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007Y1 - 복수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동신에 타입하기 위한복수개 케이싱이 구비된 타입장치 - Google Patents

복수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동신에 타입하기 위한복수개 케이싱이 구비된 타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007Y1
KR200408007Y1 KR2020050026344U KR20050026344U KR200408007Y1 KR 200408007 Y1 KR200408007 Y1 KR 200408007Y1 KR 2020050026344 U KR2020050026344 U KR 2020050026344U KR 20050026344 U KR20050026344 U KR 20050026344U KR 200408007 Y1 KR200408007 Y1 KR 200408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ipe
type
drain
cylinder
pb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백영
Original Assignee
석정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정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정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6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0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0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1Membranes permeable
    • E02D2450/102Membranes 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0Placing by pressure or pulling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PBD 타입장치는 리더(10)가 한 쌍의 실린더(30a, 30b)와 힌지(hinge) 구조 조립 수단(40)에 의하여 장비본체(100)에 조립되고, 리더에는 복수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를 따라 복수개의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동시에 관입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케이싱이 구비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실린더(30a, 30b)는 힌지 구조 조립 수단(4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열함으로써 한쪽의 실린더(30a 또는 30b)가 수축되면 다른 한쪽의 실린더(30b 또는 30a)는 이완되어 리더(10) 및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의 위치 즉 각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수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는 통상 2개 또는 3개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약지반, PBD 타입장치, 리더, 실린더, 힌지 수단, 케이싱, 드레인 보드

Description

복수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동신에 타입하기 위한 복수개 케이싱이 구비된 타입장치 {Back Hoe Equipped with Multi-Casings for Multi-Plastic Drain Boards}
제1도는 연약지반을 강화하기 위한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Plastic Board Drain : PBD) 공법에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타입하기 위한 짧은 심도용 타입장비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제2도는 PBD 타입장비의 일부를 구성하는 리더(leader)와 그 리더를 따라 케이싱(casing)이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종래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casing pipe guide)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더(10)와 그 리더에 조립된 복수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가)도는 2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a, 20b)가 조립되고, (나)도는 3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a, 20b, 20c)가 조립된 도면이다.
제4도는 2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a, 20b)가 조립된 리더(10)가 한 쌍의 실린더(30a, 30b) 및 힌지 구조 조립 수단(40)에 의하여 백호(back hoe) 본체(100)에 조립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는 한 쌍의 실린더(30a, 30b)의 작동에 의하여 리더(100) 및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a, 20b)의 위치를 전환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으로, (가)도는 좌측의 실린더 수단(30a)이 이완되고 우측의 실린더 수단(30b)이 수축된 도면이고, (나)도는 좌측의 실린더 수단(30a)이 수축되고 우측의 실린더 수단(30b)이 이완된 도면이다.
제6도는 종래의 단일 케이싱 구조로 이루어진 PBD 타입장비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에 드레인 보드(a~f)를 타입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7도는 종래의 PBD 타입장비에 2개의 케이싱을 구비하여 드레인 보드를 타입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2개의 케이싱이 구비된 PBD 타입장비를 이용하여 드레인 보드를 타입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9도는 연약지반을 강화하기 위한 PBD 공법에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타입하기 위한 긴 심도용 타입장비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리더 20 :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
30 : 실린더수단 40 : 힌지 구조 조립 수단
100 : 장비본체 a∼f : 드레인 보드 타입위치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PBD 타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PBD 공법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동시에 관입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케이싱이 구비된 타입장비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
고함수비의 연약지반을 개량하여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단지 조성등 각종 구조물의 기초로 활용하기 위하여는 지중에 함유되어 있는 간극수를 조기에 지상으로 배출시켜서 간극수의 배출로 인한 지표면의 침하를 조기에 완료시키고 또한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연약지반 개량공사가 필요하다.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대표적인 공법으로 샌드 드레인(sand drain)과 샌드 콤팩션 파일(sand compaction pile) 조성, 그라벨 드레인(gravel drain)과 그라벨 콤펙션(gravel compaction) 공법, 팩 드레인(pack drain) 공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plastic board drain: PBD) 공법 등이 활용되고 있으나 모래나 자갈 등의 천연재료의 고갈 등으로 인하여 현재는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PBD) 공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PBD 공법은 하모니커 또는 벌집형의 플라스틱 코어재를 필타용 천으로 감싸 서 만든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plastic drain board)를 지중에 타입하여 타입된 드레인 보드 주변의 간극수를 그 보드를 통하여 지표면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서 지반침하를 조기에 완료하고 지지력을 높이는 공법이다.
본 출원인은 보다 효율적인 PBD 공법에 관하여 특허 제380799호로 특허를 받은 바 있고, 이 특허는 드레인 보드를 관입 또는 인발하는 유압실린더가 소경 유압실린더와 대경 유압실린더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중간 정도 직경의 중경 유압실린더가 더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 공법은 장비가 간편하고, 시공속도가 비교적 빠르고,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 자재비가 비교적 저렴할 뿐만 아니라 케이싱 파이프의 지중관입으로 인한 지반교란의 최소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점차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그 시공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2본 또는 3본 정도의 복수개의 케이싱을 한 개의 장비에 장착하여 동시에 관입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복수개의 드레인 보드를 동시에 지중에 관입하는 장비는 2본 또는 3본의 케이싱을 장착하게 되기 때문에 장비의 중량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서 장비의 접지압이 다소 커지는 불리한 점이 있지만, 한 대의 장비로 2대 또는 3대의작업량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케이싱 파이프를 장착한 장비의 제작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시도는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타입장비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리더를 회전시켜서 한번에 최대한 여러줄의 드레인 보드를 타입해야 되는데 한번에 2본 또는 3본씩 케이싱 파이프를 동시에 관입하게 되면 타입장비가 회전할 때 2본 또는 3본의 케이 싱 파이프가 장착된 리더고 타입장비가 회전한 만큼 회전하게 되어 드레인 보드를 일정한 간격으로 균등하게 타입할 수 없다는 점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PBD 타입장비는 리더(leader)가 장비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도 리더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리더에 복수개의 케이싱이 구비되면 드레인 보드의 관입지점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킬 수 없다. 다시 말해서 2∼3 본이 동시에 리더에 장착된 장비로는 장비를 앞뒤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킨다 해도 도7과 같이 일직선 상에 균등하게 타입을 할 수 없다. 물론 현재와 같이 하나의 리더에 하나의 케이싱이 구비되면 타입장비를 앞뒤로 이동시켜 가면서 드레인 보드를 일렬로 균일하게 타입할 수 있다.
본 고안자는 PBD 공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드레인 보드를 동시에 타입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하여 PBD 공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본 고안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연약지반의 개량을 위한 종래의 PBD 공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PBD 타입장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PBD 공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드레인 보드를 동시에 타입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케이싱이 구비되는 PBD 타입장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의 PBD 타입장치는 리더(10)가 한 쌍의 실린더(30a, 30b)와 힌지 구조 조립수단(40)에 의하여 장비본체(100)에 조립되고, 리더에는 복수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를 따라 복수개의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동시에 관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케이싱이 구비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실린더(30a, 30b)는 힌지 구조 조립수단(4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열함으로써 한쪽의 실린더(30a 또는 30b)가 수축되면 다른 한쪽의 실린더(30b 또는 30a)는 이완되어 리더(10) 및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수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는 통상 2개 또는 3개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고안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제1도는 연약지반을 강화하기 위한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Plastic Board Drain : PBD) 공법에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타입하기 위한 짧은 심도용 타입장비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복수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타입하기 위한 복수개 케이싱이 구비된 타입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짧은 심도용 타입장비 뿐만 아니라 긴 심도용 타입장비에서 적용될 수 있다.
제2도는 PBD 타입장비의 일부를 구성하는 리더(leader)와 그 리더를 따라 케이싱(casing)이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종래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casing pipe guide)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2(가)도와 같이, 리더의 개략적인 평면도는 원형으로 설계될 수도 있고, 제2(나)도와 같이, 사각형으로 설계될 수도 있고, 제2(다)도와 같이, 삼각형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 리더(10)에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가 설치되고, 그 가이드를 따라 케이싱(도시되지 않음)이 상하로 왕복운동하면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지중에 타입한다.
종래의 단일 케이싱 구조로 이루어진 PBD 타입장비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에 드레인 보드(a~f)를 타입하는 형상을 제6도에 도시하였다. 단일의 케이싱을 구비한 종래의 장비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더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장비를 앞뒤로 이동하면서 a부터 f까지의 드레인 보드를 타입한다. 이처럼 단일 케이싱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PBD 타입장비는 드레인 보드(a∼f)를 하나씩 타입해야 하기 때문에 낮은 작업효율을 갖는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하나의 장비의 2본 또는 3본의 케이싱을 장착하여 2개 또는 3개의 드레인 보드를 동시에 타입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던 것이다. 2본 또는 3본의 케이싱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제3도와 같이 리더가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어야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더(10)와 그 리더에 조립된 복수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제3(가)도는 2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a, 20b)가 조립되고, 제3(나)도는 3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a, 20b, 20c)가 조립된 도면이다.
제3(가)도와 같이, 2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a, 20b)가 조립되어 2개의 드레인 보드를 동시에 타입하는 경우에는, 타입된 드레인 보드가 제7도와 같은 형상을 이루게 된다. 제7도는 종래의 PBD 타입장비에 2개의 케이싱을 구비하여 드레인 보드를 타입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리더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장비를 앞뒤로 이동하면서 a와 b, c와 d, e와 f의 드레인 보드를 동시에 타입한다.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PBD 타입장비에 2개의 케이싱을 구비하여 드레인 보드를 타입하면 드레인 보드가 일렬로 타입되지 않고 비스듬하게 타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a와 b 라인의 드레인 보드를 차례로 타입하고, 장비를 이동하여 c와 d 라인의 드레인 보드를 차례로 타입하고, 다시 장비를 이동하여 e와 f 라인의 드레인 보드를 동시에 타입하면 드레인 보드를 일렬로 균일하게 타입할 수 있지만, 이는 타입장비가 트랙구조의 주행구조이기 때문에 전후이동은 용이하나 좌우이동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장착된 복수개의 케이싱 수만큼의 드레인 보드를 타입하면서 일직선상으로 전후진 하면서 타입할 수 있지 만, 일단 한번 주행한 다음에 다시 반대방향으로 주행하기 위해서는 연약지반이기 때문에 주행시 트랙자리가 침하되는 등 지반이 불균질하게 되어 정지작업이 다시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별도의 정지작업 등을 감안하면 한 본씩 타입하는 것보다 오히려 작업속도가 더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본 고안에 따른 리더의 가이드를 변환하여 결국 케이싱의 위치를 변환시키고, 그럼으로써 드레인 보드를 일렬로 타입할 수 있도록 리더를 장비 본체에 한 쌍의 실린더(30a, 30b)와 힌지 구조 조립수단(40)에 의하여 조립하고, 리더에는 복수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를 설치한 타입장비이다.
제4도는 2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a, 20b)가 조립된 리더(10)가 한 쌍의 실린더(30a, 30b) 및 힌지) 구조 조립수단(40)에 의하여 백호(back hoe) 본체(100)에 조립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는 한 쌍의 실린더(30a, 30b)의 작동에 의하여 리더(100) 및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a, 20b)의 위치를 전환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으로, (가)도는 좌측의 실린더(30a)가 이완되고 우측의 실린더(30b)가 수축된 도면이고, (나)도는 좌측의 실린더(30a)가 수축되고 우측의 실린더(30b)가 이완된 도면이다.
상기 한 쌍의 실린더(30a, 30b)는 힌지 구조 조립수단(4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열함으로써 한쪽의 실린더(30a 또는 30b)가 수축되면 다른 한쪽의 실린더(30b 또는 30a)는 이완되어 리더(10) 및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실린더(30a, 30b)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며, 이 실 린더는 운전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다. 제4도와 제5도에는 실린더의 개략적인 도면만을 도시하였지만, 리더(10)의 각도가 전환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실린더(30a, 30b)를 리더와 장비본체(100) 사이에 설치하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리더(10)의 각도가 전환될 수 있도록 힌지 구조 조립수단(40)을 리더와 장비본체(100) 사이에 설치하는 것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리더의 위치 즉 각도를 전환하기 위하여 한 쌍의 실린더 대신에 하나의 실린더만을 이용할 수도 있고 실린더 대신 기어식 회전장치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으로부터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는 통상 2개 또는 3개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타입장비를 이용하면 장비를 일렬로 후진 이동하면서 복수 열의 복수개의 드레인 보드를 편리하게 타입할 수 있다.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2개의 케이싱이 구비된 PBD 타입장비를 이용하여 드레인 보드를 타입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입장비를 이용하여 드레인 보드를 타입하는 경우, 리더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장비를 앞뒤로 이동하면서 a와 b, c와 d, e와 f의 드레인 보드를 동시에 타입한다.
본 고안의 PBD 타입장비를 이용하면 2개 또는 3개의 드레인 보드를 동시에 타입하면서 종전의 장비처럼 좌우의 연약지반까지도 동시에 타입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제9도는 연약지반을 강화하기 위한 PBD 공법에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타입하기 위한 긴 심도용 타입장비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리더(10)에는 2본 또는 3본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가 설치되고, 리더는 위치의 각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그 상부에서 회전 구조 조립수단에 의하여 장비본체(100)에 조립되고, 그 하부에서는 볼 회전 구조 수단(50)과 한 쌍의 실린더(30)에 의하여 장비본체에 조립된다.
본 고안은 연약지반의 개량을 위한 종래의 PBD 공법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종래의 PBD 타입장비에 있어서 복수개의 드레인 보드를 동시에 타입 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케이싱이 구비되는 PBD 타입장비를 제공하는 고안의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4)

  1.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 타입장치에 있어서, 리더(10)가 한 쌍의 실린더(30a, 30b)와 힌지 구조 조립수단(40)에 의하여 장비본체(100)에 조립되고, 상기 리더에는 복수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를 따라 복수개의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타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케이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실린더(30a, 30b)는 힌지 구조 조립수단(4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고, 한쪽의 실린더(30a 또는 30b)가 수축되면 다른 한쪽의 실린더(30b 또는 30a)는 이완되어 리더(10) 및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20)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케이싱 파이프 가이드는 2개 또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입장치.
  4. 삭제
KR2020050026344U 2005-09-13 2005-09-13 복수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동신에 타입하기 위한복수개 케이싱이 구비된 타입장치 KR200408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344U KR200408007Y1 (ko) 2005-09-13 2005-09-13 복수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동신에 타입하기 위한복수개 케이싱이 구비된 타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344U KR200408007Y1 (ko) 2005-09-13 2005-09-13 복수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동신에 타입하기 위한복수개 케이싱이 구비된 타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007Y1 true KR200408007Y1 (ko) 2006-02-07

Family

ID=4448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344U KR200408007Y1 (ko) 2005-09-13 2005-09-13 복수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동신에 타입하기 위한복수개 케이싱이 구비된 타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0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0757B (zh) 大型渠道非过水坡面截渗除污系统
AU2019422012B2 (en) Bucket-wheel emergency dredging device
CN1778689A (zh) 河流水中生态系统恢复工法
CN106049390B (zh) 一种适用于河道治理工程的沉砂拦污一体化装置
CN208563255U (zh) 一种工程护坡
CN109779523B (zh) 一种用于建筑的钻杆螺旋复合钻机
KR200408007Y1 (ko) 복수개 플라스틱 드레인 보드를 동신에 타입하기 위한복수개 케이싱이 구비된 타입장치
CN104846774A (zh) 城市小流域河道快储缓释海绵堤岸结构
EP1447521A3 (en) Method of consolidation, impermeabilisation and drainage of underground works by guided perforations
CN207032191U (zh) 河道截污及支护结构
CN105833771A (zh) 砾石土心墙料掺配装置
CN213740391U (zh) 一种市政道路透水铺砌路面结构
CN212595083U (zh) 河道淤泥生态修复用搅拌斗
CN204051097U (zh) 一种槽坝式沉沙槽及采沙系统
KR101254005B1 (ko) 소형 굴절 굴착기를 이용한 집수정 개발 공법
CN105951913A (zh) 一种道路侧边污水沟自动化处理设备用除污装置
CN220685989U (zh) 一种灌溉渠的挡水板
CN207376760U (zh) 雨水收集及下渗的模块化渗井
CN219638886U (zh) 浅埋煤层矸石运输装置
CN105019490A (zh) 双挖斗挖掘机组成的挖掘系统
JP2004211533A (ja) 埋立用護岸及びその構築方法
JP6915800B2 (ja) 砕石構造体の構築方法及び砕石構造体
CN204940387U (zh) 双挖斗挖掘机
CN116219951B (zh) 一种滩涂养殖围垦堤坝结构
CN104225970B (zh) 一种槽坝式沉沙槽、采沙系统及采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