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003Y1 -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 - Google Patents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003Y1
KR200405003Y1 KR2020050023413U KR20050023413U KR200405003Y1 KR 200405003 Y1 KR200405003 Y1 KR 200405003Y1 KR 2020050023413 U KR2020050023413 U KR 2020050023413U KR 20050023413 U KR20050023413 U KR 20050023413U KR 200405003 Y1 KR200405003 Y1 KR 200405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ed
lever
pull rod
chain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진농
Original Assignee
레진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진농 filed Critical 레진농
Priority to KR2020050023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0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0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6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converting a lying surface into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을 개량한 것으로, 베드체어 (bed-chair), 체인휠(chainwheel), 로킹부(locking unit), 스토핑부(stopping unit)와 연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킹부의 샤프트 레버(shaft lever)의 일단은 토미 바(tommy bar)에 고정되거나 오른쪽 브레이크 핸들(right brake handle)의 오른쪽 브레이크 와이어(right brake wire)에 의해 토미 바의 밑바닥 부분에 고정되고 타단은 체인휠의 로케이션 홀(location hole)에 삽입되어 있으며, 한편 상기 스토핑부의 L형 풀 로드(pull rod)의 단면은 왼쪽 브레이크 핸들(left brake handle)의 왼쪽 브레이크 와이어(left brake wire)에 의해 L형 풀 로드에 고정된 채 체인휠의 래치(ratch)에 맞물려서 체인휠이 단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체인휠이 의자의 등받이(chair back)를 회전하도록 할 경우 드라이빙 레버는 동시에 작동하게 되어 팔로워 레버(follower lever)와 조인트 레버(joint lever)를 움직이게 하고 의자의 등받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해서 의자의 등받이와 발판(foot pad)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오르고 내리게 함으로써, 의자의 등받이를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조절하려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의자의 등받이를 받쳐들고 다른 한 손으로 토미 바(아니면 오른쪽 브레이크 핸들을 잡고)나 L형 풀 로드(아니면 왼쪽 브레이크 핸들을 잡고)를 이끌어서 베드체어의 각도를 수시로 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니까 조작이 편리하고 병상 및 휠체어의 기능도 모두 갖춰진 것이다.
베드체어, 병상, 휠체어

Description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Improved Two-way Control Structure as Sickbed and Wheelchair}
도 1은 본 고안의 입체분해도이다.
도 1A는 로킹부의 평면설명도이다.
도 1B는 체인휠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입체조립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체인휠 부위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로킹부의 로킹 상태하의 예시도이다.
도 3C는 로킹부의 브레이크 상태하의 예시도이다.
도 4A는 베드체어의 누워 있는 상태하의 예시도이다.
도 4B는 베드체어의 앉아 있는 상태하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드체어 11:등받이 12: 시트(seat)
13: 발판 14: 호형 지지대
2: 체인휠 21: 로케이션 홀 22: 래치
211: 로어 익스트림(lower extreme)
212: 어퍼 익스트림(upper extreme)
3: 로킹부 31: 아우터 슬리브(outer sleeve)
32: 샤프트 레버 321: 외주연 33: 스프링부
34: 토미 바(tommy bar)
4: 스토핑부 41: 슬리브(sleeve) 42: L형 풀 로드(L shaped pull rod)
43: 토오션 스프링(torsion spring)
5: 연동부 51: 드라이빙 레버(driving lever)
52: 팔로워 레버 53: 조인트 레버
10: 왼쪽 핸들(left handle) 20: 오른쪽 핸들(right handle)
101: 왼쪽 브레이크 핸들 201: 오른쪽 브레이크 핸들
102: 왼쪽 브레이크 와이어 202: 오른쪽 브레이크 와이어
30: 릴레이 포지션 베이스(relay position base)
본 발명은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에 대한 개량에 관한 것으로, 의자의 등받이와 발판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오르고 내릴 수 있으며, 의자의 등받이를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조절하려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의자의 등받이를 받쳐들고 다른 한 손으로 토미 바(아니면 오른쪽 브레이크 핸들을 잡고)나 L형 풀 로드(아니면 왼쪽 브레이크 핸들을 잡고)를 잡고서 베드체어의 각도를 수시로 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니까 조작이 편리하고 병상 및 휠체어의 기능도 모두 갖춰진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환자를 위한 기구는 병상이나 휠체어 등 2가지가 있지만 이들 2가지의 기구는 서로 독립적이고 함께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환자의 몸을 깨끗하게 씻으려면 사전에 휠체어로 환자를 목욕탕에 보내고 목욕장소에 앉혀 주어야 한다. 환자의 몸을 깨끗하게 씻은 다음 휠체어에 앉혀 주고 병실에 보내주어야 한다. 이런 식이면 간호자에게 많은 부담을 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결함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고안자는 마음을 집중시켜 연구를 하고 기능을 큰 폭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기구을 개량해서 개발해 냈다.
본 발명은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을 개량한 것으로서, 로킹부의 샤프트 레버의 일단은 토미 바에 고정되거나 오른쪽 브레이크 핸들의 오른쪽 브레이크 와이어에 의해 토미 바의 밑바닥 부분에 고정되고, 타단은 체인휠의 로케이션 홀에 삽입되어 있다. 한편 스토핑부의 L형 풀 로드의 수직 단면은 왼쪽 브레이크 핸들의 왼쪽 브레이크 와이어에 의해 L형 풀 로드에 고정된 채 체인휠의 래치에 맞물리며, 왼쪽 브레이크 핸들을 통해 L형 풀 로드가 체인휠을 이탈하도록 해서 체인휠이 단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체인휠이 의자의 등받이를 회전하도록 할 경우 드라이빙 레버는 동시에 작동하게 되어 팔로워 레버와 조인트 레버를 움직이게 하고 의자의 등받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해서 의자의 등받이와 발판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오르고 내리게 함으로써, 의자의 등받이를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조절하려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의자의 등받이를 받쳐들고 다른 한 손으로 토미 바나 L형 풀 로드를 잡거나 오른쪽 브레이크 핸들이나 왼쪽 브레이크 핸들을 잡고 베드체어의 각도를 수시로 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니까 조작이 편리하고 병상 및 휠체어의 기능도 모두 갖춰진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조를 알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베드체어(1), 체인휠(2), 로킹부(3), 스토핑부(4), 의자의 등받이(11)와 발판(13)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오르고 내리도록 하는 연동부(5)로 구성되어 있다.
반원형의 체인휠(2)은 베드체어의 등받이(1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체인휠(2)의 표면에 로케이션 홀(21)이 구비되어 있다. 각 로케이션 홀(21)은 높은 것부터 낮은 것까지의 순으로 경사 배열해서(도 1B 참조) 로킹부(3)의 샤프트 레버(32)가 로케이션 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킹부(3)는 베드체어의 시트(12)의 측판을 관통한 채 그 측판에 고정된 아우터 슬리브(31), 상기 아우터 슬리브(31)의 내부에 끼워진 채 그 일단이 토미 바(34)에 고정된 샤프트 레버(32), 토미 바(34) 및 아우터 슬리브(31)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부(33)로 구성되어 있다(도 1A 참조). 상기 샤프트 레버(32)는 상기 스프링부(33)를 감은 채 그 외주연(321)이 돌출되도록 외부로 적당히 뻗어 있다. 상기 샤프트 레버(32)의 타단은 체인휠(2)의 로케이션 홀(21)에 삽입된 채 체인휠 의 로케이션 홀(21)의 경사 각도에 따라 체인휠이 회전하도록 할 때 그 경사 각도에 따라 샤프트 레버(32)를 낮춰 스프링부(33)를 좀 압축하도록 해서 샤프트 레버(32)를 고정시키는 상태이다.
상기 스토핑부(4)에 있어서는 사전에 베드체어(1)의 시트의 크로스 바(cross bar)(121)에 슬리브(41)를 끼워 놓고 있다. 상기 슬리브(41)에는 위로 향하는 수직방향의 L형 풀 로드(42)가 구비되어 있고, 크로스 바(121)에는 토오션 스프링(43)가 따로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토오션 스프링(43)의 타단은 L형 풀 로드(42)에 걸려 있다. 상기 L형 풀 로드(42)의 수직 단면은 체인휠(2)의 래치(22)에 맞물려서 체인휠(2)을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상기 연동부(5)는 체인휠(2)에 구비된 드라이빙 레버(51), 발판(13)의 측면에 고정된 팔로워 레버(52), 상기 드라이빙 레버 및 팔로워 레버 사이에 설치된 조인트 레버(53)를 포함한다. 상기 체인휠(2)이 의자의 등받이(11)를 회전하도록 할 경우 상기 드라이빙 레버(51)는 동시에 작동하게 되어 팔로워 레버(52)와 조인트 레버(53)를 움직이게 하고 발판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 작동방식은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의 등받이(11)를 위쪽으로 조절하려면 사전에 토미 바(34)를 밖으로 밀어 샤프트 레버(32)가 스프링부(33)를 압축하도록 해서 상기 샤프트 레버가 체인휠의 로케이션 홀(21)을 이탈하게 된다. 이 때는 사용자가 의자의 등받이(11)를 위쪽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인휠의 래치(22)는 L형 풀 로드(42)상에 단일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것으로 L형 풀 로드(42)의 저지에 의해 의자의 등받이(11)를 위쪽으로만 오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L형 풀 로드는 로어 익스트림(lower extreme)에서 어퍼 익스트림(upper extreme)으로 이동하는데 상기 어퍼 익스트림의 저지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발판(13)은 연동부의 드라이빙 레버(51)와 팔로워 레버(52)에 의해 아래쪽으로 내리게 된다. 소망 위치에 도달하면 샤프트 레버(32)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 체인휠(2)의 로케이션 홀(21)에 삽입되도록 토미 바(34)를 놓아서 의자의 등받이(11)와 발판(13)이 확고히 고정되도록 한다(도 3B와 도 4A 참조).
사용자가 의자의 등받이(11)를 아래쪽으로 조절하려면 사전에 L형 풀 로드(42)를 아래로 잡아 당겨 L형 풀 로드(42)가 토오션 스프링(43)을 적당히 잡아 끌고 체인휠(2)을 이탈하도록 해야 한다. 이 때는 사용자가 의자의 등받이(11)를 아래쪽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체인휠(2)이 회전할 때 상기 체인휠의 로케이션 홀(21)에 고정된 샤프트 레버(32)는 로케이션 홀(21)의 경사 각도에 따라(로어 익스트림(211)에서 어퍼 익스트림(212)으로 이동하는데 상기 어퍼 익스트림의 저지로 반대방향으로 돌아가지 못한다.) 샤프트 레버(32)를 적당히 낮춰 스프링부(33)를 좀 압축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 레버(32)를 고정시켜 놓은 상태이다. 그래서 의자의 등받이가 빠르게 내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는 발판(13)은 연동부의 드라이빙 레버(51)와 팔로워 레버(52)에 의해 위쪽으로 오르게 된다. 소요된 위치에 도달하면 L형 풀 로드(42)가 토오션 스프링(43)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L형 풀 로드(42)를 놓아서 의자의 등받이와 발판이 착실히 고정되도록 한다(도 3C와 도 4B 참조).
의자의 등받이(11)가 위쪽으로 오를 때 L형 풀 로드(42)가 체인휠의 래치(22)의 로어 익스트림에서 어퍼 익스트림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체인휠(2)은 단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반면 체인휠(2)의 어퍼 익스트림의 저지로 반대 방향으로 내릴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의자의 등받이(11)의 각도를 조절할 때 부주의로 손을 놓아도 의자의 등받이가 빠르게 내려가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의자의 등받이(11)를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조절하려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의자의 등받이(11)를 받쳐들고 다른 한 손으로 토미 바(34)나 L형 풀 로드(42)를 잡고서 베드체어(1)의 각도를 수시로 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니까 조작이 편리하고 병상 및 휠체어의 기능도 모두 갖춰진 것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드체어(1)의 왼쪽 핸들(10)과 오른쪽 핸들(20)에는 왼쪽 브레이크 핸들(101)과 오른쪽 브레이크 핸들(201)이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왼쪽 브레이크 와이어(102)와 오른쪽 브레이크 와이어(202)는 릴레이 포지션 베이스(30;relay position base)의 제한으로 각각 상기 L형 풀 로드(42)의 전단과 토미 바(34)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는데 왼쪽 브레이크 핸들(101)을 잡아 L형 풀 로드(42)를 움직이게 하고 오른쪽 브레이크 핸들(201)을 잡아 토미 바(34)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L형 풀 로드(42)와 토미 바(34)의 제어와 조작이 더 편리하게 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드체어(1)의 바닥 부분에 양측의 뒤쪽에서 앞쪽까지 호형 지지대(14)를 고정시켜 놓아서 양측을 튼튼하게 받쳐 주는 장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호형 지지대(14) 사이를 거쳐 변기를 직접적으로 밀어 놓 아 변기가 시트(12)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몸을 이동할 필요 없이 대변이나 소변을 볼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베드체어, 반원형의 체인휠, 로킹부, 스토핑부, 의자의 등받이와 연동부를 포함하는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로서,
    상기 체인휠의 표면에 로케이션 홀이 구비되어 있고, 각 로케이션 홀은 높은 것부터 낮은 것까지의 순으로 경사 배열되어 있어서 로킹부의 샤프트 레버가 로케이션 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로킹부는 베드체어의 시트의 측판을 관통한 채 그 측판에 고정된 아우터 슬리브, 상기 아우터 슬리브의 내부에 끼워진 채 그 일단이 토미 바에 고정된 샤프트 레버, 토미 바 및 아우터 슬리브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 레버는 상기 스프링부(33)를 감은 채 그 외주연이 돌출되도록 외부로 뻗어 있고, 상기 샤프트 레버의 타단은 체인휠의 로케이션 홀에 삽입된 채 체인휠의 로케이션 홀의 경사 각도에 따라 샤프트 레버를 낮춰 스프링부를 상기 로케이션 홀에서 빠져나올 만큼 압축하도록 하며;
    상기 스토핑부에 있어서는 베드체어의 시트의 크로스 바에 슬리브가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슬리브에는 위로 향하는 수직방향의 L형 풀 로드가 구비되어 있고, 크로스 바에는 토오션 스프링이 따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토오션 스프링의 타단은 L형 풀 로드에 걸려 있고 상기 L형 풀 로드의 수직 단면은 체인휠의 래치에 맞물려서 체인휠을 단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연동부는 체인휠에 구비된 드라이빙 레버, 발판의 측면에 고정된 팔로워 레버, 상기 드라이빙 레버 및 팔로워 레버 사이에 설치된 조인트 레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체인휠이 발판을 회전하도록 할 경우 상기 드라이빙 레버는 동시에 작동하게 되어 팔로워 레버와 조인트 레버를 움직이게 하고 의자의 등받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조작이 편리하고 병상 및 휠체어의 기능도 모두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휠은 베드체어의 등받이의 옆에 고정되고 상기 연동부의 팔로워 레버는 베드체어의 발판의 옆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팔로워 레버와 체인휠의 드라이버 레버는 동일 측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체어의 왼쪽 핸들과 오른쪽 핸들에는 왼쪽 브레이크 핸들과 오른쪽 브레이크 핸들이 각각 고정되어 있고;
    왼쪽 브레이크 와이어와 오른쪽 브레이크 와이어는 릴레이 포지션 베이스의 제한으로 각각 상기 L형 풀 로드의 전단과 토미 바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왼쪽 브레이크 핸들을 잡아 L형 풀 로드를 움직이게 하고 오른쪽 브레이크 핸들을 잡아 토미 바를 움직이게 할 수 있는 것으로;
    L형 풀 로드와 토미 바의 제어와 조작이 더 편리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체어의 바닥 부분에 양측의 뒤쪽에서 앞쪽까지 호형 지지대를 고정시켜 놓고 상기 호형 지지대 사이를 거쳐 변기를 직접적으로 밀어 놓아 변기가 시트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
KR2020050023413U 2005-08-12 2005-08-12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 KR200405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413U KR200405003Y1 (ko) 2005-08-12 2005-08-12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413U KR200405003Y1 (ko) 2005-08-12 2005-08-12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003Y1 true KR200405003Y1 (ko) 2006-01-11

Family

ID=4175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413U KR200405003Y1 (ko) 2005-08-12 2005-08-12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0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4629B2 (en) Multifunctional bed
US7003820B1 (en) Supportive device for handicapped people
JP5966161B1 (ja) アームレストロック機構とそれを有する合体ベッド
US5201087A (en) Patient presentation
US10098799B2 (en) Electric wheelchair
US8403420B2 (en) Reversible footrest
JP2000175974A (ja) 多機能ベッド
KR200405003Y1 (ko) 병상 및 휠체어 겸용 제어 기구
CN110013400B (zh) 多功能护理床
JP4730859B1 (ja) 車椅子
US3095235A (en) Hydraulically operated bed chair
US20070095618A1 (en) Structure to operate and to dismantle/assemble dual-use sickbed and wheel chair
JP2015192847A (ja) 移動式トイレ装置
CN111904746B (zh) 一种便于病人呕吐的病床
JPH11318997A (ja) 多機能ベッド
JPS6159734B2 (ko)
AU603430B2 (en) Maternity bed and chair combination
KR100893189B1 (ko) 탈부착형 이동식 들것
JP4787378B1 (ja) 車椅子
JPH05176957A (ja) ベッド嵌合用の車椅子
KR20200002852U (ko) 간병인이 용이하게 환자를 케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
JP3069731U (ja) 側部格子部材を備えたベッド
US20110289680A1 (en) Furniture for Adjustment into a Standing Up Assistance Position
JP6051196B2 (ja) 要介護者のためのレントゲン撮影用補助イス
JPH05176959A (ja) 車椅子嵌合式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