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582B1 - 샤클 - Google Patents

샤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582B1
KR101333582B1 KR1020130065204A KR20130065204A KR101333582B1 KR 101333582 B1 KR101333582 B1 KR 101333582B1 KR 1020130065204 A KR1020130065204 A KR 1020130065204A KR 20130065204 A KR20130065204 A KR 20130065204A KR 101333582 B1 KR101333582 B1 KR 101333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ckle
ring
screw thread
nut
nu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김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호 filed Critical 김중호
Priority to KR102013006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582B1/ko
Priority to CN201480032439.0A priority patent/CN105283405B/zh
Priority to PCT/KR2014/005013 priority patent/WO201419683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04Quickly-detachable 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links with rapid junction mea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 F16G15/06Shackles designed for attachment by joint pins to chain elements, e.g. D-shackles so called harp links; the D-chain link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공사현장이나 선박 제조 현장 등에서 고중량의 피인양체를 원활하게 인양하기 위해 피인양체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샤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은, 일 측이 개방된 고리 형태의 샤클몸체(100);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된 부위의 일단에,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되, 내면에 너트 형태의 제1너트면(210)이 형성되는 체결링(200);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된 부위의 타단에,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체결링(200)과 마주보며 배치되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단턱(310)과, 상기 단턱(310)의 내면에 너트 형태의 제2너트면(320)이 구비되는 탄발링(300); 및 상기 탄발링(300)과 상기 체결링(2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너트면(210)과 제2너트면(320)에 체결 또는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샤클핀몸체(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샤클{SHACKLE}
본 발명은 샤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공사현장이나 선박 제조 현장 등에서 고중량의 피인양체를 원활하게 인양하기 위해 피인양체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샤클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건설 산업은 대형화, 다기능화되어 가는 미래의 건축물 건설에 부응하고 있으며, 제한된 부지 여건으로 인하여 초 고층화, 지하화되어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건설 산업의 추세에 따른 대형 건축물의 건설 과정에 있어서, 기초를 이루는 철골 공사가 가장 중요한 공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철골 공사는 대형 건축물의 건축 과정에서 필수적인 공사로서, 건물의 뼈대를 이루는 과정이며, 이와 같은 철골 공사의 기본 작업은 현장에 설치된 타워 크레인으로 각종 철공 구조물을 인양하고 작업자에 의해 조립하면서 올라가는 것이다.
한편, 건축물의 외벽 면을 시공하기 위한 갱폼(gang-form)은, 주로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 상, 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 거푸집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대형 거푸집이다.
이러한, 갱폼은 평면상 상, 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 사용되기 때문에, 건축물이 저층에서부터 고층으로 쌓아올려 짐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 외면에서 갱폼을 수직방향으로 상향 이동시켜 윗 층의 건축물 외벽을 순차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선박 제조과정에서도 선박 제조에 필요한 피인양체를 대형 크레인을 통해 인양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각종 철공 구조물과 갱폼 및 선박 부품 등 인력으로 이동 및 인양하기 어려운 피 인양체들은 크레인을 통해 인양되게 되는데, 크레인에는 후크가 구비되고, 물품에는 샤클이 구비되어 상기 후크를 샤클에 연결하여 피인양체를 인양하게 된다.
그러나, 크레인의 후크와 고중량의 피인양체를 샤클로 상호 연결하는 과정에서 그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어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인양체를 샤클과 연결하여 크레인의 후크를 통해 인양하는 과정에서 샤클몸체에서 샤클핀이 이탈되어 피인양체와 샤클이 분리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크레인의 후크와 샤클을 통해 피인양체를 인양 및 이동한 후, 피인양체와 크레인의 후크에서 샤클을 분리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 10-2012-013188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은, 크레인의 후크와 피인양체를 상호 연결하는 샤클의 사용하면서, 그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샤클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은, 피인양체와 크레인의 후크 사이를 연결하는 샤클이 피인양체의 인양과정에서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는 샤클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은, 피인양체를 인양 및 이동한 후, 피인양체와 크레인의 후크 사이를 연결하는 샤클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샤클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은, 일 측이 개방된 고리 형태의 샤클몸체(100);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된 부위의 일단에,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되, 내면에 너트 형태의 제1너트면(210)이 형성되는 체결링(200);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된 부위의 타단에,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체결링(200)과 마주보며 배치되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단턱(310)과, 상기 단턱(310)의 내면에 너트 형태의 제2너트면(320)이 구비되는 탄발링(300); 및 상기 탄발링(300)과 상기 체결링(2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너트면(210)과 제2너트면(320)에 체결 또는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샤클핀몸체(400);를 포함한다.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선단 외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너트면(210)에 체결되는 나사 형태의 제1나사산(410)과, 말단에 상기 탄발링(300)의 외부에 위치되는 샤클머리(420)와, 상기 단턱(310)과 상기 샤클머리(4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샤클머리(420)가 형성된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체(430)와, 상기 샤클머리(420)에서 상기 탄성체(430)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너트면(320)에 체결되는 나사 형태의 제2나사산(440)을 포함한다.
상기 샤클머리(420)는, 상기 탄성체(430)의 선단이 상기 단턱(310)에 지지 되면서, 상기 탄성체(430)의 말단이 지지 되도록 하는 가압턱(422)과, 상기 가압턱(422)에서 연장형성되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424)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430)는, 상기 단턱(310)에 밀착된 채로 상기 샤클머리(420)에 탄성을 발휘한다.
상기 제1너트면(210)의 내면은, 상기 제2너트면(320) 내면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나사산(410, 440)의 외면은, 상기 제1,2너트면(210, 320)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샤클핀몸체(4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나사산(410)은, 상기 제2너트면(320)을 지나 상기 제1너트면(210)에 체결되며, 상기 샤클핀몸체(400)가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나사산(410)은 상기 제1너트면(210)과 상기 제2너트면(320)에서 순차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샤클핀몸체(400)가 상기 체결링(200)과 탄발링(300)에서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상기 제1나사산(410)과 상기 제2나사산(440)의 사이 구간을 이루는 샤클핀(450)과, 상기 제1나사산(410)과 상기 샤클핀(450)의 연결부위에 음각형성되는 음각홈(460)과, 상기 음각홈(460)에 결합 되어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샤클핀(450)의 형성부위로 밀리면서 형태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지지링(47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은, 크레인의 후크와 피인양체를 상호 연결하는 샤클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함으로 인해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은, 피인양체와 크레인의 후크 사이를 연결하는 샤클이 피인양체의 인양과정에서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 인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은, 피인양체를 인양 및 이동한 후, 피인양체와 크레인의 후크 사이를 연결하는 샤클을 간편하게 분리함으로 인해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샤클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건물의 공사현장이나 선박 제조 현장 등에서 고중량의 피인양체를 원활하게 인양하기 위해 피인양체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샤클 [특히, 체결링, 탄발링, 샤클핀몸체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의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은, 일 측이 개방된 고리 형태의 샤클몸체(100)와, 체결링(200), 탄발링(300) 및 샤클핀몸체(400)를 포함한다.
상기 샤클몸체(100)는, 'U' 형태로 형성되는 스트레이트 타입과 말굽 형태의 활 타입 중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샤클몸체(100)는, 크레인의 후크(미도시) 또는 와이어(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시 샤클몸체(100)는, 철재 또는 내구성이 강한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측이 개방된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부위 일단에는 상기 체결링(200)이 배치되고,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부위 타단에는 상기 탄발링(300)이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상기 체결링(200)과 탄발링(300)에 동시에 체결되면서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부위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상기 체결링(200)과 탄발링(300)에 체결되면서 피인양체에 형성되는 인양고리(미도시) 또는 피인양체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상기 샤클몸체(100)의 내부에 구속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상기 체결링(200)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부위를 개방하여 피인양체에 형성되는 인양고리 또는 피인양체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상기 샤클몸체(100)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크레인을 통해 피인양체를 인양 및 이동시, 상기 피인양체가 상기 샤클몸체(1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샤클몸체(100)와 견고하게 체결되고, 피인양체를 인양 및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샤클몸체(100)에서 간편하게 분리되어 피인양체가 상기 샤클몸체(100)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링(200)은,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되, 내면에 너트 형태의 제1너트면(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발링(300)은,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체결링(200)과 마주보며 배치되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단턱(310)과, 상기 단턱(310)의 내면에 너트 형태의 제2너트면(320)이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상기 탄발링(300)과 상기 체결링(2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너트면(210)과 제2너트면(320)에 체결 또는 분리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선단 외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너트면(210)에 체결되는 나사 형태의 제1나사산(410)과, 말단에 상기 탄발링(300)의 외부에 위치되는 샤클머리(42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상기 단턱(310)과 상기 샤클머리(4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샤클머리(420)가 형성된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체(430)와, 상기 샤클머리(420)에서 상기 탄성체(430)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너트면(320)에 체결되는 나사 형태의 제2나사산(44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상기 제1나사산(410)과 상기 제2나사산(440)의 사이 구간을 이루는 샤클핀(450)과, 상기 제1나사산(410)과 상기 샤클핀(450)의 연결부위에 음각형성되는 음각홈(460)을 갖는다.
더불어,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상기 음각홈(460)에 결합 되어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샤클핀(450)의 형성부위로 밀리면서 형태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지지링(47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나사산(440) 또한 상기 제1나사산(410)과 동일한 단면 지름을 갖으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샤클머리(420)는, 상기 탄성체(430)의 선단이 상기 단턱(310)에 지지 되면서, 상기 탄성체(430)의 말단이 지지 되도록 하는 가압턱(422)과, 상기 가압턱(422)에서 연장형성되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424)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430)는 상기 단턱(310)과 상기 가압턱(422)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샤클핀(450)의 외면에 감겨 진 채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샤클핀(450)의 선단에는 상기 제1나사산(410)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샤클핀(450)의 말단에는 상기 제2나사산(440)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샤클핀(450)의 상기 제1나사산(410)과 연결부위에는 상기 음각홈(460)이 형성되어 상기 음각홈(460)에 상기 지지링(470)이 배치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샤클핀(450)의 선단에 연장형성되는 상기 제1나사산(410)은, 상기 탄발링(300)을 관통한 후 상기 제1너트면(210)에 체결되면서 상기 체결링(200)의 내부에 결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샤클핀몸체(400)의 상기 제2나사산(440)은,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제1너트면(210)에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2너트면(320)에 체결되면서 상기 탄발링(300)의 내부에 결속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탄성체(430)는 상기 단턱(310)에 지지 된 채로 상기 가압턱(422)에 의해 가압 되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압턱(422)은 상기 탄발링(300)의 외면에 밀착되게 된다.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제1너트면(210)에 체결되는 시점과 상기 제2나사산(440)이 상기 제2너트면(320)에 체결되면서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부위는 상기 샤클핀몸체(400)에 의해 폐쇄되게 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제1너트면(210)에 체결되고 상기 제2나사산(440)이 상기 제2너트면(320)에 체결되면 상기 샤클핀(450)이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부위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샤클핀(450)에는 인양될 피인양체의 인양 고리 또는 피인양체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결속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제1너트면(210)에 체결되는 시점과 상기 제2나사산(440)이 상기 제2너트면(320)에 체결되는 시점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제1너트면(210)에서 분리될 경우, 상기 제2나사산(440) 또한 상기 제2너트면(320)에서 분리되게 된다.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제1너트면(210)에 체결되고, 상기 제2나사산(440)이 상기 제2너트면(320)에 체결될 경우, 상기 탄성체(430)는, 상기 단턱(310)에 지지 된 채로 상기 가압턱(422)에 탄성을 발휘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제1너트면(210)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2나사산(440)이 상기 제2너트면(320)에서 분리되면 상기 탄성체(430)는 상기 가압턱(422)에 탄성을 발휘하여 상기 샤클핀몸체(400)가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부위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링(470)은, 상기 샤클핀몸체(400)에 연결되어 인양될 피인양체를 인양하기 위해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제1너트면(210)에 체결시, 상기 피인양체의 중량으로 인해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샤클핀(450)의 형성부위로 밀리면서 형태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링(470)은, 내구성을 갖는 금속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샤클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샤클은, 일 측이 개방된 고리 형태의 샤클몸체(100)와, 체결링(200), 탄발링(300) 및 샤클핀몸체(400)를 포함한다.
도 3에서는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된 부위를 샤클핀몸체(400)가 폐쇄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 4에서는 상기 샤클몸체(100)에서 상기 샤클핀몸체(400)가 이탈되면서 상기 샤클몸체(100)의 폐쇄되었던 부분이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도 3을 살펴보면, 상기 샤클몸체(100)와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상호 분리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 언급되었던 크레인의 후크를 상기 샤클몸체(100)에 연결하고, 피인양체에 연결되는 연결고리 또는 와이어를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부위를 통해 상기 샤클몸체(100) 내부로 진입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샤클머리(420)의 손잡이(424)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탄발링(300)의 제2너트면(320)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링(200)의 상기 제1너트면(210)과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제1너트면(210)과 상호 체결되면, 동시에 상기 제2나사산(440)이 상기 제2너트면(320)에 상호 체결되게 된다.
상기 샤클핀(450)은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제1너트면(210)에 체결되고 상기 제2나사산(440)이 상기 제2너트면(320)에 체결되면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부위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클핀(450)에는 인양될 피인양체의 인양 고리 또는 피인양체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결속되게 된다.
특히,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상기 제1나사산(410)과 상기 제2나사산(440)의 사이 구간을 이루는 샤클핀(450)과, 상기 제1나사산(410)과 상기 샤클핀(450)의 연결부위에 음각형성되는 음각홈(460)을 갖는다.
더불어,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상기 음각홈(460)에 결합 되어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샤클핀(450)의 형성부위로 밀리면서 형태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지지링(47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430)는, 상기 단턱(310)에 지지 된 상태로 상기 가압턱(422)에 탄성을 발휘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압턱(422)은, 상기 탄발링(300)의 외면을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체(430)는, 상기 단턱(310)에 밀착된 채로 상기 샤클머리(420)에 탄성을 발휘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샤클핀몸체(400)가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부위를 견고하게 폐쇄하여, 피인양체의 연결고리 또는 와이어가 상기 샤클몸체(100) 내부에 구속된 상태로 크레인이 피인양체를 안전하게 인양 및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링(470)은, 상기 제1나사산(410)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샤클핀몸체(400)에 연결되어 인양되는 상기 피인양체의 중량으로 인해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샤클핀(450)의 형성부위로 밀리면서 형태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살펴보면, 피인양체의 연결고리 또는 와이어가 상기 샤클몸체(100) 내부에 구속된 상태로 크레인이 피인양체를 안전하게 인양 및 이동시킨 후, 동작을 정지하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샤클핀몸체(400)의 상기 손잡이(424)를 일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의 경우, 상기 샤클핀몸체(400)의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제1너트면(210)에서 회전되다가 상기 제1너트면(210)에서 분리되게 된다.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제1너트면(210)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2나사산(440) 또한 상기 제2너트면(320)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2나사산(440)이 상기 제2너트면(320)에서 분리되는 순간 상기 가압턱(422)에 탄성을 발휘하고 있던 상기 탄성체(430)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가압턱(422)은 상기 탄발링(300)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가압턱(422)이 상기 탄발링(300)에서 멀어지게 되면, 상기 샤클핀몸체(400)에 상기 샤클핀(450)에 의해 폐쇄되었던 상기 샤클몸체(100)가 개방되게 된다.
상기 샤클몸체(100)가 개방되게 되면 상기 샤클몸체(100)에 결속되어있던 피인양체에 연결되는 연결고리 또는 와이어를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부위를 통해 상기 샤클몸체(100) 외부로 벗어나도록 하여 결속해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산(410)과 상기 샤클핀(450)의 연결부위에 음각형성되는 음각홈(460)과, 상기 음각홈(460)에 결합 되어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샤클핀(450)의 형성부위로 밀리면서 형태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지지링(470)은 고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상기 탄발링(300)의 외 측으로 하 방향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면서, 상기 제1나사산(410) 부위가 상기 탄발링(300)의 상기 제2너트면(320) 부위에 걸쳐지게 되어 상기 탄발링(300)에 거치 되게 된다.
만약, 상기 샤클핀몸체(400)를 상기 탄발링(300)에서 이탈되도록 하려면, 상기 샤클핀몸체(400)를 정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제2너트면(320)에서 일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제2너트면(320)을 타고 이동되면서 상기 샤클핀몸체(400)가 상기 탄발링(300)의 외 측으로 완전히 이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피인양체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인양한 후 정해진 인양위치에 원활하게 인양 및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너트면(210)의 내면은, 상기 제2너트면(320) 내면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나사산(410, 440)의 외면은, 상기 제1,2너트면(210, 320)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샤클핀몸체(4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나사산(410)은, 상기 제2너트면(320)을 지나 상기 제1너트면(210)에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샤클핀몸체(400)가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나사산(410)은 상기 제1너트면(210)과 상기 제2너트면(320)에서 순차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샤클핀몸체(400)가 상기 체결링(200)과 탄발링(300)에서 이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크레인의 후크와 피인양체를 상호 연결하는 샤클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함으로 인해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피인양체와 크레인의 후크 사이를 연결하는 샤클이 피인양체의 인양과정에서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 인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피인양체를 인양 및 이동한 후, 피인양체와 크레인의 후크 사이를 연결하는 샤클을 간편하게 분리함으로 인해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샤클몸체
200 : 체결링 210 : 제1너트면
300 : 탄발링 310 : 단턱
320 : 제2너트면
400 : 샤클핀몸체 410 : 제1나사산
420 : 샤클머리 422 : 가압턱
424 : 손잡이
430 : 탄성체 440 : 제2나사산
450 : 샤클핀 460 : 음각홈
470 : 지지링

Claims (6)

  1. 일 측이 개방된 고리 형태의 샤클몸체(100);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된 부위의 일단에,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되, 내면에 너트 형태의 제1너트면(210)이 형성되는 체결링(200);
    상기 샤클몸체(100)의 개방된 부위의 타단에,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체결링(200)과 마주보며 배치되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단턱(310)과, 상기 단턱(310)의 내면에 너트 형태의 제2너트면(320)이 구비되는 탄발링(300); 및
    상기 탄발링(300)과 상기 체결링(2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너트면(210)과 제2너트면(320)에 체결 또는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샤클핀몸체(400);를 포함하고,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선단 외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너트면(210)에 체결되는 나사 형태의 제1나사산(410)과,
    말단에 상기 탄발링(300)의 외부에 위치되는 샤클머리(420)와,
    상기 단턱(310)과 상기 샤클머리(4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샤클머리(420)가 형성된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체(430)와,
    상기 샤클머리(420)에서 상기 탄성체(430)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너트면(320)에 체결되는 나사 형태의 제2나사산(440)을 포함하며,
    상기 샤클핀몸체(400)는,
    상기 제1나사산(410)과 상기 제2나사산(440)의 사이 구간을 이루는 샤클핀(450)과,
    상기 제1나사산(410)과 상기 샤클핀(450)의 연결부위에 음각형성되는 음각홈(460)과,
    상기 음각홈(460)에 결합 되어 상기 제1나사산(410)이 상기 샤클핀(450)의 형성부위로 밀리면서 형태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지지링(470)을 더 포함하는 샤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클머리(420)는,
    상기 탄성체(430)의 선단이 상기 단턱(310)에 지지 되면서, 상기 탄성체(430)의 말단이 지지 되도록 하는 가압턱(422)과,
    상기 가압턱(422)에서 연장형성되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424)를 포함하는 샤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430)는,
    상기 단턱(310)에 밀착된 채로 상기 샤클머리(420)에 탄성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너트면(210)의 내면은,
    상기 제2너트면(320) 내면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나사산(410, 440)의 외면은,
    상기 제1,2너트면(210, 320)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샤클핀몸체(4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나사산(410)은, 상기 제2너트면(320)을 지나 상기 제1너트면(210)에 체결되며,
    상기 샤클핀몸체(400)가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나사산(410)은 상기 제1너트면(210)과 상기 제2너트면(320)에서 순차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샤클핀몸체(400)가 상기 체결링(200)과 탄발링(300)에서 이탈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클.
  6. 삭제
KR1020130065204A 2013-06-07 2013-06-07 샤클 KR101333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204A KR101333582B1 (ko) 2013-06-07 2013-06-07 샤클
CN201480032439.0A CN105283405B (zh) 2013-06-07 2014-06-05 一种卸扣
PCT/KR2014/005013 WO2014196832A1 (ko) 2013-06-07 2014-06-05 샤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204A KR101333582B1 (ko) 2013-06-07 2013-06-07 샤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582B1 true KR101333582B1 (ko) 2013-11-27

Family

ID=4985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204A KR101333582B1 (ko) 2013-06-07 2013-06-07 샤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33582B1 (ko)
CN (1) CN105283405B (ko)
WO (1) WO2014196832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7322A (zh) * 2015-01-12 2015-05-20 扬州明月朝阳船业有限公司 一种新型锚卸扣
KR101678359B1 (ko) * 2016-01-27 2016-11-25 김중호 샤클
WO2018039788A1 (en) * 2016-08-29 2018-03-08 Clayton Quinn Apparatus includes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having terminal assemblies
US10099898B2 (en) 2016-08-29 2018-10-16 Clayton Quinn Apparatus includes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having terminal assemblies
KR200488188Y1 (ko) * 2018-05-18 2018-12-27 김경호 중장비용 안전고리
KR20200140613A (ko) * 2019-06-07 2020-12-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체결용 지그
KR20210048371A (ko) 2019-10-23 2021-05-03 여운석 반자동 샤클 조립체
KR20220000536U (ko)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회전 각도 가변식 샤클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0417A (zh) * 2016-02-17 2016-05-04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吊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031U (ja) * 1992-03-31 1993-10-26 健市 森 シャックル
KR20080000757A (ko) * 2006-06-28 2008-01-03 홍제윤 샤클 조립체
JP3169788U (ja) * 2011-05-25 2011-08-18 弘義 羽入 ピン脱落防止機能付きシャックルピン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94343A (en) * 1927-06-10 1928-07-26 Marine And Factory Suppliers L Improvements in shackles for ropes or chains
GB532165A (en) * 1939-07-17 1941-01-20 William Stevens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hackles
GB2399333B (en) * 2003-03-13 2005-06-29 Sean Dover Quick release column lif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031U (ja) * 1992-03-31 1993-10-26 健市 森 シャックル
KR20080000757A (ko) * 2006-06-28 2008-01-03 홍제윤 샤클 조립체
JP3169788U (ja) * 2011-05-25 2011-08-18 弘義 羽入 ピン脱落防止機能付きシャックルピン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7322A (zh) * 2015-01-12 2015-05-20 扬州明月朝阳船业有限公司 一种新型锚卸扣
KR101678359B1 (ko) * 2016-01-27 2016-11-25 김중호 샤클
WO2017131255A1 (ko) * 2016-01-27 2017-08-03 김중호 샤클
WO2018039788A1 (en) * 2016-08-29 2018-03-08 Clayton Quinn Apparatus includes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having terminal assemblies
US10099898B2 (en) 2016-08-29 2018-10-16 Clayton Quinn Apparatus includes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having terminal assemblies
KR200488188Y1 (ko) * 2018-05-18 2018-12-27 김경호 중장비용 안전고리
KR20200140613A (ko) * 2019-06-07 2020-12-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체결용 지그
KR102477537B1 (ko) * 2019-06-07 2022-1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체결용 지그
KR20210048371A (ko) 2019-10-23 2021-05-03 여운석 반자동 샤클 조립체
KR20220000536U (ko)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회전 각도 가변식 샤클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83405B (zh) 2017-12-01
WO2014196832A1 (ko) 2014-12-11
CN105283405A (zh)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582B1 (ko) 샤클
CN210193173U (zh) 一种大型h型钢立柱吊装快速脱钩的吊具
CN104649135B (zh) 吊装时销杆能自锁、脱钩时销杆能自动脱扣的卸扣
CN112031388B (zh) 一种建筑外墙施工用的安全装置
CN205063316U (zh) 脚手架与门窗洞口的连接装置
CN202116179U (zh) 手动弹簧吊环
CN201619948U (zh) 一种吊装预留孔混凝土柱子的专用吊具
CN204609413U (zh) 用于立体车库升降架载车板的缓冲装置
CN203372983U (zh) U形卸扣
CN208234402U (zh) 同一钢丝任意断点自锁安全器
CN205134921U (zh) 建筑外墙混凝土构造柱悬挂施工平台
CN202518937U (zh) 一种吊钩
CN205687424U (zh) 一种防风防倾翻的起重机
CN211034884U (zh) 一种大体积钢筋笼起吊装置
CN109987501A (zh) 一种在钢结构吊装中快速空中脱扣的装置及脱扣方法
CN209242491U (zh) 城建建筑预制构件的起升式吊装装置
CN202046794U (zh) 一种吊装柱子的专用吊具
CN204001804U (zh) 一种结构化安全网挑架
CN201041188Y (zh) 环形安全带挂钩
CN215054453U (zh) 一种用于顶棚吊杆安装固定的工具
CN218371286U (zh) 紧邻既有管线桩钢梁吊装施工用防护装置
CN214885386U (zh) 一种爬架脱钩器
CN203855301U (zh) 悬吊连接装置
CN211895851U (zh) 一种用于绳式升降器的安全装置
CN219730260U (zh) 一种自动卸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