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613Y1 -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613Y1
KR200402613Y1 KR20-2005-0025542U KR20050025542U KR200402613Y1 KR 200402613 Y1 KR200402613 Y1 KR 200402613Y1 KR 20050025542 U KR20050025542 U KR 20050025542U KR 200402613 Y1 KR200402613 Y1 KR 200402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main body
fixed
protrusion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도
Original Assignee
바프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프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프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5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613Y1/ko
Priority to US10/597,603 priority patent/US7614528B2/en
Priority to PCT/KR2005/004052 priority patent/WO200702990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B67D3/04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and venting means operated automatically with the t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141Oth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버의 작동에 의해서 하부로 배출되는 액체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배출시키는 액체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배출양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는,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는 액체유입공간이 형성되며, 일측 하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지지구에 지지되면서 본체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공기공급부가 고정되는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부에는 관통공과 용기삽입홈이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용기삽입홈에 삽입되어 본체의 액체유입공간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보관용기와; 상기 본체의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에서 지지구의 하부에 형성되며, 지지구의 하부에 이동되면서 배출되는 양을 조절하는 액체배출부와; 상기 액체배출부가 형성되는 본체의 돌출부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마개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부에는 공기공급부를 작동시키는 누름대가 상부에 형성된 레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An adjustable liquid discharge device of discharge quantity}
본 고안은 레버의 작동에 의해서 하부로 배출되는 액체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배출시키는 액체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배출양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액체를 배출하는 정수기 등은 공지된 바와 같이 레버를 작동시키면 연속적으로 액체가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레버를 작동시키면서 다른 곳을 쳐다보거나 작동레버의 작동을 멈추지 않으면 액체를 담는 용기 이상으로 액체가 초과되어 용기의 밖으로 흘러 넘치며, 용기에 일정량만큼을 담을 때는 레버를 작동시키면서 육안으로 그 양을 가늠하면서 레버를 작동시켜 용기에 일정량을 담고, 일정량이 초과되면 용기에 담겨진 액체를 버리면서 양을 조절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량을 용기에 담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센서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일정량이 배출구로 통과하면 자동으로 배출구를 차단하여 일정량 이상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없도록 형성하였지만, 센서와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기적인 신호로 작동하는 것이므로, 항상 전기설비가 있는 장소에서만 사용해야만 했으며, 가격이 고가이고, 전기 사용료를 지불해야만 하며,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습기가 많은 곳에서는 누전이나 합선의 위험 때문에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일정량 배출장치를 기계적인 작동으로 형성하여 전기가 없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이 어렵고,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가격이 고가이며, 부품간의 연결이 복잡하고 강도가 약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 10-2003-0094843호와 같이 기계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되는 액체의 양이 항상 일정하지만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사용양의 조절이 필요하지만 배출되는 양은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기가 없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는 일정량 액체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없으며, 가격이 저렴한 일정량 액체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되는 장소 또는 사람에 따라 배출되는 양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는,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는 액체유입공간이 형성되며, 일측 하부에는 중간에 액체공급홈이 다수개 형성된 지지구가 형성되는 돌출부가 액체유입공간과 연결되어 돌출되고, 돌출부와 액체유입공간이 연결되는 둘레에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돌출부가 형성된 쪽으로 본체 양쪽에는 힌지삽입홈이 형성된 레버고정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지지구에 지지되면서 본체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공기공급부가 고정되는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공기공급부가 고정되는 쪽에는 공기공급부의 일부가 돌출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이 형성되는 반대쪽에는 용기삽입홈이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용기삽입홈에 삽입되어 본체의 액체유입공간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보관용기와;
상기 본체의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에서 지지구의 하부에 형성되며, 지지구의 하부에 이동되면서 배출되는 양을 조절하는 액체배출부와;
상기 액체배출부가 형성되는 본체의 돌출부 하부에 고정되며, 하부에는 액체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부마개와;
상기 하부마개가 고정되는 본체의 레버고정구에 형성된 힌지삽입홈에 삽입되는 힌지가 안쪽에 돌출되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덮개의 관통공으로 돌출되는 공기공급부를 작동시키는 누름대가 상부에 형성된 레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보관용기(600) 및 본체(100)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400)와 본체(100)에 유입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액체배출부(500)로 형성된다.
내부에 액체가 보관되는 본체(100)는 도 2 및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액체유입공간(110)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20)를 형성한다.
본체(100)의 일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20)는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액체유입공간(110)과 연결되어 액체유입공간(110)으로 유입된 액체가 돌출부(1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하며, 돌출부(120)와 액체유입공간(110)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 경사면(121)을 형성하며, 돌출부(120)의 내부 중간에는 다수개의 액체공급홈(123)이 형성되는 지지구(122)를 형성한다.
내부 중앙에 액체유입공간(110)으로 유입되는 액체가 통과되는 액체공급홈이 형성되는 지지구(122)가 형성되는 본체(100)에서 돌출부(120)가 돌출되는 쪽의 본체(100) 둘레 양쪽에는 힌지삽입홈(131)이 형성되는 레버고정구(13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체(100)의 돌출부(120)에 형성되는 지지구(122)의 상부에는 본체(10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400)를 형성한다.
지지구(122)의 상부에 형성되어 본체(10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400)는 도 2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의 중간에 형성된 지지구(122)의 상부에 제1 탄성부재(410)를 올려놓으며, 상기 제1 탄성부재(410)의 상부에는 상부개폐부재(420)를 올려놓아 상부개폐부재(420)가 제1 탄성부재(410)에 의해서 항상 상승되는 탄성을 받도록 형성한다.
제1 탄성부재(410)의 탄성에 의해서 상승되는 상부개폐부재(420)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서 하부로 작동축(421)을 형성하며, 작동축(421)은 본체(100)의 돌출부(120) 안쪽에 형성된 지지구(122)를 관통하여 지지구(122)의 하부로 작동축(421)의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하며, 지지구(122)의 하부로 돌출되는 작동축(421)에는 나사(422)를 형성하고 너트(426)로 작동축(421)을 고정하여 제1 탄성부재(410)의 탄성에 의해서 상부개폐부재(420)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체(100)의 돌출부(120)에 형성되는 지지구(122)를 관통하여 너트(426)로 고정되는 작동축(421)이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상부개폐부재(420)는 본체(100)의 돌출부(120) 내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하며, 하부 둘레에는 본체(100)의 액체유입공간(110)과 돌출부(120)가 연결되는 제1 경사면(121)과 밀착되는 제1 기밀부재(425)를 고정하여 상부개폐부재(420)가 하강하면서 제1 기밀부재(425)가 제1 경사면(121)에 밀착되면 본체(100)의 액체유입공간(110)에 유입된 액체가 상부개폐부재(420)에 의해서 돌출부(120)의 안쪽으로 이동될 수 없도록 형성한다.
하부 둘레에 제1 경사면(121)과 밀착되는 제1 기밀부재(425)가 형성된 상부개폐부재(420)의 작동축(421) 둘레에는 다수개의 공기이동공(424)을 형성하여 상부개폐부재(420)가 돌출부(120)를 막았을 때 공기이동공(424)을 통해 공기를 돌출부(120) 안쪽에 공급하도록 형성하며, 작동축(421)의 상부 중앙에는 밀핀(423)을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상부개폐부재(420)의 상부에는 상부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하단부 중앙에는 상부개폐부재(420)의 작동축(421) 상부에 형성된 밀핀(423)이 삽입되는 공기공급공(431)이 형성되는 눌림부재(430)를 놓는다.
상부개폐부재(420)의 상부에 놓아지며, 하단부 중앙에는 공기공급공(431)이 형성되는 눌림부재(430)의 둘레에는 고정홈(432)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눌림부재(430)의 개구된 부분 안쪽에는 도 5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제2 기밀부재(441)가 고정된 공기밀폐부재(440)를 고정하여 눌림부재(430)의 공기공급공(431)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눌림부재(430)의 개구된 안쪽에는 공기밀폐부재(440)의 직경보다 더 큰 내경이 형성되어 하부로 개구되는 가압부재(460)를 삽입한다.
공기밀폐부재(440) 보다 더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개구되는 가압부재(460)의 상부에는 공기유입공(461)이 형성되며, 공기밀폐부재(440)와 가압부재(460)의 사이에는 도 5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탄성부재(450)를 삽입하여 제2 탄성부재(450)에 의해서 공기밀폐부재(440)가 눌림부재(430) 쪽으로 가압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공기공급부(400)가 돌출부(120)의 지지구(122) 상부에 형성되는 본체(100)의 상부에는 일측에 공기공급부(400)의 가압부재(460)가 돌출되는 관통공(210)과 용기삽입홈(220)이 형성된 덮개(200)를 고정한다.
본체(100)의 상부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공기공급부(400)의 가압부재(460)가 돌출되는 관통공(210)이 형성된 덮개(200)의 안쪽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관통공(2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고정턱(230)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200)의 고정턱(230)과 눌림부재(430)의 고정홈(432)에는 연질로 형성되어 가변되는 가변부재(470)를 고정한다.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가변되며, 덮개(200)의 고정턱(230)과 눌림부재(430)의 고정홈(432)에 고정되는 가변부재(470)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덮개(200)의 고정턱(230)에 고정되는 걸림돌기(471)가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부에는 눌림부재(430)의 고정홈(43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72)가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덮개(200)의 안쪽과 눌림부재(430)를 연결하면서 밀폐시킨다.
상기와 같이 공기공급부(400)가 상부에 형성되는 본체(100)의 돌출부(120) 안쪽에 형성된 지지구(122)의 하부에는 본체(100)의 액체유입공간(110)으로 유입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액체배출부(500)를 형성한다.
본체(100)에 형성되는 돌출부(120)의 안쪽에서 지지구(122)의 하부에 형성되는 액체배출부(500)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어 공간(511)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제2 경사면(513)이 형성되는 액체유입부재(510)를 지지구(122)의 하부에 고정한다.
돌출부(120)에 형성되는 지지구(122)의 하부에서 돌출부(120) 안쪽에 고정되는 액체유입부재(510)와 돌출부(120)의 안쪽에는 나사부(520)를 형성하여 액체유입부재(510)가 돌출부(120)의 지지구(122) 하부에서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형성한다.
돌출부(120)의 지지구(122) 하부에서 나사부(520)로 체결되는 액체유입부재(510)의 둘레 하부에는 제3 기밀부재(512)를 고정하여 돌출부(120)의 내부와 액체유입부재(510)의 제3 기밀부재(512)가 밀착되면서 액체가 액체유입부재(510)와 돌출부(120)의 내경 사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액체유입부재(510)의 하단부에는 하부개폐부재(530)를 공기공급부(400)의 상부개폐부재(420)의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돌출부(120)의 지지구(122)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된 작동축(421)의 나사(422)와 연결하여 고정한다.
공기공급부(400)의 상부개폐부재(420)의 작동축(421)에 형성된 나사(422)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하부개폐부재(530)는 상부개폐부재(420)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며, 상부 둘레에는 액체유입부재(5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경사면(513)과 밀착되는 제4 기밀부재(531)를 고정하여 하부개폐부재(530)가 액체유입부재(510)의 하단부에 밀착될 때 하부개폐부재(530)의 제4 기밀부재(531)가 액체유입부재(5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경사면(513)에 밀착되면서 액체유입부재(510)에 담겨지는 액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없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액체유입부재(510)와 하부개폐부재(530)가 삽입되는 돌출부(120)의 하부에는 하부마개(540)를 고정한다.
하부마개(540)를 고정하는 방법은 양쪽에 나사를 형성하여 체결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며, 하부마개(540)의 하단부 중앙에는 배출구(541)를 형성하여 하부개폐부재(530)가 액체유입부재(510)에서 떨어질 때 액체유입부재(510)에 담겨진 액체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공급부(400)와 액체배출부(500)가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100)의 돌출부(120) 쪽에 형성되는 레버고정구(130)의 힌지삽입홈(131)에는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0)의 안쪽에 형성되는 레버(300)가 고정되도록 형성하며, 상부에는 덮개(200)의 관통공(210)으로 돌출되는 가압부재(460)를 누르는 누름대(320)를 형성하여 공지된 바와 같이 레버(300)가 사용자에 의해서 젖혀질 때 누름대(320)가 공기공급부(400)의 가압부재(460)를 누르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체(100)의 상부에 고정된 덮개(200)의 용기삽입홈(220)에 액체보관용기(600)를 올려 놓는다.
덮개(200)의 용기삽입홈(220)에 삽입되는 액체보관용기(600)는 공지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가글액과 같은 액체가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보관용기(600)의 내부에 보관된 액체가 본체(100)의 액체유입공간(110)으로 유입된다.
본체(100)의 액체유입공간(110)으로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보관용기(6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뚜껑(610)을 형성하여 액체보관용기(600)를 교체하지 않고 사용자가 항상 액체를 보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용기삽입홈(220)의 하부에 액체보관용기(600)의 입구를 절개하는 절개날(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여 액체보관용기(600)를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덮개(200)의 용기삽입홈(220)에 액체보관용기(600)가 놓여지면서 본체(100)의 액체유입공간(110)으로 액체가 유입될 때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개폐부재(420)가 제1 탄성부재(410)에 의해서 상부로 상승되면서 상부개폐부재(420)의 제1 기밀부재(425)가 본체(100)의 제1 경사면(121)에서 떨어져 있으며, 상부개폐부재(420)의 작동축(421)에 형성된 나사(422)와 결합된 하부개폐부재(530)의 제4 기밀부재(531)는 액체유입부재(510)의 제2 경사면(513)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유입공간(110)으로 유입되는 액체는 상부개폐부재(420)의 제1 기밀부재(425)와 본체(100)의 제1 경사면(121) 사이와 돌출부(120)의 안쪽 중간에 형성된 지지구(122)의 액체공급홈(123)을 따라 액체유입부재(510)의 내부 공간(511)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부개폐부재(420)가 제1 탄성부재(410)에 의해서 상부로 가압되지만 지지구(122)를 관통한 작동축(421)의 나사(422)에 너트(426)를 고정하기 때문에 상부개폐부재(420)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액체가 돌출부(120)의 내부와 액체배출부(500)의 액체유입부재(510)의 공간(511)에 체워질 때 공기공급부(400)의 공기밀폐부재(440)에 형성되는 제2 기밀부재(441)가 눌림부재(430)의 공기공급공(431)을 제2 탄성부재(450)의 탄성에 의해서 밀폐시키기 때문에 본체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로 대기하는 액체를 사용할 때는 사용자가 컵(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0)를 뒤쪽으로 밀면서 컵을 하부마개(540)의 배출구(541) 하부에 밀착시킨다.
사용자가 레버(300)를 밀어 뒤로 젖혀지면 레버(300)가 본체(100)의 양쪽에 형성된 레버고정구(130)의 힌지삽입홈(131)에 삽입되어 고정된 힌지(3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사용자가 누르는 레버(300)의 아래쪽은 회전하면서 뒤로 밀리고, 레버(300)의 상부에 형성된 누름대(320)는 힌지(3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덮개(200)의 관통공(210) 상부로 돌출된 공기공급부(400)의 가압부재(460)를 아래쪽으로 누른다.
상기와 같이 레버(300)의 누름대(320)가 덮개(200)의 관통공(210)으로 돌출된 가압부재(460)를 누르면 가압부재(460)가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눌림부재(430)를 누르면서 눌림부재(430)가 하강하면, 눌림부재(430)가 하강될 때 눌림부재(43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공기공급공(431)을 밀폐시키는 제2 기밀부재(441)가 하부에 형성된 공기밀폐부재(440)도 같이 하강한다.
가압부재(460)에 의해서 눌림부재(430)와 공기밀폐부재(440)가 하강될 때 눌림부재(430)의 고정홈(432)과 덮개(200)의 고정턱(230)에 걸림돌기(471)와 고정돌기(472)가 형성된 가변부재(470)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200)의 고정턱(230)에 고정된 걸림돌기(471) 부분은 고정되지만 눌림부재(430)의 고정홈(432)에 고정된 고정돌기(472) 부분이 눌림부재(430)와 함께 하강하면서 가변부재(470)가 늘어나면서 눌림부재(430)와 가압부재(460)의 둘레를 밀폐시키며, 공기밀폐부재(440)는 하강되면서 눌림부재(430)의 중앙에 형성된 공기공급공(431)으로 삽입되는 상부개폐부재(420)의 작동축(421) 상부에 형성된 밀핀(423)을 가압하면서 상부개폐부재(420)가 가압부재(460)와 같이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레버(300)의 회전으로 가압부재(460)가 내부에 삽입된 공기밀폐부재(440)가 상부개폐부재(420)의 밀핀(423)을 가압하여 상부개폐부재(420)가 하강할 때 제1 탄성부재(410)를 압축시키면서 상부개폐부재(420)에 형성된 제1 기밀부재(425)가 본체(100)와 돌출부(120)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1 경사면(121)에 밀착되면서 본체(100)의 액체유입공간(110)으로 유입된 액체가 돌출부(120) 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공급부(400)의 상부개폐부재(420)에 형성된 제1 기밀부재(425)가 본체(100)의 제1 경사면(121)에 밀착된 상태에서 계속 상부개폐부재(420)의 밀핀(423)을 가압하면 상부개폐부재(420)가 하강하지 않기 때문에 밀핀(423)에 의해 공기밀폐부재(440)가 제2 탄성부재(450)를 가압하면서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계속 하강시키는 힘에 의해 공기밀폐부재(440)가 더 이상 하강할 수 없는 상부개폐부재(420)의 밀핀(423)에 의해서 상승되면 공기밀폐부재(440)의 제2 기밀부재(441)에 의해서 밀폐된 눌림부재(430)의 공기공급공(431)이 개방되면서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가압부재(460)의 공기유입공(461)을 통해 눌림부재(430)의 공기공급공(431)으로 공급되며, 공기공급부(400)의 눌림부재(430)에 형성된 공기공급공(431)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개폐부재(420)의 작동축(421) 둘레에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이동공(424)을 통해 본체(100)의 돌출부(12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레버(300)의 회전에 의해서 상부개폐부재(420)가 하강하면서 본체(100)의 돌출부(120) 내부를 밀폐시킬 때 돌출부(120)의 지지구(122) 하부에 형성된 액체배출부(500)의 하부개폐부재(530)가 상부개폐부재(420)의 작동축(421)에 형성된 나사(422)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개폐부재(420)와 함께 하부개폐부재(530)도 같이 하강한다.
액체배출부(500)의 하부개폐부재(530)가 상부개폐부재(420)와 함께 하강될 때 본체(100)의 돌출부(120)의 하부 안쪽에 나사부(520)로 결합된 액체유입부재(5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경사면(513)에 밀착되는 제4 기밀부재(531)가 하부개폐부재(530)와 함께 하강하기 때문에 상부개폐부재(420)가 하강하면서 밀폐되는 본체(100)의 돌출부(120) 내부와 액체배출부(500)의 액체유입부재(510) 공간(511)에 담겨진 액체가 액체유입부재(510)와 하부개폐부재(530)의 사이로 흐르면서 돌출부(120)에 고정된 하부마개(540)의 배출구(5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사용자가 컵을 하부마개(540)의 하부에 놓으면 컵으로 액체가 담견진다.
상기와 같이 상부개폐부재(420)에 의해서 밀폐되는 돌출부(120)와 액체유입부재(510)의 공간(511)에 보관된 액체가 하부로 흘러 배출될 때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공급부(400)를 통해 공기가 돌출부(120)의 내부로 계속 공급되기 때문에 액체가 쉽게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되는 액체의 양은 항상 일정하게 배출된다.
액체가 모두 배출되면 사용자가 컵을 빼면서 레버(300)에 가했던 힘이 제거되면 제1 탄성부재(410)의 탄성에 의해서 상부개폐부재(420)가 상승하며, 상기 상부개폐부재(420)가 상승될 때 상부개폐부재(420)의 작동축(421)에 형성된 나사(422)와 체결되어 고정된 하부개폐부재(530)도 함께 상승된다.
상부개폐부재(420)와 하부개폐부재(530)가 가압되는 힘이 제거되면서 발생되는 제1 탄성부재(410)의 탄성에 의해서 상승될 때 상부개폐부재(420)의 제1 기밀부재(425)에 의해서 본체(100)의 제1 경사면(121)과 밀착되면서 밀폐됐던 돌출부(120)의 내부가 개방되는 동시에 액체배출부(500)의 하부개폐부재(530)에 형성된 제4 기밀부재(531)가 액체유입부재(510)의 제2 경사면(513)에 밀착되면서 액체유입부재(510)의 하부를 밀폐시킨다.
상기와 같이 레버(300)에 가해졌던 힘에 제거되면서 가압부재(460)에 가했던 힘이 제거되면서 제1 탄성부재(410)의 탄성에 의해서 상부개폐부재(420)가 상승될 때 눌림부재(430)와 가압부재(460)가 상승되며, 눌림부재(430)가 상승되면서 상부개폐부재(420)의 밀핀(423)이 공기밀폐부재(440)와 떨어지면서 제2 탄성부재(450)의 탄성에 의해 공기밀폐부재(440)가 눌림부재(430) 쪽으로 이동한다.
공기밀폐부재(440)가 제2 탄성부재(450)의 탄성에 의해 눌림부재(430) 쪽으로 이동되면 공기밀폐부재(440)에 형성된 제2 기밀부재(441)가 눌림부재(430)의 공기공급공(431)을 밀폐시켜 본체(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개폐부재(420)와 하부개폐부재(530)가 제1 탄성부재(410)에 의해서 상승되면 상부개폐부재(420)와 본체(100)의 돌출부(120) 사이로 형성되는 간격을 통해 본체의 액체유입공간(110)으로 유입되는 액체가 돌출부(120)와 액체배출부(500)의 액체유입부재(510)의 공간(511)으로 유입되어 보관되면서 항상 일정한 양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외부로 배출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할 때는 먼저 돌출부(120)의 하부에 고정된 하부마개(540)를 제거한다.
하부마개(540)가 제거되면 돌출부(120)의 안쪽에 나사부(520)로 결합된 액체배출부(500)의 액체유입부재(510) 회전시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유입부재(510)의 상단부와 돌출부(120)의 중간에 형성된 지지구(12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벌려 돌출부(120)의 내부 부피를 크게 하여 배출되는 양이 많도록 하거나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유입부재(510)를 회전시켜 액체유입부재(510)의 상단부가 돌출부(120)의 중간에 형성된 지지구(122)가 밀착되도록 하여 돌출부(120)의 내부 부피가 작아지도록 하여 배출되는 양을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액체배출부(500)의 액체유입부재(510)를 이동시켜 돌출부(120)의 내부 부피를 조절하는 것은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L) 만큼 액체유입부재(510)가 이동되기 때문에 이동되는 거리(L)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배출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레버에 의해서 하부로 하강하는 작동축과 개폐부재에 의해서 항상 일정한 양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에 의해서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고, 견고하여 고장이 없어 유지관리비가 필요 없어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액체유입부재를 본체의 돌출부 내부에서 이동시키면서 액체가 유입되는 공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배출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본체와 하부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액체배출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본체의 내부에 제 2탄성부재와 작동축이 하부로 돌출되는 상부개폐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부개폐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그공급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몸체와 레버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버에 의해서 액체배출부재와 공기공급부재가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액체공급부의 액체유입부재를 상승시켜 액체가 유입되는 양을 최소화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액체공급부의 액체유입부재가 유입되는 액체 양이 최소부분과 최대로 유입될 수 있는 상태를 차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액체유입공간
120 : 돌출부 121 : 제1 경사면
122 : 지지구 123 : 액체공급홈
130 : 레버고정구 131 : 힌지삽입홈
200 : 덮개 210 : 관통공
220 : 용기삽입홈 230 : 고정턱
300 : 레버 310 : 힌지
320 : 누름대 400 : 공기공급부
410 : 제1 탄성부재 420 : 상부개폐부재
421 : 작동축 422 : 나사
423 : 밀핀 424 : 공기이동공
425 : 제1 기밀부재 430 : 눌림부재
431 : 공기공급공 432 : 고정홈
440 : 공기밀폐부재 441 : 제2 기밀부재
450 : 제2 탄성부재 460 : 가압부재
461 : 공기유입공 470 : 가변부재
471 : 걸림돌기 472 : 고정돌기
500 : 액체배출부 510 : 액체유입부재
511 : 공간 512 : 제3 기밀부재
513 : 제2 경사면 520 : 나사부
530 : 하부개폐부재 531 : 제4 기밀부재
540 : 하부마개 541 : 배출구
600 : 액체보관용기 610 : 뚜껑

Claims (6)

  1.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는 액체유입공간이 형성되며, 일측 하부에는 중간에 액체공급홈이 다수개 형성된 지지구가 형성되는 돌출부가 액체유입공간과 연결되어 돌출되고, 돌출부와 액체유입공간이 연결되는 둘레에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돌출부가 형성된 쪽으로 본체 양쪽에는 힌지삽입홈이 형성된 레버고정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지지구에 지지되면서 본체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공기공급부가 고정되는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공기공급부가 고정되는 쪽에는 공기공급부의 일부가 돌출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이 형성되는 반대쪽에는 용기삽입홈이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용기삽입홈에 삽입되어 본체의 액체유입공간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보관용기와;
    상기 본체의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에서 지지구의 하부에 형성되며, 지지구의 하부에 이동되면서 배출되는 양을 조절하는 액체배출부와;
    상기 액체배출부가 형성되는 본체의 돌출부 하부에 고정되며, 하부에는 액체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부마개와;
    상기 하부마개가 고정되는 본체의 레버고정구에 형성된 힌지삽입홈에 삽입되는 힌지가 안쪽에 돌출되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덮개의 관통공으로 돌출되는 공기공급부를 작동시키는 누름대가 상부에 형성된 레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본체의 돌출부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구의 상부에 지지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탄성부재가 하부에 밀착되며, 하부 중앙에는 나사가 형성된 작동축이 형성되어 본체의 지지구를 관통하여 돌출부의 하부로 연장되고, 작동축의 상부에는 밀핀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부 둘레에는 본체의 제1 경사면과 밀착되는 제1 기밀부재가 고정되고, 작동축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공기이동공이 형성되며, 본체의 지지구 하부에서 너트로 작동축에 나사로 고정하는 상부개폐부재와;
    상기 상부개폐부재의 밀핀이 삽입되는 공기공급공이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상부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둘레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눌림부재와;
    상기 눌림부재의 개구된 중앙에 놓여지며, 하부에는 제2 기밀부재가 고정되는 공기밀폐부재와;
    상기 공기밀폐부재가 삽입되는 내경이 하부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부 중앙에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되어 덮개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내경에 삽입되어 공기밀폐부재에 탄성을 가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눌림부재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하부 안쪽에 형성되며, 반대쪽 단부 안쪽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덮개의 관통공 안쪽에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턱을 형성하여 눌림부재와 가압부재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가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재는 외압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실리콘으로 형성하여 눌림부재가 레버에 의해서 하부로 눌려질 때 덮개에 고정된 부분과 하부로 하강하는 눌림부재의 사이에서 길이나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배출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둘레와 본체의 돌출부 안쪽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돌출부의 안쪽에서 회전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여 본체의 돌출부 부피를 조절하며, 하부 둘레에는 제3 기밀부재를 고정하여 돌출부와 밀폐되게 고정되는 액체유입부재와;
    상기 액체유입부재의 하부에 밀착되며, 공기공급부와 연결되어 공기공급부에 의해서 작동되고, 둘레에는 액체유입부재의 제2 경사면과 밀착되는 제4 기밀부재를 형성하여 액체유입부재의 하부를 밀착시키는 하부개폐부재와;
    상기 돌출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하부에는 하부개폐부재에 의해서 액체유입부재에 보관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마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
  5. 제 4하에 있어서;
    상기 하부개폐부재는 공기공급부의 상부개폐부재에 형성된 작동축의 나사와 체결되어 상부개폐부재와 함께 하부개폐부재가 동시에 이동되면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보관용기의 상부에는 뚜껑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뚜껑을 열고 액체보관용기에 액체를 보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
KR20-2005-0025542U 2005-09-05 2005-09-05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 KR200402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542U KR200402613Y1 (ko) 2005-09-05 2005-09-05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
US10/597,603 US7614528B2 (en) 2005-09-05 2005-11-30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discharged amount of liquid
PCT/KR2005/004052 WO2007029901A1 (en) 2005-09-05 2005-11-30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discharged amount of liqu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542U KR200402613Y1 (ko) 2005-09-05 2005-09-05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101A Division KR100643024B1 (ko) 2005-09-05 2005-09-05 배출량이 조절 가능한 액체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613Y1 true KR200402613Y1 (ko) 2005-12-05

Family

ID=4370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542U KR200402613Y1 (ko) 2005-09-05 2005-09-05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6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552B1 (ko) * 2012-10-02 2014-10-24 (주)씨앤씨컴퍼니 위생용 구강 세정액 공급 장치
KR20210106266A (ko) * 2020-02-20 2021-08-30 안기장 고저압 겸용 출수코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552B1 (ko) * 2012-10-02 2014-10-24 (주)씨앤씨컴퍼니 위생용 구강 세정액 공급 장치
KR20210106266A (ko) * 2020-02-20 2021-08-30 안기장 고저압 겸용 출수코크
KR102354162B1 (ko) 2020-02-20 2022-01-20 안기장 고저압 겸용 출수코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528B2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discharged amount of liquid
KR200452889Y1 (ko) 화장품 도포장치
JP3223907U (ja) エアポンプ式の上部給水加湿器
JP2015516190A (ja) 真空ポンプが具備されたクリームタイプ化粧品容器
JP2019519253A (ja) パウダー吐出容器
JP2006137491A (ja) 流動体貯留容器および流動体流出装置
KR200402613Y1 (ko)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
EP0000598A1 (de) Gerät zum Reinigen von Zahnprothesen
KR101712505B1 (ko) 스펀지를 구비한 화장액 공급용기
KR100643024B1 (ko) 배출량이 조절 가능한 액체 배출 장치
AU1762002A (en) Squeeze liquid dispenser
KR200444462Y1 (ko) 사용성을 개선한 액체 디스펜서
KR200421639Y1 (ko) 분말재료 공급장치
KR200422424Y1 (ko) 물비누 디스펜서
KR100559480B1 (ko) 일정량 액체 배출장치
KR200362339Y1 (ko) 화장품 용기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060122451A (ko) 펌프식 화장품용기
KR200393943Y1 (ko) 다용도 용기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CN109661276B (zh) 防水型泵分配器
KR200396348Y1 (ko)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JP2005271924A (ja) 液吐出器
KR200344323Y1 (ko) 일정량 액체 배출장치
KR101193911B1 (ko)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