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627Y1 - 목침 - Google Patents

목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627Y1
KR200402627Y1 KR20-2005-0025819U KR20050025819U KR200402627Y1 KR 200402627 Y1 KR200402627 Y1 KR 200402627Y1 KR 20050025819 U KR20050025819 U KR 20050025819U KR 200402627 Y1 KR200402627 Y1 KR 200402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neck
present
lacquer
mid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기
Original Assignee
(주)엘킵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킵스 filed Critical (주)엘킵스
Priority to KR20-2005-0025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6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목부분에 적정한 지압을 가하고 편안하게 목부분을 받쳐주는 목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의 곡면부의 중간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에는 복수의 세로방향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침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침은 사용자가 취침시 목부분을 적정한 지압을 행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목부분과 목침 사이에 공기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장시간 베고 있더라도 땀이 차지 않는 등 사용감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목침{WOODEN PILLOW}
본 고안은 사용자의 목부분에 적정한 지압을 가하고 편안하게 목부분을 받쳐주는 목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의 곡면부의 중간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에는 복수의 세로방향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목침은 잠을 자는데 목 및 머리를 받쳐주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목침의 경우 사각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모서리부분이 각져있어 목부분을 안착시켜 베기에는 압박이 강하여 목부분에 베기에 부적합하고, 머리부분에 한하여 베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취침시 목부분을 적정한 지압을 행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목부분과 목침 사이에 공기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장시간 베고 있더라도 땀이 차지 않는 등 사용감이 우수하며, 또한, 인체의 심신에 유익한 원적외선, 음이온, 향기 등이 발산되는 목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반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의 곡면부의 중간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에는 복수의 세로방향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침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 기능성 물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옻칠 또는 황칠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침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한지 또는 비단으로 이루어진 외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침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목침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목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목침의 정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목침은 저부면(10)은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부면은 곡면부(30)로 형성된 반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곡면부(30)의 중간부(3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310)에는 복수의 세로방향의 돌출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의 곡면부(30)의 중간부(310)가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져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바닥에 누워 목침을 베는 경우 목부분의 일측에 한하여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목부분에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어 가해져 더욱 목부분을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310)에 복수의 세로방향의 돌출부(330)가 형성됨으로써, 무리하게 목부분을 자극하여 목침의 사용 분위기를 악화시키지 않고 적정하게 목부분의 혈관을 자극하여 사용자가 목침을 편안하게 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세로방향의 돌출부(330) 사이로 공기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목부분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목침의 사용 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로방향의 돌출부(330)는 지압효과 및 원활한 공기소통을 위하여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침의 재질은 보통 목재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저비용으로 대량생산을 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로 대체하여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목재를 이용하여 목침을 제조할 경우 나뭇결 등에 의하여 공예품으로서의 고풍스럽고 부드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침의 외주면에 옻칠, 황칠을 함으로써, 방습, 방충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도막에 의하여 고유의 코팅층이 형성되어 코팅층이 형성됨으로써 보존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은은하고 독특한 향에 의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취침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인 목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곡면부가 일부 절개된 상태의 목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수용공간으로부터 마개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인 목침은 제1 실시예인 목침과 달리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기능성 물질(75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70)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70)는 기능성 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710)과, 상기 수용공간(7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마개(730)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공간(710)은 상기 목침의 일측에 구비되면 족하고, 어느 특정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목침의 측면부(50)에 개방부가 위치되도록 수용공간(7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물질(750)은 인체의 심신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이면 족하다. 예를 들면 황토, 게르마늄, 옥, 맥반석, 숯, 터마린, 수정, 호박, 자철광, 의왕석, 맥반석, 장석 등 원적외선 또는/및 음이온이 발생하는 물질을 상기 수용공간(710)에 수용한 후 마개(730)로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목침을 사용하게 되면 황토 등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에 의하여 인체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건강 유지활동을 활발하게 촉진시킴으로서 노화방지, 신진대사촉진, 성인병 예방 등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710)에 쑥, 당귀, 황기, 허브 등의 향기를 발산하는 물질을 수용하여 사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마개(730)에는 향기 등이 원활하게 외부로 발산되도록 도 3 내지 5와 같이 다공(73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은 사용자가 머리를 베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몸체의 외주면에 한지가 도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몸체의 곡면부를 포함한 부분을 도 7과 같이 한지 또는 비단(90)을 이용하여 감싼 상태로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한지 또는 비단(90)을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함으로서, 더욱 고급스러움과 부드러움을 더하여 건강한 취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침은 몸체의 곡면부의 중간부가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에 복수의 세로방향의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취침하기 위하여 목침을 벤 경우 목부분의 일측에 한하여 압박을 가하지 않고 목부분에 골고루 압박을 분산할 수 있어 사용감이 우수하고, 또한 중간부에 형성된 복수의 세로방향의 돌출부에 의하여 무리한 지압에 의하여 인체에 무리를 가하지 않고 적정한 지압을 목부분에 가함으로써 더욱 편안한 상태에서 목부분에 지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출부 사이로 공기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장시간 동안 목침을 베더라도 목부분에 땀이 차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 기능성 물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에 인체의 심신에 유익한 원적외선, 음이온, 향기 등을 발산하는 물질을 구비할 수 있어 더욱 향상된 취침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외주면에 옻칠 또는 황칠의 코팅층이 구비됨으로써, 방습, 방충효과가 우수하여 보존효과가 우수하고, 독특한 빛깔에 의하여 더욱 고급스럽고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옻칠 또는 황칠의 은은한 고유의 향기에 의하여 더욱 상쾌하고 편안한 취침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몸체의 외주면을 한지 또는 비단으로 도배함으로써, 고급스러움과 친근감으로 건강한 취침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목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목침의 정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인 목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곡면부가 일부 절개된 상태의 목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수용공간으로부터 마개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사용자가 머리를 베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몸체의 외주면에 한지가 도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저부면 30: 곡면부
310: 중간부 330: 돌출부
50: 측면부 70: 수용부
710: 수용공간 730: 마개
732: 다공 750: 기능성 물질
90: 한지

Claims (4)

  1. 반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의 곡면부의 중간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에는 복수의 세로방향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기능성 물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옻칠 또는 황칠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한지 또는 비단으로 이루어진 외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침.
KR20-2005-0025819U 2005-05-25 2005-09-07 목침 KR200402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819U KR200402627Y1 (ko) 2005-05-25 2005-09-07 목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775 2005-05-25
KR20-2005-0025819U KR200402627Y1 (ko) 2005-05-25 2005-09-07 목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627Y1 true KR200402627Y1 (ko) 2005-12-02

Family

ID=4370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819U KR200402627Y1 (ko) 2005-05-25 2005-09-07 목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6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23Y1 (ko) * 2009-08-31 2012-05-29 김재성 목베개
KR20220001938U (ko) 2021-02-01 2022-08-09 최동우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23Y1 (ko) * 2009-08-31 2012-05-29 김재성 목베개
KR20220001938U (ko) 2021-02-01 2022-08-09 최동우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2544A (en) Hydraulic pillow
JPH0810120A (ja) 健康枕
CN205649014U (zh) 中药治脚气、竹炭、磁疗和远红外多功能减震按摩保健鞋
KR200402627Y1 (ko) 목침
KR200443957Y1 (ko) 기능성 베개
KR102378030B1 (ko) 다기능 복합시트
KR101308052B1 (ko) 다층 구조의 베갯잇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편백 베개
KR200334906Y1 (ko) 건강베개
KR200473752Y1 (ko) 편백나무 쿠션체
KR200263440Y1 (ko) 옥매트구조
JP2000287804A (ja)
JPH0753569Y2 (ja) 自然木を利用した枕
KR102107790B1 (ko) 다다미
JP2011152377A (ja) 森林浴安眠枕
KR200319542Y1 (ko) 베개속재
KR20230056928A (ko) 그래핀이 포함된 침구류 커버
JP3084443U (ja)
KR200397180Y1 (ko) 은나노가 함유된 침대 매트리스
KR200341753Y1 (ko) 건강 베개
JP3066102U (ja) 加工石を配置した布団
KR20190000255U (ko) 바디 필로우
KR200358580Y1 (ko) 우드카펫용 기능성 테두리재
JP3026856U (ja)
KR20200001684U (ko) 기능성 베개
KR100248311B1 (ko) 지압작용을 갖는 침구용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