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626B1 - 기능성 신발깔창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626B1
KR102602626B1 KR1020230030944A KR20230030944A KR102602626B1 KR 102602626 B1 KR102602626 B1 KR 102602626B1 KR 1020230030944 A KR1020230030944 A KR 1020230030944A KR 20230030944 A KR20230030944 A KR 20230030944A KR 102602626 B1 KR102602626 B1 KR 102602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ch
cushion
use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626B9 (ko
Inventor
박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른청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른청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른청년
Priority to KR1020230030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626B1/ko
Publication of KR10260262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62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기능성 신발깔창이 개시된다. 개선된 기능성 신발깔창은, 발을 지지하는 바디부 및 바디부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바디부를 지지하는 지지가이더를 포함하고, 지지가이더는, 사용자의 뒤꿈치를 지지하는 지지영역에 위치하여 뒤꿈치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사용자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영역에 위치하여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를 포함하며, 아치부는 지지부에서 가장 이격된 제1 점과 지지부와 가장 인접한 제2 점이 이어진 제1 폭이 제1 폭과 수직한 제2 폭보다 큰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제1 폭의 제1 연장선은 지지부의 제1 중심점을 지나가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깔창{FUNCTIONAL SHOE INSOLE}
본 개시는 사용자의 보행 안정성과 지지 안정성이 개선된 기능성 신발깔창에 관한 것이다.
신발깔창은 신발 내부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보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의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의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성 신발깔창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신발깔창의 보행 안정성과 지지 안정성이 개선된 기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능성 신발깔창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충격으로 인한 사용자의 발에 피로감을 완화하는 기능에 대해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에는 사용자가 서있거나 보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발과 맞닿는 신발깔창의 영역뿐만 아니라 깔창과 이격된 사람의 중족부의 아치영역에 대한 기능성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의 보행 안정성과 지지 안정성이 개선된 기능성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발을 지지하는 바디부 및 바디부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바디부를 지지하는 지지가이더를 포함하고, 지지가이더는, 사용자의 뒤꿈치를 지지하는 지지영역에 위치하여 뒤꿈치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사용자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영역에 위치하여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를 포함하며, 아치부는 지지부에서 가장 이격된 제1 점과 지지부와 가장 인접한 제2 점이 이어진 제1 폭이 제1 폭과 수직한 제2 폭보다 큰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제1 폭의 제1 연장선은 지지부의 제1 중심점을 지나가도록 배치되는 기능성 신발깔창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아치부는, 상기 제1 폭의 가운데를 지나가는 상기 제2 폭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폭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 폭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영역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아치부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아치쿠션, 상기 지지가이더로부터 돌출 배치되어 상기 아치쿠션을 지지하는 아치지지돌기 및 상기 아치지지돌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지지가이더에 형성된 아치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중심점을 지나가는 상하의 제1 방향으로의 제1 길이가 상기 제1 중심점을 지나가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제2 길이보다 큰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사용자의 발가락과 발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족부, 사용자의 뒤꿈치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가 위치하는 후족부 및 상기 전족부와 상기 후족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아치부 및 상기 아치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된 중족지지부가 위치하는 중족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가이더는, 상기 중족부의 상기 아치부와 상기 중족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아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중심공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사용자의 뒤꿈치를 지지하는 지지쿠션 및 상기 지지쿠션이 배치하도록 상기 지지가이더에 형성된 지지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쿠션은 상기 중심공간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지지쿠션이 위치하지 않는 제거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쿠션은 상기 제거영역에 인접한 가장자리와 접하는 제2 연장선이 상기 아치부의 제2 중심점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쿠션은 상기 아치쿠션보다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전족부와 상기 중족부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라인을 따라 형성된 연결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가이더는 상기 연결돌기부가 삽입되는 연결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돌기부는 상기 전족부로부터 상기 중족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형성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가이더는 상기 지지연결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강성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족부 및 상기 중족부를 지지하는 전면쿠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쿠션부는 상기 전족부의 폭 방향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중족부에 위치하는 후방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깔창을 나타낸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깔창을 나타낸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깔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깔창을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낸 하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깔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깔창(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깔창(1)을 나타낸 상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깔창(1)을 나타낸 하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깔창(1)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깔창(1)을 나타낸 하면도이며,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낸 하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깔창(1)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기능성 신발깔창(1)은 사용자가 서있을 경우 사용자의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압력과 충격을 완화하여 사용자의 보행 및 지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성 신발깔창(1)은 사용자의 발과 접촉하여 사용자를 지지하는 바디부(10), 바디부(10)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바디부(10)를 지지하는 지지가이더(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며, 신발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신발의 밑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는 사용자의 발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바디부(10)는 합성섬유, 고분자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0)는 폴리우레탄, EVA, 폴리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바디부(10)는 전족부(F1), 중족부(F2)가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전족부(F1) 및 중족부(F2)를 지지하는 전면쿠션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기능성 신발깔창(1)은 사용자의 발과 직접 접촉하도록 바디부(10)를 커버하는 커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커버부(미도시)는 부드러운 직물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미도시)는 전면쿠션부(11)를 비롯한 바디부(10)를 전체적으로 커버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이 부드러운 소재의 커버부(미도시)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전족부(F1)는 사용자의 발의 발가락 및 발의 전면부를 지지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후족부(F3)는 사용자의 발의 뒤꿈치 및 발의 후면부를 지지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중족부(F2)는 전족부(F1)와 후족부(F3)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중족지지부(E3), 아치부(21)를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바디부(10)는, 사용자의 발가락과 발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족부(F1), 사용자의 뒤꿈치를 지지하고 지지부(22)가 위치하는 후족부(F3) 및 전족부(F1)와 후족부(F3) 사이에 위치하며, 아치부(21) 및 아치부(21)와 대향되도록 배치된 중족지지부(E3)가 위치하는 중족부(F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쿠션부(11)는 사용자가 서있거나 보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발에서 가장 많은 압력이 발생하는 전족부(F1)와 중족부(F2)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쿠션을 통해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전면쿠션부(11)는 전족부(F1)의 폭 방향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중족부(F2)에 위치하는 후방돌출부(11a)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돌출부(11a)는 전족부(F1)로부터 중족부(F2)로 갈수록 모이는 족저근에 대해 집중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엄지부분에 위치하는 근육에 하중을 집중하며 후술하는 아치부(21), 지지부(22)를 통해 이어지는 지지구조를 통해 압력과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엄지부분에 위치하는 근육이 나머지 발가락에 위치하는 근육보다 크게 구성되며 내구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엄지부분에 하중을 집중하여 나머지 발가락에 위치하는 근육을 저감함과 동시에 아치부(21), 지지부(22)를 통해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의 보행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바디부(10)의 후면에는 전족부(F1)와 중족부(F2)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라인(12)이 위치하여 지지가이더(20)와의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연결라인(12)은 바디부(10)의 후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바디부(10)의 연결라인(12)은 연결라인(12)을 따라 형성된 연결돌기부(12a)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돌기부(12a)는 지지가이더(20)의 상부를 따라 형성된 연결삽입부(24)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삽입부(24)는 연결돌기부(12a) 및 연결돌기부(12a)가 포함하는 이탈방지부(12aa)를 수용하기 위한 상보적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돌기부(12a)는 바디부(10)와 지지가이더(20)의 연결을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발의 하중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영역인 전족부(F1)와 중족부(F2)가 접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지지가이더(20)가 바디부(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돌기부(12a)는 전족부(F1)로부터 중족부(F2)가 위치한 방향으로 형성된 이탈방지부(12a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방지부(12aa)는 기 설정된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보행에 따라 바디부(10) 및 지지가이더(20)의 후족부(F3)가 들리게 되며, 바디부(10) 및 지지가이더(20)는 후족부(F3)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탈하는 힘이 발생하게 되나, 이탈방지부(12aa)는 전족부(F1)로부터 중족부(F2)가 위치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이탈하는 힘에 대한 물리적인 간섭으로 인해 바디부(10)로부터 지지가이더(20)가 이격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연결돌기부(12a) 및 이탈방지부(12aa)가 사용자의 발에 가장 많은 하중이 걸리는 연결라인(12)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힘으로 이러한 이탈력을 물리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지지가이더(20)는 사용자의 뒤꿈치를 지지하는 지지영역(D1)에 위치하여 뒤꿈치를 지지하는 지지부(22) 및 사용자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영역(E1)에 위치하여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지가이더(20)는 사용자의 발의 뒤꿈치가 위치하는 지지영역(D1)을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발의 아치영역(E1)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가이더(20)는 플라스틱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가이더(20)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아치부(21)는 중족부(F2) 중 사용자의 발의 내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방향이란 사용자의 양발이 마주보는 인접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지면에 서 있는 경우, 중족부(F2) 중 사용자의 발이 지면에 닿지 않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중족부(F2)는 사용자의 발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며 지면에 닿는 중족지지부(E3)와 사용자의 발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며 지면이 닿지 않는 아치영역(E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치부(21)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아치쿠션(21a), 지지가이더(20)로부터 돌출 배치되어 아치쿠션(21a)을 지지하는 아치지지돌기(21b) 및 아치지지돌기(21b)가 통과하도록 지지가이더(20)에 형성된 아치연결구(21c)를 포함할 수 있다.
아치쿠션(21a)은 사용자 발의 아치영역(E1)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여 사용자의 아치영역(E1)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키고 긴장을 완화할 수 있다.
아치쿠션(21a)은 사용자의 발과 접촉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치쿠션(21a)은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치쿠션(21a)은 열경화성 고무, 천연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
아치지지돌기(21b)는 아치쿠션(21a)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아치쿠션(21a)과 조립될 수 있다. 아치지지돌기(21b)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아치쿠션(21a)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아치쿠션(21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면 다양할 수 있다.
아치지지돌기(21b)는 지지가이더(2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아치지지돌기(21b)는 가장자리가 지지가이더(20)와 간섭되며 일부는 지지가이더(20)에 형성된 아치연결구(21c)를 통과하여 지지가이더(20) 상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치쿠션(21a)은 지지가이더(20) 및 아치지지돌기(21b)와 접촉하여 상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아치연결구(21c)는 지지가이더(20)에 형성되어 아치지지돌기(21b)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다. 아치연결구(21c)의 형상은 아치지지돌기(21b)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지지부(22)는 사용자의 뒤꿈치를 지지하는 지지쿠션(22a) 및 지지쿠션(22a)이 배치하도록 지지가이더(20)에 형성된 지지연결구(22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쿠션(22a)은 사용자의 발 뒤꿈치가 위치하는 지지영역(D1)을 지지하여 사용자의 지지영역(D1)에서 발생하는 압력과 분산을 분산시킬 수 있다.
지지쿠션(22a)은 사용자의 발과 접촉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쿠션(22a)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2)와 지지쿠션(22a)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
지지연결구(22b)는 지지가이더(20)에 형성되어 지지쿠션(22a)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연결구(22b)는 지지쿠션(22a)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가이더(20)는 지지연결구(22b)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지지부(22)를 지지하는 강성지지부(23)(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가이더(20)는 지지가이더(20)의 하면에 돌출 배치되어 신발에 대해 지지부(22)를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성지지부(23)(22)는 지지쿠션(22a)과 함께 지지부(22)에 가해지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지지쿠션(22a)에 필요 이상의 외형에 변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쿠션(22a)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강성지지부(23)(22)는 신발의 내부와 간섭되어 기능성 신발깔창(1)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지지가이더(20)는, 중족부(F2)의 아치부(21)와 중족지지부(E3) 사이에 위치하며, 아치부(2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중심공간부(E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심공간부(E2)는 아치부(21)와 중족지지부(E3) 사이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발의 전체 영역에 대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발의 전면이 접촉되는 것이 아닌 일부 이격된 영역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발에 효과적인 하중 분산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보행의 안정성을 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아치부(21), 아치쿠션(21a), 지지부(22), 지지쿠션(22a)의 구체적인 구조와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은 지지부(22)에서 가장 이격된 제1 점(A1)과 지지부(22)와 가장 인접한 제2 점(A2)이 이어진 제1 폭(w1)이 제1 폭(w1)과 수직한 제2 폭(w2)보다 큰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점(A1)은 아치부(2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지지부(22) 및 지지쿠션(22a)과 가장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점(A2)은 아치부(2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지지부(22) 및 지지쿠션(22a)과 가장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점(A1)과 제2 점(A2)을 연결하는 제1 폭(w1)은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을 상하로 가로지르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폭(w2)은 제1 폭(w1)과 수직할 수 있으며,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은 단면이 타원과 유사한 형상의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은 단면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은 제1 폭(w1)의 제1 연장선(L1)은 지지부(22)의 제1 중심점(P1)을 지나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중심점(P1)은 지지부(22) 및 지지쿠션(22a)의 단면에서 중심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은 지지부(22) 및 지지쿠션(22a)의 중심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발의 아치영역(E1)이 아치부(21)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아치부(21)에 가해지는 압력과 충력의 분산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치부(21), 아치쿠션(21a)이 지지부(22) 및 지지쿠션(22a)의 중심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되며, 제1 폭(w1)의 제1 연장선(L1)은 지지부(22)의 제1 중심점(P1)을 지나가도록 배치됨으로써, 아치부(21), 아치쿠션(21a)이 배치된 형태와 대응되는 위치의 근육에 대한 긴장을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치부(21), 아치쿠션(21a)은 배치된 형태에 의해 인체의 발의 족저근(Plantar muscle), 엄지벌림근(Abductor Hallucis), 발바닥네모근(Quadratus Plantae) 등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여 족저근막염과 같은 염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아치부(21), 아치쿠션(21a)이 배치된 형태는 인체의 발의 족저근(Plantar muscle), 엄지벌림근(Abductor Hallucis), 발바닥네모근(Quadratus Plantae)과 대응되는 위치이며, 대응되는 위치에 대한 근육의 긴장을 완화할 수 있다.
한편,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의 제1 폭(w1)의 제1 연장선(L1)은 지지부(22)의 제1 중심점(P1)을 지나가지 않도록 배치되는 경우, 인체의 발의 근육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족저근에 대한 긴장 완화의 효율이 떨어짐과 동시에 사용자의 아치영역(E1)에 대한 필요 이상의 접촉으로 사용자의 보행에 따라 족저근에 불필요한 긴장을 발생시켜 부상의 위험이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은 제1 폭(w1)의 가운데를 지나가는 제2 폭(w2)을 기준으로 제2 폭(w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영역(S2)의 면적은 제2 폭(w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영역(S1)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아울러,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은 제1 점(A1)으로부터 제2 점(A2)으로 갈수록 제2 폭(w2)이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은 지지부(22)에 인접함에 따라 사용자의 아치영역(E1)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크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발의 아치영역(E1)이 발의 뒤꿈치인 지지영역(D1)으로 갈수록 지면에 가까워지며 가해지는 압력과 충격이 더 커지므로,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은 지지부(22)와 인접할수록 면적이 더 커지도록 형성되어 지지부(22)에 인접한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에 대한 압력과 충격을 더욱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지지부(22) 및 지지쿠션(22a)은 제1 중심점(P1)을 지나가는 상하의 제1 방향으로의 제1 길이가 제1 중심점(P1)을 지나가고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제2 길이보다 큰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공간부(E2)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지지쿠션(22a)이 위치하지 않는 제거영역(D2)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지지쿠션(22a)은 제거영역(D2)에 인접한 가장자리와 접하는 제2 연장선(L2)이 아치부(21)의 제2 중심점(P2)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22) 및 지지쿠션(22a)은 제거영역(D2) 및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과 정렬되는 형상을 통해 제거영역(D2)에 사용자의 발이 접촉되는 것을 저감시켜 지지부(22) 및 지지부(22)와 정렬된 아치부(21)에 대한 하중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전술한 아치부(21) 및 아치쿠션(21a)을 배치 및 형상을 통해 집중된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중심공간부(E2) 및 제거영역(D2)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족저근은 엄지 및 아치영역(E1)으로 이어지는 족저근에 비해 소근육으로서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중심공간부(E2) 및 제거영역(D2)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족저근에 대한 접촉을 최소화하며, 비교적 내구성이 큰 엄지 및 아치영역(E1)으로 이어지는 족저근에 대한 하중을 집중 및 집중적인 하중에 대한 분산을 통해 사용자 발에 가해지는 압력 및 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사용자의 지지 및 보행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할 때, 지지쿠션(22a)은 아치쿠션(21a)보다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서있을 때나 보행할 경우, 지지쿠션(22a)이 먼저 사용자의 발과 접촉하고, 이후 추가적인 하중이 가해질 경우, 아치쿠션(21a)이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발에 접촉함으로써, 더 넓은 면적에 대응하는 지지부(22)를 통해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순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기능성 신발깔창 10: 바디부
11: 전면쿠션부 12: 연결라인
20: 지지가이더 21: 아치부
22: 지지부 23: 강성지지부

Claims (11)

  1. 발을 지지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지지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가이더는,
    사용자의 뒤꿈치를 지지하는 지지영역에 위치하여 뒤꿈치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사용자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영역에 위치하여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치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가장 이격된 제1 점과 상기 지지부와 가장 인접한 제2 점이 이어진 제1 폭이 상기 제1 폭과 수직한 제2 폭보다 큰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폭의 제1 연장선은 상기 지지부의 제1 중심점을 지나가도록 배치되고,
    상기 아치부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아치쿠션;
    상기 지지가이더로부터 돌출 배치되어 상기 아치쿠션을 지지하는 아치지지돌기; 및
    상기 아치지지돌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지지가이더에 형성된 아치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사용자의 뒤꿈치를 지지하는 지지쿠션; 및
    상기 지지쿠션이 배치하도록 상기 지지가이더에 형성된 지지연결구;를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깔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는,
    상기 제1 폭의 가운데를 지나가는 상기 제2 폭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폭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 폭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영역의 면적보다 큰 기능성 신발깔창.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중심점을 지나가는 상하의 제1 방향으로의 제1 길이가 상기 제1 중심점을 지나가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제2 길이보다 큰 원형으로 형성된 기능성 신발깔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사용자의 발가락과 발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족부;
    사용자의 뒤꿈치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가 위치하는 후족부; 및
    상기 전족부와 상기 후족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아치부 및 상기 아치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된 중족지지부가 위치하는 중족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가이더는,
    상기 중족부의 상기 아치부와 상기 중족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아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중심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깔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쿠션은 상기 중심공간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지지쿠션이 위치하지 않는 제거영역을 가지는 기능성 신발깔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쿠션은 상기 제거영역에 인접한 가장자리와 접하는 제2 연장선이 상기 아치부의 제2 중심점을 지나도록 형성된 기능성 신발깔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쿠션은 상기 아치쿠션보다 돌출 배치된 기능성 신발깔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전족부와 상기 중족부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라인을 따라 형성된 연결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가이더는 상기 연결돌기부가 삽입되는 연결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돌기부는 상기 전족부로부터 상기 중족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형성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깔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가이더는 상기 지지연결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강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깔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족부 및 상기 중족부를 지지하는 전면쿠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쿠션부는 상기 전족부의 폭 방향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중족부에 위치하는 후방돌출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신발깔창.
KR1020230030944A 2023-03-09 2023-03-09 기능성 신발깔창 KR102602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0944A KR102602626B1 (ko) 2023-03-09 2023-03-09 기능성 신발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0944A KR102602626B1 (ko) 2023-03-09 2023-03-09 기능성 신발깔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626B1 true KR102602626B1 (ko) 2023-11-15
KR102602626B9 KR102602626B9 (ko) 2024-02-16

Family

ID=8874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944A KR102602626B1 (ko) 2023-03-09 2023-03-09 기능성 신발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6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338Y1 (ko) * 2005-09-01 2006-01-20 이동옥 구두 안창
KR20090130480A (ko) * 2008-06-16 2009-12-24 (주)핼릭스케어 발 균형용 인솔
KR20140130554A (ko) * 2007-08-24 2014-11-10 오소솔 리미티드 착탈가능한 지지 부재를 갖는 발 교정 기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338Y1 (ko) * 2005-09-01 2006-01-20 이동옥 구두 안창
KR20140130554A (ko) * 2007-08-24 2014-11-10 오소솔 리미티드 착탈가능한 지지 부재를 갖는 발 교정 기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90130480A (ko) * 2008-06-16 2009-12-24 (주)핼릭스케어 발 균형용 인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626B9 (ko)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892B2 (en) Sole structure for shoes and shoe with the sole structure
US10561198B2 (en) Footwear including lightweight sole structure providing enhanced comfort, flexibility and performance features
US8365440B2 (en) Supporting plate apparatus for shoes
US20170325543A1 (en) Sole structure for shoes and shoe with the sole structure
US11553755B2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US90036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oning footwear
EP2205115B1 (en) Footwear with a foot stabilizer
US7082704B2 (en) Insole, and footwear system incorporating same
CN107028275B (zh) 用于鞋类物品的包括中心支撑结构的鞋底组件
EP3185711B1 (en) Article with sole structure having multiple components
US20110252665A1 (en) Soft and elastic shoe pad
CN102415643A (zh) 带有突起的鞋底和鞋类物品
US20050091881A1 (en) Sole for increased circulation
US20110314694A1 (en) Sandal toe post and strap system
WO2011013940A2 (ko) 발바닥 압력 분산을 위한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 이를 가진 중창 및 구두
WO2021210045A1 (ja) ソール及び履物
EP0619084A1 (en) Athletic shoe sole assembly with flexible arches
KR102602626B1 (ko) 기능성 신발깔창
WO2020136914A1 (ja)
KR20130056814A (ko) 기능성 신발물품
KR20070094530A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류
JP2004313774A (ja) インソール構造体
KR102669068B1 (ko)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
JP7470841B1 (ja) ソ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靴
US20240215680A1 (en) Shoe sole and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