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338Y1 - 구두 안창 - Google Patents

구두 안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338Y1
KR200406338Y1 KR2020050025244U KR20050025244U KR200406338Y1 KR 200406338 Y1 KR200406338 Y1 KR 200406338Y1 KR 2020050025244 U KR2020050025244 U KR 2020050025244U KR 20050025244 U KR20050025244 U KR 20050025244U KR 200406338 Y1 KR200406338 Y1 KR 200406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arch
heel
support
shoe i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옥
Original Assignee
이동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옥 filed Critical 이동옥
Priority to KR2020050025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3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3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lateral arch, i.e. the cuboid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바닥의 아치와 뒤꿈치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한편,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 완화되게 하여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이 고르게 분산되게 함으로써, 직립관절의 각 연결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게 하여서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고, 구두 안창으로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여 사용자가 구두를 편리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구두 안창에 관한 것이다.
구두 안창, 아치받침부, 아치보정절개부, 받침쿠션, 뒤꿈치쿠션

Description

구두 안창{IN SOLE}
도 1a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a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아치받침시트의 다른 실시예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본체 110 ... 커버시트
110a ... 앞꿈치부 110b ... 아치받침부
110c ... 뒤꿈치홈 111 ... 통기구멍
112,112a ... 바이오세라믹도트
120 ... 아치받침시트 120a ... 쿠션여유부
121 ... 받침곡면부 121a ... 아치보정절개부
122 ... 쿠션홀더 123 ... 쿠션홀
130 ... 뒤꿈치쿠션 140 ... 받침쿠션
141 ... 아치보조쿠션
본 고안은 구두 안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바닥의 아치와 뒤꿈치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한편,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 완화되게 하여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이 고르게 분산되게 함으로써, 직립관절의 각 연결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게 하여서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고, 구두 안창으로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여 사용자가 구두를 편리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구두 안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은 서 있거나, 걷거나, 달릴 때 대부분의 체중을 받쳐주는 한편, 지면의 충격을 받게 되는데, 발은 지렛대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충격흡수능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서있는 자세, 걷는 자세가 좋지 못하면 발뒤축이 틀어질 수 있고, 이와 연결되어 있는 다리부위도 틀어져, 상부의 모든 직립관절(발목, 무릎, 골반, 요추, 흉추, 경추)에 영향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구두 안창은 대부분이 평평하게 되어 있는데, 발바닥 가운데 부분인 아치를 제외한 앞꿈치와 발가락, 뒤꿈치가 구두 안창의 상부면에 닿게 되어, 구두를 신었을 때, 구두 뒷굽에 의해 발이 전체적으로 구두 앞쪽으로 쏠리게 되어 오랫동안 걸으면 혈액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피로가 쉽게 오는 동시에 통증이 발생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발바닥의 아치와 뒤꿈치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한편,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 완화되게 하여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이 고르게 분산되게 함으로써, 직립관절의 각 연결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게 하여서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고, 구두 안창으로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여 사용자가 구두를 편리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구두 안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얇은 판체로, 앞쪽에 발의 아치를 받쳐줄 수 있게 하는 받침곡면부가 형성되고, 뒤쪽에 원형의 쿠션홀더가 형성되는 한편, 이 쿠션홀더의 중앙에 쿠션홀이 형성되는 아치받침시트를, 얇은 판체로, 발바닥의 모양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앞꿈치부에 다수개의 통기구멍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바이오세라믹도트가 형성되는 커버시트의 바닥면에 중첩되게 하되, 상기 쿠션홀더에 뒤꿈치쿠션이 설치되게 하여 이 뒤꿈치쿠션의 가운데 부분이 쿠션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 되게 하고, 상기 받침곡면부의 상부면 에 중첩되는 커버시트에 아치받침부가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상기 아치받침시트의 받침곡면부 일 측변에 다수개의 아치보정절개부가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상기 아치보정절개부의 상부면과 커버시트의 사이에는 아치보조쿠션이 개재되어 중첩되게 하고, 저면을 이루는 면에는 아치쿠션이 설치되게 하여서 되는 구두 안창을 제공함에 있다.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a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구두 안창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구두 안창 본체(100)는 천연 피혁 또는 인조 피혁으로 되는 커버시트(110), 수지로 되는 아치받침시트(120), 쿠션재로 되는 뒤꿈치쿠션(130) 및 받침쿠션(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시트(110)는 얇은 판체로 형성되는 한편, 발바닥의 모양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발의 발가락과 앞꿈치가 닿는 부위인 앞꿈치부(110a)에 다수개의 통기구멍(111)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그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바이오세라믹도트(112)가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 커버시트(110)는 도 1b 도시와 같이 통기구멍(111)을 대신하여 바이오세라믹도트(112a)가 형성될 수 도 있다.
상기 아치받침시트(120)는 커버시트(110)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게 하되, 상기 앞꿈치부(110a)가 제외된 나머지 부분이 동일한 형상이 되게 형성되는 한편, 얇은 판체로 형성되고, 앞쪽에 발의 아치를 받쳐줄 수 있게 하는 받침곡면부(121)가 형성되며, 뒤쪽에 타원형의 쿠션홀더(122)가 형성되는 한편, 이 쿠션홀더(122)의 중앙에 쿠션홀(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앞쪽의 가운데에는 쿠션여유부(120a)가 사각을 이루면서 절개되어 형성되며, 이 쿠션여유부(120a)의 주변에는 하부로 볼록하게 되는 한편, 쿠션이 우수한 재질로 되는 받침쿠션(140)이 결합된다.
상기 받침곡면부(121)의 일 측에는 다수개의 아치보정절개부(121a)가 형성되는데, 발의 폭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게 하여 사용자의 발 모양(아치 모양)에 따 라 발의 길이방향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아치를 편안하게 받쳐주게 한다.
상기 뒤꿈치쿠션(130)은 쿠션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쿠션홀더(122)에 설치되는데, 이 뒤꿈치쿠션(130)의 가운데 부분이 쿠션홀(123)을 통해 외부로 돔형상을 이루면서 돌출 된다.
그리고 상기 아치보정절개부(121a)와 커버시트(110)의 사이에는 아치보조쿠션(141)이 개재되어 중첩되는데, 이 아치보조쿠션(141) 역시 상기 뒤꿈치쿠션(13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 커버시트(110)는 도 4 및 도 5 도시와 같이 아치받침시트(120)와 동일한 모양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는데, 쿠션홀더(122)에 뒤꿈치쿠션(130)이 설치되게 하되, 쿠션홀(123)을 통해 돔형상을 이루면서 외부로 돌출 되게 하여 구두 안창이 설치된 구두에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 3 도시와 같이 커버시트(110)의 저면에 아치받침시트(120)가 중첩되는데, 이 아치받침시트(120)의 받침곡면부(121)에 의해 커버시트(110)에 아치받침부(110b)가 형성되고, 상기 아치받침부(110b)의 앞쪽에는 통기구멍(111)을 갖는 앞꿈치부(110a)가, 뒤쪽에는 뒤꿈치홈(110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뒤꿈치홈(110c)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아치받침시트(120)의 쿠션홀더(122)에는 뒤꿈치쿠션(130)이 설치되게 하되, 쿠션홀(123)을 통해 돔 형상을 이루면서 외부에 돌출 되게 하고, 쿠션여유부(120a)의 저면에는 받침쿠션(140)이 설치되게 하는 한편, 이 아치보정절개부(121a)와 상기 커버시트(110)가 중첩되는 부위에는 아치보조쿠션(141)이 개재되게 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아치받침시트(120)의 앞쪽에 형성되는 쿠션여유부(120a)에는 받침쿠션(140)이 결합되게 하여서 된다.
상기에 있어, 본 고안은 구두에 안창으로 설치된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구두를 신을 때 별도로 발에 맞추지 않아도 되는데, 사용자가 구두를 신게 되면, 아치받침부(110b)가 사용자의 아치를 편안하게 받쳐주게 되는 한편, 뒤꿈치홈(110c)에 사용자의 뒤꿈치를 편안하게 받쳐주게 되고, 뒤꿈치홈(110c)의 뒤꿈치쿠션(130)에 의해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 완화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아치받침시트(120)에 아치보정절개부(121a)가 폭의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 모양(아치 모양)에 따라 발의 길이방향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아치를 보다 편안하게 받쳐주게 되는 한편, 내측에 설치되는 아치보조쿠션(141)이 보다 안락하게 아치를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아치받침시트(120)의 앞쪽에 형성된 쿠션여유홈(120a)에 의해 받침곡면부(121)가 하중에 의해 변형되었다가 복원될 때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마주보게 되는 면이 안쪽을 향해 오므려지거나 또는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게 되고, 그 주변에 설치되는 받침쿠션(140)에 의해 받침곡면부(121)가 심하게 처지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한편, 편안하게 받쳐주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발바닥 가운데의 아치가 아치받침부(110b)에 의해 받쳐지게 되는 한편, 발뒤꿈치가 뒤꿈치홈(110c)에 삽입된 상태로 편안하게 고정되어, 발이 앞쪽으로 쏠리게 되는 것이 방지되고, 받침쿠션(140) 및 뒤꿈치쿠션(130)에 의해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 완화되어 피로를 느끼지 않게 되는 동시에 통증의 예방 및 완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아치받침부에 의해 발바닥의 아치가, 뒤꿈치홈에 의해 발뒤꿈치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한편, 뒤꿈치쿠션에 의해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 완화되게 하여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이 고르게 분산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며, 아치받침시트에 아치보정절개부 및 쿠션여유홈을 형성하여 발 모양이 다양한 사용자들의 발을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얇은 판체로, 앞쪽에 발의 아치를 받쳐줄 수 있게 하는 받침곡면부(121)가 형성되고, 뒤쪽에 원형의 쿠션홀더(122)가 형성되는 한편, 이 쿠션홀더(122)의 중앙에 쿠션홀(123)이 형성되는 아치받침시트(120)를, 발바닥의 모양을 이루면서 얇은 판체로 형성되고, 앞꿈치부(110a)에 다수개의 통기구멍(111)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바이오세라믹도트(112)가 형성되는 커버시트(110)의 바닥면에 중첩되게 하되, 상기 쿠션홀더(122)에 뒤꿈치쿠션(130)이 설치되게 하여 이 뒤꿈치쿠션(130)의 가운데 부분이 쿠션홀(123)을 통해 외부로 돌출 되게 하고, 상기 받침곡면부(121)의 상부면 에 중첩되는 커버시트(110)에 아치받침부(110b)가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구두 안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받침시트(120)의 받침곡면부(121) 일 측에 다수개의 아치보정절개부(121a)가 형성되게 하고, 앞쪽의 가운데에 쿠션여유부(120a)가 형성되게 하여서 되는 구두 안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보정절개부(121a)의 상부면과 커버시트(110)의 사이에는 아치보조쿠션(141)이 개재되어 중첩되게 하고, 상기 쿠션여유부(120a)의 외부면에 받침쿠션(140)이 설치되게 하여서 되는 구두 안창.
KR2020050025244U 2005-09-01 2005-09-01 구두 안창 KR200406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244U KR200406338Y1 (ko) 2005-09-01 2005-09-01 구두 안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244U KR200406338Y1 (ko) 2005-09-01 2005-09-01 구두 안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338Y1 true KR200406338Y1 (ko) 2006-01-20

Family

ID=4175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244U KR200406338Y1 (ko) 2005-09-01 2005-09-01 구두 안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33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030B1 (ko) 2006-01-05 2008-07-04 장호기 아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신발 안창 및 그 제조방법
KR100960562B1 (ko) * 2009-09-24 2010-06-03 김민영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KR101015822B1 (ko) * 2008-06-16 2011-02-23 (주)핼릭스케어 발 균형용 인솔
KR102602626B1 (ko) * 2023-03-09 2023-11-15 주식회사 푸른청년 기능성 신발깔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030B1 (ko) 2006-01-05 2008-07-04 장호기 아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신발 안창 및 그 제조방법
KR101015822B1 (ko) * 2008-06-16 2011-02-23 (주)핼릭스케어 발 균형용 인솔
KR100960562B1 (ko) * 2009-09-24 2010-06-03 김민영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KR102602626B1 (ko) * 2023-03-09 2023-11-15 주식회사 푸른청년 기능성 신발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0784B2 (en) Shoe insole
US7721467B2 (en) Shoe insole with improved support and motion control
JP5138682B2 (ja) 人間の足構造と歩行とに適したエルゴノミックな靴底
JPH0431682B2 (ko)
EP0755203A1 (en) Insole
US20210227925A1 (en) Shoes including arch pad
TW201715979A (zh) 具有緩衝墊與波狀支撐件之拖鞋及其製造方法
KR200406338Y1 (ko) 구두 안창
US20220225732A1 (en) Shoe insole
US20200163407A1 (en) Functional shoe having spaced front and rear outsoles
JP2008029611A (ja) 矯正中敷きと該矯正中敷きを用いた矯正靴
KR200461631Y1 (ko) 아치부위체형 맞춤 선택형 충격흡수분산기능성 보형물을 갖는 신발
KR20140113016A (ko)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KR20040061744A (ko) 평발 보조용 깔창
KR200384323Y1 (ko) 발 교정용 신발깔창
KR200384325Y1 (ko) 발 교정용 신발깔창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200384224Y1 (ko) 발 교정용 신발깔창
KR20160050595A (ko) 신발깔창
TWI807551B (zh) 鞋墊結構
KR102669068B1 (ko)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
EP4183290A1 (en) Smart insole having suspension function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foot arch height and body weight and balancing feet, and natural treatment shoe for correcting body shape and relieving joint pain by using same
KR20160002087U (ko) 신발깔창
KR20230171661A (ko) 신발용 키높이 인솔
KR200308158Y1 (ko) 평발 보조용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