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483B1 - 속눈썹 케이스 - Google Patents

속눈썹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483B1
KR102545483B1 KR1020220188178A KR20220188178A KR102545483B1 KR 102545483 B1 KR102545483 B1 KR 102545483B1 KR 1020220188178 A KR1020220188178 A KR 1020220188178A KR 20220188178 A KR20220188178 A KR 20220188178A KR 102545483 B1 KR102545483 B1 KR 102545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rtion
eyelashes
edge
side wall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춘
Original Assignee
이승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춘 filed Critical 이승춘
Priority to KR1020220188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8Pocket toiletry etui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4Etuis for purpose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5C11/02 - A45C11/22, A45C11/26, A45C11/32 - A45C11/3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2Artificial eyelashes; Artificial eyebr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속눈썹 케이스가 개시된다. 속눈썹 케이스는, 속눈썹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부와 제1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굴곡 가능하게 돌출되어 제1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속눈썹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하부판과, 하부판의 상부에서 측벽부의 상부에 하부면이 부착되고 내부에는 속눈썹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는 제1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속눈썹의 안착 상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부를 포함하는 상부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속눈썹 케이스{EYELASHES STORAGE CASE}
본 발명은 속눈썹의 안정적인 보관과 용이한 제조가 가능한 속눈썹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 속눈썹은 사용자가 부착하여 속눈썹이 길어 보이도록 하고, 눈이 커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케이스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71517호를 살펴보면 안치틀이 수납되는 수납상자와 일체형으로 된 수납 지지부 및 안치부의 상면에 만곡경사면과 반원 지지판이 형성된 안치틀과 수납상자의 위에 씌워지는 투명덮개 및 두명덮개의 상면에 내곡면이 반원 지지판의 외곡면과 대향되도록된 속눈썹 압압지지수단을 하측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속눈썹 케이스는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속눈썹의 안정적인 보관 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56616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속눈썹의 안정적인 보관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용이한 제조가 가능한 속눈썹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속눈썹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부와 제1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굴곡 가능하게 돌출되어 제1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속눈썹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하부판과, 하부판의 상부에서 측벽부의 상부에 하부면이 부착되고 내부에는 속눈썹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는 제1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속눈썹의 안착 상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부를 포함하는 상부판을 포함한다.
측벽부는, 제1 베이스부의 제1 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에는 제1 연결 돌부가 돌출된 제1 측벽부와, 제1 베이스부의 제1 측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제2 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에는 제2 연결 돌부가 돌출된 제2 측벽부와, 제1 베이스부의 제3 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에는 제3 연결돌부가 돌출된 제3 측벽부와, 제1 베이스부의 제3 측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제4 측 가장자리의 상부로 굴곡되며 양측에는 제4 연결돌부가 돌출된 제1 헤드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판은, 측벽부의 상측에서 측벽부에 하부면이 지지되어 결합되며 내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제2 헤드돌부가 돌출된 제2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의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며 속눈썹의 안착 상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부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제1 베이스부 방향인 제1 방향으로 굴곡 변형되며, 굴곡된 일부분은 제1 베이스부의 평면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변형되어 제1 베이스부의 표면에 면접촉될 수 있다.
가이드 돌부는, 프레스 성형되지 않은 평면 상태에서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방사상의 복수개가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 편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제1 베이스부 방향인 제1 방향으로 굴곡 변형되며, 굴곡된 일부분은 제1 베이스부의 평면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변형되어 제1 베이스부의 표면에 면접촉될 수 있다.
상부판과 하부판은, 종이 재질일 수 있다.
제1 헤드돌부에는 걸림 고정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를 구성하는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가 서로간에 면접촉된 상태로 부착되고, 프레스 성형에 의해 측벽부의 굴곡 및 속눈썹의 보관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부의 굴곡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속눈썹을 보관하는 케이스의 용이한 제작이 가능하고, 속눈썹을 보관하는 충분한 수용 공간과 가이드 돌부가 형성되어 속눈썹의 안정적인 보관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속눈썹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속눈썹 케이스(100)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판(10)과 상부판(20)이 서로간에 접착된 상태에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상이 일부 변형되어, 속눈썹을 수납하는 케이스로 성형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속눈썹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케이스(100)는, 제1 베이스부(11)와 측벽부(13)를 포함하는 하부판(10)과, 제2 베이스부(21)와 가이드 돌부(23)를 포함하는 상부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판(10)은, 속눈썹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부(11)와 제1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굴곡 가능하게 돌출되어 제1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속눈썹의 수용 공간(10a)을 형성하는 측벽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는 하부면이 바닥면에 안정적인 위치가 가능하도록 편평면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베이스부(11)는 프레스 등의 가압에 의해 성형이 용이하도록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는 직사각 또는 정사각 등의 다각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변의 가장자리에는 측벽부(13)가 연결될 수 있다.
측벽부(13)는, 제1 베이스부(11)의 가장자리의 각각에 굴곡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측벽부(13)는, 제1 측 가장리에 돌출되는 제1 측벽부(13a)와, 제2 측 가자자리에 돌출되는 제2 측벽부(13b)와, 제3 측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제3 측벽부(13c)와, 제4 측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제1 헤드돌부(1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부(13a)는, 제1 베이스부(11)의 제1 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에는 제1 연결 돌부(14a)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3a)는 제1 베이스부(11)의 폭방향의 제1 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되어 제1 베이스부(11)의 상부 방향으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측벽부(13a)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제1 연결 돌부(14a)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연결 돌부(14a)는 제1 측벽부(13a)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돌출되는 것으로, 측벽부(13)를 구성하는 제3 측벽부(13c)와 제1 헤드돌부(13d)의 각각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제1 측벽부(13a)의 양측에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제2 측벽부(13b)는 제1 베이스부(11)의 폭방향의 제2 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되어 제1 베이스부(11)의 상부 방향으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측벽부(13b)는 제1 측벽부(13a)가 연결된 위치의 대향하는 위치인 제2 측 가장자리리에서 제1 베이스부(11)의 상부로 굴곡 가능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측벽부(13b)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제2 연결 돌부(14b)가 돌출될 수 있다.
제2 연결 돌부(14b)는 제2 측벽부(13b)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돌출되는 것으로, 측벽부(13)를 구성하는 제3 측벽부(13c)와 제1 헤드돌부(13d)의 각각의 타측에 연결되도록 제1 측벽부(13a)의 양측에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제3 측벽부(13c)는, 제1 베이스부(11)의 제3 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에는 제3 연결돌부(13c)가 돌출될 수 있다. 제3 측 가장자리는 제1 베이스부(11)의 길이 방향의 일측 가장자리를 말한다.
이러한 제3 측벽부(13c)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제3 연결 돌부(14c)가 돌출될 수 있다.
제3 연결 돌부(14c)는 제1 측벽부(13a)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돌출되는 것으로, 측벽부(13)를 구성하는 제1 측벽부(13a)와 제2 측벽부(13b)의 각각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제3 측벽부(13c)의 양측에 각각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베이스부(11)의 제4 측 가장자리에는 제1 헤드돌부(13d)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헤드돌부(13d)는 제1 베이스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3 측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제4 측 가장자리에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헤드돌부(13d)는 제1 베이스부(11)의 제4 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바, 후술하는 상부판(20)의 일부분을 지지하면서 케이스의 헤드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1 베이스부(11)의 제4 측 가장자리에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헤드돌부(13d)의 양측에는 제4 연결돌부(14d)가 돌출될 수 있다.
제4 연결돌부(14d)는, 제1 헤드돌부(13d)의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돌출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1 측벽부(13a)와 제2 측벽부(13b)의 각각의 타측에 연결되도록 제4 측벽부(13)의 양측에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헤드돌부(13d)는 제1 베이스부(11)의 제4 측 가장자리에서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며, 표면의 일부분에는 걸림 고정을 위한 관통홀(2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헤드돌부(13d)는 제1 베이스부(11)의 제4 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소정의 보관 위치에 걸어 보관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헤드돌부(13d)는 제1 베이스부(11)에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돌출된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라운드 돌부(13e)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하부판(10)의 상측에는 상부판(20)이 부착될 수 있다.
상부판(20)은, 하부판(10)의 상부에서 측벽부(13)의 상부에 하부면이 부착되고, 내부에는 속눈썹이 삽입되는 삽입홀(21a)이 형성되며, 삽입홀(21a)의 가장자리에는 제1 베이스부(1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속눈썹의 안착 상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판(20)은, 상측에서 측벽부(13)에 하부면이 지지되어 결합되며 내부에는 삽입홀(21a)이 형성되는 제2 베이스부(21)와, 제2 베이스부(21)의 삽입홀(21a)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며 속눈썹의 안착 상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1)는 내부에 보관하고자 하는 속눈썹이 삽입되는 삽입홀(21a)이 형성되어 제1 베이스부(11)의 상부에 면접촉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1)에는 제1 헤드돌부(13d)에 부착되는 제2 헤드돌부(22)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베이스부(21)의 삽입홀(21a)에는 가이드 돌부(23)가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돌부(23)는 일측은 삽입홀(21a)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타측은 삽입홀(21a)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프레스 등의 가압 성형에 의해 제1 베이스부(11)의 저면 방향으로 굴곡 성형될 수 있다.
가이드 돌부(23)는 삽입홀(21a)에 서로간에 이격된 한 쌍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속눈썹의 라운드 형상에 대응하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돌부(23)는 좌,우 한 쌍의 속눈썹을 케이스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여, 외형의 손상 없이 안전한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 돌부(23)는, 프레스 성형되지 않은 평면 상태에서 삽입홀(21a)의 가장자리에 방사상의 복수개가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편(23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 편(23a)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제1 베이스부(11) 방향인 제1 방향으로 굴곡 변형되며, 굴곡된 일부분은 제1 베이스부(11)의 평면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변형되어 제1 베이스부(11)의 표면에 면접촉될 수 있다.
상부판(20)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성헝되고,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부(11)와 제2 베이스부(21)는 서로간에 면접촉된 상태로 부착되고, 프레스 성형에 의해 측벽부(13)의 굴곡 및 가이드 돌부(23)의 굴곡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속눈썹을 보관하는 케이스의 용이한 제작이 가능하고, 속눈썹을 보관하는 충분한 수용 공간(10a)과 가이드 돌부(23)가 형성되어 속눈썹의 안정적인 보관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하부판 10a..수용 공간
11...제1 베이스부 13...측벽부
13a..제1 측벽부 13b..제2 측벽부
13c..제3 측벽부 13d..제1 헤드돌부
14a..제1 연결돌부 14b..제2 연결돌부
14c..제3 연결돌부 14d..제4 연결돌부
20...상부판 21...제2 베이스부
21a..삽입홀 22...제2 헤드돌부
22a..관통홀 23...가이드 돌부
23a..가이드 편

Claims (5)

  1. 속눈썹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굴곡 가능하게 돌출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속눈썹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하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서 상기 측벽부의 상부에 하부면이 부착되고, 내부에는 속눈썹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속눈썹의 안착 상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부를 포함하는 상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제1 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에는 제1 연결 돌부가 돌출된 제1 측벽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기 제1 측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제2 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에는 제2 연결 돌부가 돌출된 제2 측벽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제3 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측에는 제3 연결돌부가 돌출된 제3 측벽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기 제3 측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제4 측 가장자리의 상부로 굴곡되며, 양측에는 제4 연결돌부가 돌출된 제1 헤드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판은,
    상기 측벽부의 상측에서 상기 측벽부에 하부면이 지지되어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삽입홀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제2 헤드돌부가 돌출된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며, 상기 속눈썹의 안착 상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부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상기 제1 베이스부 방향인 제1 방향으로 굴곡 변형되며, 굴곡된 일부분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평면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표면에 면접촉되는, 속눈썹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부는,
    프레스 성형되지 않은 평면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방사상의 복수개가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편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상기 제1 베이스부 방향인 제1 방향으로 굴곡 변형되며, 굴곡된 일부분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평면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표면에 면접촉되는, 속눈썹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은, 종이 재질이며,
    상기 제1 헤드돌부에는 걸림 고정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속눈썹 케이스.
KR1020220188178A 2022-12-29 2022-12-29 속눈썹 케이스 KR102545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178A KR102545483B1 (ko) 2022-12-29 2022-12-29 속눈썹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178A KR102545483B1 (ko) 2022-12-29 2022-12-29 속눈썹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483B1 true KR102545483B1 (ko) 2023-06-20

Family

ID=8699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178A KR102545483B1 (ko) 2022-12-29 2022-12-29 속눈썹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4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517Y1 (ko) * 1999-09-01 2000-03-15 박용조 인조속눈썹 포장케이스
KR20090010717U (ko) * 2008-04-17 2009-10-21 최정화 인조속눈썹 보관케이스
KR101566166B1 (ko) 2015-06-18 2015-11-05 이경직 인조 속눈썹 보관 케이스
US10588389B1 (en) * 2019-05-14 2020-03-17 Baddie B Lashes, LLC Multi-component eyelash ca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517Y1 (ko) * 1999-09-01 2000-03-15 박용조 인조속눈썹 포장케이스
KR20090010717U (ko) * 2008-04-17 2009-10-21 최정화 인조속눈썹 보관케이스
KR101566166B1 (ko) 2015-06-18 2015-11-05 이경직 인조 속눈썹 보관 케이스
US10588389B1 (en) * 2019-05-14 2020-03-17 Baddie B Lashes, LLC Multi-component eyelash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54096B (zh) 玩偶型玩具
US11884448B2 (en) Specialized tray device for eyelash extensions
KR102545483B1 (ko) 속눈썹 케이스
JP3135235U (ja) 紙コップ
JP4515493B2 (ja) 組立て式収納ケース
KR102275958B1 (ko) 휴대성을 향상시킨 계란판
KR101672696B1 (ko) 휴대가 용이한 헤어웨어 거치대
US5207319A (en) Container for floppy disk, compact disk or other members of similar configuration
KR20070082862A (ko) 스프링 클립
KR20170054901A (ko) 애묘용 카드보드 스크래쳐
JP4038801B2 (ja) 卵包装用容器
US20220400825A1 (en) Specialized tray device for eyelash extensions
KR200366847Y1 (ko) 탁상용 달력
JP3146949U (ja) ブーツ挿入具
KR102161496B1 (ko) 접이식 다용도 수납상자
KR200370121Y1 (ko) 가발 수납 케이스
JP6966922B2 (ja) 可動式の鍋蓋用つまみ
CN109641694A (zh) 以注塑成型技术制造的蛋包装
JP2593817Y2 (ja) 整理かご
JP2001112526A (ja) 貯金箱
JPH0544256Y2 (ko)
JP3554843B2 (ja) 台枠を備えた組立収納ケース
JP2002128056A (ja) 包装容器
KR200201171Y1 (ko) 콤팩트 디스크 보관함
JP2006088501A (ja) ブロック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