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313Y1 -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313Y1
KR200408313Y1 KR2020050031488U KR20050031488U KR200408313Y1 KR 200408313 Y1 KR200408313 Y1 KR 200408313Y1 KR 2020050031488 U KR2020050031488 U KR 2020050031488U KR 20050031488 U KR20050031488 U KR 20050031488U KR 200408313 Y1 KR200408313 Y1 KR 200408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obile phone
keypad
shape corresponding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영
Original Assignee
김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영 filed Critical 김낙영
Priority to KR2020050031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3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3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용 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2) 외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판(112)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판(112)에 디스플레이부(2)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진 상부벽(114)이 마련된 상부커버(110)와,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키 패드부(3) 외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판(212)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판(212)에 키 패드부(3)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진 하부벽(214)이 마련된 하부커버(210)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화기 커버로서, 상기 상,하부커버(110,210)의 상,하부벽(114,214)에 하나 이상의 후크홀(124,224)이 형성된 돌기편(122,222)을 갖춘 결합부(120,220)와, 상기 결합부(120,220)의 돌기편(122,222)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및 키 패드부(3)의 외측면을 고정하여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하는 상,하부고무패드(130,230)가 구비되어져, 휴대용 전화기에 커버의 착탈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흠집을 방지하고, 휴대용 전화기에 커버의 마찰면으로 인해 생기는 흠집 등과 같은 손상을 방지하여 휴대용 전화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커버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화기, 상부 커버, 하부커버, 상부벽, 하부벽, 결합부, 고무패드

Description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 {A portable telephone cover which has the slide protect facilit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A-A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패드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상부커버 112: 상부판
114: 상부벽 120: 결합부
122: 돌기편 124: 후크홀
130: 상부고무패드 132: 수용홀
134: 걸림턱 210: 하부커버
212: 하부판 214: 하부벽
220: 결합부 222: 돌기편
224: 후크홀 230: 하부고무패드
232: 수용홀 234:걸림턱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의 외부에 덮어져 휴대용 전화기를 보호하는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전화기의 커버에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별도의 부재를 구성하여 휴대용 전화기에 커버의 착탈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흠집을 방지함은 물론 휴대용 전화기와 커버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어 커버의 마찰면으로 인해 생기는 흠집을 억제함과 더불어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쉽게 커버가 이탈되지 않도록 휴대용 전화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는 그 특정상 휴대가 간편하고, 소형화할 수 있도록 폴더형 또는 슬라이드형이 개발되었으며, 상기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는 그 몸체가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경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 경첩부를 중심으로 접혀지게 하여 휴대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게 설계된 것이고, 상기 슬 라이드형 휴대용 전화기는 두 부분으로 분리된 몸체가 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분리된 몸체 중 한 부분을 이동시켜 다른 부분과 겹치게 하여 휴대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게 설계된 것이다.
이러한 휴대용 전화기를 휴대 및 보관할 때는 통상적으로 외부의 충격이나 흠집을 방지하기 위해 단단한 플라스틱의 재질로 성형되는 하드 케이스(Hard Case)등으로 제작된 휴대용 전화기 커버에 넣어 보관하며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 커버는, 디스플레이부(2)에 결합되는 상부커버(4)와, 키 패드부(3)에 결합되는 하부커버(5)가 마련되며, 각각의 커버 외주면에 휴대용 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2) 및 키패드부(3)가 외부에 충격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4a,5a)이 각각 구비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 커버는, 상부커버(4)와 하부커버(5)를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걸림턱(4a,5a)이 휴대용 전화기에서 결합하거나 분리할 경우 사용자가 잘못 다루게 되면 휴대용 전화기의 표면에 흠집 등의 손상을 입히게 됨으로써 휴대용 전화기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술한 휴대용 전화기 커버는, 장기간 사용시 휴대용 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2) 및 키패드부(3)를 고정하는 상,하부 커버의 걸림턱(4a,5a) 탄력이 떨어져 휴대용 전화기가 헐겁게 되므로, 휴대용 전화기와 커버의 내부에 미끄러지는 유동현상이 일어나 휴대용 전화기와 커버가 서로 마찰면이 발생되어 휴대용 전화기 의 표면에 흠집 등의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휴대용 전화기의 커버는, 사용자가 부주의로 휴대용 전화기를 떨어트리는 경우 휴대용 전화기를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걸림턱(4a,5a)의 고정력이 미흡하여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가해진다면 휴대용 전화기에서 커버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은 물론, 휴대용 전화기가 커버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서 2차 충격이 더 해지므로 휴대용 전화기 커버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휴대용 전화기 커버는, 휴대용 전화기를 손에 의해 휴대하거나 손으로 들고 통화를 하던 도중에 손에 베이는 땀 등으로 인해 휴대용 전화기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전화기 커버에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별도의 부재를 구성하여 휴대용 전화기에 커버의 착탈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흠집을 방지함은 물론 휴대용 전화기와 커버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어 커버의 마찰면으로 인해 생기는 흠집을 억제함과 더불어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쉽게 커버가 이탈되지 않도록 휴대용 전화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커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정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 외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판에 디스플레 이부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진 상부벽이 마련된 상부커버와,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키 패드부 외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판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판에 키 패드부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진 하부벽이 마련된 하부커버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화기 커버로서,
상기 상,하부커버의 상,하부벽에 하나 이상의 후크홀이 형성된 돌기편을 갖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돌기편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키 패드부의 외측면을 고정하여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하는 상,하부고무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A-A부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휴대용 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2) 외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판(112)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판(112)에 디스플레이부(2)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진 상부벽(114)이 마련된 상부커버(110)와,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키 패드부(3) 외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판(212)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판(212)에 키 패드부(3)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진 하부벽(214)이 마련된 하부커버(210)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화기 커버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커버(110,210)의 상,하부벽(114,214)에 하나 이상의 후크홀(124,224)이 형성된 돌기편(122,222)을 갖춘 결합부(120,220)와, 상기 결합부(120,220)의 돌기편(122,222)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및 키 패드부(3)의 외측면을 고정하여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하는 상,하부고무패드(130,2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요소 중 휴대용 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2) 및 키패드부(3)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210)는 공지기술과 기능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120)의 형상을 변경한 다음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상,하부고무패드(130,230)가 장착된 것에 차이점이 포함됨을 첨언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10)는, 그 몸체의 상면에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노출창(118,116)을 형성하여 사출성형으로 된 것으로서, 휴대용 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2)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판(112)과 상기 상부판의 외주면에 디스플레이부(2)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상부벽(114)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벽(114)은, 휴대용 전화기(1)의 디스플레이부(2)의 외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판(112)의 외주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2) 의 삼면 즉, 상기 키 패드(3)에 결합되는 후면의 일면을 제외한 삼면에 상부판(112)에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부(2)의 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벽(114)의 좌우 양측면에 동일한 형상으로 돌기편(122)를 갖춘 결합부(12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120)는, 그 몸체에 하나 이상의 후크홀(124)이 형성된 돌기편(112)이 구비된 것으로서, 이 이후에 설명되는 상부고무패드(130)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중앙에 얇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돌기편(112)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고무패드(130)는, 상기 결합부(120)의 돌기편(112)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부(2)의 외면을 견고하게 잡아 고정하는 것으로서, 그 몸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부(120)의 돌기편(112)에 부착되는 수용홀(132)이 형성되면서 그 몸체의 내면에 디스플레이부의 내측면의 모서리부에 걸치되는 걸림턱(13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부고무패드(1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에 대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천연고무(Natural Butadi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및 SR(Silicon Rubber) 등과 같은 고무재로 마찰강도가 높이기 위해 코르크(Cork)가 첨가된 코르크러버(Cork Rubber)과 같이 점성이 우수한 고무나 실리콘을 포함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함을 첨언한다.
그리고, 상부고무패드(130)는, 상기 상부커버(110)의 결합부(120)에 장착되어 결합부의 돌기편(122)과 후크홀(124)에 맞대어져 이중사출방식과 같은 사출성형 을 통해 고정된다.
이때, 상부고무패드(130)는 도 6과 같이, 이중상출방식을 통해 고정하지 않고 그 몸체의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후크(146)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커버(110)의 결합부(120)의 후크홀(124)에 후크(146)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하부커버(210)는, 그 몸체의 후면중앙에 일부를 디지털 카메라가 위치하는 절개부(214)을 형성하여 사출성형으로 된 것으로서, 휴대용 전화기의 키 패드부(3)의 후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판(212)과 상기 하부판의 외주면에 키 패드부(3)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하부벽(214)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벽(214)은, 휴대용 전화기의 키 패드부(3)의 외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부판(212)의 외주면에 키 패드부의 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벽(214)의 좌우 양측면에 길이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돌기편(222)를 갖춘 결합부(220)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벽(214)은 그 몸체의 전면에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소켓이 삽입되는 거치부(216)가 형성되며, 그 몸체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220)의 후면으로 형성되는 각종 조작키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218)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220)는, 그 몸체에 하나 이상의 후크홀(224)이 형성된 돌기편(222)이 구비된 것으로서, 이 이후에 설명되는 하부고무패드(230)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의 저면중앙에 얇고 일 정한 두께를 갖는 돌기편(222)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고무패드(230)는, 상기 결합부(220)의 돌기편(222)에 부착되어 상기 키패드부(3)의 외면을 견고하게 잡아 고정하는 것으로서, 그 몸체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돌기편(222)에 결합되는 수용홀(232)이 형성되면서 그 몸체의 내측면에 상기 키 패드부(3)의 내측면 모서리부에 걸치되는 걸림턱(234)으로 구성된다.
이때, 하부고무패드(230)는, 상기 키패드부(3)에 대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천연고무(Natural Butadi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및 SR(Silicon Rubber) 등과 같은 고무재로 마찰강도가 높이기 위해 코르크(Cork)가 첨가된 코르크러버(Cork Rubber)과 같이 점성이 우수한 고무나 실리콘을 포함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함을 첨언한다.
그리고, 하부고무패드(230)는, 상기 상부커버(210)의 결합부(220)에 장착되어 결합부의 돌기편(222)과 후크홀(224)에 맞대어져 이중사출방식과 같은 사출성형을 통해 고정된다.
이때, 상부고무패드(230)는 도 6과 같이, 이중상출방식을 통해 고정하지 않고, 그 몸체의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후크(246)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커버(210)의 결합부(220)의 후크홀(224)에 후크(246)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용 전화기의 커버를 형성하려는 경우, 일단 상기 상부커버(110)의 결합부(120)에 상부고무패드(130)를 맞대어 이중사출로 성형하고 상기 하부커버(210)의 결합부(220)에 하부고무패드(230)를 맞대어 이중사출로 성형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상부고무패드(130)와 하부고무패드(230)의 수용홀(132,232)에 각각에 결합부(120,220)의 돌기편(112,222)과 후크홀(124,224)이 삽입되어 상태로 고정되므로, 상부커버(110)와 하부커버(21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하부고무패드(130,230)가 결합부(120,220)에서 흔들림이나 유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상면에 상기 상부고무패드(130)가 구비된 상부커버(11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상기 상부고무패드(130)의 내측면과 아울러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34)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의 표면에 흠집 등과 같은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안정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키 패드부(3)의 하면에 상기 하부고무패드(230)가 구비된 하부커버()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상기 하부고무패드(230)의 내측면과 아울러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234)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휴대용 전화기의 키 패드부(3)의 표면에 흠집 등과 같은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안정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상,하부커버(110,210)에서 상,하부고무패드(130,230)의 수용홀(132,232)이 상기 결합부(120)의 돌기편(112,222)과 후크홀(124,224)를 매개로 상, 하부고무패드(130,232)가 강한 고정력으로 개재된 상태이므로 휴대용 전화기가 커버의 내부에서 미끄러지는 유동현상으로 인해 생기는 마찰면이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커버(110,210)의 상,하부고무패드(130,230)로 인해 사용자가 부주의로 휴대용 전화기를 떨어트리는 경우라도 휴대용 전화기를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각각의 걸림턱(134,234)에 의해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상기 상,하부고무패드(130,230)의 완충력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여 커버가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커버(110,210)에 외부로 노출된 고무패드(130,230)의 마찰력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를 손으로 휴대하거나 들고 통화를 하던 도중에 손에 베이는 땀 등으로 인해 휴대용 전화기가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을 미연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에 의하면, 휴대용 전화기에 커버의 착탈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흠집을 방지할 수 있으며, 휴대용 전화기와 커버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어 커버의 마찰면으로 인해 생기는 흠집을 억제함은 물론,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쉽게 커버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휴대용 전화기를 견고하게 쥘 수 있으므로 휴대용 전화기를 안정감이 있도록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휴대용 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2) 외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판(112)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판(112)에 디스플레이부(2)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진 상부벽(114)이 마련된 상부커버(110)와,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키 패드부(3) 외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판(212)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판(212)에 키 패드부(3)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진 하부벽(214)이 마련된 하부커버(210)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화기 커버로서,
    상기 상,하부커버(110,210)의 상,하부벽(114,214)에 하나 이상의 후크홀(124,224)이 형성된 돌기편(122,222)을 갖춘 결합부(120,220)와, 상기 결합부(120,220)의 돌기편(122,222)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및 키 패드부(3)의 외측면을 고정하여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하는 상,하부고무패드(130,2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하부고무패드(130,230)에는,
    그 몸체의 내측면에 디스플레이부(2)와 키 패드부(3)의 내측면 모서리부에 거치되는 걸림턱(134,234)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하부고무패드(130,230)에는,
    그 몸체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후크(146,2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
KR2020050031488U 2005-11-07 2005-11-07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 KR200408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488U KR200408313Y1 (ko) 2005-11-07 2005-11-07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488U KR200408313Y1 (ko) 2005-11-07 2005-11-07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313Y1 true KR200408313Y1 (ko) 2006-02-08

Family

ID=4175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488U KR200408313Y1 (ko) 2005-11-07 2005-11-07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3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333B1 (ko) 2006-03-10 2008-03-07 이학래 휴대용 통신 장치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333B1 (ko) 2006-03-10 2008-03-07 이학래 휴대용 통신 장치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3091A (en) Grip and protective casing for cellular telephone
KR100988204B1 (ko) 바 형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US8051980B2 (en) Protective sleev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50081213A (ko) 보호 커버
KR200381964Y1 (ko) 덮개 일부가 슬라이딩 개폐되는 휴대폰 단말기용보호케이스
US20060019530A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0468119Y1 (ko) 슬라이드 입출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08313Y1 (ko)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커버
JP5010107B2 (ja) 電子機器への端子カバー取り付け構造及び携帯電話機
US20060287013A1 (en) Battery fasten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310854B1 (ko)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고정구조
KR200490393Y1 (ko) 액세서리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101793374B1 (ko)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US8724299B2 (en) External componen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05086364A1 (en) Protection cover of slide type cellular phone
KR200473933Y1 (ko) 케이스커버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용기기 보호케이스
JP2010226203A (ja) 携帯機器の装飾取付具
JP2004214969A (ja) 携帯電子機器
KR200399014Y1 (ko) 힌지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848989B1 (ko) 스프링이 구비되는 휴대폰 케이스
JP2008004659A (ja) 折り畳み式の電子機器
KR101635411B1 (ko) 휴대폰케이스
JP4287783B2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0476086Y1 (ko) 탈착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KR101474960B1 (ko) 핸드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