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881Y1 - 슬라이드 파스너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881Y1
KR200179881Y1 KR2019990025878U KR19990025878U KR200179881Y1 KR 200179881 Y1 KR200179881 Y1 KR 200179881Y1 KR 2019990025878 U KR2019990025878 U KR 2019990025878U KR 19990025878 U KR19990025878 U KR 19990025878U KR 200179881 Y1 KR200179881 Y1 KR 200179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fastener
tensioner
present
support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호
Original Assignee
김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호 filed Critical 김기호
Priority to KR2019990025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8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8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44B19/306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in the form of a locking spring member actuated by the pull member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와 몸체를 연결하는 텐셔너를 '⊂' 형상과 같이 상판과 하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텐션력을 갖도록 판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하여 제품의 내구성, 부품수의 감소 및 조립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slide fastener}
본 고안은 피복 등에 재봉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수의 감소 및 조립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의복 및 피복 등에는 이들의 착·탈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파스너(Slide Fastener)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파스너는 전술한 의복 및 피복 이외에도 용이한 개폐를 필요로 하는 포장수단과 가방 등에도 널리 이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 파스너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부가적으로 이러한 파스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제 98-87091 호(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99-33517 호(슬라이드 파스너)의 종래 기술란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슬라이드 파스너는 부품수가 지나치게 많고 부품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조립공정 자동화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잦은 고장발생 및 특히 스프링의 분실이 자주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9-21804 호에는 통상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슬라이드 파스너(4)의 동체(1)의 돌출판(12)(12') 사이의 요부(12)에 단턱부(12)를 가진 삽입구멍(15)과 걸림돌부(16)를 형성하고 걸고리 걸림편(23)에는 상기 삽입구멍(15)과 걸림돌부(16)에 끼워지도록 선단과 중앙부 저면에 각각 걸림턱(21)을 가진 두 개의 탄성편(22)(22')과 걸림편(2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형 슬라이드 파스너가 공개된 바가 있다.
이러한 선출원 공개공안은 부품수의 감소 및 조립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없었던 종래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비해서는 나름대로 유용한 것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고안은 동체(1)와 손잡이(3)를 연결하는 연결편(2)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조립시간의 단축을 예상할 수 없으며, 특히 전술한 연결편(2)은 단순히 걸림턱(21)으로만 동체(1)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쉽게 동체(1)로부터 이탈될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편(2)은 텐션력이 미약하여 장기간 사용시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예상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수의 감소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측단으로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 중앙부로는 공간부와 구멍을 가지는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텐셔너가 설치되며, 상기 텐셔너는 손잡이와 고리로 연결되고, 이때 상기 텐셔너는 판스프링 타입으로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끝부분에는 상기 지지대의 삽입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의끝부분에는 상기 구멍에 끼워져 상/하로 작동하는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텐션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A-A'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손잡이 14: 지지대
16: 고정단 18: 고리
100: 텐셔너 102: 상판
104: 보강날개 106: 걸림턱
108: 하판 110: 스토퍼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혹은 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개념을 살펴보면, 손잡이와 몸체를 연결하는 텐셔너를 '⊂' 형상과 같이 상판과 하판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텐션력을 갖도록 판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하여 제품의 내구성, 부품수의 감소 및 조립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앞에서 제안한 슬라이드 파스너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파스너는 통상의 몸체(12)와 손잡이(10) 및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텐셔너(1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2)는 양측단으로 지퍼의 테이프(이하 '요철 레일'이라 함)가 끼워지기 위한 슬라이딩부(12a)가 형성되며, 그 선단 중앙부에는 지지대(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14)의 양측단에는 기역(ㄱ)자 모양으로 절곡진 고정단(16)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그 사이에는 공간부(14)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4)의 후방에는 구멍(20)이 형성되고, 이 구멍(20)에는 후술하는 텐셔너(100)의 스토퍼(110)가 끼워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지지대(14)에는, 구체적으로는 공간부(14a)에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인 텐셔너(100)가 삽입되며, 이때 상기 텐셔서(100)는 고정단(16)에 의해 완전히 고정되고 이에 따라 텐셔너(100)는 장기간 사용시에도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텐셔너(100)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판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상기 텐셔너(100)는 일정 각도로 라운딩진 상판(102)과 하판(108)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102)의 끝부분에는 걸림턱(106)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걸림턱(10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4)의 끝부분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판(102)의 하측으로는 보강날개(104)가 형성되고, 이 보강날개(104)는 어떠한 외력에도 텐셔너(100)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판(108)의 끝부분에는 스토퍼(110)가 아래로 신장 형성되고, 이 스토퍼(110)는 상/하로 작동하면서 전술한 요철레일의 물림부위에 걸리게 된다.
끝으로, 전술한 텐셔너(100)는, 구체적으로는 상판(102)과 하판(108)은고리(18)에 끼워지게 되고, 이 고리(18)는 통상의 손잡이(일명: 풀탭)(10)에 연결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드 파스너는 항상 텐셔너(100)의 스토퍼(110)가 요철레일의 물림부위에 걸려 있게 되며, 그로 인해 슬라이드 파스너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후 전술한 손잡이(10)를 잡고 위로 당기게 되면 텐셔너(100)는 압축되며, 구체적으로는 하판(108)은 상판(102) 쪽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텐셔너(100)는 압축되어진다. 이와 동시에 텐셔너(100)의 스토퍼(110)는 전술한 요철레일의 물림부위로부터 이탈된다. 이로써 슬라이드 파스너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되고 지퍼는 열리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부품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조립공정의 자동화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작업시간의 단축 및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슬라이드 파스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텐셔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양측단으로 슬라이딩부(12a)를 가지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의 선단 중앙부로는 공간부(14a)와 구멍(20)을 가지는 지지대(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4)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텐셔너(100)가 설치되고, 상기 텐셔너(100)는 손잡이(10)와 고리(18)로 연결되어 구성된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100)는 판스프링 타입으로 상판(102)과 하판(108)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102)의 끝부분에는 상기 지지대(14)의 삽입 고정되는 걸림턱(106)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108)의 끝부분에는 상기 구멍(20)에 끼워져 상/하로 작동하는 스토퍼(110)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4)의 양측 상단에는 상기 텐셔너(100)가 공간부(14a)에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단(16)이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KR2019990025878U 1999-11-19 1999-11-19 슬라이드 파스너 KR200179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878U KR200179881Y1 (ko) 1999-11-19 1999-11-19 슬라이드 파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878U KR200179881Y1 (ko) 1999-11-19 1999-11-19 슬라이드 파스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881Y1 true KR200179881Y1 (ko) 2000-04-15

Family

ID=1959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878U KR200179881Y1 (ko) 1999-11-19 1999-11-19 슬라이드 파스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8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036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개방구
FI96917C (fi) Vetoketjun lukkokokoonpano
EP0287060B1 (en) Pull tab for slide fastener slider
KR100614036B1 (ko) 삼각 버클 어셈블리
EP1386556B1 (en) Zipper pull with cover member
KR100268998B1 (ko) 은폐형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CA2234015C (en) Fastening mechanism for connecting articles and the like together
US7204002B2 (en) Buckle and baby carrier using the same
TWI243657B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KR101936705B1 (ko) 플랩 고정용 버클
US5860192A (en) Pull tab mounting arrangement for a zipper
US11229246B2 (en) Garment extender
US7117567B1 (en) Two-part connecting zipper pull
KR0144519B1 (ko)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분리형 하단 정지 조립체
KR200179881Y1 (ko) 슬라이드 파스너
US11172712B2 (en) Garment extender
US2222529A (en) Lock slider for slide fasteners
US7000293B2 (en) Concealable zipper slider structure
KR101937618B1 (ko) 지퍼용 파스너
KR200393855Y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WO2007119979A1 (en) Binding tool
KR100708011B1 (ko) 지퍼를 부착한 와이셔츠
CN210841789U (zh) 一种新型自锁拉链结构
KR200353479Y1 (ko) 삼각 버클 어셈블리
CA3058570C (en) Garment exte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