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238Y1 -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 Google Patents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238Y1
KR200406238Y1 KR2020050030112U KR20050030112U KR200406238Y1 KR 200406238 Y1 KR200406238 Y1 KR 200406238Y1 KR 2020050030112 U KR2020050030112 U KR 2020050030112U KR 20050030112 U KR20050030112 U KR 20050030112U KR 200406238 Y1 KR200406238 Y1 KR 200406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demodulation
sound signal
ster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윤상
이길영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엔티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엔티
Priority to KR2020050030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2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본 고안은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스테레오/모노 환경에서의 소리 재생을 모두 지원하며, 내부에 장착되는 스피커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탈착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최적하게 맞는 모드 환경하에서의 소리 재생이 가능한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실제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연결하는 스테레오 지원용 와이어를 탈착형으로 구현함으로써 모노 모드에서 재생되는 음성 신호에 대한 방해음 성분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의도에 최적하게 맞는 모드 환경하에서의 소리 신호 재생을 지원하는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을 제공할 수 있다.
블루투스, 헤드셋, 듀얼, 와이어, 탈착

Description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WIRE REMOVABLE TYPE DUAL MODE BLUETOOTH STEREO HEADSE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에 대한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110 : 수신부
120 : 복조부 130 : 출력부
135 : 스피커 140 : 스위칭부
본 고안은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스테레오/모노 환경에서의 소리 재생을 모두 지원하며, 내부에 장착되는 스피커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탈착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최적하게 맞는 모드 환경하에서의 소리 재생이 가능한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은 근거리에 놓여 있는 다수개의 통신기기를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시키고, 기기 간을 연결하는 복잡한 전선 없이도 양방향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방법의 일종이다. 이는 가정 또는 사무실 내에서 통신기기 간에 신호 전송이 필요한 경우, 원거리의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통신기기 간 직접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기지국에 통신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통신 방법을 일컫는다.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서는, 대기 시간이 없는 고속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근래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전화 단말기를 연결하는 헤드셋이 등장하였고,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헤드셋에 의해서는 사용자가 일부러 전화 단말기를 들고 다니지 않더라도, 전화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전화 통화 서비스, 음악 재생 서비스 등을 상기 헤드셋에서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헤드셋은 스테레오 모드/모노 모드의 구분 없이 동일한 구현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모노 모드에서 보다 선명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예컨대, 전화 통화의 음성의 경우, 일부의 스테레오 기능이 그대로 지원되어 출력되는 음성에서 공명이 발생되고 음질을 저하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모노 모드의 신호 재생시 스테레오 모드의 전용으로 지원하는 와이어를 스피커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술한 음성의 공명 현상을 제거하고 최적한 음질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헤드셋의 출현이 절실히 요구되 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제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연결하는 스테레오 지원용 와이어를 탈착형으로 구현함으로써 모노 모드에서 재생되는 음성 신호에 대한 방해음 성분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의도에 최적하게 맞는 모드 환경하에서의 소리 신호 재생을 지원하는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루투스 방식에 의해 자유로운 위치에서 음악 신호를 재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호 연결을 원하는 경우 단말기와, 와이어의 탈착이 자유로운 스피커 사이에서의 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은,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소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소리 신호의 변조 모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변조 모드에 대응하는 복조 모드를 결정하는 복조부, 및 상기 결정된 복조 모드에 따라 소리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소리 신호를 출력시키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탈착이 가능한 와이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블루투스는 일정한 거리 범위 내에서 종래의 유선이나 코드 없이 단말기와 헤드셋을 연결하기 위해 개발된 통신 기술을 지칭한다. 즉,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 통신은 근거리에 놓여 있는 단말기와 이동이 자유로운 신호 재생 장치인 헤드셋을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기기 간을 연결하는 복잡한 전선 없이도 양방향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방식을 통칭한다.
특히, 본 고안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은 평상시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음악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재생, 출력하다가 단말기로부터 통화 접속 요청 신호(벨 신호)가 수신되고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하는 경우, 상기 음악 신호의 재생을 중단하고 통신용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재생되는 소리 신호의 품질을 고려하여 본 고안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은 음악 신호는 스테레오 모드로 출력시키고, 음성 신호는 모노 모드로 출력시켜 소리 신호의 재생이 최적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레오 모드는 소리의 출력 방향이 복수개를 갖도록 하여 복수의 스피커에서 각각의 소리를 분할하여 출력시키는 방식이다. 예컨대, 스테레오 모드에서의 2개의 스피커는 2개의 출력 방향을 갖으며, 하나의 스피커에서는 좌측 소리, 다른 하나의 스피커에서는 우측 소리를 출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스테레오 모드는 음악 신호의 재생에 최적할 수 있다.
반면, 모노 모드는 소리의 출력 방향에 대한 방향성이 단일하게 하는 방식으로, 출력되는 소리에 의해서는 좌우 구분이 불가능하다. 예컨대, 모노 모드에서의 2개의 스피커는 모두 동일한 소리만을 출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모노 모드는 통신용 음성 신호의 재생에 최적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은 상기 소리 신호를 실질적으로 출력시키는 한 쌍의 스피커를 와이어로 연결하며, 스테레오 모드시 양 스피커에서 완벽한 스테레오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더불어, 상기 와이어는 각 스피커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모노 모드에서 명확한 재생이 이루어지는 예컨대, 음성 신호의 재생시 상기 와이어를 스피커에서 분리하여 한 개의 스피커만을 사용함으로써 완벽한 모노 재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에 대한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은 수신부(110), 복조부(120), 출력부(130) 및 스위칭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수신부(110)는 외부의 단말기(150)로부터 소리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즉, 수신부(110)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단말기(150)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하며, 단말기(150)에서 발생하는 소리 신호로서 통신용 음성 신호 또는 음악 재생용 음악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신부(110)는 단말기(150)가 전화 통화를 위한 전화 단말기인 경우, 단말기(150)에서 발생한 통화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예, 벨 소리, 진동 감지) 사용자에게 단말기(150)에 호 요청이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기(150)로의 호 요청, 즉 단말기(150)에서 전화벨이 울리는 경우, 수신부(110)는 이를 감지하여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의 사용자에게 호 요청 사실을 진동, 메시지 음 등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에는 호 요청을 인지한 사용자에 의해 호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과 단말기(150) 사이의 양방향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통화 제어부(음성 송수신 수단을 포함함)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에 의하면, 블루투스 방식에 의해 자유로운 위치에서 음악 신호를 재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호 연결을 원하는 경우 상기 통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150) 사이에서의 호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수신한 소리 신호의 변조 모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변조 모드에 대응하는 복조 모드를 결정하는 장치이다. 즉, 복조부(120)는 수신된 소리 신호의 속성을 식별하며 상기 소리 신호를 최적하게 재생시킬 수 있는 복조 모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소리 신호의 변조 모드는 단말기(150)에서 설정되는 모드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컨대 '통화 전용 모드'가 설정되는 단말기(150)의 경우, 단말기(150)에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으로 전송되는 모든 소리 신호는 음성 신호의 변조를 위한 모노 변조 환경하에서 변조되며, '음악 전용 모드' 가 설정되는 단말기(150)의 경우,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으로 전송되는 모든 소리 신호는 음악 신호의 변조를 위한 스테레오 변조 환경하에서 변조될 수 있다. 또한, '통화/재생 혼용 모드'가 설정되는 단말기(150)의 경우, 음악 신호는 스테레오 변조시키고 호 연결에 따른 음성 신호는 모노 변조시킬 수 있어, 단말기(150)의 접속 환경에 따라 유연한 변조 모드의 변경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조부(120)는 수신된 소리 신호의 변조 모드를 모노 변조 또는 스테레오 변조로 식별할 수 있고, 상기 소리 신호로서 음악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변조 모드를 스테레오 변조,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변조 모드를 모노 변조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120)는 상기 식별된 변조 모드를 최적하게 복조 시킬 수 있는 복조 모드를 개별 소리 신호에 대응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소리 신호의 변조 모드가 모노 변조로 식별하는 경우, 복조부(120)는 복조 모드를 모노 복조로 결정하고, 소리 신호의 변조 모드가 스테레오 변조로 식별하는 경우, 복조부(120)는 복조 모드를 스테레오 복조로 결정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결정된 복조 모드에 따라 소리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소리 신호를 출력시키는 장치이다. 즉, 출력부(130)는 소리 신호를 사용자가 소리로서 인지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실제 소리 신호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수단은 한 쌍의 스피커(135)일 수 있고, 이들 스피커(135)는 소리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경우 모노 환경에서 상기 음성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으며, 소리 신호가 음악 신호인 경우 스테레오 환경에서 상기 음악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다.
특히, 출력부(130)는 모노 환경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 대해, 상기 스피커(135)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피커(135) 만을 통해 음성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어,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량으로 한쪽 방향으로 최대한 크게 확보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스테레오 복조에 의한 소리 신호의 재생을 지원하기 위해 스피커(135) 상호간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탈착 가능하게 구현하고, 모노 복조에 의한 소리 신호의 재생시 스피커(135)로부터 와이어를 분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에 의해서는 출력되는 소리 신호가 모노 환경에서 재생될 경우라도, 와이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방해음 성분, 예컨대 모노 환경이면서도 스테레오의 일부 기능이 발휘되어 소리가 공명되는 소리 성분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음악 신호를 재생시키는 스테레오 환경이더라도, 스피커(135)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각 스피커(135)에서 분리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135)에서 모노 환경으로 음악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에 의해서는 음악 신호를 다른 모드 환경하에서 재생시킬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모드에서의 음악 재생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스피커(135)는 인체의 귀부에 장착되는 귀 장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일부러 파지하지 않아도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으며, 단말기 (150)와 물리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도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의한 소리 신호의 수신 및 소리 신호의 재생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은 통화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소리 신호로서 전화 통화와 연관한 음성 신호 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수신부(110)를 제어하는 스위칭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스위칭부(14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하는 소리 신호의 속성을 변경하는 역할을 하며,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소정의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신호를 전달 받은 수신부(110)는 음성 신호 또는 음악 신호 중에서 하나의 속성의 소리 신호 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게 된다. 예컨대, 수신부(110)에서 단말기(150)로부터 음악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도중에 통화 접속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스위칭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수신부(110)로 하여금 음악 신호의 수신을 중지하고 대신 음성 신호가 수신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에 의한 전화 통화가 성립되도록 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후, 본 고안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과 단말기(150)와의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의한 전화 통화는, 공지된 블루투스 기술, 전화 통화 기술 및, 상술한 통화 제어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어떠한 속성의 소리 신호이더라도 정확한 복조 모드의 결정에 의해 유연한 소리 신호의 재생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실제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35)를 연결하는 스테레오 지원용 와이어를 탈착형으로 구현함으로써 모노 모드에서 재생되는 음성 신호에 대한 방해음 성분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의도에 최적하게 맞는 모드 환경하에서의 소리 신호 재생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은 내부의 스피커(135)를 상호 연결하는 스테레오 지원용 와이어가 포함되며, 이들 와이어는 각 스피커(135)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현된다.
이에 따라, 스테레오 환경하에서 소리 신호를 재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한 쌍의 스피커(135)에 와이어가 상호 연결된 형태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으로 음악 신호를 출력하여 청취할 수 있다(도 2의 ⅰ) 참조).
반면, 모노 환경하에서 소리 신호를 재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각 스피커(135)로부터 와이어를 분리한 후(도 2의 ⅱ) 참조), 일편의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100)으로 음성 신호를 출력하여 전화 통화에 이용할 수 있다(도 2의 ⅲ) 참조).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실제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연결하는 스테레오 지원용 와이어를 탈착형으로 구현함으로써 모노 모드에서 재생되는 음성 신호에 대한 방해음 성분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의도에 최적하게 맞는 모드 환경하에서의 소리 신호 재생을 지원하는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블루투스 방식에 의해 자유로운 위치에서 음악 신호를 재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호 연결을 원하는 경우 단말기와, 와이어의 탈착이 자유로운 스피커 사이에서의 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에 있어서,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소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소리 신호의 변조 모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변조 모드에 대응하는 복조 모드를 결정하는 복조부; 및
    상기 결정된 복조 모드에 따라 소리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소리 신호를 출력시키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탈착이 가능한 와이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통화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소리 신호로서 전화 통화와 연관한 음성 신호 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스위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1) 상기 소리 신호의 변조 모드를 모노 변조 또는 스테레오 변조로 식별하고, (2-1) 상기 모노 변조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복조 모드를 모노 복조로 결정하며, (2-2) 상기 스테레오 변조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복조 모드를 스테레오 복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조부에 의해 복조 모드가 스테레오 복조로 결정되는 경우라도, 상기 와이어가 분리된 스피커에 의해 모노 복조로 상기 소리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조부에 의해 복조 모드가 모노 복조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피커 만을 통해 소리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신호는 전화 통화와 연관한 음성 신호, 또는 음악 재생과 연관한 음악 신호이며,
    상기 복조부는 상기 소리 신호를 음성 신호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복조 모 드를 모노 복조로 결정하며, 상기 소리 신호를 음악 신호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복조 모드를 스테레오 복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인체의 귀부에 장착되는 귀 장착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소리 신호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KR2020050030112U 2005-10-24 2005-10-24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KR200406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112U KR200406238Y1 (ko) 2005-10-24 2005-10-24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112U KR200406238Y1 (ko) 2005-10-24 2005-10-24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238Y1 true KR200406238Y1 (ko) 2006-01-20

Family

ID=4175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112U KR200406238Y1 (ko) 2005-10-24 2005-10-24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2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539B1 (ko) 2007-02-27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셋의 스테레오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539B1 (ko) 2007-02-27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셋의 스테레오 지원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7814B1 (en) Wireless stereo headset
JP3163344U (ja) マイク技術
KR20170119922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518010B1 (ko) 모바일 단말기용 다기능 이어폰
GB2308775A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entertainment unit having wireless headset
JP2008193688A (ja) ヘッドセット
JP2007336511A (ja) 携帯用電磁機器用外装型スピーカーシステム及びこのための無線受信パック
CN102356647A (zh) 头戴式耳机
JP3490663B2 (ja) 補聴器
JP2004120313A (ja) ワイヤレスヘッドセットシステム
EP0793372B1 (en) A hands-free phone converter
KR200406238Y1 (ko) 와이어 탈착형 듀얼 모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KR101664195B1 (ko) 스피커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JPH10276250A (ja) 携帯端末装置
JP2954150B1 (ja) 携帯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話装置
JP3112619U (ja) 携帯機器用のイヤホン装置
KR100469847B1 (ko) 다기능 오디오폰
JP3144831U (ja) ステレオ出力可能なワイヤレスオーディオシステム
KR100627665B1 (ko)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CN212278450U (zh) 一种无线麦克风音响设备
KR200258287Y1 (ko) 다기능 오디오폰
KR200194803Y1 (ko) 무선 헤드셋
CN210298017U (zh) 一种ai智能语音控制蓝牙tws对耳耳机系统
JP2003125496A (ja) 補聴装置及び音声再生装置
JP2001309476A (ja) 音声情報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