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490B1 -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490B1
KR102305490B1 KR1020200015107A KR20200015107A KR102305490B1 KR 102305490 B1 KR102305490 B1 KR 102305490B1 KR 1020200015107 A KR1020200015107 A KR 1020200015107A KR 20200015107 A KR20200015107 A KR 20200015107A KR 102305490 B1 KR102305490 B1 KR 10230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djusting
support frame
fram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013A (ko
Inventor
이영모
Original Assignee
이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모 filed Critical 이영모
Priority to KR1020200015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49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 프레임; 받침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고, 차 바퀴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 승강 프레임; 받침 프레임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장착부에 나사 결합되어 종방향으로 결합되는 승강작동축; 승강작동축을 회전시켜 승강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캠핑 등 야외 활동시 차량을 정차시킨 후 수평을 맞추기 위해 각 바퀴 마다 개별적으로 승강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지면 상태에 따른 폭의 변화 및 사이즈가 다른 바퀴에도 길이를 쉽게 조절하여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Vehicle height keeping device}
개시되는 내용은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정차 후 좌우높이를 수평으로 조절하기 위한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식 차량(모터홈, 카라반, 캠핑트레일러)이 정박(주차)시 지면의 상태(경사도)에 따라 차량이 기울어져 수평을 맞출 경우 레벨러를 사용하게 되는데 기존 레벨러는 너비(폭)가 고정되어 있어 차량의 무게(적재중량), 차 바퀴 크기 및 공기압 상태, 지면의 상태에 따라 차량의 바퀴(차 바퀴)가 지면에 닿는 폭이 달라져 너비가 고정된 제품은 사용상 제한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20-2001-0023452호
개시되는 내용은 차량 정차 후 바퀴를 들어올리거나 내려서 차체를 수평으로 조절하기 위한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좌,우로 너비(폭)를 조절하여 지면에 닿는 차 바퀴의 폭에 맞게 간격을 조절하여 장착이 가능하고,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 프레임; 받침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고, 차 바퀴에 삽입되는 홈을 갖는 승강 프레임; 받침 프레임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장착부에 나사 결합되어 종방향으로 결합되는 승강작동축; 승강작동축을 회전시켜 승강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 프레임에 오목하게 볼트회전 마운트가 형성되며, 승강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여 승강작동축의 기울어짐 각도를 변경하여 헤드가 밖으로 돌출되어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작동축의 헤드 또는 볼트회전 마운트에 모터가 장착되어 전동 회전되는 것이며, 상기 모터는 전자 수평계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캠핑 등 야외 활동시 차량을 정차시킨 후 수평을 맞추기 위해 각 바퀴 마다 개별적으로 승강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지면 상태에 따른 폭의 변화 및 사이즈가 다른 바퀴에도 길이를 쉽게 조절하여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평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낸 측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평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낸 측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는, 좌,우로 너비(폭)를 조절하여 지면에 닿는 차 바퀴(500)의 폭에 맞게 간격을 조절하여 장착이 가능하고,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 프레임(100);
받침 프레임(10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고, 차 바퀴(500)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 승강 프레임(200);
받침 프레임(100)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200)의 장착부(600)에 나사 결합되어 종방향으로 결합되는 승강작동축(300);
승강작동축(300)을 회전시켜 승강 프레임(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핸들(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 프레임(100)은 지면에 지지되며 양단이 개구되고 중공을 갖는 제1외관체(120)와, 상기 제1외관체(120)의 양단 개구부에 각기 끼움결합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다리(140)로 구성되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양측 제1지지다리(140)와 제1외관체(120)의 결합 길이를 조절하는 제1길이조절부(F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길이조절부(F1)는 제1지지다리(140)에 다수의 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외관체(120)에 통공과 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과 통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임볼트(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임볼트(170)의 형태는 일반볼트 및 볼트헤드에 노브나 핸들이 달린 형태와 받침 프레임(100)에 구비된 제1외관체(120), 제2외관체(260)가 구비된 승강 프레임(200)이 조임과 풀림이 가능한 클램프 방식 또는 홈과 돌출버튼의 조합으로 좌우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형태의 방식이 사용된다.
조임볼트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형상이 다르다 해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일 예에 따른 실시예는,
조임볼트(170)의 머리에 결합되어 회전시키는 노브(N);가 구비될 수 있다.
노브(N)의 일측에 형성된 머리결합부를 조임볼트(170)의 머리에 끼우고 회전시켜서 조임 또는 풀림작동이 실시된다.
한편 승강 프레임(200)은 받침 프레임(100)의 양측 제1지지다리(14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다리(240)가 양측에 구비되고, 양측 제2지지다리(240)가 끼움결합되도록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2외관체(260)로 구성되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 제2지지다리(240)가 바퀴(50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지지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양측 제2지지다리(240)와 제2외관체(260)의 결합 길이를 조절하는 제2길이조절부(F2);가 형성된다.
제2지지다리(240)가 받침 프레임(100)의 제1지지다리(140)와 힌지 결합되고, 승강 프레임(200)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제2길이조절부(F2)는 제2지지다리(240)에 다수의 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외관체(260)에 통공과 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상기 결합공과 통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임볼트(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임볼트(170)의 형태 및 조임방식은 전술한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양측 제2지지다리(240)에 형성되어 바퀴(5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바퀴홀더(7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홀더(700)는 바퀴(50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판상의 지지면을 갖는다. 이 판상의 지지면은 대략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의 빗변이다.
따라서 바퀴홀더(700)가 바퀴(500)의 외주면 양측에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바퀴(500)의 손상을 방지한다.
한편 승강작동축(300)은 승강 프레임(200)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바퀴(50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받침 프레임(100)에 오목하게 볼트회전 마운트(270)가 형성된다.
볼트회전 마운트(270)의 위치나 받침 프레임(100), 승강 프레임(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승강작동축(300)의 기울어짐 각도를 변경하여 헤드(310)가 밖으로 돌출되어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승강작동축(300)은 상단에 육각형의 헤드(310)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볼트회전 마운트(270)에 하단이 결합되도록 하단에 구형상의 로테이션 릿지(33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승강작동축(300)의 로테이션 릿지(330)가 볼트회전 마운트(270)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우로 회전되더라도 중심점을 잃지않고 안정적인 자세 유지가 가능해진다.
한편 승강 프레임(200)의 장착부(600)는, 제2외관체(260)의 외측에 병렬로 복수개 형성되는 브라켓(620)과, 브라켓(620)에 양단이 끼움결합되도록 축(642)이 형성되고, 승강작동축(300)이 관통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홀더(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작동축(300)의 헤드(310) 또는 볼트회전 마운트(270)에 모터(미도시)가 장착되어 전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모터는 전자 수평계(미도시)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전자 수평계는 차량에 장착되거나 또는 바퀴의 휠에 장착될 수 있고, 사용후에는 분리하여 회수하도록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 프레임(100)의 제1지지다리(140) 및 승강 프레임(200)의 제2지지다리(2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 프레임(100), 승강 프레임(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승강작동축의 기울어짐 각도를 변경하여 헤드가 밖으로 돌출되어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받침 프레임(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제3관체(130)가 결합되고, 받침 프레임(100)의 제1지지다리(140)가 분할되어 그 양단부가 각기 상기 제3관체(130) 내에 끼움결합되며, 분할된 제1지지다리(1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3관체(130)는 양측에 각각의 제1지지다리(140)의 단부에 결합되는 조임볼트(132)가 결합되며, 조임볼트(132)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장공(134)이 제3관체(130)의 양측에 각기 형성된다.
이렇게 제1지지다리(140)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서 바퀴(500) 폭에 적합하도록 조절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 프레임(200)은 측면에 제3관체(130)가 결합되고, 승강 프레임(200)의 제2지지다리(240)가 분할되어 그 양단부가 각기 상기 제3관체(130) 내에 끼움결합되며, 분할된 제2지지다리(2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3관체(130)는 양측에 각각의 제1지지다리(140)의 단부에 결합되는 조임볼트(132)가 결합되며, 조임볼트(132)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장공(134)이 제3관체(130)의 양측에 각기 형성된다.
이렇게 제2지지다리(240)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서 바퀴(500) 폭에 적합하도록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받침 프레임(100)의 제1지지다리(140)의 양단부와 승강 프레임(200)의 제2지지다리(240)의 양단부를 힌지핀(280)으로 결합하여 힌지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승강작동축(300)을 홀더(640)에 나사 결합시키고, 그 하단의 로테이팅 릿지(330)를 볼트회전 마운트(270)에 삽입되도록 하여 종방향으로 조립 설치한다.
이렇게 조립된 후 받침 프레임(100) 및 승강 프레임(200)의 개구부를 바퀴(500)의 하부 외주연에 끼워 넣는다.
이때 바퀴(500)의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각각의 제1,2길이조절부(F1,F2)의 길이를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 프레임(200)의 양측 제2지지다리(240)를 양측으로 늘리거나 또는 줄여서 너비를 조절하여 바퀴(500)의 외주면에 동일한 위치에 제2지지다리(240)가 각기 밀착되도록 조절한다.
길이조절이 완료된 후 조임볼트(170)를 조여서 고정시킨다.
아울러 바퀴(500)의 외주면 양측에 각기 바퀴홀더(700)가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 승강작동축(300)의 상단 헤드(310)에 공구를 체결하여 회전시키면 승강 프레임(200)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바퀴(50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수평을 조절하기 편리해진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받침 프레임 120 : 제1외관체
140 : 제1지지다리 170 : 조임볼트
200 : 승강 프레임 240 : 제2지지다리
260 : 제2외관체 270 : 볼트회전 마운트
300 : 승강작동축 330 : 로테이션 릿지
400 : 핸들 600 : 장착부
620 : 브라켓 640 : 홀더

Claims (9)

  1. 좌,우로 너비(폭)를 조절하여 지면에 닿는 차 바퀴의 폭에 맞게 간격을 조절하여 장착이 가능하고,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 프레임;
    상기 받침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고, 차 바퀴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 승강 프레임;
    상기 받침 프레임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장착부에 나사 결합되어 종방향으로 결합되는 승강작동축;
    상기 승강작동축을 회전시켜 승강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핸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프레임에 오목하게 볼트회전 마운트가 형성되며,
    상기 볼트회전 마운트의 위치나 상기 받침 프레임, 승강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여 승강작동축의 기울어짐 각도를 변경하여 헤드가 밖으로 돌출되어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동축의 헤드 또는 볼트회전 마운트에 모터가 장착되어 전동 회전되는 것이며,
    상기 모터는 전자 수평계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프레임은
    지면에 지지되며 양단이 개구되고 중공을 갖는 외관체와, 상기 외관체의 양단 개구부에 각기 끼움결합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고,
    양측 지지다리와 외관체의 결합 길이를 조절하는 제1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길이조절부는
    볼트조임 방식이나 클램프 방식, 또는 홈과 돌출버튼의 조합에 의해 길이 조절 후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길이조절부는
    상기 지지다리에 다수의 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관체에 통공과 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과 통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은
    받침 프레임의 양측 지지다리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다리가 양측에 구비되고, 양측 제2지지다리가 끼움결합되도록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2외관체와,
    양측 제2지지다리와 제2외관체의 결합 길이를 조절하는 제2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길이조절부는
    상기 제2지지다리에 다수의 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외관체에 통공과 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과 통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다리에 형성되어 바퀴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바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KR1020200015107A 2020-02-07 2020-02-07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KR10230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07A KR102305490B1 (ko) 2020-02-07 2020-02-07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07A KR102305490B1 (ko) 2020-02-07 2020-02-07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013A KR20210101013A (ko) 2021-08-18
KR102305490B1 true KR102305490B1 (ko) 2021-09-27

Family

ID=7746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107A KR102305490B1 (ko) 2020-02-07 2020-02-07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880A (ko) 2022-06-03 2023-12-12 주식회사 와이제이캠핑카 모터홈용 자동 수평조절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682Y1 (ko) 2000-11-15 2001-05-15 안병극 차량정비용 형상기억 미션잭
KR100469955B1 (ko) 2001-11-16 2005-02-07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차량견인용 대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567Y1 (ko) * 1995-04-27 1998-07-01 김태구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 휘일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682Y1 (ko) 2000-11-15 2001-05-15 안병극 차량정비용 형상기억 미션잭
KR100469955B1 (ko) 2001-11-16 2005-02-07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차량견인용 대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880A (ko) 2022-06-03 2023-12-12 주식회사 와이제이캠핑카 모터홈용 자동 수평조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013A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9600A (en) Leveling roof platform support
US3614064A (en) Stabilizing jack structure for mobile vehicle
KR102305490B1 (ko) 차량의 수평높이유지장치
CN210396228U (zh) 一种建筑用支持设备
US20110001098A1 (en) Utility jack
US4813843A (en) Apparatus for turning a vehicle on its side
US6439346B1 (en) Lifting device
US6848661B2 (en) Adjustable basketball goal system and mounting method
US6331016B1 (en) Stabilizer system for trailers
US20150368079A1 (en) Load supporting and orienting apparatus for a lift device
US4116373A (en) Two position spare wheel mount for the sidewall of a pickup truck
US20040169167A1 (en) Mobile engine lift apparatus
KR100613591B1 (ko) 고소작업차용 탑승함 수평유지장치
CN215244886U (zh) 三角琴装卸脚轮支撑车
US2196715A (en) Trailer jack or support
US20030075095A1 (en) Boat landing apparatus
US20070114758A1 (en) Kingpin stabilizer
US20050110260A1 (en) Telescopic stabilizer
CN218153456U (zh) 一种用于短视频拍摄具有匀速移动的滑轨支架
US6564414B1 (en) Portable ramp with pad
US10793118B1 (en) Scissor jack kit
CN211574586U (zh) 一种可调支脚及带可调支脚的可折叠支架
US10710650B2 (en) Spare tire holder
CN215244853U (zh) 基于行李架的调节工装
JP2545583Y2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ーにおけるゲート板回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