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057B1 - 이동식 유아용 요람 - Google Patents

이동식 유아용 요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057B1
KR101739057B1 KR1020150033259A KR20150033259A KR101739057B1 KR 101739057 B1 KR101739057 B1 KR 101739057B1 KR 1020150033259 A KR1020150033259 A KR 1020150033259A KR 20150033259 A KR20150033259 A KR 20150033259A KR 101739057 B1 KR101739057 B1 KR 101739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ixing
ring
base member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225A (ko
Inventor
신유현
신규철
Original Assignee
신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유현 filed Critical 신유현
Priority to KR102015003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057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47D9/04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with disconnectable roc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22Hammocks; Hammock sprea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9/00Nets for protection against insects in connection with chairs or beds; Bed canopies
    • A47C29/006Mosquito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조립이 용이하여 외부에서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함과 아울러, 보호자가 보행을 하면서 밀고 다닐 수 있도록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영유아가 안치되는 베이스 패드에 대한 시소운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되어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기 및 벌레 등과 같은 해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아가 안치되는 바닥면을 가지는 침구수단과, 상기 침구수단을 지면에서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식 유아용 요람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수단은, 하부에 공회전 바퀴가 배치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직립하여 설치되도록 체결되는 고정지주들을 포함하며; 상기 침구수단은, 유아가 안치되는 바닥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지주에 분리결합되되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식 유아용 요람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유아용 요람{A roving type cradle of baby}
본 발명은, 영유아가 누워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된 요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 조립이 용이하여 외부에서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함과 아울러, 보호자가 보행을 하면서 밀고 다닐 수 있도록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영유아가 안치되는 베이스 패드에 대한 시소운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되어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기 및 벌레 등과 같은 해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이동식 유아용 요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아나 유아는 신체 근육이 충분히 발달 되지 않고 뼈가 충분히 굳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생활의 대부분을 누워서 보내거나 수면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영유아가 휴식 및 수면을 취하는 공간의 확보가 중요하며, 특히, 외부의 충격과 해충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지는 유아용 침대나 베개, 요람 포대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영유아용으로 사용되는 있는 요람은, 매트리스 또는 쿠션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져 영유아의 신체와 접촉하는 바닥 부재를 가짐에 따라, 영유아에게 인가되는 충격과 열의 손실을 최소로 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바닥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들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30289호(명칭: 유아 침구)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기공을 가지는 바닥쿠션을 포함하여 이 바닥쿠션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눕혀지거나 수직으로 세워지는 단변 측 및 장변 측의 측벽쿠션을 가지며, 이들 쿠션들은 각각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개봉부를 가지는 면직물로 짜여 진 시트에 의해 덮어 씌워져 있고, 측벽쿠션의 시트 저 면에는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보강 띠가 봉제 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쿠션에 씌워진 시트의 모서리 부분에는 보조지퍼를 갖는 삼각천이 봉제 됨과 동시에 그 상단부에 결속 끈들이 봉제 되어 상기 측벽쿠션들을 바닥쿠션의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눕혀지거나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쿠션의 모서리 부분에 주머니가 봉제 되어 십자형으로 교차하여 반구형으로 휘어짐이 자유로운 탄성 폴대의 끝단부가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탄성 폴대의 교차부분에는 모빌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리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유아침구가 기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영아나 유아들의 건강을 지키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잠자리가 보다 편안하고 보관이 매우 용이하며 흥미 유발 및 시각발달에 기여하고 모기나 벌레 등의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16917호(명칭: 음성인식에 따른 자동 구동의 기능을 갖는 전동 침대 요람)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바닥에 대하여 접촉되게 전후 양측에 각각 설치된 바퀴와, 상기 바퀴들을 전동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지지 간 받침대와, 상기 지지 간 받침대와 연동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 되는 침대 요람으로 이루어진 전동 침대 요람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일 측으로부터 침대 요람의 등받이부 위쪽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크가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진 침대 요람이 기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아기가 울면 그 음성을 인식하여 일정 시간 동안 침대 요람이 전동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아기에게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제공하여 결국 울음을 멈추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88680호(명칭: 그네 기능을 갖는 요람)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양측의 지지판에 하측 횡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축과 상측 횡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 연결축과 양측 종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4 및 제5 연결축 및 상기 제3 연결축과 제4 및 제5 연결축을 연결 결합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외 측 틀 체와, 상기 외측틀체의 내측으로 결합 구성되고 유동연결축에 의해 상기 고정편에 연결되어 스윙(swing)이 되는 요람용 침대와, 상기 외측틀체의 지지판은 밑면을 좌,우로 스윙이 되도록 곡면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외측틀체의 제1 및 제2 연결축에 유니트 박스를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유니트 박스에는 모터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모터에는 모터 축으로써 구동 풀리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 풀리와 벨트로써 연결되는 회전 풀리 원판을 풀리 축으로 설치하며, 상기 회전 풀리 원판에는 상기 풀리 축과 편심 되게 크랭크 편심 축을 설치하고 상기 크랭크 편심 축의 선단에는 크랭크 연결 축을 직각 방향으로 유동 되게 연결 결합하며 상기 크랭크연결축의 선단에는 회전축을 직각 방향으로 유동 되게 연결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제1 작동 레버와 제2 작동 레버를 연결 결합하되, 상기 제1 작동 레버는 선단 부가 외 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외측 절곡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작동 레버는 선단 부가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내측 절곡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작동 레버의 외측 절곡 연결부의 절곡 부에 제1 고정 축을 유동 되게 축설 하고 선단 부에는 제1 지지 롤러를 결합하며, 상기 제2 작동 레버의 내측 절곡 연결부의 절곡 부에 제2 고정 축을 유동 되게 축설 하고 선단 부에는 제2 지지 롤러를 결합하여 구성된 요람이 기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요람용 침대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밑면을 좌,우로 스윙(swing)이 되도록 곡면(曲面)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지지판은 항시 중심점으로 복귀하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모터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작은 구동력으로도 2개의 작동 레버를 통해 그네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영유아용 요람들은, 휴대성이 떨어져 야외로 운반하는 것이 불편하여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야외에서 보호자가 보행을 하면서 밀고 다니기가 힘들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야외에서 해충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함과 동시에 시소운동을 영유아에서 제공하면서 사용상의 효율성과 휴대성을 구현할 수 없어, 영유아의 야외활동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 조립이 용이하여 외부에서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함과 아울러, 보호자가 보행을 하면서 밀고 다닐 수 있도록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영유아가 안치되는 베이스 패드에 대한 시소운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되어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기 및 벌레 등과 같은 해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영유아에게 야외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공간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이동식 유아용 요람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유아용 요람은, 유아가 안치되는 바닥면을 가지는 침구수단과, 상기 침구수단을 지면에서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식 유아용 요람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수단은, 하부에 공회전 바퀴가 배치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직립하여 설치되도록 체결되는 고정지주들을 포함하며; 상기 침구수단은, 유아가 안치되는 바닥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지주에 분리결합되되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고정수단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지주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수용 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 요부에 수용된 상기 고정지주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볼트 체결되어 분리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침구수단에서, 상기 바닥 부재는 직물로 이루어지며, 양단 내부에 봉 형상의 심 재가 구비되어, 양단부가 접혀지지 않도록 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지주에 볼트체결되는 고리에 연결 고정되는 다수의 연결 줄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침구수단에서, 상기 바닥 부재의 외곽 면에는, 개 구가 개폐되도록 형성된 돔 형상의 방충망의 하단이 봉제 되어 결합 되며, 상기 방충망의 양단은 상기 바닥 부재의 양단 모서리 부에 분리결합되는 반원형의 지지 관들에 의해 상부가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이동식 유아용 요람은, 상기한 고정수단과 침구수단의 각 부분들이 분리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하고 야외에서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의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공회전 바퀴에 의해 보호자가 보행을 하면서 간편하게 밀고 다닐 수 있도록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확보된다.
또한, 영유아가 안치되는 침구수단이 상기 고정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고정됨에 따라, 시소운동을 구현할 수 있어 영유아에게 흥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침구수단을 구성하는 방충망을 통해 모기 및 벌레 등과 같은 해충으로부터 영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영유아가 보호자와 함께 야외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공간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유아용 요람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유아용 요람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유아용 요람에 적용되는 고정 수단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유아용 요람에 적용되는 바닥 부재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유아용 요람에 적용되는 고정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유아용 요람에 적용되는 침구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유아용 요람에 적용되는 지지 관의 조립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유아용 요람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유아용 요람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유아용 요람(1)은, 유아가 안치되는 바닥면을 가지는 침구수단(2)과, 상기 침구수단(2)을 지면에서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3)을 가진다.
이에 따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3)을 통해 상기 침구수단(2)을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고정할 수 있어, 야외에서 바닥을 통해 침구수단(2)으로 침투하는 각종 유해환경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
즉, 야생 쥐, 들개, 오염수 등과 같은 악 조건이 상기 침구수단(2)에 오염 및 손상을 주어 영유아에게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영유아를 야외에서 안전하게 돌볼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유아용 요람(1)에서, 상기한 고정수단(3)은, 하부에 공회전 바퀴(311)가 배치된 베이스 부재(31)와, 상기 베이스 부재(31)에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직립하여 설치되며 분리조립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고정지주(31)들을 가진다.
즉, 상기 베이스 부재(31)에 상기 고정 지주(32)들이 상기 침구수단(2)이 위치되는 공간을 확보하면서 직립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31)의 하부에 구비된 공회전 바퀴(311)에 의해 보호자가 보행을 하면서 간편하게 밀고 다닐 수 있도록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에서, 베이스 부재(31)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지주(32)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수용 요부(312)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 요부(312)에 수용된 상기 고정지주(32)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31)와 볼트 체결되어 분리 결합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휴대 운반시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31)와 상기 고정지주(32)들을 분리하여 그 부피를 줄인 후, 별도의 차량 및 수납케이스에 수용하여 운반하고, 야외에서 필요 시, 상기 베이스 부재(31)의 수용 요부(312)에 상기 고정지주(32)의 하단을 수용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고정지주(32)들의 사이에 상기 침구수단(2)이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하면, 야외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요람을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 부재(31)는, '관(pipe, 管)' 형상의 봉이 길이 방향성을 가지며 하부에 상기 바퀴(311)가 구비된 '링(ring)' 형상의 링 체(313)와, 상기 링 체(313)의 저면 중앙에서 상기 수용 요부(312)를 구성하는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하게 가로지르면서 고정되는 한 쌍의 가로 봉(3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31)의 부피 및 무게를 구조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 운반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고정지주(32)의 하단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 봉(314)의 사이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용 요부(312)에 끼움 결합 되어 수용되며, 상기 가로 봉(314)과 상기 고정지주(32)를 관통하면서 볼트가 체결되어 분리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주(32)의 하단부는, 직립 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성을 가진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 'ㄴ'자 형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외 측 방향으로 절곡 된 부위가 상기 가로 봉(314)들의 사이 간격으로 진압하면서 수용 결합 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유아용 요람(1)에서, 상기 침구수단(2)은, 유아가 안치되는 바닥 부재(21)와, 상기 바닥 부재(21)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지주(32)에 분리결합되되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22)를 가진다.
즉, 상기 고정부재(22)를 통해 상기 고정지주(32)에 상기 바닥 부재(21)를 소정의 높이로 고정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영유아가 안치되는 상기 바닥 부재(21)가 상기 고정지주(3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고정됨에 따라, 시소운동을 구현할 수 있어 영유아에게 흥미를 부여하게 된다.
상기에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 부재(21)는 내부에 솜이 충진 된 직물로 이루어지며, 양단 내부에 봉 형상의 심 재(211)가 구비되어, 양단부가 접혀지지 않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 부재(21)가 무단으로 접혀져 안치된 영유아의 점유공간이 축소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영유아의 활동공간이 구조적으로 확보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부재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이 상기 고정지주(32)에 볼트 체결되는 고리(221)와, 일단이 상기 고리(221)에 연결 고정되는 다수의 연결 줄(22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리(221)와 연결 줄(222)을 통해 상기 바닥 부재(21)가 시소 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지주(32)에 결합 된다.
상기에서, 연결 줄(222)들의 단 부들은, 상기 고리(221)에 고리 결합 된 클립 부재(223)에 고리결합하는 결합 링(224)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 줄(222)을 간편하게 상기 고리(221)에 분리결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고정지주(32)에는 수직 상으로 그 높이를 다르게 하면서 배열형성되며 고리(221)가 볼트 체결되는 다수의 고정 공(321)들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바닥 부재(21)의 높이를 선택하여 원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유아용 요람(1)에서, 일단은 상기 연결 줄(222)의 일단이 고정되며, 타 단은 상기 바닥 부재(2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직물재질로 이루어진 보조 편(212)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 줄(222)과 상기 바닥 부재(21)를 연결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편(212)에 유아용품 등과 소품을 비치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유아용 요람(1)에서, 상기 바닥 부재(21)의 외곽 면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 구가 개폐되도록 형성된 돔 형상의 방충망(213)의 하단이 봉제 되어 결합 되며, 상기 방충망(213)의 양단은 상기 바닥 부재(21)의 양단 모서리 부에 분리결합되는 반원형의 지지 관(214)들에 의해 상부가 지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방충망(213)을 통해 모기 및 벌레 등과 같은 해충으로부터 영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바닥 부재(21)의 모서리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 측 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 링(215)에 고리 결합 된 고정고리(216)를 가지며, 상기 고정고리(216)에는 외 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지지 관(214)의 종단이 수용되어 끼움 결합하는 결합 돌기(217)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 부재(21)에 상기 방충망(213)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관(214)이 간편하게 끼움 방식으로 분리 결합하게 되어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이동식 유아용 요람은, 각각의 구성들이 분리조립되어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영유아가 보호자와 함께 야외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공간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1 : 요람 2 : 침구수단
21 : 바닥 부재 211 : 심 재
212 : 보조 편 213 : 방충망
214 : 지지 관 215 : 결합 링
216 : 고정고리 217 : 결합 돌기
22 : 고정 부재 221 : 고리
222 : 연결 줄 223 : 클립 부재
224 : 결합 링 3 : 고정수단
31 : 베이스 부재 311 : 바퀴
312 : 수용 요부 313 : 링 체
314 : 가로 봉 32 : 고정지주
321 : 고정 공

Claims (4)

  1. 유아가 안치되는 바닥면을 가지는 침구수단과, 상기 침구수단을 지면에서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고정수단은 하부에 공회전 바퀴가 배치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직립하여 설치되도록 체결되는 고정지주들을 포함하고, 상기 침구수단은 유아가 안치되는 바닥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지주에 분리결합되되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식 유아용 요람에 있어서;
    상기한 침구수단의 상기 바닥 부재는 직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 부재의 양단 내부에는 봉 형상의 심재가 구비되어, 양단부가 접혀지지 않도록 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지주에 볼트체결되는 고리에 연결 고정되는 다수의 연결 줄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 줄의 단부는, 상기 고리에 고리 결합 된 클립부재에 고리결합하는 결합 링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지주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수용 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 요부에 수용된 상기 고정지주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볼트 체결되어 분리 결합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한 베이스 부재는, 관 형상의 봉이 길이 방향성을 가지며 하부에 상기 바퀴가 구비된 링 형상의 링 체와, 상기 링 체의 저면 중앙에서 상기 수용 요부를 구성하는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하게 가로지르면서 고정되는 한 쌍의 가로 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지주의 하단은 직립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성을 가진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ㄴ'자 형성으로서, 상기 가로 봉의 사이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용 요부에 끼움 결합하도록 수용되며, 상기 가로 봉과 상기 고정지주를 관통하면서 볼트 체결되어 분리 결합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지주에 상기 바닥 부재를 소정의 높이로 고정하면서 영유아가 안치되는 상기 바닥 부재가 상기 고정지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고정됨에 따라, 시소운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아용 요람.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침구수단에서,
    상기 바닥 부재의 외곽 면에는 개구가 개폐되도록 형성된 돔 형상의 방충망의 하단이 봉제 되어 결합 되며,
    상기 방충망의 양단은 상기 바닥 부재의 양단 모서리 부에 분리결합되는 반원형의 지지 관들에 의해 상부가 지지 되도록 형성하되;
    외측 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 링에 고리 결합 된 고정고리를 가지며, 상기 고정고리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지지 관의 종단이 수용되어 끼움 결합하는 결합 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아용 요람.
KR1020150033259A 2015-03-10 2015-03-10 이동식 유아용 요람 KR101739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259A KR101739057B1 (ko) 2015-03-10 2015-03-10 이동식 유아용 요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259A KR101739057B1 (ko) 2015-03-10 2015-03-10 이동식 유아용 요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25A KR20160109225A (ko) 2016-09-21
KR101739057B1 true KR101739057B1 (ko) 2017-05-23

Family

ID=5707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259A KR101739057B1 (ko) 2015-03-10 2015-03-10 이동식 유아용 요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6272A (en) * 2020-05-07 2021-12-29 Nini Baby Ltd A hammock assembly and a cot incorporating such an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9507A (ja) * 2006-02-09 2007-08-23 Suminoe Textile Co Ltd 意思伝達情報を表現したフロアマット及びこの着脱方法
KR100930289B1 (ko) * 2009-03-12 2009-12-09 김재원 유아 침구
KR101316361B1 (ko) * 2013-05-23 2013-10-08 진중곤 조립식 해먹 시스템
KR200474388Y1 (ko) * 2013-09-13 2014-10-31 이국순 조립식 해먹 스탠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9507A (ja) * 2006-02-09 2007-08-23 Suminoe Textile Co Ltd 意思伝達情報を表現したフロアマット及びこの着脱方法
KR100930289B1 (ko) * 2009-03-12 2009-12-09 김재원 유아 침구
KR101316361B1 (ko) * 2013-05-23 2013-10-08 진중곤 조립식 해먹 시스템
KR200474388Y1 (ko) * 2013-09-13 2014-10-31 이국순 조립식 해먹 스탠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25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9214B2 (ja) 玩具取付けシステム及び方法
US6862757B2 (en) Infant and pet co-sleeper apparatus
US6357462B1 (en) Portable playpen
US9776098B2 (en) Pillow with toy attachment system
US7367068B2 (en) Overhead supported hammock bed
US9796403B2 (en) Shopping cart liner with toy attachment system
US20080060128A1 (en) Free-Standing Hanging Infant Baskette
CN206518374U (zh) 可重构儿童容纳系统
US3018493A (en) Baby bed play pen
US9204733B2 (en) Child's walking and jumping device
JP2013510619A5 (ko)
US20090007337A1 (en) Portable cushion and bumper device
US20110163520A1 (en) Stroller liner with toy attachment system
EP1741366A2 (en) Collapsible structures adapted for child use
US20140194031A1 (en) Activity center
JPH0155004B2 (ko)
CN101862091A (zh) 可转换的摇篮
US9706854B1 (en) Multi-use baby crib
KR101739057B1 (ko) 이동식 유아용 요람
CN105848529A (zh) 婴儿床和摇篮睡眠系统
US20190076749A1 (en) Convertible TeePee Gym and Play Mat
US20120117726A1 (en) Convertible crib cover
GB2539221A (en) A portable bassinet
US20060075555A1 (en) Transitional baby crib bumper
JP2004283196A (ja) スイング式乳児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