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067Y1 - 가구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가구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067Y1
KR200406067Y1 KR2020050029454U KR20050029454U KR200406067Y1 KR 200406067 Y1 KR200406067 Y1 KR 200406067Y1 KR 2020050029454 U KR2020050029454 U KR 2020050029454U KR 20050029454 U KR20050029454 U KR 20050029454U KR 200406067 Y1 KR200406067 Y1 KR 200406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plate
screw rod
suppor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이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우 filed Critical 이창우
Priority to KR2020050029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0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0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가구의 하부를 지지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얹혀질 가구의 높이를 조종하는 높이조절부(20)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본체(10)는 가구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도록 2개의 날개부(120,130)를 갖추고 있으며, 이의 중심에는 숫나사산으로 형성된 높이조절부(20)를 통과시키는 플레이트지지부(111)를 구비한다. 본체(10)의 플레이트지지부(111)와 나사결합되는 이 높이조절부(20)는 높이조절부(20)의 상단에 형성된 홈(224)으로 렌치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높이조절부(20)의 조정을 위해 회전시키거나 높이조절부(20)의 하단에 구비된 조정판(225)을 회전하여 높이조절부(20)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받침대{Height adjustable support for furnitur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높이조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지지부와 플레이트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구용 받침대, 10 ----- 본체,
20 ----- 높이조절부.
본 고안은 가구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가구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2개의 날개부를 갖춘 본체와 상기 각 날개부 위에 얹혀져 있는 가구의 높이를 조정 하는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가구는 대체로 편평한 바닥면 위에 설치된다. 목재와 같이 유연한 소재로 제작된 가구는 바닥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으면 추후에 삐뚤어지거나 기울어져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와 같이 대체로 편평한 바닥면이라 할지라도 통상적으로 바닥면이 울통불통한 것은 피할 수 없는 사실이므로 이에 가구 설치자는 가구의 하부에 적당한, 일반적으로 고무, 종이, 플라스틱재를 매개로 하여 가구의 높낮이를 일정하게 하는 평활도(平滑度)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그러나 고무 또는 종이를 매개로 하는 평활도작업은 바닥면의 굴곡이 심할 경우에는 고무 또는 종이를 여러 번에 걸쳐 접어 상당한 높이를 갖춰 가구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위치시켜야 하는 불편함과 정밀한 높이조절의 어려움이 따른다.
가구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종래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은 일반적으로 가구를 지탱하는 본체를 구비하고 이 본체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절부를 구비하되, 이 본체는 가구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가구의 하부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지지부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종래의 가구용 수평조절받침은 가구의 모서리, 구체적으로 모서리를 이루는 2개의 면 중 일면 아래로 배치되어 가구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되어 있다. 가구의 모서리마다 혹은 가구의 하부면에 배치된 각각의 높이조절부의 조작을 통한 가구의 수평작업이 수행되는바, 종래기술에 따른 수평조절받침의 본체는 높이조절부를 회전시켜 본체의 높낮이를 조정하는데 이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높이 조절부를 좌 혹은 우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높이조절부의 숫나사산과 나사체결되어 위치된 본체가 가구의 하부면에서 이탈되는 경향이 있다. 확실하게 가구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모서리를 이루는 협소한 모서리 부근에 적어도 2개의 수평조절받침을 구비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위에서 언급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받침대는 가구의 하부모서리에 장착되어 가구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가구를 수평으로 배치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받침대는 가구의 모서리에서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2개의 날개부를 구비한 본체 및 가구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이 본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뻗는 회전가능한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받침대에 대한 설명을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받침대(1)는 본체(10)와 높이조절부(20)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가구용 받침대(1)는 가구(도시되지 않음)의 하부 면,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가구의 모서리 아래와 바닥면(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가구용 받침대(1)는 완전하게 편평하지 않은 바닥면에서 가구를 수평되게 배치하도록 사용된다.
본 고안의 본체(10)는 가구의 각 하부모서리에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플레이트(110)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날개부(120,130)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10)는 그 중심에 높이조절부(20)의 나사봉(222)이 통과하는 플레이트지지부(111)를 구비한다. 플레이트지지부(111)는 숫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222)과 나사체결되게 그 내부원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날개부(120)는 가구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플레이트(110)에서 "ㄴ"자형상으로 뻗어 있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날개부(120)와 대향되게 제2날개부(130)는 플레이트(110)에서 "ㄴ"자형상으로 뻗어나온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날개부(120)는 플레이트(110)와 수직되게 아래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측면지지부(121) 및 이 제1측면지지부(121)와 직각으로 외부방향을 향해 뻗어 있는, 다시 말하자면 플레이트(110)와 수평되게 외부로 뻗는 제1하부지지부(122)를 구비한다. 이와 유사한 구조형상으로, 제2날개부(130)는 제1날개부와 대향되게 위치되되, 플레이트(110)와 수직되게 아래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측면지지부(131) 및 이 제2측면지지부(131)와 직각으로 외부방향을 향해 뻗어 있는, 즉 플레이트(110)와 수평되게 외부로 뻗는 제2하부지지부(13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고안의 가구용 받침대(1)는 가구의 각 모서리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전술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2개 의 날개부(120,130)를 구비한다. 특히, 날개부(120,130)는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어 가구의 모서리 부분에 끼워 맞혀질 수 있으며, 날개부에 형성된 측면지지부(121,131)와 하부지지대(122,132)는 가구의 하부를 확실하게 보유지지할 수 있다. 하부지지대(122,132)는 가구의 하부면 아래에 배치시켜 가구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면지지부(121,131)는 가구의 하부 모서리 측면에 접촉되어 본 고안의 가구용 받침대(1)가 가구의 모서리와 확실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돕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체(10)는 플레이트(110)와 제1 및 제2날개부(120,130)를 용접이나 다른 접합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제작공정의 단순화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절삭과 천공 등의 소성작업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날개부(120,130)는 그 편평면에 추가로 다수의 관통구멍을 형성하여서 가구와 본체(10)와 나사결합과 같은 수단을 동원하여 수평작업 중에 본체(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받침대(1)는 중심에 플레이트지지부(111)를 구비한 본체(10)와 나사봉(222)을 갖춘 높이조절부(20)가 상호 나사체결되어 있다.
도시되었듯이, 높이조절부(20)는 원통형상의 원주면 둘레로 숫나사산을 형성한 나사봉(222)과, 바닥면과 접촉하는 나사봉받침(223), 이 나사봉(222)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224) 및, 나사봉(222)를 회전시켜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판(225)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나사봉받침(223)은 나사봉(222)의 최하단에 위치되되, 나사봉(222) 하 부 위치선정되어 있으나 나사봉과는 일체로 병합되지 않는다. 또한, 나사봉받침(223)은 하부면이 만곡되어 가구의 하중으로 바닥면을 상당한 압력으로 짓눌러도 바닥면에 최대한 외상으로 가하지 않도록 한다. 덧붙여서, 나사봉받침(223)은 나사봉(222)과 일체로 결합하지 않고 나사봉(222)과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조정판(225) 또는 홈(224)을 수단으로 가구의 수평작업을 위해 나사봉(222)을 회전시켜도 바닥면에 맞닿아 있는 나사봉받침(223)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와 같이, 나사봉과 나사봉받침이 서로 별도로 회전되므로 가구와 바닥면 사이에 배치될 받침대(1)가 모서리 부근에서 이탈되지 않고 나사봉받침(223)이 나사봉(222)을 따라서 회전하기 않기 때문에 중하중으로 눌려지는 바닥면이 나사봉의 회전에 기인하여 휘감겨지는 등의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나사봉(222)의 높낮이조정은 나사봉(222)의 하단에서 일체로 병합된 조정판(225)을 좌 또는 우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나사봉(222)이 회전하면서 본체(10)의 플레이트지지부(111)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어 가구의 수평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조정판(22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작업자의 손가락으로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조정판(225)의 상부면에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한다. 이와 더불어서, 나사봉(222)의 높낮이조정은 나사봉(222) 상단부에 형성된 홈(224)에 홈형상과 일치되는 렌치(wrench)를 홈(224)에 삽입시켜 나사봉(222)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본체(10)의 날개부(120,130)에 예컨대 제1 및 제2측면지지부(121,131)과 제1 및 제2하부지지부(122,132)에는 다수의 천공부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받침대(1)는 가구의 모서리에 더욱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제1 및 제2날개부(120,130)을 구비한다(도 1 참조). 통상적으로, 가구의 모서리는 90°로 꺾어져 있으므로 각각의 제1날개부(120)의 제1측면지지부(121)와 제2날개부(130)의 제2측면지지부(131)로부터 뻗은 가상의 연장선들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된다.
다른 실례로, 가구의 모서리각도에 따라서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높이조절부의 단면도로서, 가구용 받침대(1)에서 본체(10)를 제외한 상태로 도해한 도면이다.
높이조절부(20)는 나사봉(222)의 상단부에 렌치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는 데에 사용될 홈(224)을 구비하고 나사봉(222)의 하단부에는 각각 나사봉받침(223)과 조정판(225)을 갖추고 있다.
덧붙여서, 높이조절부(20)는 조정판(225) 또는 홈(224)의 렌치(도시되지 않음)를 수단으로 나사봉(222)이 회전되어 가구용 받침대의 높이를 조정가능하게 한다. 나사봉(222)이 조정판(225)과 홈(224)을 매개로 회전하면서 바닥면에 손상을 끼치지 않고 무거운 하중의 가구를 얹혀놓은 채로 나사봉(22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나사봉(222)의 최하단부에 결합위치된 나사봉받침(223)은 나사봉(222)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봉(222)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는 반대로, 나사봉(222)의 회전을 돕기 위해서 조정판(225)은 나사봉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된다. 조정판(225)을 회전시키므로 나사봉(222) 이 이에 따라 회전되어 가구의 수평작업을 돕는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지지부(111)와 플레이트(110)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본체(1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지지부(111)는 그 상단에 가장자리를 따라서 고정대(참조부호 없음)를 구비하고 중공부 내부로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플레이트지지부(111)가 플레이트(110) 아래에서 플레이트지지부의 고정대를 끼어 넣는다. 그런 다음에, 플레이트(110)의 천공부를 관통하여 위로 뻗은 플레이트지지부(111)의 고정대를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진 다양한 가압수단과 접합수단을 매개로 고정대가 플레이트(110) 상에서 꺾여져 접합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받침대는 첨부도면를 참조로 한 설명에 국한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에 따라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상 본 고안의 설명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받침은 가구의 하부, 특히 가구의 하부모서리에 장착시켜 가구의 평활도작업을 수행하도록 제공된다.
본 고안은 본체의 양 날개부가 가구 하부모서리의 각도와 상응하게 형성되어 가구의 모서리에 가구용 받침을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양 날개부에 가구의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양 날개부를 갖춘 본체는 단순한 소성작업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었으므로 제작공수 및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향상시키 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무거운 하중의 가구를 지지하고 있는 상황하에서도 나사봉과 나사봉받침이 일체로 형성되지 않아 바닥면에 피해를 주지 않고서도 가구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Claims (3)

  1. 편평한 플레이트(110)와, 상기 플레이트(110)의 중심에 암나사산을 형성한 플레이트지지부(111), 상기 플레이트(110)에서 아래방향으로 수직되게 뻗은 제1측면지지부(121)와 상기 제1측면지지부(121)의 단부에서 상기 플레이트(110)와 수평하게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제1하부지지부(122)를 구비한 제1날개부(120) 및, 상기 플레이트(110)에서 아래방향으로 수직되게 뻗은 제2측면지지부(131)와 상기 제2측면지지부(131)의 단부에서 상기 플레이트(110)와 수평하게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제2하부지지부(132)를 구비한 제2날개부(130)로 형성된 본체(10)와;
    숫나사산을 형성한 나사봉(222)과 상기 나사봉(222)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나사봉과 별도로 회전가능한 나사봉받침(223)으로 형성된 높이조절부(20);로 이루어져 상기 높이조절부(20)의 나사봉(222)이 상기 본체(10)의 플레이트지지부(111)를 따라 회전하면서 높이조절가능한 가구용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20)는 상기 나사봉(222)의 회전을 돕도록 상기 나사봉(222)와 일체로 된 조정판(225)과 그 상단부에 홈(224)을 구비하는 가구용 받침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지지부(111)는 그 상단 가장자리부에 고정대를 구비하여 플레이트(110)의 중심천공부에 끼어맞쳐져 결합고정되어 있는 가구용 받침대.
KR2020050029454U 2005-10-17 2005-10-17 가구용 받침대 KR200406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454U KR200406067Y1 (ko) 2005-10-17 2005-10-17 가구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454U KR200406067Y1 (ko) 2005-10-17 2005-10-17 가구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067Y1 true KR200406067Y1 (ko) 2006-01-20

Family

ID=4175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454U KR200406067Y1 (ko) 2005-10-17 2005-10-17 가구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06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13B1 (ko) 2006-06-09 2007-05-25 주식회사 코아스웰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
CN108244845A (zh) * 2018-01-20 2018-07-06 厦门顾信家居有限公司 一种平衡衣柜及其制作工艺
CN110477647A (zh) * 2019-08-01 2019-11-22 深圳市艾力威尔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脚基座以及使用该可调脚基座的家具
CN112769067A (zh) * 2020-12-29 2021-05-07 上海西门子高压开关有限公司 用于气体绝缘开关的底架以及配电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13B1 (ko) 2006-06-09 2007-05-25 주식회사 코아스웰 데스크 시스템의 높낮이 조절 구조
CN108244845A (zh) * 2018-01-20 2018-07-06 厦门顾信家居有限公司 一种平衡衣柜及其制作工艺
CN110477647A (zh) * 2019-08-01 2019-11-22 深圳市艾力威尔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脚基座以及使用该可调脚基座的家具
CN110477647B (zh) * 2019-08-01 2024-05-24 深圳市艾力威尔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脚基座以及使用该可调脚基座的家具
CN112769067A (zh) * 2020-12-29 2021-05-07 上海西门子高压开关有限公司 用于气体绝缘开关的底架以及配电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6067Y1 (ko) 가구용 받침대
JP3218107U (ja) テーブルの角度を調整可能な昇降構造
US739856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ifting bed mattresses and/or tucking in bed covers
US2832559A (en) Adjustable brace
US2260716A (en) Shuffleboard table and playing top, and other tables
CN108582268B (zh) 一种双折叠多功能工作台
JP4722154B2 (ja) オフセット引戸用ガイド
US3047165A (en) Ceiling board jack
US20080216447A1 (en) Positioning Device For Window Frame
KR200145432Y1 (ko) 가구의 수평 조절구
EP3268549B1 (en) Method, arrangement and adapter for drying a water damaged floor
KR20210101013A (ko)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JP2010065435A (ja) ボーダー支柱
CN212776534U (zh) 一种摄影用角架固定装置
JP4546804B2 (ja) 机上棚装置
JP4219397B1 (ja) 畳表折り曲げ機及びそれを用いた縁無畳の製造方法
JPS5911648Y2 (ja) 椅子の高さ調節装置
JP2005023731A (ja) 畳表折曲装置
KR200281484Y1 (ko) 유로폼용 보조각목 고정구
US20230150045A1 (en) Extendible outfeed accessory for a table saw
JP5285354B2 (ja) アジャスターボルト装置
JP3109507U (ja) 回転テーブル及びこれを備えるテーブルセット
KR20070105953A (ko) 하부 지지면적의 조절이 가능한 탁자
US7028728B2 (en) Wood planing machine with coupling units
US1501860A (en) Bench block and drill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