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719Y1 - 슬라이더와 러그스토퍼식 작물 주간간격 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더와 러그스토퍼식 작물 주간간격 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719Y1
KR200403719Y1 KR20-2005-0028121U KR20050028121U KR200403719Y1 KR 200403719 Y1 KR200403719 Y1 KR 200403719Y1 KR 20050028121 U KR20050028121 U KR 20050028121U KR 200403719 Y1 KR200403719 Y1 KR 200403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ultivation
lug
roller
cultivation g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유섭
김동억
김현환
김종구
김성기
이동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05-0028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7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7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2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travelling on a belt or the like, or conveyed by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액재배를 위한 작물 주간간격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작물의 정식단계에서 수확단계까지 그 주간간격을 연속적으로 자동 조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치 좌우에 수개의 롤러가 장착된 지지대위에 슬라이더가 위치하고 재배홈통이 슬라이더 위에서 전/후진할 때 양쪽 슬라이더 근처에 성장단계에 간격이 다르게 설치된 러그스토퍼가 장착된 회전바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 회전바에 부착된 러그스토퍼가 재배홈통의 전진을 막거나 후진을 막음으로써 재배홈통의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회전바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전/후진과 러그스토퍼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의 조합에 의해 작물의 주간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엽채류 등의 재배지의 시설면적의 활용 효율 및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노동력 및 경비를 절감하면서도 단위면적당 재배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더와 러그스토퍼식 작물 주간간격 자동조절장치{Slider and Lug Stopper Type Auto-controller for Row-Spacing Plants}
본 고안은 온실에서 재배되는 엽채류 등의 정식단계에서 수확단계에 걸쳐 그 생육 정도에 맞게 주간(株間)간격을 연속적으로 자동 조절할 수 있는 작물 주간간격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치 좌우에 수개의 롤러가 장착된 지지대 위에 슬라이더가 위치하고 재배홈통이 슬라이더 위에서 전/후진할 때, 양쪽 슬라이더 근처에 성장단계와 주간단계에 맞게 설치된 러그스토퍼가 장착된 회전바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 회전바에 부착된 러그스토퍼가 재배홈통의 전진을 막거나 후진을 막음으로써 주간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회전바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양액재배(養液栽倍, nutriculture)는 무토양재배를 원칙으로 하며 NFT(nutrient film technique)나 담액수경(湛掖水耕), 분무경(噴霧耕), 모관수경(毛管水耕)등과 같은 수경(水耕)재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토양재배와 비교하여 단기간에 많은 작물을 수확할 수 있고 단위 면적당 수확률이 높으며 주위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는 장점이 있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이 고형배지(固形培地)를 이용하는 것이며, 30%정도는 담액수경재배 방식을 취한 것인데, 오이, 토마토, 방울 토마토, 고추 등의 과채류와 상추, 미나리, 잎파, 들깨 등의 엽채류, 장미, 국화, 카네이션 등의 화훼류 등의 작물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엽채류 등은 그 종류에 따라 주간(株間)과 조간(條間)이 다르므로 재식판(栽植版)은 주간간격의 조절이 필요하다. 즉, 재식판에 작물이 정식된 후 생장함에 따라 작물이 차지하는 점유면적도 증가하기 때문에 작물의 생장상태에 따라 주간 간격의 조절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공압 실린더와 캠의 조합에 의해 작물 재식판을 이송하여 작물의 생장속도에 맞는 주간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 및 유지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컨베이어와 다수의 스프로켓 및 러그(lug) 등을 이용하여 재식판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나, 주간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러그가 성장 초기에 재식판이 서로 밀착되는 것을 방해하여 오히려 생장 초기의 면적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의 선행 발명인 출원번호 10-1998-0050771도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해결한 것으로서, 이송 돌기가 부착된 컨베이어 벨트와 스프로켓을 활용한 구동장치를 조합하여 생장초기와 생장후반부의 이송속도를 달리하여 주간간격을 조절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유지하는 동시에 작물의 성장단계에 따라 재식판의 간격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하여 단위 면적당 수확량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주간 간격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는 그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양액 재배시 작물의 생장상태에 따라 생장초기에는 재식판 또는 재배홈통을 밀착하여 배치하고 생장시기가 지남에 따라 주간간격이 자동으로 점차 넓어지도록 구성하여 면적이용률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제작과 설치가 용이한 양액배재를 위한 작물주간간격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면에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재배홈통(110)과,
반입근접센서(101), 반입정지센서(102), 반입롤러(112) 및 반입롤러 구동장치(103)를 포함하여 길이방향 일단부에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상기 재배홈통을 반입하는 재배홈통 반입장치(105)와,
재배홈통 분리장치(405), 반출근접센서(301), 반출정지센서(302), 반출롤러(303) 및 반출롤러 구동장치(306)를 포함하여 길이방향 타단부에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상기 재배홈통을 반출하는 재배홈통 반출장치(305)와,
상기 반입장치(105) 측에서 상기 반출장치(305) 측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의 좌/우측에 수개의 슬라이더 지지 롤러(203)가 장착된 슬라이더 지지대(201)위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대(201)의 일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근접센서(204a, 204b)에 의해 감지되도록 대응하는 면에 근접판(207)이 장착된 이송 슬라이더(202)와,
상기 이송 슬라이더를 일체로 슬라이더 구동장치(205)에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부재(208,209)와,
상기 이송 슬라이더 근처에 이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회전바(213)로서 이 회전바의 원주방향으로 상향 돌출된 하나 이상의 러그스토퍼(212)를 상기 회전바의 외주면에 구비하는 한 쌍의 회전바(213)와,
상기 회전바를 각각 회전바 구동장치(206)에 연결하는 회전바 지지대(211a, 211b)와, 상기 반입롤러(112) 및 반출롤러(303)의 구동, 상기 슬라이더(202)의 전/후 이동, 상기 러그 스토퍼(212)가 부착된 회전바(213)의 회동 사이의 상호 연동을 조절하는 제어부(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배홈통 분리장치(405)는, 반출부에 돌출 형성된 지지대(403)에 힌지 고정되는 지지부재(407)와, 이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재배홈통 분리러그(404)와, 타단부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연결부재(402)가 연장형성되고, 이 연결부재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가이드롤러(406)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02)의 상기 반출장치(305)측 일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202)의 전진시에 상기 가이드롤러(406)가 타고 오르는 경사면(401a) 및 평면(401b)과 상기 슬라이더 후진시에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슬라이더 반대편으로 회동 되면서 타고 내려오도록 형성되는 측면 내부 경사면(401c)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재(4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러그 스토퍼(212)는 재배작물의 종류에 따라 그 배치 간격 및 편차가 미리 설정되는 스토퍼로서 상기 슬라이더가 전/후진 할 때, 상기 러그스토퍼가 장착된 회전바(213)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바에 부착된 러그스토퍼가 상기 슬라이더 상부면에 배치된 재배홈통(110)의 전진을 막거나 후진을 막아서 주간간격을 조절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구동장치(205)는 상기 슬라이더를 고정하는 다수의 지지부재(208, 209)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202)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구동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바(213)의 구동장치(206)는 상기 회전바를 고정하는 지지부재(211a, 211b)를 통하여 상기 회전바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복동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러그스토퍼(212)의 길이방향 장착간격은 슬라이더의 전진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간간격 자동조절 장치.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양액재배용 작물 주간(株間)간격 자동조절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더(202)와 러그 스토퍼(212)가 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중앙부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재배홈통 반출부의 재배홈통 분리장치와 반출롤러를 나타낸 것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재배홈통 분리장치의 동작을 슬라이더의 전진과 후진에 따라 나타낸 작동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사용된 센서들과 이에 해당되는 구동장치 간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물이 성장하여 자라게 되는 재식판 또는 재배홈통에는 그 상부면에 파종 및 성장을 위한 다수의 통공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재배홈통은 본 고안에 의해 작물 주간 조절장치의 일단부 측면에서 재배홈통 반입장치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재배홈통 반입장치(105)는, 본 고안에 의한 주간간격 조절장치의 일단부에 형성되는데, 재배홈통(110)을 인식하여 구동모터 등의 구동장치(103)를 동작시키기 위한 반입근접센서(101)와 재배홈통이 상기 반입장치 내로 완전히 수용됨을 감지하여 이송 슬라이더(202)의 구동을 시작하기 위한 반입정지센서(102)와 재배홈통(110)을 반입할 때 그 하부면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한 반입롤러(112) 및 상기 반입롤러 구동용 모터 등의 구동장치(10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 결과, 재배홈통이 반입장치로 투입되면 상기 반입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롤러 구동모터 등의 구동장치(103)를 작동시키며, 재배홈통이 반입 정지센서(102)에 도달하면 이 반입정지센서가 롤러 구동장치(103)를 정지시키며 곧바로 슬라이더 구동실린더 등의 슬라이더 구동장치(205)를 작동시켜 이송 슬라이더(202)가 전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이 슬라이더 위에 놓여있는 재배홈통이 같이 이송되게 된다.
상기 재배홈통 반출장치(305)는, 본 고안에 의한 주간간격 조절장치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재배홈통을 반출하는 장치로서, 특수하게 설계된 재배홈통 분리장치(405), 반출롤러(303), 이송 슬라이더(202)의 반출장치측 도달을 감지하는 반출 근접센서(301), 재배홈통이 완전히 반출되어 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반출정지센서(302), 상기 반출롤러를 구동하는 반출롤러 구동장치(306)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 결과, 이 반출 근접센서가 작동하면 재배홈통이 수확장소로 이동되기 시작하며 재배홈통이 수확장소로 이동되면 반출 정지센서에 의해 반출롤러가 정지된다.
상기 재배홈통 분리장치(405)는,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 슬라이더(202)에 의해 재배홈통(110)이 반출롤러(303)로 완전히 반입된 후에 상기 슬라이더가 약간 후진하게 되는데, 재배홈통이 같이 후진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서, 상기 재배홈통 반출장치(305)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지지대(403)에 힌지 고정되는 'ㄴ'자형 지지부재(407)와, 이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분리될 재배홈통의 후진을 막아주는 재배홈통 분리러그(404)와, 타단부측에 소정의 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연결부재(402)와, 이 연결부재 타단부에 소정의 각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롤러(4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02)의 재배홈통 반출장치(305)측 일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롤러(guide roller, 406)를 유도하여 상기 'ㄴ'자형 지지부재(407)를 상기 슬라이더의 전진과 후진시에 그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롤러 가이드부재(401)가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202)의 전진시에 상기 가이드롤러가 굴러서 타고 오르는 경사면(401a) 및 평면(401b)과, 상기 슬라이더 후진시에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슬라이더 반대편으로 회동 되면서 타고 내려오도록 가이드부재 측면에 형성되는 내부 경사면(401c)을 구비한다. 그 결과, 상기 슬라이더(202)의 단부가 상기 반출롤러측으로 들어갈때에는 상기 'ㄴ'자형 지지부재가 반출장치 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슬라이더가 다시 후진하여 되돌아 올 때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재배홈통 분리러그(404)가 상기 'ㄴ'자형 지지부재(407)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어 분리될 재배홈통이 후진하는 슬라이더를 따라 되돌아 오지 않도록 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 슬라이더의 일단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401)와 상기한 바와 같이 특수하게 설계된 재배홈통 분리장치(405)의 조합을 통하여 반출장치 쪽으로 이송된 후 분리되어야 할 재배홈통은 슬라이더가 후진하더라도 상기 재배홈통 분리러그(404)에 의해 저지되어 다시 되돌아 가지않으므로 그 후의 반출근접센서(301)의 감지 및 반출롤러 구동장치(306)에 의한 반출 롤러(303)의 구동에 의해 수확장소로 보내질 수 있다.
상기 재배홈통을 이동시키는 이송 슬라이더(202)와 재배홈통을 정지시키는 러그 스토퍼(lug stopper, 212)는 하나의 조합으로서, 상기 이송 슬라이더(202)는, 상기 반입장치(105) 측에서 상기 반출장치(305) 측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의 좌/우측에 수개의 슬라이더 지지 롤러(203)가 장착된 슬라이더 지지대(201)위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대(201)의 일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근접센서(204a, 204b)에 의해 감지되도록 이와 대응하는 슬라이더의 내측 일측면에는 근접판(207)이 장착된다.
상기 이송 슬라이더를 일체로 슬라이더 구동장치(205)에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부재(208,209)는 슬라이더 구동장치로부터 슬라이더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여유공간에 맞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구동장치(205)는 상기 슬라이더(202)를 고정하는 다수의 지지부재(208, 209)들의 조합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구동실린더 등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의 구동장치(206)는 상기 회전바(213)를 고정하는 지지부재(211a, 211b)를 통하여 상기 회전바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복동실린더 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구동장치들은 주간 조절장치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 모터나 실린더 타입의 다양한 구동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러그 스토퍼(lug stopper, 212)는, 상기 이송 슬라이더 근처에 이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회전바(213)의 외주면에 상향 돌출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러그 스토퍼는 길이방향으로 무수히 형성되며 그 개수와 간격은 작물의 종류, 성장단계, 및 재배홈통의 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또한, 상기 러그 스토퍼(2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재배작물의 종류에 따라 그 배치 간격 및 편차가 미리 설정되는 스토퍼로서 상기 슬라이더가 전/후진할 때 상기 러그스토퍼가 장착된 회전바(213)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바에 부착된 러그스토퍼(212)가 상기 슬라이더 상부면에 배치된 재배홈통(110)의 전진을 막거나 후진을 막아서 주간간격을 조절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바를 각각 회전바 구동장치(206)에 연결하는 회전바 지지대(211a, 211b)들은 그 내부에서 회전바를 축지지함으로써 이 회전바를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바 전체의 회전을 원할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전체적으로 본 고안에 의한 주간 조절장치의 작동을 통제하는 제어부(104)는 상기 반입롤러(112), 반출롤러(303), 이송 슬라이더(202), 및 상기 러그 스토퍼(212)가 부착된 회전바(213) 등을 구동하는 반입롤러 구동장치(103), 반출롤러 구동장치(306), 슬라이더 구동장치(205) 및 회전바 구동장치(206)의 작동시작과 정지를 상호 조절하여 상기한 재배홈통의 반입, 재배홈통에서 작물이 성장하는 과정동안 슬라이더의 진행 및 정지와 러그 스토퍼가 장착된 회전바의 회동을 상호 조절하여 이 재배홈통 사이의 간격을 점차 증가시키고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과정 및 재배홈통의 반출을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작물 주간간격 자동조절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배홈통이 반입 근접센서(101)에 감지되면 제어부(104)는 그 신호를 받아 반입롤러 구동장치(103)에 전달하여 재배홈통(110)이 반입되기 시작하고 반입이 완료되는 시점을 감지한 반입 정지센서(102)의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면 반입롤러 구동장치(103)의 동작을 멈추게 한 후에 상기 이송 슬라이더 구동장치(205)를 작동시켜 상기 이송 슬라이더(202)의 작동을 시작하여 새로 반입된 재배홈통 내 작물의 성장과정이 시작된다. 이 시점에서는 재배홈통의 간격이 작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재배홈통을 서로 밀착시켜도 무방하다.
이후에 이 슬라이더에 장착되는 근접판(207)이 첫번째 작동근접센서(204a)에 감지되면 이 신호를 받은 제어부(104)는 이송 슬라이더(202)를 멈추게 하고 회전바(213)에 설치된 무수히 많은 러그스토퍼(212)가 재배홈통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위치로 회동하도록 회전바 구동장치(206)를 작동시키며, 그 후에 다시 이송 슬라이더를 재진행시킨다. 그 결과 이미 설정된 러그스토퍼의 간격에 따라 주간간격이 좁은 곳은 곧바로 재배홈통이 정지하며 넓은 곳은 러그스토퍼의 위치까지 진행하다가 정지하게 되어 모든 재배홈통이 각각의 성장환경에 맞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물의 성장 초기에는 재배홈통이 서로 밀착될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고 작물이 재배홈통 외부로 성장하여 외부공간이 필요하게 됨에따라 재배홈통간이 간격이 점점 더 넓어지도록 제어되는데 이를 위한 슬라이더의 이송 및 러그 스토퍼의 회전의 조합이 상기 제어부(104)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러그 스토퍼(212)의 간격은 이 러그 스토퍼가 장착되는 상기 회전바(213)의 원주방향으로는 하나 이상의 러그스토퍼가 장착되고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러그 스토퍼가 장착되며, 상기 러그스토퍼의 상기 회전바의 길이방향으로의 간격은 상기 이송 슬라이더(202)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그 이후에 상기 근접판(207)이 두번째 작동근접센서(204b)에 접하게 되면 회전바 구동장치(206)에 의해 러그스토퍼(212)가 원래의 위치로 회동하여 재배홈통을 놓아주게 되며 다시 이송 슬라이더가 진행함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재배홈통 분리장치(405)와 가이드 부재(401)의 조합에 의해 재배홈통이 반출롤러(303)내로 안착되고 이 때 반출 근접센서(301)가 이를 감지하여 반출롤러 구동장치(306)를 동작시키고 반출이 끝나면 반출정지센서(302)가 이를 감지하여 반출롤러 구동장치의 동작을 멈추게 하는 일련의 과정이 상기 제어부(104)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슬라이더(202) 측에서는 작물의 주간 간격 설정값에 의해 상기 러그스토퍼(212)가 다시 회동하여 세워지고 이송 슬라이더 구동장치(205)가 동작하기 시작하여 이 이송 슬라이더를 재배홈통 진입장치 측까지 원래대로 복귀 시킨 후 정지하게 되고 러그 스토퍼(212)는 다시 원래의 중립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경시적(經時的)으로 계속 반복되면서 주간간격이 성장환경에 따라 점차적으로 자동으로 조절되게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양액재배를 위한 작물주간간격 자동조절장치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유지하는 동시에 작물의 성장단계에 따라 재식판의 간격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하여 엽채류 등의 재배지의 단위 면적당 수확량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엽채류 재배지의 시설면적의 활용 효율을 증가시키고 일정한 장소에서 정식과 수확작업이 가능하여 노동력을 최소화하면서도 경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작물주간간격 조절장치의 전체구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슬라이더, 슬라이더 구동장치, 러그스토퍼, 러그 스토퍼 구동장치 및 회전바의 조합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반출장치와 재배홈통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재배홈통 분리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의 감지 센서와 그에 해당하는 구동장치들 사이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반입 근접센서 102: 반입 정지센서
103: 반입롤러(roller) 구동모터 104: 제어부
105: 재배홈통 반입장치 110: 재배홈통
112: 반입롤러
201: 슬라이더 지지대 202: 이송 슬라이더(slider)
203: 슬라이더 지지 롤러(roller) 204a, 204b: 슬라이더 근접센서
205: 슬라이더 구동장치 206: 회전바 구동장치
207: 근접판 208, 209: 지지부재
211a, 211b: 회전바 지지부재 212: 러그 스토퍼(lug stopper)
213: 회전바(bar)
301: 반출 근접센서(sensor) 302: 반출 정지센서
303: 반출롤러 305: 재배홈통 반출장치
306: 반출롤러 구동모터
401: 가이드(guide) 부재 402: 연결부재
403: 지지대 404: 재배홈통 분리러그
405: 재배홈통 분리장치 406: 가이드 롤러(guide roller)
407: 'ㄴ'자형 지지부재

Claims (7)

  1. 상부면에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재배홈통(110)과,
    반입근접센서(101), 반입정지센서(102), 반입롤러(112) 및 반입롤러 구동장치(103)를 포함하여 길이방향 일단부에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상기 재배홈통을 반입하는 재배홈통 반입장치(105)와,
    재배홈통 분리장치(405), 반출근접센서(301), 반출정지센서(302), 반출롤러(303) 및 반출롤러 구동장치(306)를 포함하여 길이방향 타단부에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상기 재배홈통을 반출하는 재배홈통 반출장치(305)와,
    상기 반입장치(105) 측에서 상기 반출장치(305) 측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의 좌/우측에 수개의 슬라이더 지지 롤러(203)가 장착된 슬라이더 지지대(201)위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대(201)의 일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근접센서(204a, 204b)에 의해 감지되도록 대응하는 면에 근접판(207)이 장착된 이송 슬라이더(202)와,
    상기 이송 슬라이더를 일체로 슬라이더 구동장치(205)에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부재(208,209)와,
    상기 이송 슬라이더 근처에 이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회전바(213)로서 이 회전바의 원주방향으로 상향 돌출된 하나 이상의 러그스토퍼(212)를 상기 회전바의 외주면에 구비하는 한 쌍의 회전바(213)와,
    상기 회전바를 각각 회전바 구동장치(206)에 연결하는 회전바 지지대(211a, 211b)와, 상기 반입롤러(112) 및 반출롤러(303)의 구동, 상기 슬라이더(202)의 전/후 이동, 상기 러그 스토퍼(212)가 부착된 회전바(213)의 회동 사이의 상호 연동을 조절하는 제어부(1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간(株間)간격 자동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홈통 분리장치(405)는,
    반출부에 돌출 형성된 지지대(403)에 힌지 고정되는 지지부재(407)와, 이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재배홈통 분리러그(404)와, 타단부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연결부재(402)가 연장형성되고, 이 연결부재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가이드롤러(406)가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간간격 자동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2)의 상기 반출장치(305)측 일단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202)의 전진시에 상기 가이드롤러가 타고 오르는 경사면(401a) 및 평면(401b)과 상기 슬라이더 후진시에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슬라이더 반대편으로 회동 되면서 타고 내려오도록 형성되는 측면 내부 경사면(401c)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재(4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간간격 자동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 스토퍼(212)는 재배작물의 종류에 따라 그 배치 간격 및 편차가 미리 설정되는 스토퍼로서, 상기 슬라이더가 전/후진 할 때, 상기 러그스토퍼가 장착된 회전바가 회전하여 이 회전바에 부착된 상기 러그스토퍼가 상기 슬라이더 상부면에 배치된 재배홈통의 전진을 막거나 후진을 막아서 주간간격을 조절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간 간격 자동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구동장치(205)는 상기 슬라이더를 고정하는 다수의 지지부재(208, 209)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구동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간간격 자동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의 구동장치(206)는 상기 회전바를 고정하는 지지부재(211a, 211b)를 통하여 상기 회전바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복동실린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간간격 자동조절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스토퍼(212)의 길이방향 장착간격은 슬라이더의 전진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간간격 자동조절 장치.
KR20-2005-0028121U 2005-09-30 2005-09-30 슬라이더와 러그스토퍼식 작물 주간간격 자동조절장치 KR200403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121U KR200403719Y1 (ko) 2005-09-30 2005-09-30 슬라이더와 러그스토퍼식 작물 주간간격 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121U KR200403719Y1 (ko) 2005-09-30 2005-09-30 슬라이더와 러그스토퍼식 작물 주간간격 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719Y1 true KR200403719Y1 (ko) 2005-12-12

Family

ID=4370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121U KR200403719Y1 (ko) 2005-09-30 2005-09-30 슬라이더와 러그스토퍼식 작물 주간간격 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719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298B1 (ko) 2006-02-28 2008-01-08 이강희 이동 재배대의 자동이송장치
KR100796461B1 (ko) 2006-02-13 2008-01-21 서동환 수경재배장치
KR100922284B1 (ko) 2009-02-26 2009-10-15 (주)명성 과실세척기의 이송콘베어
KR101293944B1 (ko) 2011-07-29 2013-08-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공장 시스템
KR101330030B1 (ko) 2011-05-26 2013-11-15 대한민국 다단식 이동 재배시스템
KR102177479B1 (ko) * 2020-09-08 2020-11-11 대영지에스 주식회사 식물 재배 간격 자동조절장치
RU203598U1 (ru) * 2020-07-13 2021-04-13 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Авраменко Универсальный грунтозацеп, применяемый для возведения теплиц
CN114152834A (zh) * 2021-12-15 2022-03-08 合肥市菲力克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变压器生产用安全性能检测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461B1 (ko) 2006-02-13 2008-01-21 서동환 수경재배장치
KR100792298B1 (ko) 2006-02-28 2008-01-08 이강희 이동 재배대의 자동이송장치
KR100922284B1 (ko) 2009-02-26 2009-10-15 (주)명성 과실세척기의 이송콘베어
KR101330030B1 (ko) 2011-05-26 2013-11-15 대한민국 다단식 이동 재배시스템
KR101293944B1 (ko) 2011-07-29 2013-08-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공장 시스템
RU203598U1 (ru) * 2020-07-13 2021-04-13 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Авраменко Универсальный грунтозацеп, применяемый для возведения теплиц
KR102177479B1 (ko) * 2020-09-08 2020-11-11 대영지에스 주식회사 식물 재배 간격 자동조절장치
CN114152834A (zh) * 2021-12-15 2022-03-08 合肥市菲力克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变压器生产用安全性能检测装置
CN114152834B (zh) * 2021-12-15 2024-04-23 合肥市菲力克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变压器生产用安全性能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3719Y1 (ko) 슬라이더와 러그스토퍼식 작물 주간간격 자동조절장치
JP5277379B2 (ja) 移動栽培装置
EP3316675B1 (en) Cultivation system
US20200170201A1 (en) Device for conveying mushrooms
EP3316674B1 (en) Cultivation system
NO138744B (no) Fremgangsmaate til dyrking av planter som enkeltvis gror i et separat dyrkingsbed og apparat til utoevelse av fremgangsmaaten
CN104303699A (zh) 一种穴盘种植叶菜的收获装置及收获方法
JPH0728614B2 (ja) 作物の温室自動栽培装置
EP3826452B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apparatuses therefor
JP5303780B2 (ja) ニンニク等の球根植付け装置
KR20200029229A (ko) 무인 수경 야채 재배용 거터 자동 이송 시스템
JP2002171840A (ja) 水耕苗の定植装置
JP7010326B2 (ja) 移植機
KR20190022232A (ko) 무인 수경 재배용 베드 자동 이송 시스템
JP3257629B2 (ja) 水耕栽培施設のムービングベンチシステム
JP3480279B2 (ja) 水耕栽培施設におけるピッチ漸増式トラフ群搬送装置およびトラフ搬送方法
AU2005100413A4 (en) Harves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leafy vegetables or legumes
JP3256804B2 (ja) 水耕栽培施設のムービングベンチシステムにおける栽培トイ搬送・スペーシング装置
JP2939600B2 (ja) 豆若野菜の刈取収穫装置
JP3086149B2 (ja) 苗栽培用のトレー
JP3755095B2 (ja) ロング苗マットの巻取り装置
JP3219817B2 (ja) 豆若野菜の刈取収穫装置
EP0464075A1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the transport of growth units and the adjustment of their spacing and continuous cultivation method utilizing the same
BR102020003927A2 (pt) sistema automatizado de produção hidropônica
JPH07115810A (ja) 野菜の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