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796Y1 -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796Y1
KR200404796Y1 KR20-2005-0028366U KR20050028366U KR200404796Y1 KR 200404796 Y1 KR200404796 Y1 KR 200404796Y1 KR 20050028366 U KR20050028366 U KR 20050028366U KR 200404796 Y1 KR200404796 Y1 KR 200404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projection display
projector
image
backligh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준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5-0028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7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a) 복수의 타일(11a 내지 11n, 통합하여 "10")이 배열된 스크린(100); (b) 상기 복수의 타일(11) 각각에 조각난 이미지를 투사하는, 상기 타일의 개수에 대응되는 프로젝터(21a 내지 21n, 통합하여 "21")와, 상기 프로젝터(21)의 자유도를 조절하는 스테이지(22a, 내지 22n, 통합하여 "22")로 구성된, 이미지 투사 유닛(200); (c) 조각난 이미지를 상기 프로젝터(21) 각각에 제공하는, 상기 프로젝터(21)의 개수에 대응되는 슬레이브(31a 내지 31n, 통합하여 "31")와, 원본 소스 이미지를 조각내어 이것을 상기 슬레이브(31)에 제공하는 마스터(32)로 구성된, 이미지 분배유닛(300); 및 (d) 상기 타일(11)의 코너에 배치된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retro-reflective film)(400)을 포함한다. 역광필름(400)이 상기 타일(11)의 코너에 배치될 경우, 역광필름(400)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카메라(500a 내지 500n, 통합하여 "500")가 상기 프로젝터(21) 각각에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일(11)과 이에 대응되는 프로젝터(21)의 정렬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성취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TILED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본 고안은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투사된 이미지 상에서의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의 상대적 위치 결정에 의해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정렬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성취하도록 하는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일 디스플레이(tiled display)"라 함은, 복수의 독립된 타일을 포함하며, 상기 타일의 각각에는 조각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조각난 이미지가 통합되어 하나의 완전한 이미지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말한다.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tiled projection display)"라 함은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타일에 상기 조각난 이미지를 투사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말한다. 타일 디스플레이 또는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미국특허 제6,005,649호, 제6,271,825호, 미국특허 제6,414,661호, 미국특허 제6,469,830호 및 미국특허 제5,838,405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도 1은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a) 복수의 타일(11a 내지 11n, 통합하여 "10")이 배열된 스크린(100);
(b) 상기 복수의 타일(11) 각각에 조각난 이미지를 투사하는, 상기 타일의 개수에 대응되는 프로젝터(21a 내지 21n, 통합하여 "21")와, 상기 프로젝터(21)의 자유도를 조절하는 스테이지(22a, 내지 22n, 통합하여 "22")로 구성된, 이미지 투사 유닛(200); 및
(c) 조각난 이미지를 상기 프로젝터(21) 각각에 제공하는, 상기 프로젝터(21)의 개수에 대응되는 슬레이브(31a 내지 31n, 통합하여 "31")와, 원본 소스 이미지를 조각내어 이것을 상기 슬레이브(31)에 제공하는 마스터(32)로 구성된, 이미지 분배유닛(300).
이러한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은 비용으로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다수의 관중을 대상으로 하는 옥외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각난 이미지의 조합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를 완성하기 때문에, 이미지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미지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각각의 프로젝터(21)로부터 각각의 타일(11)에 투사되는 조각난 이미지(41a, 41b, 통합하여 "41")는 서로 중첩된다. 다시 말해, 조각난 이미지(41)의 조합에 의해 원본 소스 이미지가 형성될 때, 이웃한 두개의 조각난 이미지 사이에 오버랩되는 영역(A)이 존재한다. 이미지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이웃한 조각난 이미지를 서로 중첩시키고 있으나, 이것은 부차적인 문제이다. 이미지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프로젝터(21)에 의해 투사된 조각난 이미지들(41)이 완벽한 하모니를 이루면서 상기 스크린(100)에 하나의 완전한 소스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투사유닛(200)과 스크린(100) 사이의 정렬, 구체적으로 프로젝터(21)와 타일(22) 사이의 정렬이 특히 중요하다.
상기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타일(11)과 프로젝터(21) 사이의 정렬을 수행하기 위해, 이미지 캡처링 및 캡처링된 이미지의 분해를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이미지 캡처링 및 캡처링된 이미지의 분해에 의해 정렬은 정밀도가 낮고, 고가의 카메라를 요구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로젝터(21)는 6개의 자유도를 갖는다: x, y, z, 틸트(tilt), 피치(pitch), 요(yaw). n개의 프로젝터(21)는 6n개의 자유도를 가질 것이다. 이것은 각각의 타일(11)을 조합하여 하나의 하모니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6n개의 자유도를 조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타일(11)과 프로젝터(21)가 각각 4×7의 배열을 갖는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6×28=168개의 자유도를 갖는다. 이것은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렬이 결코 쉬운 작업이 아니고, 고도의 작업을 요함을 말해준다. 따라서, 타일(11)과 프로젝터(21) 사이의 정렬을 용이하게 성취할 수 있는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은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용화에 중요한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믿어진다.
본 고안자들은 본 연구에서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정렬을 간편하고,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자들은 이미지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렬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획기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것은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용화에 기여한다.
본 고안은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a) 복수의 타일이 배열된 스크린; (b) 상기 복수의 타일 각각에 조각난 이미지를 투사하는, 상기 타일의 개수에 대응되는 프로젝터와, 상기 프로젝터의 자유도를 조절하는 스테이지로 구성된, 이미지 투사 유닛; (c) 조각난 이미지를 상기 프로젝터 각각에 제공하는, 상기 프로젝터의 개수에 대응되는 슬레이브와, 원본 소스 이미지를 조각내어 이것을 상기 슬레이브에 제공하는 마스터로 구성된, 이미지 분배유닛; 및 (d) 상기 타일의 코너에 배치된,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retro-reflective film)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역광필름이 상기 타일의 코너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 때, 역광필름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카메라가 상기 프로젝터 각각에 구비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a) 복수의 타일(11a 내지 11n, 통합하여 "10")이 배열된 스크린(100); (b) 상기 복수의 타일(11) 각각에 조각난 이미지를 투사하는, 상기 타일의 개수에 대응되는 프로젝터(21a 내지 21n, 통합하여 "21")와, 상기 프로젝터(21)의 자유도를 조절하는 스테이지(22a, 내지 22n, 통합하여 "22")로 구성된, 이미지 투사 유닛(200); (c) 조각난 이미지를 상기 프로젝터(21) 각각에 제공하는, 상기 프로젝터(21)의 개수에 대응되는 슬레이브(31a 내지 31n, 통합하여 "31")와, 원본 소스 이미지를 조각내어 이것을 상기 슬레이브(31)에 제공하는 마스터(32)로 구성된, 이미지 분배유닛(300); 및 (d) 상기 타일(11)의 코너에 배치된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retro-reflective film)(400)을 포함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투사된 이미지 상에서의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의 상대적 위치 결정에 의한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렬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타일의 코너 각각에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이 배치된 스크린에 샘플 이미지를 투사하고(S100), 샘플 이미지 상에서의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의 상대적 위치를 측정하고(S200), 측정된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의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이 상기 샘플 이미지의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프로젝터의 자유도를 조절하는 단계(S300)에 의해, 상기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렬이 완료된다.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올바른 정렬은 다음의 요소가 모두 만족되어야 한다: (1) 타일에 투사된 조각난 이미지 각각에 일그러짐(distortion)이 없을 것; (2) 타일에 투사된 조각난 이미지 각각에 기울어짐이 없을 것; (3) 타일에 투사된 조각난 이미지의 중심과 타일의 중심이 일치할 것; (4) 투사된 조각난 이미지들이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질 것(조각난 이미지들의 줌이 동일한 것); 및 (5)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프로젝터(또는 디스플레이)의 자유도의 조정이 순서대로 수행될 수 있을 것.
상기한 요구조건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타일과 상기 타일에 투사된 조각난 이미지 사이의 상대적 거리와, 조각난 이미지의 크기와, 조각난 이미지의 일그러짐을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또한, 상기의 측정에 기초하여 프로젝터의 6개의 자유도를 체계적으로 조절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본 고안에서는 타일의 코너 각각에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이 배치된 스크린을 이용하고, 투사된 이미지 상에서의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렬을 용이하게 성취한다.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의 채용과 상기한 사항들의 합리적 충족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정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정렬되지 아니한 채, 타일(11)에 투사하여 얻어진 초기 샘플 이미지(41)를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11)에 샘플 이미지(41)가 투사된다. 도 4에서 하나의 타일만 제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타일이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샘플 이미지(41)는 해당 타일(11)에 대응되는 프로젝터(도 2의 21)에 의해 투사되는 것이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한 이미지를 오버랩시켜 이미지의 연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타일(11)의 사이즈보다 큰 배율을 갖는 이미지가 투사된다. 이 때, 정렬되지 아니한 프로젝터(도 2의 도면부호 21)에 의해 투사된 샘플 이미지(41)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것이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통상 일그러지고, 기울어지고(tilted), 원하는 배율을 갖지 않고, 중심이 맞지 않은 이미지가 투사될 것이다.
샘플 이미지(41)의 효율적 정렬을 성취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타일(11)의 코너 각각에,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a 내지 400n, 통합하여 "400")가 배치된다. 다시 말해,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렬방법은 코너 각각에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이 배치된 타일(11)을 이용한다. 그리고, 샘플 이미지(41) 상에서의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의 상대적 위치를 측정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렬이 수행된다.
샘플 이미지(41) 상에서의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투사된 샘플 이미지(41)의 스캐닝이 수행된다.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렬방법은 초기 투사된 샘플 이미지(41)의 밝기와 다른 밝기를 갖는 빔을 사용하여, 샘플 이미지(41)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것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샘플 이미지(41)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해, 일정한 밝기를 갖는 샘플 이미지(41)를 최초 투사한 후에, 상기 샘플 이미지의 처음 밝기와 다른 밝기를 갖는 빔이 조사된다. 이 때, 스캐닝은 하나의 픽셀 단위로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라인별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가로 스캔라인과 세로 스캔라인의 조합에 의해 스캐닝이 수행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샘플 이미지에 대한 스캐닝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라인 스캐닝을 보여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편의상, 도 9에서 회색으로 표시하였다)을 갖는 샘플 이미지(41)가 최초 투사된다. 그 후, 상기 샘플 이미지(41)의 동일한 행넘버를 갖는 픽셀, 구체적으로 가로 라인이 모두 화이트를 갖도록 제어하여 가로 스캔라인(61)을 형성한다. 가로 스캔라인(61)을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순차 이동시킨다. 가로 라인 스캐닝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이 상기 샘플 이미지(41)의 몇 번째 행에서 밝기의 변화를 경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샘플 이미지(41)에 대한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의 y 좌표값을 알려준다. 상기 가로라인 스캐닝과 동일하게, 세로 스캔라인(62)를 형성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세로라인 스캐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이 상기 샘플 이미지(41)의 몇 번째 열에서 가장 밝은 값을 갖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샘플 이미지(41)에 대한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의 x 좌표값을 알려준다. 따라서, 각각의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a 내지 400d)의 상기 샘플 이미지(41)에 대한 상대적 위치(또는 좌표값)가 정해진다. 도 4 내지 도 9에서, 상기 라인 스캐닝에 의해 얻어진, 샘플 이미지 상에서의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의 상대적 좌표값을 각각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정렬되지 아니한 샘플 이미지의 투사에 의해 얻어진 도 4에서,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의 좌표값은 다음과 같았다.
- 도 4에서의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의 좌표값
i)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a(106, 71)
ii)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b(158, 653)
iii)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c(878, 4)
iv)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d(930,601).
이 때,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중에서, 광센서를 사용할 경우, 광센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자체적으로 상기 좌표값이 결정된다. 그러나, 광센서의 사용은 전기적 연결이 때때로 곤란하고, 경제적 부담을 야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역광필름(retro-reflective filim)을 사용하는 것이다. 역광필름을 사용할 경우, 역광필름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로 채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500a 내지 500n, 통합하여 "500")가 추가로 구비된다. 다만, 이 때 구비되는 카메라(500)는 프로젝터(21)에 의해 투사된 광 중에서 반사된 광의 양을 정성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면 족하다. 다시 말해, 라인 스캐닝을 수행하는 동안에, 역광필름이 위치한 열 또는 행에서는 반사광량이 높을 것이고, 따라서 상기 카메라(500)로 많은 광이 입사될 것이다. 이에 반해, 역광필름을 포함하지 아니하는 열 또는 행에서는 반사광량이 낮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500)는 이러한 반사광량의 변화를 정성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면 족하다.
상기 스캐닝에 의해, 결정된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의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프로젝터(도 1의 도면부호 21)의 자유도가 적절히 조절되며, 이러한 절차를 거쳐, 상기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궁극적으로는 타일(11)}이 상기 샘플 이미지(41)의 정위치에 배치된다.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을 상기 샘플 이미지(41)의 정위치에 배치하는 순서는 피치와 요의 조절 → 틸트의 조절 → z의 조절 → x와 y의 조절의 순서로 순차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의 6개의 자유도 중에서 피치와 요를 조절하여, 투사된 샘플 이미지의 마주보는 두변의 길이가 서로 같도록 하고, 프로젝터의 6개의 자유도 중에서 틸트를 조절하여, 샘플 이미지와 타일이 서로 평행하도록 하고, 프로젝터의 6개의 자유도 중에서 z를 조절하여, 상기 샘플 이미지의 배율을 정해진 원하는 배율로 조절하고, 프로젝터의 6개의 자유도 중에서 나머지 2개의 자유도, x 및 y를 조절하여, 샘플 이미지의 중심과 타일의 중심을 일치하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을 상기 샘플 이미지(41)의 정위치에 배치하는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a, 400b, 400c 및 400d)의 좌표값으로부터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 사이의 이격거리를 계산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6개의 자유도 중에서 피치와 요를 조절하여,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a와 400c사이의 이격거리와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b와 400d의 이격거리, 그리고,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a와 400b사이의 이격거리와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c와 400d 사이의 이격거리가 서로 동일하도록 한다. 이것은 샘플 이미지(41)의 마주보는 두변의 길이를 서로 동일하게 한다. 이것은 피치와 요를 미세하게 조절하면서, 재조정된 샘플 이미지(41) 상에서의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의 상대적 좌표값을 재확인하는 절차에 의해 성취되며, 샘플 이미지(41)에 대한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의 상대적 좌표값의 결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5는 도 4의 샘플 이미지(41)에 대하여 피치와 요의 조절이 완료된 후, 타일(11) 상에 투사된 샘플 이미지(41)를 보여준다.
피치와 요의 조절에 의해 샘플 이미지(41)의 마주보는 두변의 길이를 서로 동일하게 설정한 후, 6개의 자유도 중에서 틸트를 조절하여, 샘플 이미지(41)를 타일(11)과 평행하게 조절한다. 이러한 절차는, 틸트를 미세하게 조절하면서, 재조정된 샘플 이미지(41)에 대한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a의 y 좌표값과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c의 y 좌표값을 확인하고, 이것을 서로 동일하게 하면 된다. 도 6은 도 5의 샘플 이미지(41)에 대하여 틸트의 조절이 완료된 후, 타일(11) 상에 투사된 샘플 이미지(41)를 보여준다. 틸트의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샘플 이미지(41)는 직사각형을 갖게 된다.
틸트의 조절이 완료된 후, 프로젝터(도 1의 도면부호 21)의 자유도 중에서 z의 조절에 의해 타일(11)과 프로젝터(도 1의 도면부호 21)의 거리가 조절된다. 이러한 절차는, z를 미세하게 조절하면서, 상기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a와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c 사이의 거리, 또는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a와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b 사이의 이격거리를 확인하고, 이것을 원하는 배율에서의 이격거리와 일치하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샘플 이미지(41)의 가로 해상도가 1000이고, 이것이 1.1배의 비율로 타일(11)에 투사되기를 원한다고 가정하자. 이럴 경우, 코너에 배치된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a와 400c 사이의 이격거리가 900을 만족하면 되므로,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a의 x 좌표값과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c의 x 좌표값의 차이가 900을 나타내면 될 것이다. 따라서, z를 미세하게 조절하면서, 상기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 400a의 x 좌표값과 400c의 x 좌표값의 차이를 확인하여, 그 차가 900이 되도록 z를 조정하면 된다. 도 7은 도 6의 샘플 이미지에 대하여 z의 조절이 완료된 후, 타일(11) 상에 투사된 샘플 이미지(41)를 보여준다.
피치, 요, 틸트 및 z의 조절이 완료된 후, 이제 평행이동을 통해 샘플 이미지(41)의 중심과 타일(11)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하면 된다. 이것은 6개의 자유도 중 남은 두개의 자유도, 즉 x와 y의 조절에 의해 행해진다. x와 y의 조절을 통해,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400)의 좌표값을 원하는 정위치의 좌표값을 갖도록 조절하면 프로젝터(도 1의 도면부호 21)에 의해 투사된 샘플 이미지(41)의 중심과 타일(11)의 중심이 일치하게 된다. 도 8은 도 7의 샘플 이미지(41)에 대하여 z의 조절이 완료된 후, 타일(11) 상에 투사된 샘플 이미지(41)를 보여준다. 이것에 의해, 타일(11)에 대한 프로젝터(21)의 상대적 정렬이 완료된다. 상기한 6개의 자유도(피치, 요, 틸트, z, x, y)의 조절에 의한 정렬은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프로젝터(도 1의 도면부호 21)에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렬이 완벽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투사된 이미지 상에서의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의 상대적 위치 결정에 의해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렬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간편하고, 정확하고, 신속한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광센서 대신에 역광필름을 사용할 경우, 역광필름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구체적으로는 카메라)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지만, 이 때, 추가되는 카메라는 프로젝터에 의해 투사된 광 중에서 반사된 광의 양을 정성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면 족하다. 따라서, 역광필름의 사용은 전기적 연결이 불필요하고 경제성을 증가시킨다.
도 1은 종래의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프로젝터의 6개의 자유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정렬되지 아니한 채, 타일에 투사하여 얻어진 초기 샘플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으로서, 도 4의 샘플 이미지에 대하여 프로젝터의 6개의 자유도 중에서 피치와 요의 조절이 완료된 후, 타일 상에 투사된 샘플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으로서, 도 5의 샘플 이미지에 대하여 프로젝터의 6개의 자유도 중에서 틸트의 조절이 완료된 후, 타일 상에 투사된 샘플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으로서, 도 6의 샘플 이미지에 대하여 프로젝터의 6개의 자유도 중에서 z의 조절이 완료된 후, 타일 상에 투사된 샘플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으로서, 도 7의 샘플 이미지에 대하여 프로젝터의 6개의 자유도 중에서 나머지 2개의 자유도, x와 y의 조절이 완료된 후, 타일 상에 투사된 샘플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9는 샘플 이미지에 대한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샘플 이미지의 스캐닝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라인 스캐닝의 구체예를 보여준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타일과 프로젝터 사이의 정렬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Claims (2)

  1. (a) 복수의 타일이 배열된 스크린;
    (b) 상기 복수의 타일 각각에 조각난 이미지를 투사하는, 상기 타일의 개수에 대응되는 프로젝터와, 상기 프로젝터의 자유도를 조절하는 스테이지로 구성된, 이미지 투사 유닛;
    (c) 조각난 이미지를 상기 프로젝터 각각에 제공하는, 상기 프로젝터의 개수에 대응되는 슬레이브와, 원본 소스 이미지를 조각내어 이것을 상기 슬레이브에 제공하는 마스터로 구성된, 이미지 분배유닛; 및,
    (d) 상기 타일의 코너에 배치된 광센서 또는 역광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의 코너에 역광필름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각각의 타일에 투사된 광 중에서 상기 역광필름에 의해 반사된 광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카메라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5-0028366U 2005-10-05 2005-10-05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04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366U KR200404796Y1 (ko) 2005-10-05 2005-10-05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366U KR200404796Y1 (ko) 2005-10-05 2005-10-05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796Y1 true KR200404796Y1 (ko) 2005-12-28

Family

ID=4929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366U KR200404796Y1 (ko) 2005-10-05 2005-10-05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7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3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adjusting projector pose with six degrees of freedom for image alignment
US6932480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projector, program,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3129245B2 (ja) 撮像装置
US8797388B2 (en) Mounting accuracy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apparatus using the inspection method
US7643061B2 (en) Scintillation meas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scintillation measuring device
TWI484283B (zh) 影像計算量測方法、影像計算量測裝置及影像檢查裝置
US20150138240A1 (en) Projection image display system, projection image display method, and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JP5335614B2 (ja) 欠陥画素アドレス検出方法並びに検出装置
TW557354B (en) Lens inspection equipment and inspection sheet
JP2007071769A (ja) モアレ縞を用いたずれ、パタ−ンの回転、ゆがみ、位置ずれ検出方法
JP4411588B2 (ja) 欠陥検査装置
CN112885289B (zh) 一种显示屏的校准方法及设备
KR20010113515A (ko) 광축 경사 각도 검출 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화상 측정 장치
US7834996B2 (en)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404796Y1 (ko) 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212939A (ja) 位置ずれ検査方法、プログラム及び位置ずれ検査装置
JPH0618231A (ja) 2個の部品の相対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光学的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CN102829956B (zh) 图像检测方法,图像检测装置以及图像检查装置
JP2005274272A (ja) ラインセンサカメラ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外観検査装置
KR100686647B1 (ko) 투사된 이미지 상에서의 광센서의 상대적 위치 결정에 의한타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정렬방법
JP201122883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H11234706A (ja) テレビカメラ映像調整装置
JP2005249946A (ja) 表示装置の欠陥検査装置
KR100768122B1 (ko) 패널 상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0643248B1 (ko) 표시패널의 검사방법과 표시패널의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