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027Y1 -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 Google Patents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027Y1
KR200408027Y1 KR2020050030901U KR20050030901U KR200408027Y1 KR 200408027 Y1 KR200408027 Y1 KR 200408027Y1 KR 2020050030901 U KR2020050030901 U KR 2020050030901U KR 20050030901 U KR20050030901 U KR 20050030901U KR 200408027 Y1 KR200408027 Y1 KR 200408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oral
water
aid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호
Original Assignee
김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호 filed Critical 김연호
Priority to KR2020050030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0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5Handles for single handle mix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5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an extendable wate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칫솔질 등을 한 후에 구강을 보다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가정의 세면에 일반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개레버식 온·냉수 세면용 혼합꼭지의 토수구에 쉽게 결착 구성될 수 있는 구강세척용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구상세척보조구와는 달리 손으로 구강세척보조구의 밑면을 막아 토출노즐로 나오는 수량 및 토출높이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구강을 용의하게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구강세척, 수도꼭지

Description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The mouth clean assist a thing which control water pressure with the hand}
도 1은 기존의 한개레버식 온·냉수혼합꼭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착절단면도
도 4는 기존의 한개레버식 온·냉수혼합꼭지의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결착 시 분해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결착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여 주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결착된 구성을 하부에서 본 저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00 : 구강세척보조구 101 : 구강세척토출구 103 : 꼭지연결부
105 : 수로공간부 107 : 결합너트 109 : 고무패킹
200 : 수도꼭지 201 : 토출구 203 : 포말셋트
205 : 포말너트 207 : 고무패킹
본 고안은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출원번호 20-2004-0021044는 각종 세면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의 본체에는 기존에 구성되던 토수구와 함께 세척노즐을 설치하고, 그 세척노즐은 별도의 버튼에 의해 수돗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세면대에 설치된 수도꼭지의 세척노즐에서 분사되는 물로 입안을 세척하는 구강용 세척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온수와 냉수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꼭지의 몸체 일측에는 연결홀을 형성하여 푸시버튼과 세척노즐이 구비된 구강세척부 하단의 돌출부를 삽입 고정하고, 상기 구강세척부에 구비되는 푸시버튼은 그 하측으로 플런저와 밸브를 구비하여 구강세척부에 체결되는 고정부시의 내부로 삽입하며, 상기 밸브의 하단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냉수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후, 고정부시의 일측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구강세척부 내부의 세척수로에 연결되게 하고, 그 세척수로의 끝에는 연결나사와 너트로 분사홀이 형성된 세척노즐을 결합하여 구강용 세척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에 관한 것이다. 출원번호 20-2000-0007772는 공지된 수도꼭지의 물 배출관 상단에 물배출 꼭지를 형성하고 물배출관 속에는 돌출장치를 하여 배출되는 물의 폭을 줄여 공간을 형성하여 물배출꼭지로 물을 역류 배출시켜 구강세척,급수대에 설치 등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구강세척기능이 있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고, 출원번호 20-1998-0028616은 통상의 수도꼭지 옆에 세워서 유로를 개방할 수 있는 보조꼭지를 연결하여 양치질을 할 때 보다 편리하게 입안을 세정할 수 있도록 한 구강세정용 보조꼭지를 갖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기술들은 한결같이 최초 구성시에 기존의 수도꼭지에 일체화 하여 구성하여야 함으로 기존에 생산되어진 통상의 수도꼭지에는 적용하는 것이 어려우며, 구성 또한 복잡하거나 조작이 간편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출원번호 20-2000-0007772의 경우에는 물 배출관 상단으로 구멍을 만들어 구성함으로 구강세척시가 아닌 상황에는 수압의 손실이 많고, 물이 상하측으로 동시에 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세면대용 수도꼭지에도 별 부담없이 적용하여 사용가능하며, 효율적으로 수량의 조절뿐만 아니라 누수가 일어나지 않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하부가 개방되고 상측으로는 물이 토출되도록 구멍을 낸 토출구(101)와, 수도꼭지의 토출구와 연결이 가능하게 구성된 꼭지연결부 (103)가 구성된 구강세척보조구(100)를 구성하여 이를 통상의 세면대용 한개레버식 온?냉수 혼합꼭지에 쉽게 부착하여 적용함으로서, 통상적으로는 물의 누수 및 아무런 손실 없이 기존의 상태와 동일하게 물을 수도꼭지의 하부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구강세척 시에만 수도꼭지 의 물 토출구와 연결된 상기 구강세척보조구(100)의 하측을 손으로 막아 구강세척보조구(100)의 상측 토출구(101)로 수압을 조절하며 물이 토출되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통상의 세면대용 수도꼭지에도 손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기술적 과제를 두고 창안한 것이다.
도 1~8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은 세면대 수도꼭지로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한개레버식 온?냉수 혼합꼭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강세척보조구(100)에 관한 것이다. 즉, 기존의 구강세척을 위한 세면대용 기술들과는 달리, 임의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고, 부착시에도 인위적인 조절을 하지 않으면 기존과 같이 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구강세척보조구(100)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한개레버식 온·냉수 혼합꼭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수와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한개의 레버가 상측으로 구성되고, 사용자 측으로 튀어나온 본체와 본체내부로 물이 이동하는 통로가 구성되어 세면대 상으로 물을 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한개레버식 온·냉수 혼합꼭지를 이용하여 양치질등을 할때에는 별도의 컵을 이용하여 물을 받아쓰거나, 손으로 물을 모아 집적적으로 입안으로 물을 넣어 사용하는 등의 번거러움과 불편함이 많이 있었다. 이에 별도의 구강세척 토출구가 구성된 별도의 장치를 구성하여 사용하거나, 기존의 수도꼭지에 별도의 토출구를 구성하는 등의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효율적이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세면대용 수도로 통상 사용되고 있는 한개레버식 온?냉수 혼합꼭지(200)에 손상을 주지 아니하고 별도의 개별 장치를 간단히 결합함으로 상기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서,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으로 이루어진 수로공간부(105)와, 상측부의 일측으로 물이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101)를 수로공간부(105)로 관통하여 구성하고, 상기 상측부의 다른 일측부로 수도꼭지의 토출구(201)와 결합 구성될 수 있는 꼭지연결부(103)로 구성된 구강세척보조구(100)를 내부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결합너트(107)를 이용하여 수도꼭지 토출구(201)의 내부에 구성된 볼트구성부에 결착시켜 일체와 시킴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수로공간부(10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되어진 공간부로 이루어짐으로 도 7에서 처럼 구강세척보조구(100)가 연결된 상태라도 평상시에는 그대로 수도꼭지(200)의 토출구(201)를 통하여 토출되어진 물이 상기 구강세척보조구(100)의 수로공간부(105)를 통하여 직하 토출되고,
구강세척을 위하여 개방되어진 수로공간부(105)의 하부를 손으로 막으면 토출구(201)를 통하여 나온 물이 수로공간부(105)를 통하여 수로공간부(105) 내측에서 상부로 관통되어진 구강세척토출구(101)로 물이 도출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로공간부(105)의 하부 개방되어진 부분을 밀폐하는 정도에 따라 구강세척토출구(101)로 토출되는 물의 압과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한개레버식 온?냉수꼭지(200)는 물이 토출되는 최종의 토출구(201)는 포말셋트(203)와 토출구(201) 사이에 고무페킹(207)을 구성하고, 포말너트(205)로 토출구(201) 내부에 구성된 볼트구성에 상기 구성요소들을 결착시킴으로 일체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말너트(205)를 토출구(201)에서 해제시킨 후 구강세척보조구(100)의 꼭지연결부(103)를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이 너트구성된 원통형의 결합너트(107)를 이용하여 수도꼭지 토출구(201)의 내부에 구성된 볼트구성부에 결착시켜 일체와 시킴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너트(107)는 상측으로 구강세척보조구(100), 포말셋트(203), 고무패킹(205)을 순차적으로 정렬시켜 수도꼭지 토출구(201)의 내부 볼트구성부에 결착되는 것이다. 물론 결합너트(107)와 구강세척보조구(100)사이에도 원만한 밀폐 및 결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패킹(109)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8을 참고로 하여 하부에서 올려다 본 구강세척보조구(100)의 결착상태를 설명하면,
결합너트(107)가 포말셋트(203)를 포함하여 상기 구강세척보조구(100)를 수도꼭지(200)의 토출구(201)에 결착되어 있음을 알수가 있고, 배부의 수로공간부(105)의 일측으로 구강세척토출구(101)가 상부로 관통되어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수로공간부(105)는 특정하게 모양을 구성할 필요는 없으며, 측면이 막힌 상태에서 하부로 개방되어진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되고 상기 개방구조의 수로공간부(105)에는 상부로 관통되어진 구강세척토출구(101)와 꼭지연결부(103)가 구성되어지게 된다.
구강세척토출구(101)의 관통방향을 조절함으로 토출되어지는 물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구강세척보조구(100)는 여러 가지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며 9에 도시된 것처럼, 구강세척보조구(100)의 외형을 다양한 동물 등의 모양으로 적용함으로서 사용자들이 보다 친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통상의 세면대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한개레버식 온·냉수 혼합꼭지에 있어서, 수도꼭지에 별도의 손실을 가하지 아니하고도 기존의 구성을 탈착시키고, 상기 본 고안을 부착하여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고, 평소에는 기존과 동일하게 손실 없이 하부로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고, 구강세척이 필요할 시 본 고안의 하측부분을 막음으로 간단하게 수압 및 수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높이만큼 상부로 물을 토출시킴으로 보다 편리하고 간단하게 구강세척이 가능하게 되어 기존의 시설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간단하게 편리성을 높일 수 있어 구성의 경제성이 높고 작업의 시간도 효율적으로 누구나 간단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그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라 하겠다.

Claims (4)

  1. 하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으로 이루어진 수로공간부(105)와, 상측부의 일측으로 물이 토출될 수 있는 구강세척토출구(101)를 수로공간부(105)로 관통하여 구성하고, 상기 토출구(101)가 구성된 상측부의 다른 일측부로 수도꼭지의 토출구(201)와 결합 구성될 수 있는 꼭지연결부(103)가 수로공간부(105)로 관통하여 구성된 구강세척보조구(100)와,
    수도꼭지 토출구(201)의 내부에 구성된 볼트구성부에 상기 구강세척보조구(100)를 결착할 수 있도록 내부로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결합너트(107)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너트(107)로 구강세척보조구(100)를 수도꼭지(200)의 토출구(201)에 결착시켜 구강세척보조구(100) 하측 수로공간부(105)의 막음정도를 손으로 조절하여 물을 상기 구강세척토출구(101)로 토출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너트(107)는 상측으로 구강세척보조구(100), 포말셋트(203), 고무패킹(205)을 순차적으로 정렬시켜 수도꼭지 토출구(201)의 내부 볼트구성부에 결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3. 제1항에 있어서,
    결합너트(107)와 구강세척보조구(100)사이에 수밀강화 및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패킹(109)을 선택적으로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4. 제1항에 있어서,
    구강세척토출구(101)의 관통구의 관통기울기를 달리하여 물의 토출방향을 달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KR2020050030901U 2005-11-01 2005-11-01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KR200408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901U KR200408027Y1 (ko) 2005-11-01 2005-11-01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901U KR200408027Y1 (ko) 2005-11-01 2005-11-01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604A Division KR100704196B1 (ko) 2005-11-01 2005-11-01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027Y1 true KR200408027Y1 (ko) 2006-02-07

Family

ID=4448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901U KR200408027Y1 (ko) 2005-11-01 2005-11-01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0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35550B2 (en) Valve for integrating into a sanitary appliance
KR100704196B1 (ko)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KR200408027Y1 (ko)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KR100964839B1 (ko) 구강 세정기
KR100964838B1 (ko) 구강 세정기
WO2019196153A1 (zh) 一种带口腔清洁器的台盆水龙头
US9487942B2 (en) Spray siphon toilet with accelerating siphon
KR102371303B1 (ko)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JP2000170225A (ja) 止水機構付洗髪シャワーを備えた湯水混合栓
KR200431062Y1 (ko) 수도전 부착형 연결피팅이 있는 디버터 밸브
KR200241216Y1 (ko)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JP2006158938A (ja) 口腔洗浄具取付水栓及び脱着口腔洗浄具
RU2141240C1 (ru) Биде-комби
JP2520775Y2 (ja) 湯水混合水栓のキャップ内水抜構造
KR200257939Y1 (ko) 세면대용 급수관의 분기구조
KR200413501Y1 (ko) 디자인된 배수구멍을 갖춘 세면기
JP4199346B2 (ja) 止水機構付シャワーヘッド
KR200204752Y1 (ko) 세면대용 수도전
KR200377965Y1 (ko) 세면대
JPS605155Y2 (ja) シヤワー付混合栓
KR200368169Y1 (ko) 수도꼭지
KR100338152B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KR20070095255A (ko) 수도전 부착형 연결피팅이 있는 디버터 밸브
KR20090007451U (ko) 식수용꼭지가 부설된 수도꼭지
US6718564B2 (en) Adapter for converting a flushometer valve to a water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