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430Y1 -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 - Google Patents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430Y1
KR200339430Y1 KR20-2003-0033330U KR20030033330U KR200339430Y1 KR 200339430 Y1 KR200339430 Y1 KR 200339430Y1 KR 20030033330 U KR20030033330 U KR 20030033330U KR 200339430 Y1 KR200339430 Y1 KR 200339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card holder
container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섭
Original Assignee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3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4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의 측판상에 네임카드가 끼워질 수 있는 카드홀더를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카드홀더를 별도 구조물로 구비하지 않아도될 뿐 아니라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CONTAINER PANEL UNIFICATED WITH A CARD HOLDER }
본 고안은 컨테이너의 측판상에 네임카드가 끼워질 수 있는 카드홀더를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카드홀더를 별도 구조물로 구비하지 않아도될 뿐 아니라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169031호에서는 절첩식 컨테이너의 하부판 단변측에 측벽 두께의 낮은 돌출단을 형성하고, 장변측에는 측벽 2배 두께의 높이로 높은 돌출단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낮은 돌출단과 높은 돌출단에는 그 각 상면에서 내측면까지 이어지는 하향 확대된 "ㄱ"형 통공을 다수개 형성시키고, 이와 대응하여 장측벽 및 단측벽의 하부에는 상기 "ㄱ"형 통공에 삽입되도록 하향 돌출된 연결핀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핀의 좌우측에는 삽입되는 방향으로 테이퍼진 돌기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의 하부판에 단,장측벽의 조립시 연결핀에 형성된 좌우측 돌기를 돌출단의 "ㄱ"형 통공의 하향 확대 부분으로 압입하여 체결함으로써, 경첩처럼 상기 단,장측벽을 내,외향으로 자유롭게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립시에는 위에서 단,장측벽에 충격을 가하여 연결핀의 좌우측 돌기가 통공에 탄성 결합됨으로써 쉽게 조립시킬 수 있고, 반면, 분해시에는 상기 단,장측벽을 외측으로 젖혀서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장측벽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절첩식 컨테이너는 물건을 담았을때 내용물의 명칭, 규격 등이 기재된 네임카드(name card)를 꽂아 넣을 수 있도록 그 단측벽 및 장측벽상에 와이어 형상의 스틸재로 이루어진 한쌍의 카드홀더가 마련되어 있다.
즉, 컨테이너의 양 단측벽 중간부와 양 장측벽 일측부에 관통된 한쌍의 종통공 내부에 상부 내측 일부분이 탄력으로 삽입된 카드홀더를 상부 외측돌기로 눌러서 측벽과 사이간격 틈이 벌어지게 한 후 그 사이에 네임카드를 끼워 넣고 눌렀던 상부 외측돌기를 놓으면 하부단이 부착된 한쌍의 카드홀더가 네임카드를 탄력으로 협지시켜 컨테이너의 측면에 네임카드를 꽂아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컨테이너 구조는 네임카드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마련된 카드홀더가 스틸재 와이어 형상을 갖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비되어 측벽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이를 제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고, 이 카드홀더 부품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로트(lot)관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카드홀더 설치작업에 따른 별도의 작업공정과 많은 작업시간이 요구되는 불합리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컨테이너의 측판상에 네임카드가 끼워질 수 있는 카드홀더를 일체로 사출성형함으로써, 카드홀더를 별도 구조물로 구비하지 않아도될 뿐 아니라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가 접혀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섹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섹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단측판의 상세구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카드홀더의 구체적 형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측판과 바닥판의 조립시 후크와 지지축이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측판과 바닥판의 분해시 후크와 지지축이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단측판과 장측판이 결합되는 과정을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단측판과 장측판이 결합 해제되는 과정을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측판과 장측판 결합구조를 예시한것으로, 컨테이너의 외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3은 도 12를 컨테이너의 내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장측판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15는 도 14에서 결합된 단,장측판의 결합 해제 과정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바닥판 120a,120b : 돌출벽
140a,140b : 후크 142 : 수직부
144 : 절곡부 145 : 경사부
146 : 분리홈 147 : 라운드부
150a,150b : 지지벽 200a,200b : 단,장측판
210a,210b : 돌출단 220a,220b : 지지축
230a,230b : 카드홀더 231 : 노치부
232 : 삽입돌기 232a : 경사 안내면
233,234 : 제1,2체결공 235 : 삽입공
236,237 : 제1,2체결돌기 242 : 결합돌기
243 : 고정단 250 : 결합단
252 : 결합공 260 : 탄성 걸림편
262 : 경사 돌출부 270 : 분리용 밀대
271 : 파지고리 272 : 탄력편
273 : 외측돌기 300 : 컨테이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컨테이너의 외곽을 형성하는 컨테이너용 판에 있어서, 상기 판에는 네임카드를 지지하기 위한 카드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카드홀더는 상기 판과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판에 카드홀더를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카드홀더를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카드홀더 부품의 로트관리가 필요없고 카드홀더 설치작업에 따른 별도의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카드홀더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판에는 상기 체결공과 탄성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하게 되면, 상기 체결공과 체결돌기를 통해 카드홀더를 판으로부터 탄성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다.
상기 판과 상기 카드홀더의 연결부위에는 노치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하게 되면, 카드홀더가 상기 노치부를 중심으로 판으로부터 용이하게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기 때문에 카드홀더의 탈부착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체결공은 상기 카드홀더상에 일정 이격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제1,2체결공 및 상기 제1,2체결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판측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판에는 상기 제1,2체결공과 각각 체결될 수 있도록 돌출된 제1,2체결돌기및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돌기는 "ㄱ"자형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하게 되면, 카드홀더를 판에 세팅할 경우 카드홀더에 형성된 삽입돌기 및 제1,2체결공이 판에 형성된 삽입공 및 제1,2체결돌기에 각각 결합되어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1체결돌기를 "ㄱ"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체결공과 탄성적인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은 전술된 종래기술에 제시된 공보(실용신안등록 제169031호)를 참조하기로 하고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만을 한정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측판이 절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300)는 합성수지재의 사출 구조물로서, 크게 바닥판(100)과, 바닥판(100) 상면 가장자리에 절첩 가능하게 고정되는 측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판은 바닥판(100)의 단변측에 조립되는 한 쌍의 단측판(200a)과, 장변측에 조립되는 한 쌍의 장측판(200b)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측판(200a)과 장측판(200b)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단(210a)(210b)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210a)(210b)은 상호 일정 이격간격을 유지한 채 배열되어 있다.
상기 돌출단(210a)(210b)의 중앙부는 후술되는 후크(140a)(140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요입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바닥판(100)과 평행하도록 상기 요입된 돌출단(210a)(210b)를 가로지르며 형성된 바아(bar) 형태의 지지축(220a)(220b)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바닥판(100)의 단,장변측 상면에는 상기 단,장측판(200a)(200b)이 각각 지지되는 돌출벽(120a)(120b)이 형성되어 있는바, 단변측 돌출벽(120a)은 단측판(200a)의 두께의 높이로 형성되고, 장변측 돌출벽(120b)은 단측판(200a)과 장측판(200b)이 합쳐진 두께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컨테이너를 접을 경우 먼저 양쪽 단측판(200a)을 접은 후에 양쪽 장측판(200b)을 접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콤펙트한 형태로 접혀지게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100)의 단,장변측 돌출벽(120a)(120b)에는 상기 단,장측판(200a)(200b) 하부의 돌출단(210a)(210b)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요입된 돌출단(210a)(210b) 중앙에는 상기 단,장측판(200a)(200b)의 각 지지축(220a)(220b)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직립된 후크(140a)(140b)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140a)(140b)와 일정간격 이격된 외측에는 단,장측판(200a)(200b)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돌출단(210a)(210b)을 지지해 주는 지지벽(150a)(15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장측판(200a)(200b)이 바닥판(100) 위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도시된 바 처럼 단,장측판(200a)(200b)의 돌출단(210a)(210b) 중앙부에 바닥판(100)의 후크(140a)(140b)가 삽입된 요철형상의 형합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철식 컨테이너의 A-A섹션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특히, 후크(140a)(140b)와 지지축(220a)(220b)이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40a)(140b)는 바닥판(100)과 수직을 형성하는 수직부(142)와, 상기 수직부(142)의 상단으로부터 지지벽(150a)(150b)측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14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직부(142)는 지지축(220a)(220b)과의 체결 및 분리시 지지벽(150a)(150b)측에 대하여 효과적인 탄성 진퇴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단면폭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142)와 연결된 절곡부(144) 상면에는 지지벽(150a)(150b)측을 향해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부(145)가 마련되며, 단,장측판(200a)(200b)의 조립시 지지축(220a)(220b)이 상기 경사부(145)의 형상을 따라 안내되어 후크(140a)(140b)에 용이하게 탄성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절곡부(144) 상면에는 상기 단,장측판(200a)(200b)을 바닥판(100)으로부터 분해시킬 경우 사용자가 송곳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분해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경사부(145) 표면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이루어진 분리홈(14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분리홈(146)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변측 후크(140b)에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측판(200b)을 바닥판(100)으로부터 분해시키는 과정에서 장변측 후크(140b) 모두에 고른 하중이 작용되지 않아 일부의 후크만이 분리될 경우 사용자가 적당한 도구를 사용하여 분리되지 않은 후크를 강제적으로 젖혀 분리시킬 수 있도록 사용된다.
또한, 후크(140a)(140b)의 절곡부(144) 안쪽에는 단,장측판(200a)(200b)의 분리시 지지축(220a)(220a)이 후크(140a)(140b)로부터 용이하게 탄성 분리될 수 있도록 지지축(220a)(220b)이 가이드되는 완만한 형태의 굴곡진 라운드부(147)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접철식 컨테이너의 B-B섹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인바, 통상, 장측판(200b)은 단측판(200a)에 비해 길이가 길기 때문에 바닥판(100)에 조립,분해되는 과정에서 보다 큰 지지강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본 고안의 장측판(200b)에 형성된 지지축(220b) 중에서 양쪽 끝단에 위치된 지지축에 보강용 리브(222)를 형성하여 장측판(220b)의 지지강성을 구조적으로 보완해 주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측판(200b)의 양단에는 단측판(200a)의 양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단(250)이 형성되고, 상기결합단(250)에는 상기 단측판(200a) 양단에 형성된 결합돌기(242)가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공(2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측판(200b)의 양단에는 단측판(200a)이 조립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접혀지지 않도록 구속해 주는 탄성 걸림편(26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탄성 걸림편(260)은 장측판(200b)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내외측으로 탄성 유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는 단측판(200a)과의 결합시 상기 단측판(200a)의 양단과 맞닿아 탄성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돌출된 경사 돌출부(26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측판(200a)의 외측면 상부에는 양쪽으로 2개의 분리용 밀대(270)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양쪽 선단부 통공(도시안됨) 내에서 외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용 밀대(270)는 파지고리(271)와 중간부에 형성된 탄력편(272) 및 외측돌기(273)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측판(200b)과의 분리시 외측돌기(273)가 탄성 걸림편(260)을 밀어 결합 해제시킬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다.
한편, 도 6은 도 2의 단측판(200a)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단측판(200a)의 상측 양단부에는 그 단면폭이 감소되어 형성된 영역으로서 도 1의 장측판(200b)과 조립시 탄성 걸림편(260)의 경사 돌출부(262)와 결합단(250) 사이에 지지되는 고정단(2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장측판(200a)(200b)의 각 중앙부에는 본 고안의 컨테이너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구체적인 스팩(SPEC)을 표기한 네임카드(name card;도시안됨)등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마련된 한쌍의 카드홀더(230a)(230b)가 장착되어 있다.
도 7은 도 1의 C-C섹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한 카드홀더(230a)(230b)의 상세한 설치구조를 보인 것이다.
참고로, 단,장측판(200a)(200b)에 형성된 카드홀더(230a)(230b)의 형상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단측판(230a)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홀더(230a)는 단측판(200a)과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이들의 연결부위에는 단면이 감소된 노치부(23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카드홀더(230a)는 상기 노치부(231)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펼쳐지거나 상방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드홀더(230a)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232)를 중심으로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제1체결공(233)과 제2체결공(234)이 형성되고, 상기 단측판(200a) 외면에는 상기 삽입돌기(2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235)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체결공(233) 및 제2체결공(234)에 각각 탄성 체결되는 제1 및 제2체결돌기(236)(237)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체결돌기(236)(237)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ㄱ"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카드홀더(230a)(230b)를 굽혀 단측판(200a)상에 부착시킬 경우 상기 제1체결돌기(236)와 제1체결공(233)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공(235) 및 상기 제1,2체결돌기(236)(237)는 단측판(200a) 외면의 공간활용을 최대화함과 동시에 외관이 복잡하지 않은 시각적 유리함을 함께얻을 수 있도록 단측판(200a)의 중앙부 돌출단(210a)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컨테이너의 조립 및 분해 메커니즘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고안에 있어서 단측판(200a)과 장측판(200b)의 조립 및 분해과정을 동일하기 때문에 편의상 장측판(200b)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도 8은 바닥판(100)에 측판을 조립시 지지축(220b)이 후크(140b)에 체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9는 바닥판(100)으로부터 측판의 분리시 지지축(220b)이 후크(140b)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단,장측판(200a)(200b)이 바닥판(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단측판(200a)이 장측판(200b)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컨테이너의 분해시 단측판(200a)이 장측판(200b)으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컨테이너를 조립할 경우, 장측판(200b)을 지지축(220b)과 후크(140b)와 맞닿도록 바닥판(100)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한 후 힘을 가해 하방으로 눌러주게 되면,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지지축(220b)이 경사부(145)에 맞닿은 상태로 하강됨에 따라 후크(140b)가 일시적으로 탄성 후퇴되었다가 복귀되면서 체결된다. 이때, 단측판(200a)도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바닥판(100)에 조립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단,장측판(200a)(200b)이 바닥판(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양쪽 장측판(200b)을 바닥판(100)에 수직으로 세워 배치한 후 나머지 양쪽 단측판(200a)을 외향측, 즉, 장측판(200b)의 양쪽 단부측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도 10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단측판(200a)에 형성된 결합돌기(242)가 장측판(200b)의 결합공(25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걸림편(260)의 경사 돌출부(262)가 상기 단측판(200a)의 단부에 맞닿아 일시적 탄성 후퇴되었다가 복귀되면서 단측판(200a)의 고정단(243) 내측면상에 지지됨으로써 측판의 조립이 최종적으로 완료된다.
이러한 조립상태에서는 단측판(200a)의 결합돌기(242)가 장측판(200b)의 결합공(252)에 결합되어 단측판(200a)의 좌우유동이 방지됨과 동시에 단측판(200a)의 양단부가 상기 장측판(200b)의 탄성 걸림편(260)에 의해 지지되어 전후방향의 유동 또한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장측판(200b)을 바닥판(100)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먼저, 도 11의 작동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단측판(200a)에 설치된 분리용 밀대(270)를 장측판(200b)쪽으로 강제적으로 밀어 주게 되면 탄성 걸림편(260)의 탄성 후퇴되어 경사 돌출부(262)가 고정단(243)으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단측판(200a)을 장측판(200b)으로부터 결합 해제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장측판(200b)을 손으로 잡고 힘을 주어 뒤로 젖히게 되면 다시 도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장측판(200b) 돌출단(210b)이 지지벽(150b)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축(220b)이 라운드부(147)를 따라 상승하면서 후크(140b)의 절곡부(144)를 밀어올리게 되고 후크(140b)로부터 이탈되어 측판의 분리작업이 간편하게 완료된다. 이때, 단측판(200a)의 분리작업도 상기와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측판의 분리과정에서 혹, 일부 후크(140b)가 뒤로 젖혀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지라도 사용자는 후크(140b) 상면의 분리홈(146)에 적절한 공구를 끼워 넣어 후크(140b)를 강제로 뒤로 젖혀 분리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단,장측판의 조립작업 및 분리작업이 모두 원터치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측판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측판의 조립 및 분해작업이 후크의 탄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 고안의 컨테이너를 장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조립, 분해 하여도 측판과 바닥판의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한편, 본고안의 컨테이너에 내용물의 스펙이 적힌 네임카드를 부착시키고자 카드홀더(230a)를 장착시켜야 할 경우, 사용자는 전술된 도 7에서와 같이 펼쳐진 상태의 카드홀더(230a)를 위로 들어 올려 상기 단측판(200a)에 닫게 한 후 손가락으로 제1체결공(233) 부위를 눌러 고정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카드홀더(230a)는 노치부(232)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위로 굽혀질 수 있으며, 제1체결돌기(236)와 제1체결공(233)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원터치식 탄성 결합으로 인하여 단측판(200a)의 외면상에 견고하게 밀착 지지된다. 물론, 장측판(200b)에 구비된 카드홀더(230b)의 세팅과정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카드홀더(230a)(230b)가 구비된컨테이너용 측판을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절첩식 컨테이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 측판과 바닥판이 일체화된 컨테이너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채용 가능하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특히, 도 12는 단,장측판(200a)(200b)의 일단부 결합구조를 컨테이너의 외측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13은 도 12를 컨테이너의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참고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전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구조는 전술된 제1실시예와는 달리 단측판(200a)상에 분리용 밀대(270)가 설치되지 않은 구조를 이루고 있다.
장측판(200b)의 양단에는 단측판(200a)의 양단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단(25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250)에는 단측판(200a) 양단의 결합돌기(242)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공(2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측판(200b)에는 단측판(200a)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단측판(200a) 양단부를 구속 및 해제시켜 주는 탄성 걸림편(260)이 마련된다.
상기 탄성 걸림편(260)은 장측판(200b)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내외측으로 탄성 유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는 단측판(200a)과의 결합시 상기 단측판(200a)의 양단과 맞닿아 탄성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돌출된 경사 돌출부(26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측판(200a)의 상측 양단부에는 장측판(200b)과 조립된 상태에서 내측방향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 걸림편(260)의 경사 돌출부(262)와 결합단(250) 사이에 지지되는 고정단(24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로서, 특히, 도 14는 단,장측판(200a)(200b)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5는 단,장측판(200a)(200b)의 결합 해제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먼저, 단측판(200a)과 장측판(200b)의 결합시에는 전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메커니즘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 후, 결합된 상태의 단,장측판(200a)(200b)을 분리시킬 경우에는 제1실시예의 분리용 밀대 대신에 사용자의 손으로 장측판(200b)에 형성된 탄성 걸림편(260)을 장측판(200b)쪽으로 강제적으로 밀어 경사 돌출부(262)를 고정단(243)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단측판(200a)을 내측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단측판(200a)과 장측판(200b)과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되는 것이다.
이상의 구조와 같이 전술된 제1실시예의 분리용 밀대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탄성 걸림편(260)을 눌러 단,장측판(200a)(200b)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리용 밀대의 사용이 배제됨에 따라 측판의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컨테이너에 담겨지는 내용물의 하중이 작은 경우에 매우 적합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원가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판상에 카드홀더를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카드홀더를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카드홀더의 제조를 위한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지 않고, 카드홀더 부품에 대한 별도의 로트(lot)관리가 필요없을 뿐 아니라, 종래와 같이 카드홀더 설치작업에 요구되는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둘째, 카드홀더에 형성된 체결공과 판에 형성된 체결돌기의 탄성 결합을 통해 카드홀더가 판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판에 대한 카드홀더의 세팅작업이 원터치 방식으로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판과 카드홀더의 연결부위에 단면적 감소부위인 노치부를 형성함으로써, 카드홀더의 세팅작업시 상기 노치부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기 때문에 카드홀더의 탈부착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카드홀더를 판에 세팅할 경우 카드홀더에 형성된 삽입돌기 및 제1,2체결공이 판에 형성된 삽입공 및 제1,2체결돌기에 각각 결합되어 견고한 체결상태를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1체결돌기를 "ㄱ"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체결공과 실질적으로 탄성적인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컨테이너의 외곽을 형성하는 컨테이너용 판에 있어서,
    상기 판에는 네임카드를 지지하기 위한 카드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카드홀더는 상기 판과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홀더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판에는 상기 체결공과 탄성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과 상기 카드홀더의 연결부위에는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은 상기 카드홀더상에 일정 이격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제1,2체결공 및 상기 제1,2체결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판측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판에는 상기 제1,2체결공과 각각 체결될 수 있도록 돌출된 제1,2체결돌기및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돌기는 "ㄱ"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
KR20-2003-0033330U 2003-10-24 2003-10-24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 KR200339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330U KR200339430Y1 (ko) 2003-10-24 2003-10-24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330U KR200339430Y1 (ko) 2003-10-24 2003-10-24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430Y1 true KR200339430Y1 (ko) 2004-01-28

Family

ID=4934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330U KR200339430Y1 (ko) 2003-10-24 2003-10-24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4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036B1 (ko) 삼각 버클 어셈블리
WO2007126201A1 (en) Automotive fastener
KR100606036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구
WO1997016353A1 (en) Collapsible container
KR200339430Y1 (ko) 카드홀더가 일체화된 컨테이너용 판
KR200339429Y1 (ko)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절첩식 상자
KR0144519B1 (ko)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분리형 하단 정지 조립체
CN112369893A (zh) 衣架的改进
CN104296474B (zh) 吧台门的外壳组件及具有它的用于冰箱的吧台门
KR20130002697U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클립형 경첩구조
KR101937618B1 (ko) 지퍼용 파스너
JP2003056530A (ja) 家具用連結部構造
KR200263634Y1 (ko) 야외용 간이테이블
KR200324975Y1 (ko) 분리형 의자 등받이의 탄성결합부재 결착구조
JPH0633502U (ja) サンダルにおけるバンプ取付構造
KR102564344B1 (ko) 문구용의 링 바인더 기구
JP2020508138A (ja) ジッパー用ファスナー
KR20100076528A (ko) 음식물 고정구
CN215476939U (zh) 一种具有软质提手的食品盒盖及使用该盒盖的饺子盒
KR200179881Y1 (ko) 슬라이드 파스너
CN218781500U (zh) 一种冰箱门体的灯座灯罩装配结构
JP2003335335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US20220184476A1 (en) Golf bag with easy assembly
JPH07289363A (ja) 組立収納ケースにおける組立構造
KR200167762Y1 (ko) 천막용코너보강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