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635Y1 - 유아용 침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635Y1
KR200405635Y1 KR2020050028704U KR20050028704U KR200405635Y1 KR 200405635 Y1 KR200405635 Y1 KR 200405635Y1 KR 2020050028704 U KR2020050028704 U KR 2020050028704U KR 20050028704 U KR20050028704 U KR 20050028704U KR 200405635 Y1 KR200405635 Y1 KR 200405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ide plates
assembly
support
ang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적공
Original Assignee
추적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적공 filed Critical 추적공
Priority to KR2020050028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6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47D9/04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with disconnectable roc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흔들리는 유아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위면 만이 개구되게 측판들과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침대조립체와 상기 침대조립체의 하부로 설치되며 지면에 세워지는 지지각조립체 및 상기 지지각조립체와 침대조립체의 사이에 좌우 양측으로 위치되게 결합해서 상기 침대조립체를 흔들릴 수 있게 하는 가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간편한 조립에 의해 유아용 침대를 흔들리게 할 수 있어 유아를 편안하고 안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침대, 유아, 흔들침대, 요동, 흔들침대

Description

유아용 침대{bed for infa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에 구비되는 침대조립체와 지지각조립체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를 흔들리게 결합하는 가동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흔들리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5a ~도 5d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에 구비되는 침대조립체를 이루는 각 구성부품들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제1,제2측판들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b와 도 5c는 제3,제4측판들에 대한 정면과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d는 받침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a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에 구비되는 지지각조립체를 이루는 각 구성부품들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6a와 도 6b는 제1,제2지지각들에 대한 정면과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c는 고정바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침대조립체 112a,112b - 제1,제2측판들
114a,114b - 제3,제4측판들 120 - 지지각조립체
122a,122b - 제1,제2지지각들 124 - 고정바
130 - 가동수단 132 - 작동봉
본 고안은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한 조립에 의해 요동(搖動)될 수 있는 유아용 침대를 구비하여 유아가 편안하고 안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한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침대는 위면 만이 개구되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매트를 안착시켜 유아를 재울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아용 침대는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것이 대부분이고, 상기 유아용 침대를 흔들리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침대를 흔들리게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장치는 고가이고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대략 2세 정도 까지만 사용하는 유아용 침대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편한 조립에 의해 요동(搖動)될 수 있는 유아용 침대를 구비하여 유아가 편안하고 안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한 유아용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대향 설치된 제1,제2측판들과 상기 제1,제2측판들의 사이에 양측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제2측판들과 함께 사각형 테두리를 이루며 하단부는 상기 제1,제2측판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3,제4측판들과 상기 제1~제4측판들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공간을 막도록 설치되어 매트를 안착할 수 있게 한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침대조립체; 상기 침대조립체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제3,제4측판들의 내측으로 인접되어 바닥과 접하며 수직하게 설치된 제1,제2지지각들과 상기 제1,제2지지각들을 일체로 연결하기 위한 고정바로 이루어진 지지각조립체; 및 상기 지지각조립체와 상기 침대조립체의 사이에 좌우 양측으로 위치되게 결합해서 상기 침대조립체를 소정 각도로 흔들릴 수 있게 상기 제1,제2지지각들과 제3,제4측판들에 결합구멍들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구멍들에 삽입 결합되는 절곡부를 양측단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 형성한 작동봉으로 이루어진 가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대조립체를 지지각조립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침대조립체 만을 별도로 바닥에 세울 수 있게 상기 제3,제4측판들의 하단면은 바닥에 세워질 수 있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봉의 절곡부에는 외주면으로 나선부를 형성하며 상기 나선부에 캡핑너트(capping nut)로 나사 체결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2지지각들의 하단에는 바퀴들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에 구비되는 침대조립체와 지지각조립체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를 흔들리게 결합하는 가동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는 침대조립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침대조립체(110)는 창살 모양의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을 이루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제2측판들(112a,112b)과, 상기 제1,제2측판들(112a,112b)의 사이에 양측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제2측판들(112a,112b)과 함께 사각형 테두리를 이루며 하단부는 상기 제1,제2측판들(112a,112b)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소정 면적을 갖는 한 쌍의 제3,제4측판들(114a,114b)과, 상기 제1~제4측판들(112a~114b)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 테두리의 하부를 막도록 설치되며 매트(미도시)를 안착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제1~제4측판들(112a,114b)과 함께 상부만이 개구되는 사각박스 형상의 유아용 침대를 이룰 수 있게 하는 받침판(11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제2측판들(112a,112b)의 하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3,제4측판들(114a,114b)의 하단면은 수평면을 이루게 구성하여, 상기 침대조립체(110)만을 지면에 세워 설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는 지지각조립체(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각조립체(120)는 상기 침대조립체(110)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제3,제4측판들(114a,114b)의 내측으로 인접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제2지지각들(122a,122b)과, 상기 제1,제2지지각들(122a,122b)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제1,제2지지각들(122a,122b)에 고정됨에 의해 상기 제1,제2지지각들(122a,122b)이 지면에 세워질 수 있게 지지하는 고정바(12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제2지지각들(122a,122b)의 하단에는 바퀴(126)들이 더 설치되어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는 가동수단(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수단(130)은 상기 지지각조립체(120)로부터 상기 침대조립체(110)를 소정 각도로 흔들리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양측단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갖는 작동봉(132)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작동봉(132)들은 상기 제3,제4측판들(114a,114b)과 제1,제2지지각들(122a,122b)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소정 간격을 이루며 상기 절곡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침대조립체(110)를 상기 지지각조립체(120)로부터 소정 각도를 이루며 흔들리게 한다.
이와 같은 가동수단(130)의 결합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제2지지각들(122a,122b)과 상기 제3,제4측판들(114a,114b)에 상기 작동봉(132)의 양단 절곡부가 관통될 수 있는 결합구멍(118,128)들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구멍(118,128)들에 작동봉(132)의 절곡부를 관통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작동봉(132)의 양단 절곡부부에는 외주면으로 나선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제2지지각들(122a,122b)과 제3,제4측판들(114a,114b)의 외측에서 캡핑너트(Capping nut)(126)로 나사 체결함에 의해 침대조립체(110)가 지지각조립체(120)로부터 회전될 수 있 게 결합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흔들리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는 상기 침대조립체(110)가 가동수단(130)에 의해 지지각조립체(120)에 흔들리게 결합됨에 의해 도 4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각도로 흔들릴 수 있다. 이는 유아를 편안하고 안정 상태로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지지각조립체(120)로부터 침대조립체(110)가 가동수단(130)에 흔들릴 때에는 상기 가동수단(130)의 작동봉(132)이 좌우 양단부에서 소정 간격을 이루며 설치됨에 의해 안정적으로 침대조립체(110)를 흔들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를 구성하기 위한 각 구성부품들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도 5d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에 구비되는 침대조립체를 이루는 각 구성부품들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제1,제2측판들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b와 도 5c는 제3,제4측판들에 대한 정면과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d는 받침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a에 나타낸 제1,제2측판들(112a,112b)은 유아용 침대를 구성시 전면판과 후면판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창살 모양으로 이루어진 장방 형상이다. 즉, 내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부재들과 수평부재들로 구성되어 유아용 침대를 구성시 유아가 침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수직부재들의 사이를 통해 유아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역할도 한다.
도 5b와 도 5c에 나타낸 제3,제4측판들(114a,114b)은 유아용 침대를 구성시 좌우 양측면판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제2측판들(112a,112b)과 함께 사각형 테두리를 이루게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하기 위해 상기 제3,제4측판들(114a,114b)에는 상기 제1,제2측판들(112a,112b)의 양단부에 결합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하기 위한 관통공(115)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3,제4측판들(114a,114b)의 하단부는 상기 작동봉(132)의 어느 일측단부가 결합되어 흔들릴 수 있는 구성을 갖도록 상기 제1,제2측판들(112a,112b)의 하부로 돌출되게 구성하여 그 돌출되는 부위에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게 결합구멍(118)을 형성하여 상기 작동봉(132)의 어느 일단부를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3,제4측판들(114a,114b)의 외주면은 외미관을 형상시켜 고급스러움을 갖도록 하기 위해 소정 곡면을 이루며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3,제4측판들(114a,114b)의 하단면은 수평면을 이루게 구성함이 좋다. 이는 상기 침대조립체(110)를 지지각조립체(120)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침대조립체(110)만을 지면에 세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흔들리지 않는 통상의 유아용 침대로서 만도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5d에 나타낸 받침판(116)은 상기 제1~제4측판들(112a~114b)에 의해 사각형 테두리를 이루는 하측을 막도록 설치되어 그 내부에 매트(미도시)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상부만이 개구되는 유아용 침대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받침판(116)은 판체로 이루어짐이 좋고, 소정 부위에는 장공(116a)들을 형성하여 받침판(116)의 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중량을 절감시키고 재질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a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에 구비되는 지지각조립체를 이루는 각 구성부품들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6a와 도 6b는 제1,제2지지각들에 대한 정면과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c는 고정바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a와 도 6b에 나타낸 상기 제1,제2지지각들(122a,122b)은 지면에 세워지게 설치되는 소정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하측을 폭이 넓은 제1수평바(123a) 그리고 상측은 폭이 좁은 제2수평바(123b)를 일정간격을 이루게 설치하여 상기 제1,제2수평바(123a,123b)를 수직바(123c)로서 고정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수평바(123a)의 하단에는 바퀴(126)들이 더 설치됨이 좋고, 상기 제2수평바(123b)에는 상기 작동봉(132)의 어느 일측단부가 결합되어 침대조립체(110)를 흔들릴 수 있게 하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게 결합구멍(128)을 형성하여 상기 작동봉(132)의 어느 일단부를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제1,제2지지각들(122a,122b)을 지면에 세워 설치하기 위해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바(124)를 상기 제1,제2지지각들(122a,122b)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한다. 이러한 고정바(124)를 상기 제1,제2지지각들(122a,122b)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함에 의해 상기 제1,제2지지각들(122a,122b)을 지면에 수직 상태로 세워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지지각조립체(120)와 상기 침대조립체(110)를 각각 조립한 상태에서 작동봉(132)의 어느 일단은 침대조립체(110)의 제3,제4측판들(114a,114b)에 회전되게 결합하고, 작동봉(132)의 다른 일단은 지지각조립체(120) 의 제1,제2지지각들(122a,122b)에 회전되게 결합하여 침대조립체(110)를 요동되게 한다. 이때, 상기 작동봉(132)은 좌우측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한 쌍씩 설치하여 안정적인 요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에 의해, 유아를 편안하고 안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유아용 침대를 요동되게 하여 사용하다 요동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상기 작동봉(132)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각조립체(120)로부터 침대조립체(11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일반적인 유아용 침대로 활용 가능하다. 즉, 침대조립체(110)를 이루는 상기 제3,제4측판들(114a,114b)의 저면이 수평면을 이룸에 의해 상기 침대조립체(110)만을 분리한 후에도 지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대는 요동기능 및 통상의 유아용 침대로 소비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편한 조립에 의해 요동될 수 있는 유아용 침대를 구비하여 유아가 편안하고 안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대향 설치된 제1,제2측판들과 상기 제1,제2측판들의 사이에 양측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제2측판들과 함께 사각형 테두리를 이루며 하단부는 상기 제1,제2측판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3,제4측판들과 상기 제1~제4측판들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공간을 막도록 설치되어 매트를 안착할 수 있게 한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침대조립체;
    상기 침대조립체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제3,제4측판들의 내측으로 인접되어 바닥과 접하며 수직하게 설치된 제1,제2지지각들과 상기 제1,제2지지각들을 일체로 연결하기 위한 고정바로 이루어진 지지각조립체; 및
    상기 지지각조립체와 상기 침대조립체의 사이에 좌우 양측으로 위치되게 결합해서 상기 침대조립체를 소정 각도로 흔들릴 수 있게 상기 제1,제2지지각들과 제3,제4측판들에 결합구멍들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구멍들에 삽입 결합되는 절곡부를 양측단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 형성한 작동봉으로 이루어진 가동수단을 포함하는 유아용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조립체를 지지각조립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침대조립체 만을 별도로 바닥에 세울 수 있게 상기 제3,제4측판들의 하단면은 바닥에 세워질 수 있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의 절곡부에는 외주면으로 나선부를 형성하며 상기 나선부에 캡핑너트(capping nut)로 나사 체결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지지각들의 하단에는 바퀴들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KR2020050028704U 2005-10-07 2005-10-07 유아용 침대 KR200405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704U KR200405635Y1 (ko) 2005-10-07 2005-10-07 유아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704U KR200405635Y1 (ko) 2005-10-07 2005-10-07 유아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635Y1 true KR200405635Y1 (ko) 2006-01-11

Family

ID=4175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704U KR200405635Y1 (ko) 2005-10-07 2005-10-07 유아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6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22846A1 (en) * 2021-04-07 2022-10-13 Dezhu Ou Rocking mechanism and a crib with a rocking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22846A1 (en) * 2021-04-07 2022-10-13 Dezhu Ou Rocking mechanism and a crib with a rocking mech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635Y1 (ko) 유아용 침대
US7020914B2 (en) Swing type baby bed
US20030042776A1 (en) Swing chair assembly with a table unit
KR101270470B1 (ko) 그네
JP2022133377A (ja) 組み立て式ロフトベッド
KR20030087870A (ko) 침대용 프레임
JP2012139483A (ja) プレイヤード
KR200367622Y1 (ko) 침대용 프레임
RU196393U1 (ru) Модуль сборной мебели
KR20140103449A (ko) 침대 또는 의자로 변형할 수 있는 가구
KR200242170Y1 (ko) 침대용 프레임
WO2018003367A1 (ja) サイドレール付きベッド
JP2003159285A (ja) 寝台における床部の揺動構造
KR20080000963U (ko) 에어매트리스를 구비한 야전침대구조
KR100412288B1 (ko) 침대용 프레임
JP2881375B2 (ja) ベビーベッド
CN113226121B (zh) 床框架
JP4578616B2 (ja) テーブル
KR20150102458A (ko) 다기능 복합 가구
KR101739057B1 (ko) 이동식 유아용 요람
JP3214436U (ja) 添寝用ベビーベッド
KR100669486B1 (ko) 다목적 사다리 겸용 간이의자
RU2804838C2 (ru) Рама кровати
JP4764122B2 (ja)
KR200419103Y1 (ko) 수납장이 구비된 아기용 안전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