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358Y1 - 목발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목발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358Y1
KR200408358Y1 KR2020050032863U KR20050032863U KR200408358Y1 KR 200408358 Y1 KR200408358 Y1 KR 200408358Y1 KR 2020050032863 U KR2020050032863 U KR 2020050032863U KR 20050032863 U KR20050032863 U KR 20050032863U KR 200408358 Y1 KR200408358 Y1 KR 200408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xing
crutches
heigh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맹호
Original Assignee
김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맹호 filed Critical 김맹호
Priority to KR2020050032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3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3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77Shock absorb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발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튼식 높이조절수단을 목발 하부에 설치하여 목발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높이를 보다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목발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겨드랑이받침(2)과, 손잡이(3)와, 좌우 지지대(5)(5') 및 좌우 지지대(5)(5')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다리대(6)로 구성된 목발(A)의 높이조절장치(1)에 있어서, 좌우 지지대(5)(5')의 하부 상간에서 상하부를 고정핀(9)과 슬리브(10)로 좌우 지지대(5)(5')와 고정하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의 고정공(8a)을 수개 형성하며, 내부에서 다리대(6)가 슬라이드 및 고정되도록 고정관(8)과; 상기 다리대(6)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리대(6)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6a)에 끼움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관(8)의 고정공(8a) 상에 끼움 고정되는 버튼부(14)와, 관통공(6a)에서 버튼부(14)가 이탈되지 않도록 버튼부(14)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4a)와, 버튼부(14) 내측에 일단이 끼움되며 타단이 다리대(6) 내면에 지지되어 버튼부(14)를 관통공(6a) 외측으로 탄력지지되도록 한 탄력지지구로 구성한 스토퍼(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슬리브(10)는 좌우에 형성되며, 좌우 지지대(5)(5')를 끼워 고정핀(11a)으로 고정하고, 하부를 밀폐 구성한 구멍(11)과; 슬리브(10)의 가운데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좌우 구멍(11) 보다 하부로 연장되어 고정관(8)을 상부로 끼움 고정하고, 하측 단부에 단턱(12a)을 형성한 상하 관통구멍(12)과; 좌우에 형성된 구멍(11)의 외부와 가운데 형성된 관통구멍(12)의 외부를 연결 구성한 보강리브(1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스토퍼(13)의 버튼부(14)가 결합되는 고정관(8)의 고정공(8a) 위치(=높이)에 의해 목발(A)의 높낮이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목발(A)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높이조절장치(1)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이 견고하여 목발(A)의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목발, 높이조절장치, 좌우 지지대, 다리대, 스토퍼, 버튼부, 탄력지지구, 고정관, 슬리브

Description

목발의 높이조절장치{Height regulator of crutches}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목발의 일례를 보인 일부 단면구성도 및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높이조절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하여 이의 작용을 보인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A:목발
1:높이조절장치 2:겨드랑이받침
3:손잡이 4:쿠션부재
5,5':좌우 지지대 6:다리대
6a:관통공 7:완충부재
8:고정관 8a:고정공
9:고정핀 10:슬리브
11:구멍 11a:고정핀
12:관통구멍 12a:단턱
13:(푸시버튼식)스토퍼 14:버튼부
14a:플랜지 15:탄력지지구
본 고안은 목발(또는 '목다리'라고도 함)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1방향 버튼식 높이조절수단을 목발 하부에 설치하여 목발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높이를 보다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높이조절이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가능한 목발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리의 골절이나 인대손상 시 겨드랑이에 끼워 걷기보조용으로 사용되는 목발은 나무로 제조되어 그 무게가 무겁고,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높이조절을 하기가 어려워 신장에 따라 높이가 상이한 목발을 다양하게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실정이다.
근자에 들어 목재보다 가볍고 외관이 수려한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진 목발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목발의 높이조절장치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거나 높이조절 시 사용자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몇 단계의 번거로운 작업을 행해야함으로 어린이나 노약자가 일일이 높이조절하기 에는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복잡한 구조에 의한 제조원가의 앙등이라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었던 것이다.
즉, 종래 목발의 높이조절장치 중 하나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부의 겨드랑이받침을 지지하고 겨드랑이받침 하부에서 손잡이의 양측이 고정되는 좌우 지지대와, 지지대 하부에서 좌우 지지대와 상하 고정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며 하단부에 고무 및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받침을 갖는 다리대로 구성된 목발의 경우, 좌우 지지대와 이의 가운데 위치하는 다리대에 다양한 높이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하 고정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2점식으로 고정함으로써 높이를 목발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으나, 일일이 너트를 풀고 볼트를 분리하여 다리대를 조절한 후 좌우 지지대와 다리대의 관통공을 일치시키면서 일치된 관통공 상으로 볼트를 끼우고, 이후 너트를 조여야함으로 작업이 번거롭고, 너트를 풀고 죄는데 힘이 들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쉽게 풀거나 죄기가 어렵고, 항시 공구를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상기 문제점들을 일소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목발의 높이조절장치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개량된 목발의 높이조절장치를 안출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좌우 지지대와 다리대가 슬라이드 및 고정되는 고정관의 상부에는 핀으로 관통 결합하고, 하부에는 슬리브로 결합 구성하여 고정관 상에 길이방향으 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공을 형성하고, 다리대에는 고정공에 걸림되는 푸시버튼식 스토퍼를 형성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목발의 높이를 아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목발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목발(A)의 일례를 보인 일부 단면구성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높이조절장치(1)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분리사시도 및 이의 작용을 보인 단면구성도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목발(A)의 높이조절장치(1)에 있어서, 상기 목발(A)의 구성은 상부에 발포수지 등의 쿠션부재(4)가 형성된 겨드랑이받침(2)과, 겨드랑이받침(2)을 지지하며 쿠션부재(4)가 형성된 손잡이(3)가 설치되는 좌우 지지대(5)(5')와, 좌우 지지대(5)(5')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하단부에 지면에 닿는 완충부재(7)가 형성된 다리대(6)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 지지대(5)(5')와 다리대(6)는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하여 관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장치(1)는 좌우 지지대(5)(5') 하부에 다리대(6)를 결합할 시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좌우 지지대(5)(5') 상간에 다리대(6)가 슬라이 드 및 고정되는 고정관(8)을 형성하되, 고정관(8)과 좌우 지지대(5)(5')를 상부에서 고정핀(9)으로 고정하고. 하부에서는 슬리브(10)로 고정한다.
상기 슬리브(10)는 좌우로 하부가 밀폐 구성된 구멍(11)을 형성하여 좌우 지지대(5)(5')를 끼움 후 고정핀(11a)으로 고정하고, 가운데로는 좌우 구멍(11) 보다 하부로 연장된 상하 관통구멍(12)을 형성하며, 관통구멍(12)의 단부에 단턱(12a)을 형성하여 고정관(8)을 상부에서 끼움 고정하며, 상기 좌우에 형성된 구멍(11)의 외부와 가운데 형성된 관통구멍(12)의 외부는 직삼각형의 보강리브(10a)로 연결 구성한다.
상기 고정관(8)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개의 고정공(8a)을 형성하고, 고정관(8)이 끼움된 슬리브(10) 하단으로 다리대(6)를 끼움 형성하며, 다리대(6)의 상부에 푸시버튼(push-button)식 스토퍼(13)를 설치하여 고정관(8)의 고정공(8a)에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토퍼(13)는 다리대(6)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6a)에 끼움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버튼부(14)와, 관통공(6a)에서 버튼부(14)가 이탈되지 않도록 버튼부(14)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4a)와, 버튼부(14) 내측에 일단이 끼움되며 타단이 다리대(6) 내면에 지지되어 버튼부(14)를 관통공(6a) 외측으로 탄력지지되도록 한 탄력지지구(15)로 구성한다.
도면 중의 미 설명부호 16은 손잡이(3)를 좌우 지지대(5)(5')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17은 고정관(8)의 상부 덮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목발(A)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목발(A)의 좌우 지지대(5)(5') 상간의 하부에 고정관(8)을 상하로 고정핀(9)과 슬리브(10)에 의해 고정하고, 탄력지지구(15)에 의해 관통공(6a)에 탄력지지되는 버튼부(14)로 이루어진 푸시버튼식 스토퍼(13)에 의하여 상기 고정관(8)의 고정공(8a)에 고정되는 다리대(6)를 결합하여 스토퍼(13)의 버튼부(14)를 외부에서 누른 후 다리대(6)를 위아래로 슬라이딩시켜 목발(A)의 최종 높이를 결정토록 하는 것으로 이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다리대(6)가 고정관(8)에 결합되어 스토퍼(13)의 버튼부(14)가 고정관(8)의 고정공(8a)에 끼움된 고정상태에서 아래로 다리대(6)를 슬라이딩시켜 목발(A)의 높이를 늘리고자 할 경우, 손으로 버튼부(14)를 고정공(8a)에서 이탈되도록 누르고, 누른 상태에서 반대편 손으로 다리대(6)를 하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며,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아래 고정공(8a)에 다시 버튼부(14)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버튼부(14)를 누르면 탄력지지구(15)가 수축되었다가 다리대(6)를 슬라이딩시켜 아래 고정공(8a)에 버튼부(14)가 위치하면 탄력지지구(15)의 복원력에 의해 탄력지지구(15)가 이완되어 버튼부(14)가 고정공(8a)에 끼움 고정되는 것이고, 버튼부(14)의 플랜지(14a)에 의해 버튼부(14)는 항시 다리대(6)의 관통공(6a)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것이며, 상기 버튼부(14)를 눌러 다리대(6)를 하향 슬라이딩시킬 때 다리대(6)를 바로 하향 슬라이딩시키면 바로 아래 고정공(8a)에 고정되므로 높이조절의 폭이 높을 시에는 버튼부(14)를 누른 상태에서 반대편 손으로 다리대(6)를 일정 각도만큼 회동시킨 다음 원하는 높이로 슬라이딩시킨 후 다리대(6)를 원래각도로 회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목발(A)의 높이를 줄이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버튼부(14)를 눌러 고정공(8a)에서 이탈시킨 다음, 반대로 다리대(6)를 상부로 슬라이딩시키면 되는 것이고, 이때도 마찬가지로 줄이고자하는 폭이 클 때에는 다리대(6)를 일정 각도로 회동시킨 다음 원하는 높이로 슬라이딩시켜 줄인 다음, 버튼부(14)를 원하는 높이의 고정공에 일치시켜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우 지지대(5)(5')와 고정관(8)은 상하로 견고하게 결합한 것으로 상부에서 고정핀(9)을 좌측 지지대(5), 고정관(8), 우측 지지대(5')(또는 우측 지지대(5'), 고정관(8), 좌측 지지대(5))에 차례로 관통되게 하고, 반대편 고정핀(9)의 단부를 리벳팅하여 고정하며, 하부에서는 슬리브(10)의 보강리브(10a)로 연결된 좌우 밀폐형 구멍(11)과 가운데 관통구멍(12)에 각각 좌우 지지대(5)(5')와 고정관(8)의 하측 단부를 끼우고, 좌우 지지대(5)(5')는 슬리브(10)의 구멍(11)에 고정핀(11a)으로 리벳팅하여 고정 구성함으로 조립이 견고하여 목발(A)의 수명을 장구히 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이 다리대(6)를 조절하여 목발(A)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겨드랑이받침(2)을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대어보고, 가장 편한 위치에 손잡이(3)를 위치하도록 조절해야 하는 바, 이는 상기 조절수단(16)을 풀어 좌우 지지대(5)(5')의 원하는 위치로 조절하면 되는 것으로 도면상에서는 조절수단(16)으로 핀볼트와 나비너트가 도시된 되었으므로 이에 맞춰 설명하면, 나비너트를 풀고 핀볼트를 분리시켜 손잡이(3)를 분리한 다음, 원하는 위치에 손잡이(3)를 위치시키고 핀볼트로 좌우 지지대(5)(5')에 관통되게 지지한 후 나비너트를 핀볼트의 단부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목발(A)의 높이조절장치(1)는 좌우 지지대(5)(5')와, 다리대(6)가 슬라이드 및 고정되는 고정관(8)의 상부는 고정핀(9)으로 관통 결합하고, 하부는 슬리브(10)로 결합 구성하며, 고정관(8) 상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공(8a)을 형성하며, 다리대(6) 상부에는 고정공(8a)에 걸림되는 푸시버튼식 스토퍼(13)를 설치하며, 상기 스토퍼(13)의 버튼부(14)가 결합되는 고정관(8)의 고정공(8a) 위치(=높이)에 의해 목발(A)의 높낮이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목발(A)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높이조절장치(1)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이 견고하여 목발(A)의 수명을 장구히 하며, 외관이 수려하여 제품의 차별성에 의한 대량판매도 가능한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2)

  1. 겨드랑이받침(2)과, 겨드랑이받침(2)을 지지하며 쿠션부재(4)가 형성된 손잡이(3)가 설치되는 좌우 지지대(5)(5')와, 좌우 지지대(5)(5')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하단부에 지면에 닿는 완충부재(7)가 형성된 다리대(6)로 구성된 목발(A)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목발(A)의 높이조절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좌우 지지대(5)(5')의 하부 상간에서 상하부를 고정핀(9)과 슬리브(10)로 좌우 지지대(5)(5')와 고정하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의 고정공(8a)을 수개 형성하며, 내부에서 다리대(6)가 슬라이드 및 고정되는 고정관(8)과,
    다리대(6)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리대(6)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6a)에 끼움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관(8)의 고정공(8a) 상에 끼움 고정되는 버튼부(14)와, 관통공(6a)에서 버튼부(14)가 이탈되지 않도록 버튼부(14)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4a)와, 버튼부(14) 내측에 일단이 끼움되며 타단이 다리대(6) 내면에 지지되어 버튼부(14)를 관통공(6a) 외측으로 탄력지지되도록 한 탄력지지구(15)로 구성한 스토퍼(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발의 높이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는 좌우에 형성되며, 좌우 지지대(5)(5')를 끼워 고정핀 (11a)으로 고정하고, 하부를 밀폐 구성한 구멍(11)과,
    슬리브(10)의 가운데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좌우 구멍(11) 보다 하부로 연장되어 고정관(8)을 상부로 끼움 고정하고, 하측 단부에 단턱(12a)을 형성한 상하 관통구멍(12)과,
    좌우에 형성된 구멍(11)의 외부와 가운데 형성된 관통구멍(12)의 외부를 연결 구성한 보강리브(1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발의 높이조절장치.
KR2020050032863U 2005-11-21 2005-11-21 목발의 높이조절장치 KR200408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63U KR200408358Y1 (ko) 2005-11-21 2005-11-21 목발의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63U KR200408358Y1 (ko) 2005-11-21 2005-11-21 목발의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358Y1 true KR200408358Y1 (ko) 2006-02-08

Family

ID=4175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863U KR200408358Y1 (ko) 2005-11-21 2005-11-21 목발의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35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011B1 (ko) * 2014-04-07 2015-03-05 (주)힐닉스 보행 보조 장치
KR20200131948A (ko) * 2019-05-14 2020-11-25 강동원 지지대
KR102585668B1 (ko) * 2023-02-17 2023-10-06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삼각 크러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011B1 (ko) * 2014-04-07 2015-03-05 (주)힐닉스 보행 보조 장치
KR20200131948A (ko) * 2019-05-14 2020-11-25 강동원 지지대
KR102209522B1 (ko) 2019-05-14 2021-01-29 강동원 지지대
KR102585668B1 (ko) * 2023-02-17 2023-10-06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삼각 크러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361B1 (ko) 보행보조기
US7861380B2 (en) Replaceable hand grip
US20090151761A1 (en) Calf, ankle, foot, or leg rest for cane and cane with device attached
US20180008049A1 (en) Frame of electric bed
KR200408358Y1 (ko) 목발의 높이조절장치
US2903714A (en) Body assist for toilet seat
US6840893B2 (en) Jumping device for exercise
US5778605A (en) Glide cap for walker
US20080148473A1 (en) Bathing chair with fixing device
US6305747B1 (en) Swayable backrest assembly for a chair
JP2008104543A (ja) 肘掛け装置付き椅子
KR101630665B1 (ko) 비대칭 발판을 이용한 힌지 목발
US6033016A (en) Seat
KR101798753B1 (ko) 보조지지부가 설치되는 목발
KR101123435B1 (ko) 목발
KR100724501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136834B1 (ko) 보조받침대가 부가된 안마기
JP5956852B2 (ja) 杖支持具
KR101742700B1 (ko) 신발 부착식 작업의자
CN215777708U (zh) 一种如厕装置
US20040007908A1 (en) Multi-function rocking chair
US7156468B2 (en) Adjustable grommet for a chair seat
KR200382347Y1 (ko) 의자의 쿠션 장치
JP7129128B2 (ja) 杖の装着座板
KR101488624B1 (ko) 다목적 휴대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