结构
CN101095565A (zh) 用于诸如口红之类的杆状物品的推出型容器
KR200408411Y1 (ko) 회전우산의 상부구조
KR200428484Y1 (ko) 회전우산의 상부구조
CN105711815B (zh) 一种螺旋桨快速拆装自锁机构
KR102086072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TWM554872U (zh) 車鎖
CN106089921A (zh) 导向预紧型螺栓
RU2121286C1 (ru) Втулка для вращающегося стула
CN104149903A (zh) 折叠车的把立收折锁紧机构
CN104347962A (zh) 坐柱式多向电线集揽器
CN107002738B (zh) 车轮螺母组件
CN210508682U (zh) 分体转轴型手柄平面锁
CN209385486U (zh) 一种汽车拉杆的球头结构
KR101571304B1 (ko) 홀딩 서포터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및 이의 유지보수 방법
KR101548594B1 (ko) 파라솔 고정구
CN206458889U (zh) 磁性锁闭阀
CN208662997U (zh) 一种拘束衬套压入与普通衬套压入一体机
CN205549544U (zh) 一种陀旋部件以及具有陀旋部件的悠悠球
KR200443100Y1 (ko) 우산 겸용 파라솔 살대의 연결구
JPS5911029Y2 (ja) 親子コマ
CN205744845U (zh) 防盗螺丝锁芯外壳结构
CN110260902A (zh) 一种便携式仪器用把手结构、便携式仪器及使用方法
CN107178260B (zh) 链条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