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144Y1 - 운반용상자 - Google Patents

운반용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144Y1
KR200403144Y1 KR20-2005-0025576U KR20050025576U KR200403144Y1 KR 200403144 Y1 KR200403144 Y1 KR 200403144Y1 KR 20050025576 U KR20050025576 U KR 20050025576U KR 200403144 Y1 KR200403144 Y1 KR 200403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ib
carrying box
card holder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섭
Original Assignee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5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1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1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4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moulded or otherwise fabricated i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97Integral handles formed in the wall(s), e.g. roughenings, cavitie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8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for lifting, e.g. hooks, loops
    • B65D2519/00791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for lifting, e.g. hooks, loops handles, handgrip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용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의 측면하부에 하부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부를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로 형성하며, 또한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수직이 되도록 하는 운반용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반용상자 { BOX }
본 고안은 운반용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의 측면하부에 하부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의 측면에 손잡이부를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로 형성하며, 또한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수직이 되도록 하는 운반용상자에 관한 것이다.
운반용상자는 상자 내부에 물건을 넣고 이를 운반하여야 하기 때문에 손잡이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운반용상자에 다양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운반용상자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운반용상자는 본체(20)의 측면 상부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상부리브(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리브(22)의 하부에는 손잡이부(25)가 본체(20)의 외부에 '┏' 또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운반용상자는 보통 일정한 형태의 홈을 가지고 있는 금형에 사출하여 제작하는데, 상기 손잡이부(25)를 제작하고 금형을 손잡이부(25)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금형이 상기 손잡이부(25)의 하부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하여야 한다.
이러한 금형의 상하방향으로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 상기 손잡이부(25)의 하부에는 하부리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본체(20)의 측면하부에 하부리브를 형성되어 있지 않아 운반용상자에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의 측면하부에 하부리브를 형성하고, 동시에 사용자가 강하게 잡을 수 있는 운반용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체에 카드홀더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한 운반용상자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운반용상자는, 본체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운반용상자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하부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하부리브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이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가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의 타단에 연결되어 하부로 돌출 형성된 세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는 수직을 이루고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측면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상부리브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상부리브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세로리브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은 상기 세로리브와 접하여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 가로부재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리브에는 카드홀더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리브에 장착되는 카드홀더는, 상기 하부리브와 접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에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과 접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장착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의 측면 하부에는 누름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카드홀더의 베이스부를 상기 하부리브와 상기 누름편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방향으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본체의 측면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상자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운반용상자에 카드홀더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부(35)와, 상기 본체(30) 및 손잡이부(35)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리브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35)는 가로부재(33)와 세로부재(3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가로부재(33)는 일단이 상기 본체(30)에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세로부재(34)는 상기 가로부재(33)의 타단에 연결되어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전체적인 형상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또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가로부재(33)와 세로부재(34)는 수직을 이루고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로부재(34)와 상기 본체(30)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리브(38)가 형성되어 상호 연결하고 있는데, 상기 연결리브(38)는 다수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리브(38)는 상기 가로부재(33)와도 연결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상기 연결리브(38)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35)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부재(33)에는 다수의 배출공(33a)이 형성되어 있어, 운반용상자를 뒤집어 세척하고 나서 상기 손잡이부(35)에 유입된 물이 상기 배출공(33a)을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본체(30)의 측면상부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상부리브(32)와, 상기 본체(30)의 측면하부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하부리브(36)와, 상기 본체(30)의 측면에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세로리브(37a,37b)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리브(32)와 상기 하부리브(36) 사이에는 본체(30)의 측면에 가로방향으로 중간리브 등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리브(32)는 상기 손잡이부(35)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리브(36)는 상기 손잡이부(35)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리브(36)에는 장착공(36a)이 형성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홀더(50)가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카드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카드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드홀더(50)는 상기 하부리브(36)와 접하는 베이스부(52)와, 상기 베이스(52)에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30)의 측면과 접하는 탄성지지부(54)와, 상기 장착공(36a)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52)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돌기(5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30)의 측면 하부에는 누름편(39)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카드홀더(50)의 베이스부(52)를 상기 하부리브(36)와 상기 누름편(39) 사이에 장착되도록 하여 상기 카드홀더(5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누름편(39)은,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0)의 측면 하부의 양측 즉 세로부재(37b)와 접하도록 형성하고, 또한 중앙에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54)는 상기 본체(30)의 측면방향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지지부(54)와 상기 본체(30)의 측면사이에 카드 등이 강하게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기 카드홀더(50)를 상기 하부리브(36)에 장착하고, 상기 본체(30)의 측면과 카드홀더(50) 사이에 바코드 또는 명칭 등이 기입된 카드를 삽입하여 카드를 고정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돌기(5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0)의 측면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경사지게 즉, 상기 장착돌기(55)의 형상을 직삼각형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카드홀더(50)의 장착돌기(55)를 하부리브(36)에 형성된 장착공(36a)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쉽게 뺄 수 있다.
위와 같이, 손잡이부(35)의 하부에 하부리브(36)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리브(36)에 장착공(36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카드홀더(5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전방과 후방뿐만 아니라 양 측면에도 장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는 방향에서든지 카드홀더(50)에 장착되는 카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리브(37a,37b)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측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세로리브(37a)와, 상기 상부리브(32)에서 상기 손잡이부(35)까지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세로리브(37b)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손잡이부(35)의 양측은 상기 세로리브(37b)와 접하여 폐쇄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세로리브(37b)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35)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손잡이부(35)의 양측으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운반용상자는 다음과 같이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되어진다.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운반용상자의 생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작과정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0)의 형상을 형성하는 외부금형(41,42)과 내부금형(43)으로 이루어진 메인금형(40) 내부에 상기 손잡이부(35)를 형성하는 손잡이부코어(45)가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메인금형(40)에는 하부리브(36) 등이 형성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의 외형이 복잡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금형(41,42)을 여러 개로 분할하여 이를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금형(41)의 내측에는 단을 형성하여 안착부(4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41a)에는 상기 손잡이부코어(45)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35)가 '┏'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상기 손잡이부코어(45)는 상기 메인금형(40)과 세면 이상이 이격되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준비된 메인금형(40)에 플라스틱용액을 주입하면, 메인금형(40)의 내부를 따라 플라스틱용액이 유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운반용상자의 본체(30)와 하부리브(36)와 손잡이부(35) 등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금형(40) 내부에서 플라스틱용액이 완전히 응고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금형(41,42)과 내부금형(43)으로 이루어진 메인금형(40)을 분리한다.
이때, 상기 메인금형(40)과 상기 손잡이부코어(45)는 서로 별개 부재인바, 상기 메인금형(40)을 분리시키면 상기 손잡이부코어(45)만 남고 메인금형(40)이 제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b의 화살표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코어(45)를 상기 손잡이부(35)의 하부방향으로 잡아 당겨 분리함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리브(36)가 형성되어 있고 동시에 손잡이부(35)가 형성된 운반용상자를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인 운반용상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운반용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부리브를 형성하고 동시에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로 이루어진 손잡이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반용상자를 용이하게 들거나 당길 수 있고, 동시에 하부리브가 형성되어 있어 운반용상자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수직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보다 강하게 잡을 수 있다.
셋째, 세로부재와 본체를 연결리브에 의해 상호 연결함으로써, 손잡이부의 강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세로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운반용상자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이 상기 세로리브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부의 강도 또한 증대시킬 수 있다.
다섯째, 손잡이부의 가로부재에 배출공을 형성함으로써, 운반용상자를 뒤집어 세척할 때 상기 손잡이부에 유입된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여섯째, 손잡이부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리브에 장착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장착공에 카드홀더를 장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본체와 카드홀더 사이에 바코드 또는 명칭이 기입된 카드를 삽입할 수 있어 사용자가 카드를 보고 쉽게 본체 내부의 물건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공이 하부리브의 전방과 후방 및 양측방향에도 형성되어 있어, 상기 카드홀더를 본체 전방과 후방뿐만 아니라 양 측면에도 장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는 방향에서든지 카드홀더에 장착되는 카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일곱째, 누름편을 형성함으로써, 카드홀더를 장착할 때 안내 역할을 하여 쉽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카드홀더가 진동 등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탄성지지부를 본체의 측면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성지지부와 본체의 측면 사이에 끼워지는 카드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홉째, 장착돌기를 본체의 측면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카드홀더를 보다 쉽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보다 쉽게 하부리브로부터 빼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운반용상자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상자의 사시도,
도 3은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상자의 저면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운반용상자의 생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작과정도,
도 6은 본 고안의 운반용상자에 카드홀더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카드홀더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카드홀더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본체, 32 : 상부리브,
33 : 가로부재, 33a : 배출공,
34 : 세로부재, 35 : 손잡이부,
36 : 하부리브, 36a : 장착공,
37a, 37b : 세로리브, 38 : 연결리브,
39 : 누름편, 40 : 메인금형,
41,42 : 외부금형, 41a: 안착부,
43 : 내부금형, 45 : 손잡이부코어,
50 : 카드홀더, 52 : 베이스부,
54 : 탄성지지부, 55 : 장착돌기.

Claims (10)

  1. 본체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운반용상자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하부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하부리브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이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가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의 타단에 연결되어 하부로 돌출 형성된 세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는 수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상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와 상기 본체는 연결리브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상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세로리브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은 상기 세로리브와 접하여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리브에는 카드홀더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상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리브에 장착되는 카드홀더는,
    상기 하부리브와 접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에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과 접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장착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상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 하부에는 누름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카드홀더의 베이스부를 상기 하부리브와 상기 누름편 사이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상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방향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상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돌기는,
    상기 본체의 측면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상자.
KR20-2005-0025576U 2005-09-05 2005-09-05 운반용상자 KR200403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576U KR200403144Y1 (ko) 2005-09-05 2005-09-05 운반용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576U KR200403144Y1 (ko) 2005-09-05 2005-09-05 운반용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144Y1 true KR200403144Y1 (ko) 2005-12-09

Family

ID=4370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576U KR200403144Y1 (ko) 2005-09-05 2005-09-05 운반용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1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4364S (en) Latch for storage container
CN207876230U (zh) 一种收纳箱
KR200398276Y1 (ko) 물품 포장용 상자
KR200403144Y1 (ko) 운반용상자
JP2009091017A (ja) 折り畳みコンテナ
CN204177072U (zh) 吧台门的外壳组件及具有它的用于冰箱的吧台门
JP5781425B2 (ja) 装身具用連結具
JP2010173248A (ja) 替芯ケース
KR100509195B1 (ko) 배터리 손잡이
JP4651439B2 (ja) 洋風水洗式便器用タンクカバー
JP3045740U (ja) 小物収納ケース
KR200293500Y1 (ko) 힌지가 인서트된 용기 뚜껑
KR20110002762U (ko) 상,하 프레스 구조의 금형에 의하여 측면에 다수개의 통공구가 형성된 플라스틱 바구니
KR20050041300A (ko) 배터리 손잡이
CN214414788U (zh) 一种洗碗机用置物篮
CN203638377U (zh) 快装式防伪包装一体化结构和酒品包装盒
CN203964527U (zh) 用于冰箱的端盖以及包括该端盖的冰箱
KR200452583Y1 (ko) 의자겸용 수납함
KR102545483B1 (ko) 속눈썹 케이스
KR200424625Y1 (ko) 알에프아이디 칩케이스를 상자측벽내에 간단하게 조립할수가 있는 운반상자
KR200339430Y1 (ko)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
CN208222856U (zh) 一种热水器底壳
JP2007076695A (ja) 飲料缶に取付ける容器
KR200324910Y1 (ko) 서랍 보조박스용 격판의 체결구조
KR200272414Y1 (ko) 손잡이가 탈,부착되는 쓰레받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