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072B1 -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 Google Patents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072B1
KR102086072B1 KR1020190027408A KR20190027408A KR102086072B1 KR 102086072 B1 KR102086072 B1 KR 102086072B1 KR 1020190027408 A KR1020190027408 A KR 1020190027408A KR 20190027408 A KR20190027408 A KR 20190027408A KR 102086072 B1 KR102086072 B1 KR 102086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ckle
binding
hole
pin
shack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김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호 filed Critical 김중호
Priority to KR1020190027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072B1/ko
Priority to PCT/KR2020/003342 priority patent/WO20201849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04Quickly-detachable 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links with rapid junction mea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 F16G15/06Shackles designed for attachment by joint pins to chain elements, e.g. D-shackles so called harp links; the D-chain link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은, 이격 형성된 일측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제1, 2 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홀과 인접한 단부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되며, 타측에 인양 고리가 형성되는 샤클 몸체; 상기 샤클 몸체의 제1, 2 홀에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2 홀에 나선 체결되는 샤클 핀; 및 상기 샤클 핀의 손잡이 일측에 형성된 제1 결속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결속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결속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샤클 핀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샤클 몸체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되도록 샤클 핀에 잠금부재를 구비하거나, 샤클 몸체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 중 대향된 지점에 각각 결속되도록 샤클 핀에 잠금부재 및 풀림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샤클 핀이 샤클 몸체에서 분리됨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가능하고, 잠금부재 또는 잠금부재 및 풀림방지부재가 샤클 핀에 매립된 상태로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파손됨을 방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SHACKLE HAVING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공사현장이나 선박 제조 현장 등에서 고중량의 피인양체를 원활하게 인양하기 위해 피인양체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샤클에 관한 것이다.
건설 산업의 추세에 따른 대형 건축물의 건설 과정에 있어서, 기초를 이루는 철골 공사가 가장 중요한 공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철골 공사는 대형 건축물의 건축 과정에서 필수적인 공사로서, 건물의 뼈대를 이루는 과정이며, 이와 같은 철골 공사의 기본 작업은 현장에 설치된 타워 크레인으로 각종 철공 구조물을 인양하고 작업자에 의해 조립하면서 올라가는 것이다.
이렇게, 각종 철공 구조물과 갱폼 및 선박 부품 등 인력으로 이동 및 인양하기 어려운 피인양체들은 크레인을 통해 인양되게 되는데, 크레인에는 후크가 구비되고, 물품에는 샤클이 구비되어 상기 후크를 샤클에 연결하여 피인양체를 인양하게 된다.
이러한 샤클과 관련된 기술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1882호 및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3-0004194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는 샤클본체에서 샤클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핀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이웃한 물체와의 충돌시 안전핀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31882호(2012.12.05)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3-0004194호(2013.07.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샤클 핀이 샤클 몸체에서 분리됨을 방지하도록 잠금부재 또는 잠금부재 및 풀림방지부재를 샤클 핀에 매립 상태로 구비한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은, 이격 형성된 일측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제1, 2 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홀과 인접한 단부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되며, 타측에 인양 고리가 형성되는 샤클 몸체; 상기 샤클 몸체의 제1, 2 홀에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2 홀에 나선 체결되는 샤클 핀; 및 상기 샤클 핀의 손잡이 일측에 형성된 제1 결속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결속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결속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샤클 핀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은, 이격 형성된 일측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제1, 2 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홀과 인접한 단부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되며, 타측에 인양 고리가 형성되는 샤클 몸체; 상기 샤클 몸체의 제1, 2 홀에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 2 홀에 나선체결되는 샤클 핀; 상기 샤클 핀의 손잡이 일측에 형성된 제1 결속홀에 설치되어 상기 샤클 몸체의 단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결속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샤클 핀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부재; 및 상기 샤클 핀의 손잡이 타측에 형성된 제2 결속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결속홈 중 다른 하나의 홈에 결속되어 상기 샤클 핀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클 몸체의 제1 홀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면취(Chamfer)면이 형성되고, 상기 샤클 핀의 손잡이와 몸체를 연결하는 경계면에 상기 면취면에 대응된 경사면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클 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샤클 핀이 상기 제1 홀에 체결될 때 상기 샤클 핀에 삽입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샤클 몸체의 결속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1 결속부; 상기 제1 결속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결속홀에 나선 체결되는 나선체결돌기; 상기 나선체결돌기의 단부에서 상기 손잡이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결속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선체결돌기를 회전시키는 파지회전부; 및 상기 제1 결속홀과 이와 대향된 상기 나선체결돌기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림방지부재는, 상기 샤클 몸체의 결속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 결속부; 상기 샤클 핀의 제2 결속홀에 나선 체결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제2 결속부와 이와 대향된 상기 체결볼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결속부를 항시 전진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 및 풀림방지부재는 상기 샤클 몸체에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 중 대향된 위치의 결속홈에 각각 결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격 형성된 일측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제1, 2 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의 주위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되며, 타측에 인양 고리가 형성되는 샤클 몸체; 상기 샤클 몸체의 제1, 2 홀에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2 홀에 나선 체결되는 샤클 핀; 및 상기 샤클 핀의 손잡이 일측에 형성된 제1 결속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결속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결속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샤클 핀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샤클 몸체의 결속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1 결속부;상기 제1 결속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결속홀에 나선 체결되는 나선체결돌기; 상기 나선체결돌기의 단부에서 상기 손잡이의 외측까지 연장되되, 상기 제1 결속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 결속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선체결돌기를 회전시키는 파지회전부; 및 상기 제1 결속홀과 이와 대향된 상기 나선체결돌기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부, 나선체결돌기 및 파지회전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샤클 핀의 단부 중 상기 제1 결속홀 주위에 상기 나선체결돌기와 상기 파지회전부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홈이 걸리도록 일측이 홈이 형성된 이탈방지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격 형성된 일측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제1, 2 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의 주위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되며, 타측에 인양 고리가 형성되는 샤클 몸체; 상기 샤클 몸체의 제1, 2 홀에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 2 홀에 나선체결되는 샤클 핀; 상기 샤클 핀의 손잡이 일측에 형성된 제1 결속홀에 설치되어 상기 샤클 몸체의 단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결속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샤클 핀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부재; 및 상기 샤클 핀의 손잡이 타측에 형성된 제2 결속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결속홈 중 다른 하나의 홈에 결속되어 상기 샤클 핀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샤클 몸체의 결속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1 결속부; 상기 제1 결속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결속홀에 나선 체결되는 나선체결돌기; 상기 나선체결돌기의 단부에서 상기 손잡이의 외측까지 연장되되, 상기 제1 결속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 결속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선체결돌기를 회전시키는 파지회전부; 및 상기 제1 결속홀과 이와 대향된 상기 나선체결돌기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부, 나선체결돌기 및 파지회전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샤클 핀의 단부 중 상기 제1 결속홀 주위에 상기 나선체결돌기와 상기 파지회전부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홈이 걸리도록 일측이 홈이 형성된 이탈방지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샤클 몸체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되도록 샤클 핀에 잠금부재를 구비하거나, 샤클 몸체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 중 대향된 지점에 각각 결속되도록 샤클 핀에 잠금부재 및 풀림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샤클 핀이 샤클 몸체에서 분리됨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가능하고, 잠금부재 또는 잠금부재 및 풀림방지부재가 샤클 핀에 매립된 상태로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파손됨을 방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을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에서 잠금부재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에서 풀림방지부재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을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에서 잠금부재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을 도시한 분해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에서 잠금부재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에서 풀림방지부재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을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에서 잠금부재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100)은 샤클 몸체(110), 샤클 핀(120), 잠금부재(130), 풀림방지부재(140) 및 탄성체(150)를 포함하며, 크레인의 후크와 피인양체를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잠금부재(130) 및 풀림방지부재(140)는 샤클 핀(120)에 설치되어 샤클 핀(120)이 샤클 몸체(110)에서 분리됨을 방지하는 잠금장치이다.
샤클 몸체(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물 등을 통해 성형되되, 피인양체가 연결되는 하단이 개방되어 형성된 일단부(112)와 타단부(115)의 사이에 후술할 샤클 핀(120)이 체결되도록 동일 수평선상에 제1, 2 홀(113, 116)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크레인의 후크가 연결되는 상단이 폐쇄되면서 인양 고리(111)를 형성하며, 인양 고리(111) 상에 부가 형성되는 보조 인양 고리(111a)를 포함한다.
보조 인양 고리(111a)는 인양 고리(111)의 상면에 인양 고리(111)의 원호 반경보다 작은 반경의 원호 형상으로 부가 형성되어 강도 보강과 함께 인양 고리(111)에 하중이 집중됨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 예로 인양 고리(111)에 로프가 걸려 인양하는 경우 인양 고리(111)의 양쪽 정점 부위와 보조 인양 고리(111a)의 양쪽 정점 부위에 양단이 평행한 로프의 내면이 각각 접촉한 상태이므로 인양 고리(111)와 보조 인양 고리(111a)의 다수 지점에서 지지하여 샤클(10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 예로 인양 고리(111)와 보조 인양 고리(111a)에 로프가 "8" 자 형상의 꼬인 상태로 이중으로 걸려 인양하는 경우 인양 고리(111)와 보조 인양 고리(111a)의 사이에서 로프가 한 차례 교차한 상태로 인양 고리(111)의 양쪽 정점 부위와 보조 인양 고리(111a)의 양쪽 정점 부위에 로프의 내면이 각각 접촉한 상태이므로 인양 고리(111)와 보조 인양 고리(111a)의 다수 지점에서 지지하여 샤클(10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인양 고리(111)에는 고중량의 피인양체를 통해 인양하게 하고, 보조 인양 고리(111a)에는 저중량 피인양체를 인양하게 하면서 피인양체의 중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일단부(112)와 타단부(115)는 피인양체에 연결되는 연결고리 또는 로프 등을 샤클 몸체(110)의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하단을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샤클 몸체(110)의 일단부(112)와 타단부(115) 중 일단부(112)에 형성된 제1 홀(113)의 내주면에는 샤클 핀(120)의 후단에 형성된 제2 나선돌기(122b)가 나선 체결되도록 제1 나선홈(113a)이 형성되고, 타단부(115)에 형성된 제2 홀(116)의 내주면에는 샤클 핀(120)의 선단에 형성된 제1 나선돌기(122a)가 나선 체결되도록 제2 나선홈(116a)이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나선돌기(122b)와 중첩되지 않은 제2 홀(116)의 내주면 일측에 홈을 형성하고, 홈 내에 "U"자 형상의 탄성부가 구비되고, 샤클 몸체(110)의 제1, 2 홀(113, 116)에 샤클 핀(120)이 거의 고정될 때 탄성부의 정점 부위가 위치되도록 샤클 핀(120)의 제1 나선돌기(122a)측 몸체(122)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의 산형부가 구비되어 샤클 핀(120)을 강제 회전시켜야만 탄성부가 산형부를 넘어가면서 샤클 핀(1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탄성부는 제2 홀(116)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홀(113)에도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샤클 몸체(110)의 일단부(112)와 타단부(115) 중 샤클 핀(120)의 선단이 먼저 삽입되는 일단부(112)는 정면과 측면에서 봤을 때 하부로 갈수록 타단부(115)에 비해 단면적이 크도록 확장 형성된다. 즉, 샤클 몸체(110)의 일단부(112)는 샤클 몸체(110)를 정면에서 봤을 때 두께가 타단부(115)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는 샤클 몸체(110)의 일단부(112)와 타단부(115) 중 일단부(112)에 샤클 핀(120)의 후단이 위치되는데, 이 경우 샤클 핀(120)의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142) 등의 무게에 의해 하중이 집중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단부(112)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보강하는 것이다.
또한, 샤클 몸체(110)의 일단부(112) 측면에 제1 홀(113)의 주위를 따라 방사상의 결속홈(114)이 형성된다. 이때, 결속홈(114)은 반구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후술할 잠금부재(130)의 제1 결속부(132)와, 풀림방지부재(140)의 제2 결속부(142)의 단부가 결속 또는 분리되게 한다.
샤클 핀(1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물 등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기계 가공에 의해 선, 후단 외주면에 제1, 2 나선돌기(122a, 122b)를 각각 형성하며, 샤클 몸체(110)의 일단부(112)와 타단부(115)에 형성된 제1, 2 홀(113, 116)에 체결되어 인양될 피인양체의 인양 고리 또는 피인양체와 연결되는 와이어 등이 결속되게 하는 구성으로, 몸체(122), 제1, 2 나선돌기(122a, 122b) 및 손잡이(124)를 포함한다.
몸체(122)는 기계 가공에 의해 전후 제1, 2 나선돌기(122a, 122b)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2 나선돌기(122a, 122b) 중 제1 나선돌기(122a)가 일단부(112)의 제1 홀(113)에 형성된 제1 나선홈(113a)에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손잡이(124) 측인 몸체(122)의 후방에 형성되고, 제2 나선돌기(122b)가 타단부(115)의 제2 홀(116)에 형성된 제2 나선홈(116a)에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122)의 전방에 형성된다.
이때, 제1, 2 나선돌기(122a, 122b)는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어, 제1 나선돌기(122a)가 제2 나선홈(116a)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샤클 핀(120)을 잡아당겨도 제2 나선돌기(122b)가 제1 나선홈(113a)에 걸리게 됨으로써 샤클 핀(120)이 샤클 몸체(110)에서 분리됨을 방지한다.
손잡이(124)는 제2 나선돌기(122b)와 이웃하게 연장되면서 샤클 몸체(110)의 일단부(112)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일단부(112)와 타단부(115)에 형성된 제1, 2 홀(113, 116)의 제1, 2 나선홈(113a, 116a)에 샤클 핀(120)을 체결시킬 때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손잡이(124) 중 일측에 잠금부재(130)가 설치되도록 제1 결속홀(124a)이 형성되고, 제1 결속홀(124a)의 이격된 양측에 잠금부재(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브래킷(131)의 고정을 위한 나사(131a)가 체결되도록 체결홀(124b)이 각각 형성되며, 손잡이(124) 중 타측에 풀림방지부재(140)가 설치되도록 제2 결속홀(124c)이 형성된다.
잠금부재(13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클 핀(120)의 손잡이(124) 일측에 형성된 제1 결속홀(124a)에 설치되어 샤클 몸체(110)의 일단부(112)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114) 중 어느 하나의 홈에 결속되어 이동되면서 샤클 핀(120)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기능을 하며, 제1 결속부(132), 나선체결돌기(134), 파지회전부(136) 및 제1 탄성부(138)를 포함한다.
이때, 잠금부재(130)는 사용자가 파지회전부(136)를 회전시키면 단부의 제1 결속부(132)가 전진하게 되고 일단부(112)의 결속홈(114)에 결합되면서 샤클 핀(120)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
제1 결속부(132)는 샤클 몸체(110)의 일단부(112) 결속홈(114)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선단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선체결돌기(134)는 제1 결속부(132)의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제1 결속홀(124a)에 나선 체결된다.
파지회전부(136)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나선체결돌기(134)의 단부에서 손잡이(124)의 외측까지 일체로 연장되어 제1 결속부(13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나선체결돌기(134)를 회전시킨다.
제1 탄성부(138)는 제1 나선돌기(122a) 방향인 선단이 직경이 작도록 단차 형성된 제1 결속홀(124a)과 이와 대향된 나선체결돌기(134)의 사이에 양단지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파지회전부(13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탄성부(138)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면 제1 탄성부(138)가 압축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나선체결돌기(134)가 제1 결속홀(124a)에서 풀리지 않게 한다.
더욱이, 잠금부재(130)는 이탈방지 브래킷(131)에 의해 제1 결홈홀(124a) 내에서만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이탈방지 브래킷(131)은 나선체결돌기(134)와 파지회전부(136)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홈이 걸리도록 일측이 개구된 홈이 형성되며, 양쪽 홀을 통해 스프링 와셔(131b)가 장착된 나사(131a)가 체결홀(124b)에 각각 체결된다.
풀림방지부재(14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클 핀(120)의 손잡이(124) 타측에 형성된 제2 결속홀(124c)에 설치되고, 복수의 결속홈(114) 중 다른 하나의 홈에 결속되어 샤클 핀(120)의 풀림을 방지하며, 제2 결속부(142), 체결볼트(144) 및 제2 탄성부(146)를 포함한다.
이때, 풀림방지부재(140)는 샤클 몸체(110)의 제1, 2 나선홈(113a, 116a)에 샤클 핀(120)의 제1, 2 나선돌기(122a, 122b)를 체결하여 제2 결속부(142)와 일단부(112)에 형성된 결속홈(114)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면 제2 탄성부(146)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 상태인 단부의 제2 결속부(142)가 일단부(112)에 형성된 결속홈(114)에 결합되게 하고, 샤클 핀(120)을 더 회전시켜 제2 결속부(142)가 결속홈(114)과 결속홈(114)의 사이에 위치되면 제2 결속부(142)가 후진되면서 제2 탄성부(146)를 압축시키게 된다.
이렇게, 제2 결속부(142)가 결속홈(114) 내에 위치되면 샤클 핀(120)이 회전되지 못하지만, 샤클 핀(120)을 더 회전시켜 제2 결속부(142)가 결속홈(114)에서 이탈되게 하면 샤클 핀(120)이 결속홈(114)과 결속홈(114)의 간격만큼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제2 결속부(142)는 샤클 몸체(110)의 일단부(112) 결속홈(114)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선단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단차 형상으로 형성된다.
체결볼트(144)는 샤클 핀(120)의 제2 결속홀(124c)에 나선 체결되며, 볼트 머리가 없는 무두(無頭) 볼트 등이 이에 적용된다. 이때, 제2 결속홀(124c)은 선단의 입구가 축소되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결속부(142)의 선단만이 출몰하게 된다
제2 탄성부(146)는 제2 결속홀(124c)의 단차진 측면과 이와 대향된 체결볼트(144)의 사이에 양단지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체결볼트(14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탄성부(146)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면 제2 탄성부(146)가 압축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체결볼트(144)가 제2 결속홀(124c)에서 풀리지 않게 한다.
탄성체(150)는 샤클 핀(120)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샤클 핀(120)이 제1 홀(113)에 체결될 때 샤클 핀(120)에 삽입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샤클 핀(120)이 제1, 2 홀(113, 116)에서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탄성체(150)는 샤클 핀(120)의 제1, 2 나선돌기(122a, 122b)가 샤클 몸체(110)의 일단부(112)와 타단부(115)에 형성된 제1, 2 홀(113, 116) 내의 제1, 2 나선홈(113a, 116a)에 체결될 때 샤클 핀(120)에 샤클 핀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샤클 핀(120)의 풀림을 방지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샤클(100)은 샤클 몸체(110)에 형성된 인양 고리(111)의 상면에 보조 인양 고리(111a)가 부가 형성되어, 강도 보강과 함께 인양 고리(111)의 양단부가 안쪽 방향으로 변형됨을 방지하고, 인양 고리(111)와 보조 인양 고리(111a)의 다수 지점에 로프가 접한 상태로 연결하므로 샤클(100)의 앞뒤 흔들림을 최소화한다.
더욱이, 샤클 핀(120)의 손잡이(124)에 형성된 제1 결속홀(124a)에 잠금부재(130)를 구비하고, 제2 결속홀(124c)에 풀림방지부재(140)를 구비하여 샤클 핀(120)의 분리를 이중으로 방지하게 된다.
즉, 샤클 핀(120)의 회전에 의해 샤클 몸체(110)의 제1, 2 홀(113, 116)에 체결하여 제2 결속부(142)의 단부가 일단부(112)에 형성된 결속홈(114) 내에 위치되기 시작하면 샤클 핀(120)이 회전되지 못하다가, 샤클 핀(120)을 힘을 가해 더 회전시키면 제2 결속부(142)가 결속홈(114)에서 벗어나면서 어느 하나의 결속홈(114)과 다른 하나의 결속홈(114)만큼 샤클 핀(120)의 회전이 가능해지고, 제2 결속부(142)의 단부가 일단부(112)에 형성된 결속홈(114) 내에 위치되기 시작하면 샤클 핀(120)이 회전되지 못하게 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더욱이, 샤클 핀(120)을 완전 회전시켜 제1 결속부(132)의 단부가 일단부(112) 내에 위치되는 시점에 사용자가 파지회전부(136)를 회전시키면 잠금부재(130) 단부의 제1 결속부(132)가 결속홈(114)의 내부까지 전진하게 되면서 샤클 핀(120)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200)은 샤클 몸체(210), 샤클 핀(220) 및 잠금부재(230)를 포함하며, 잠금부재(230)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샤클 몸체(21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물 등을 통해 성형되되, 피인양체가 연결되는 하단이 개방되어 형성된 일단부(212)와 타단부(215)의 사이에 후술할 샤클 핀(220)이 체결되도록 동일 수평선상에 제1, 2 홀(213, 216)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크레인의 후크가 연결되는 상단이 폐쇄되면서 인양 고리(211)를 형성한다.
이때, 일단부(212)와 타단부(215)는 피인양체에 연결되는 연결고리 또는 로프 등을 샤클 몸체(210)의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하단을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샤클 몸체(210)의 일단부(212)와 타단부(215) 중 일단부(212)에 형성된 제1 홀(213)의 내주면에는 나선돌기가 형성되지 않고, 타단부(215)에 형성된 제2 홀(216)의 내주면에는 샤클 핀(220)의 선단에 형성된 나선돌기(222a)가 나선 체결되도록 나선홈(216a)이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홀(213)의 내주면 일측에 홈을 형성하고, 홈 내에 "U"자 형상의 탄성부가 구비되고, 샤클 몸체(210)의 제1, 2 홀(213, 216)에 샤클 핀(220)이 거의 고정될 때 탄성부의 정점 부위가 위치되도록 샤클 핀(220)의 나선돌기(222a) 반대측 몸체(222)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의 산형부가 구비되어 샤클 핀(220)을 강제 회전시켜야만 탄성부가 산형부를 넘어가면서 샤클 핀(2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샤클 몸체(210)의 일단부(212)와 타단부(215) 중 샤클 핀(220)의 선단이 먼저 삽입되는 일단부(212)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면에서 봤을 때 타단부(215)에 비해 단면적이 크도록 확장 형성된다.
그리고 일단부(212)의 제1 홀(213)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 면취면(213a)이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샤클 몸체(210)의 일단부(212) 측면에 제1 홀(213)의 주위를 따라 방사상의 결속홈(214)이 형성된다. 이때, 결속홈(214)은 반구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후술할 잠금부재(230)의 제1 결속부(232)의 단부가 결속 또는 분리되게 한다.
샤클 핀(22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물 등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기계 가공에 의해 선 외주면에 나선돌기(222a)를 형성하며, 샤클 몸체(210)의 일단부(212)와 타단부(215)에 형성된 제1, 2 홀(213, 216)에 체결되어 인양될 피인양체의 인양 고리 또는 피인양체와 연결되는 와이어 등이 결속되게 하는 구성으로, 몸체(222), 나선돌기(222) 및 손잡이(224)를 포함한다.
몸체(222)는 기계 가공에 의해 나선돌기(222a)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나선돌기(222a)는 샤클 몸체(210) 타단부(215)의 제2 홀(216)에 형성된 나선홈(216a)에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222)의 전방에 형성된다.
이때, 나선돌기(222a)는 앞선 실시예와 다르게 샤클 몸체(210)의 몸체(222) 전방에만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222)와 손잡이(224)와의 경계면에 경사면(223)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경사면(223)은 샤클 몸체(210)의 제1, 2 홀(213, 216)에 샤클 핀(220)을 체결할 때 샤클 몸체(210) 일단부(212)의 제1 홀(213) 입구에 형성된 면취면(213a)에 밀착되면서 샤클 핀(220)의 삽입 방향을 안내 받게 된다.
즉, 샤클 몸체(210)의 제1, 2 홀(213, 216)에 샤클 핀(220)을 체결할 때 경사면(223)이 제1, 2 홀(213, 216) 중심에 샤클 핀(22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하면서 샤클 핀(22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샤클 핀(220)의 나선돌기(222a)에 의해서만 샤클 몸체(210)의 나선홈(216a)에 한 지점만 체결되므로 샤클 핀(220)에 흔들림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손잡이(224)는 몸체(222)의 후방과 이웃하게 연장되면서 샤클 몸체(210)의 일단부(212)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타단부(215)에 형성된 제2 홀(216)의 나선홈(216)에 샤클 핀(220)을 체결시킬 때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손잡이(224) 중 일측에 잠금부재(230)가 설치되도록 제1 결속홀(224a)이 형성되고, 제1 결속홀(224a)의 이격된 양측에 잠금부재(2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브래킷(231)의 고정을 위한 나사(231a)가 체결되도록 체결홀(224b)이 각각 형성된다.
잠금부재(230)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클 핀(220)의 손잡이(224) 일측에 형성된 제1 결속홀(224a)에 설치되어 샤클 몸체(210)의 일단부(212)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214) 중 어느 하나의 홈에 결속되어 이동되면서 샤클 핀(220)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기능을 하며, 제1 결속부(232), 나선체결돌기(234), 파지회전부(236) 및 제1 탄성부(238)를 포함한다.
이때, 제1 결속부(232), 나선체결돌기(234), 파지회전부(236) 및 제1 탄성부(238)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잠금부재(230)는 이탈방지 브래킷(231)에 의해 제1 결홈홀(224a) 내에서만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이탈방지 브래킷(231)은 나선체결돌기(234)와 파지회전부(236)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홈이 걸리도록 일측이 개구된 홈이 형성되며, 양쪽 홀을 통해 스프링 와셔(231b)가 장착된 나사(231a)가 체결홀(224b)에 각각 체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샤클(200)은 샤클 몸체(210)에 형성된 인양 고리(211)에 로프를 고정시킨 후 크레인의 후크와 피인양체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더욱이, 샤클 핀(220)을 완전 회전시켜 제1 결속부(232)의 단부가 일단부(212) 내에 위치되는 시점에 사용자가 파지회전부(236)를 회전시키면 잠금부재(230) 단부의 제1 결속부(232)가 결속홈(214)의 내부까지 전진하게 되면서 샤클 핀(220)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222)와 손잡이(224)와의 경계면에 형성된 경사면(223)은 샤클 몸체(210)의 제1, 2 홀(213, 216)에 샤클 핀(220)을 체결할 때 샤클 몸체(210) 일단부(212)의 제1 홀(213) 입구에 형성된 면취면(213a)에 밀착되면서 샤클 핀(220)의 삽입 방향 안내와 함께 샤클 핀(22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샤클 110, 210: 샤클 몸체
111, 211: 인양 고리 111a: 보조 인양 고리
112, 212: 일단부 113, 213: 제1 홀
113a, 213a: 제1 나선홈 114: 결속홈
115, 215: 타단부 116, 216: 제2 홀
116a, 216a: 제2 나선홈 120, 220: 샤클 핀
124, 224: 손잡이 124a, 224a: 제1 결속홀
124c, 224c: 제2 결속홀 130, 230: 잠금부재
131, 232: 이탈방지 브래킷 132, 232: 제1 결속부
134, 234: 나선체결돌기 136, 236: 파지회전부
138, 238: 제1 탄성부 140: 풀림방지부재
142: 제2 결속부 144: 체결볼트
146: 제2 탄성부 150: 탄성체
213a: 면취면 223: 경사면

Claims (7)

  1. 이격 형성된 일측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제1, 2 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의 주위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되며, 타측에 인양 고리가 형성되는 샤클 몸체;
    상기 샤클 몸체의 제1, 2 홀에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2 홀에 나선 체결되는 샤클 핀; 및
    상기 샤클 핀의 손잡이 일측에 형성된 제1 결속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결속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결속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샤클 핀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샤클 몸체의 결속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1 결속부;
    상기 제1 결속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결속홀에 나선 체결되는 나선체결돌기;
    상기 나선체결돌기의 단부에서 상기 손잡이의 외측까지 연장되되, 상기 제1 결속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 결속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선체결돌기를 회전시키는 파지회전부; 및
    상기 제1 결속홀과 이와 대향된 상기 나선체결돌기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부, 나선체결돌기 및 파지회전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샤클 핀의 단부 중 상기 제1 결속홀 주위에 상기 나선체결돌기와 상기 파지회전부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홈이 걸리도록 일측이 홈이 형성된 이탈방지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2. 이격 형성된 일측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제1, 2 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의 주위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되며, 타측에 인양 고리가 형성되는 샤클 몸체;
    상기 샤클 몸체의 제1, 2 홀에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 2 홀에 나선체결되는 샤클 핀;
    상기 샤클 핀의 손잡이 일측에 형성된 제1 결속홀에 설치되어 상기 샤클 몸체의 단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결속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샤클 핀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부재; 및
    상기 샤클 핀의 손잡이 타측에 형성된 제2 결속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결속홈 중 다른 하나의 홈에 결속되어 상기 샤클 핀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샤클 몸체의 결속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1 결속부;
    상기 제1 결속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결속홀에 나선 체결되는 나선체결돌기;
    상기 나선체결돌기의 단부에서 상기 손잡이의 외측까지 연장되되, 상기 제1 결속홀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 결속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선체결돌기를 회전시키는 파지회전부; 및
    상기 제1 결속홀과 이와 대향된 상기 나선체결돌기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부, 나선체결돌기 및 파지회전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샤클 핀의 단부 중 상기 제1 결속홀 주위에 상기 나선체결돌기와 상기 파지회전부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홈이 걸리도록 일측이 홈이 형성된 이탈방지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클 몸체의 제1 홀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면취(Chamfer)면이 형성되고, 상기 샤클 핀의 손잡이와 몸체를 연결하는 경계면에 상기 면취면에 대응된 경사면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클 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샤클 핀이 상기 제1 홀에 체결될 때 상기 샤클 핀에 삽입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부재는,
    상기 샤클 몸체의 결속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 결속부;
    상기 샤클 핀의 제2 결속홀에 나선 체결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제2 결속부와 이와 대향된 상기 체결볼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결속부를 항시 전진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 및 풀림방지부재는 상기 샤클 몸체에 형성된 복수의 결속홈 중 대향된 위치의 결속홈에 각각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KR1020190027408A 2019-03-11 2019-03-11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KR102086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408A KR102086072B1 (ko) 2019-03-11 2019-03-11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PCT/KR2020/003342 WO2020184960A1 (ko) 2019-03-11 2020-03-11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408A KR102086072B1 (ko) 2019-03-11 2019-03-11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072B1 true KR102086072B1 (ko) 2020-03-06

Family

ID=6980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408A KR102086072B1 (ko) 2019-03-11 2019-03-11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6072B1 (ko)
WO (1) WO202018496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960A1 (ko) * 2019-03-11 2020-09-17 김중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KR102391622B1 (ko) * 2020-12-31 2022-04-28 김중호 걸이물 이동방지 샤클
KR102601816B1 (ko) 2023-03-21 2023-11-14 박진서 자동 잠금 해제형 샤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882A (ko) 2011-05-26 2012-12-05 최순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한 샤클
KR20130004194A (ko) 2012-11-21 2013-01-09 김대식 3상 모터를 이용한 온수 및 온풍 보일러
KR20140124280A (ko) * 2013-04-16 2014-10-24 최순환 샤클
KR101678359B1 (ko) * 2016-01-27 2016-11-25 김중호 샤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8033A (ja) * 2000-01-21 2001-08-03 Masaaki Mizuta シャックル状吊具
CA2424244A1 (en) * 2003-03-28 2004-09-28 George Gerald Hockenhull Transfer plate
WO2017075605A1 (en) * 2015-10-29 2017-05-04 Factor 55, Llc Rigging connector having combination hook and shackle mounting
KR102086072B1 (ko) * 2019-03-11 2020-03-06 김중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882A (ko) 2011-05-26 2012-12-05 최순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한 샤클
KR20130004194A (ko) 2012-11-21 2013-01-09 김대식 3상 모터를 이용한 온수 및 온풍 보일러
KR20140124280A (ko) * 2013-04-16 2014-10-24 최순환 샤클
KR101678359B1 (ko) * 2016-01-27 2016-11-25 김중호 샤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960A1 (ko) * 2019-03-11 2020-09-17 김중호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KR102391622B1 (ko) * 2020-12-31 2022-04-28 김중호 걸이물 이동방지 샤클
WO2022191489A1 (ko) * 2020-12-31 2022-09-15 김중호 걸이물 이동방지 샤클
KR102601816B1 (ko) 2023-03-21 2023-11-14 박진서 자동 잠금 해제형 샤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4960A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072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샤클
KR101678359B1 (ko) 샤클
US6334286B1 (en) Device for lifting prefabricated components, particularly made of concrete, or the like
KR100976563B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KR101333582B1 (ko) 샤클
KR102389099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IL178735A (en) Coupling pin
US4233913A (en) Safe door
KR102105585B1 (ko) 형틀 체결용 너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형틀 체결 장치
JP4083163B2 (ja) アイボルト
KR20220163709A (ko) H빔용 크레인 후크
KR102391622B1 (ko) 걸이물 이동방지 샤클
CN207449784U (zh) 锁扣装置以及车顶横杆
CN213017497U (zh) 端封式索具扣件
CN219281500U (zh) 一种不锈钢缆绳锁
KR101804044B1 (ko)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CN219638623U (zh) 一种多联安全锁扣
CN212562006U (zh) 一种装配式建筑外墙的组合结构
US20240093759A1 (en) Shackle
CN220151701U (zh) 一种防撬型铆钉
CN220201162U (zh) 用于角钢镀锌吊装的吊环锁
CN112681281B (zh) 一种土工格栅结构
CN103671712A (zh) 一种锁扣连接器
CN210178716U (zh) 一种快速打开及锁定的销钉
CN217128751U (zh) 一种防钢筋笼变形的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