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687Y1 - 탄성을 갖는 안경용 코받침 - Google Patents

탄성을 갖는 안경용 코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687Y1
KR200403687Y1 KR20-2005-0027552U KR20050027552U KR200403687Y1 KR 200403687 Y1 KR200403687 Y1 KR 200403687Y1 KR 20050027552 U KR20050027552 U KR 20050027552U KR 200403687 Y1 KR200403687 Y1 KR 200403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support
elasticity
nose suppor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탁
Original Assignee
이상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탁 filed Critical 이상탁
Priority to KR20-2005-0027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6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6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2Leaf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을 갖는 안경용 코받침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받침의 탄성을 양호하게 하여 착용감을 좋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탄성을 갖는 안경코받침을 구성함에 있어서, 받침부재(200)와 탄성부재(300)를 각각 사출성형하되, 받침부재(200) 배면에는 결합돌봉(230)이 형성된 요입부(210)를 구성하고, 상기 결합돌봉(230)에 탄성부재(300) 양측 단부에 구성된 고정편(330)의 결합공(331)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므로서 받침부재(200) 배면에 탄성부재(300)가 결합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탄성을 갖는 안경용 코받침{EYEGLASSES NOSE PAD WITH ELASTICITY}
본 고안은 탄성을 갖는 안경용 코받침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받침의 탄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안경착용시 코받침의 위치가 유동성있게 조정되게 하므로서 안경의 착용감이 양호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안경용 코받침은 코받침을 구성하는 본체 배면에 연결편을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연결편을 이용하여 코받침을 안경코기둥의 브라켓에 결합되게 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코받침은 코받침 연결을 위한 연결편이 코받침을 구성하는 본체 배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코받침의 유동성의 거의 없게 되므로 착용자의 콧등 부분에 압박감을 주게 될 뿐 아니라 안경 착용시 코받침의 위치조정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24554호로 선등록한 것이 있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콧등에 얹혀지는 받침부재(32)와 코기둥과 결합되는 돌출부(35)로 구성되는 코받침(30)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32)의 배면에 수지재 탄성편(33)을 일체형으로 성형하되 탄성편(33)과 받침부재(32)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발생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코받침(30)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탄성편(33)이 받침부재(32)의 배면에 일체형으로 성형되게 하되, 받침부재(32)의 배면형상이 편평한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탄성편(33)과 받침부재(32) 사이의 공간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다.
다시 설명하면 코받침(30)에 충분한 탄성이 부여되게 하기 위하여서는 탄성편(33)과 받침부재(32)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때 충분한 공간확보를 위하여서는 탄성편(33)의 높이를 그만큼 높게 하여야 하므로 코받침(30)의 측면 형상이 커지게 되고, 측면 형상이 커진 코받침을 코기둥에 결합하여 양측 코받침이 통상적으로 위치하는 코받침 부분에 위치되게 하기 위하여서는 양측 코기둥의 위치가 렌즈쪽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 아니라 렌즈의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코받침(30)에 충분한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탄성편(33)의 높이를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게 되므로 코받침(30) 탄성을 충족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탄성편(33)이 받침부재(32)에 일체형으로 성형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탄성편(33)을 받침부재(32) 성형용 금형에 장착하여 사출성형하는 인서트 성형방식으로 코받침(30)을 제작하게 되므로 크기가 작은 부품을 받침부재(32) 성형용 금형에 장착하기가 까다로울 뿐 아니라 정밀한 성형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코받침의 탄성을 양호하게 하여 코받침의 위치조정을 유동성있게 할 뿐 아니라 안경의 착용감을 좋게 하고 아울러 코받침을 큰 어려움없이 제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탄성을 갖는 코받침을 구성함에 있어서, 받침부재와 탄성부재를 각각 사출성형한 다음 탄성부재를 받침부재 배면에 조립구성되게 하되, 받침부재 배면에는 요입부를 구성하여 탄성부재의 탄성공간을 제공하므로서 코받침의 측면 높이가 일반 코받침의 측면 높이와 동일하게 하더라도 충분한 탄성이 부여되게 하고, 동시에 코받침의 제작시에도 탄성부재와 받침부재를 각각 사출성형한 다음 이들을 간단히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탄성을 갖는 안경용 코받침(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사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의 코받침(100)은 받침부재(200)와 탄성부재(300)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300)가 받침부재(200) 배면에 조립구성되게 한다.
이들의 구조 및 조립수단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받침부재(20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되, 배면 중앙부에 요입부(210)를 구성하므로서 배면 테두리에 돌출부(220)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요입부(210) 상하에는 결합돌봉(230)이 돌출구성되게 한다.
탄성부재(300) 역시 탄성회복율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되, 대체로 얇게 구성된 평판(310) 중앙에 체결공(341)이 뚫린 연결편(340)을 돌출구성하고, 상기 평판(310) 양측 단부에 원호형으로 절곡된 만곡돌부(320)를 구성하고, 만곡돌부(320) 단부에는 결합공(331)이 뚫린 고정편(330)을 구성한다.
이때 고정편(330)의 두께는 대체로 두껍게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평판(310)의 위치는 고정편(330)의 상면보다 윗쪽에 위치되게 하여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조립은 다음과 같다.
먼저 탄성부재(300)를 받침부재(200) 배면 요입부(210)에 위치시켜 탄성부재(300) 양측 단부에 구성된 고정편(330)의 결합공(331)이 받침부재(200)의 결합돌봉(230) 직상부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탄성부재(300)의 고정편(330) 부분을 가볍게 눌러주면 고정편(330)의 결합공(331)에 받침부재(200)의 결합돌봉(230)이 끼워지면서 받침부재(200) 배면에 탄성부재(30)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받침부재(200)의 배면 요입부(210)에 탄성부재(3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5에서와 같이 구성되며 이때 탄성부재(300)에 구성된 고정편(330)에 의해 받침부재(200)와 탄성부재(300) 사이에는 공간부(350)가 확보되고 상기 공간부(350)에 의해 코받침(100)에 필요한 탄성이 부여된다.
미설명부호 (400)은 안경, (410)은 렌즈테, (420)은 코기둥, (430)은 브라켓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6에서와 같이 코받침(100)을 렌즈테(410)에 용착구성된 코기둥(420)의 브라켓(430)에 조립사용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코받침(100)은 탄성부재(300)와 받침부재(200) 사이에 충분한 공간부(350)가 확보되어 코받침(100)의 원만한 탄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코받침(100)의 받침부재(200) 배면에는 요입부(210)가 구성되어 있어 받침부재(200)와 탄성부재(300)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코받침(100)의 측면 높이를 종래 일반 코받침의 높이와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에 전혀 장애가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코받침(100)은 받침부재(200)와 탄성부재(300)를 각각 사출성형한 다음 탄성부재(300)를 받침부재(200) 배면 요입부(210)에 조립하면 되므로 성형과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코받침(100)은 탄성부재(300)의 탄성이 충분하여 안경코기둥(4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탄성부재(300)의 탄성에 의해 안경(400)의 착용감을 좋게 할 뿐 아니라 공간부(350)만큼 유동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콧등형태에 따라 밀착하여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탄성을 갖는 안경용 코받침을 구성함에 있어서, 받침부재와 탄성부재로 각각 사출성형하여 탄성부재를 받침부재 배면에 조립구성하되, 받침부재 배면에 요입부를 구성하여 충분한 탄성공간을 확보케 하므로서 코받침의 효과적인 유동성 및 탄성을 갖게 할 뿐 아니라 착용감이 양호한 안경코받침을 제공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배면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4 : 본 고안을 분해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5 : 도 4의 조립구성도
도 6 :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7 : 종래 코받침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코받침 (200)--받침부재
(210)--요입부 (220)--돌출부
(230)--결합돌봉 (300)--탄성부재
(310)--평판 (320)--만곡돌부
(330)--고정편 (331)--결합공
(340)--연결편 (341)--체결공

Claims (1)

  1. 탄성을 갖는 안경코받침을 구성함에 있어서, 받침부재(200)와 탄성부재(300)를 각각 사출성형하되, 받침부재(200) 배면에는 결합돌봉(230)이 형성된 요입부(210)를 구성하고, 상기 결합돌봉(230)에 탄성부재(300) 양측 단부에 구성된 고정편(330)의 결합공(331)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므로서 받침부재(200) 배면에 탄성부재(300)가 결합구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을 갖는 안경용 코받침.
KR20-2005-0027552U 2005-09-26 2005-09-26 탄성을 갖는 안경용 코받침 KR200403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552U KR200403687Y1 (ko) 2005-09-26 2005-09-26 탄성을 갖는 안경용 코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552U KR200403687Y1 (ko) 2005-09-26 2005-09-26 탄성을 갖는 안경용 코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687Y1 true KR200403687Y1 (ko) 2005-12-12

Family

ID=4370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552U KR200403687Y1 (ko) 2005-09-26 2005-09-26 탄성을 갖는 안경용 코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6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5717A3 (en) * 2008-06-16 2010-03-18 Hardisty Optical Group, Llc Light dispersion eyeglass nose pa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5717A3 (en) * 2008-06-16 2010-03-18 Hardisty Optical Group, Llc Light dispersion eyeglass nose pad
CN102067015B (zh) * 2008-06-16 2012-06-06 哈迪斯蒂光学集团有限责任公司 光分散眼镜鼻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6887B1 (en) Windproof glasses
US5345616A (en) Pair of goggles with pad elements at the ends of the temples or at the nose piece
KR200259088Y1 (ko) 마그네틱클립을 이용한 보조안경 체결구조
KR200403687Y1 (ko) 탄성을 갖는 안경용 코받침
KR20130037221A (ko) 노즈 패드 및 아이웨어
US6767096B2 (en) Eyeglass with connection structure for rimless eyeglass and screwless hinge
US20160026004A1 (en) Eyewear having magnetic clip-on lenses
KR101036432B1 (ko) 수지재 안경테의 조립구조
US20070236653A1 (en) Interchangeable spectacles and clip-on assembly
KR20170115721A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KR200367354Y1 (ko) 다용도 안경
KR200435380Y1 (ko) 안경
JP2014002386A (ja) 非定形の眼鏡フレーム
JP3223651U (ja) サポート用前掛けめがね
CN204009249U (zh) 一种轻便的可分体式眼镜框
KR102056754B1 (ko) 조립식 안경
US20060244896A1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ornamental coupling structure
CN2470849Y (zh) 组合扣式装配眼镜
JPH0628139Y2 (ja) 眼鏡枠
KR20240065549A (ko) 안경의 코받침
JP3038537U (ja) 水中メガネ
JP2008216754A (ja) 補助眼鏡及びその成形型装置
KR200473710Y1 (ko) 안경 프론트
KR200389261Y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안경과 선셰이드클립
JP3099209U (ja) 前掛け式メガネ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