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348Y1 -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 Google Patents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348Y1
KR200396348Y1 KR20-2005-0015854U KR20050015854U KR200396348Y1 KR 200396348 Y1 KR200396348 Y1 KR 200396348Y1 KR 20050015854 U KR20050015854 U KR 20050015854U KR 200396348 Y1 KR200396348 Y1 KR 200396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rotary seat
discharge
outlet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이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경 filed Critical 이재경
Priority to KR20-2005-0015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3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향제분사용기에 압력조절부와 배출수단을 설치하여 향제수용부의 내부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향제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장치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향제를 수용하는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좌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의 저면에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배출유도공이 형성된 하부커버와, 상기 회전좌의 회동에 따라 상기 몸체에 내장된 향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진 향제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몸체의 배출구 상부와 내주면에 안착되는 개폐부와, 상기 배출구의 하부와 하부커버의 내주면에 구비된 향제조절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FLUID PHASE MATERIAL SPRAY RECEPTACLE OF REVOLION APPARATUS}
본 고안은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향제분사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향제의 배출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내부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방향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방향제를 분사하기 위한 향제분사장치는 분무기, 분액기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방향제를 멀리까지 분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전,자기적 회전장치(회전좌)를 이용한 방향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방향장치는 향제가 수용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회전좌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케이스에 수용된 향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방향제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케이스의 전체를 교환해야 하므로 제품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정기간 사용하다보면 상기 향제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향제분사용기에 압력조절부와 배출수단을 설치하여 향제수용부의 내부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향제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장치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한 각도로 회전축을 회동시키는 회전좌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향제를 수용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회전좌의 회동에 따라 상기 몸체에 내장된 향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향제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몸체의 배출구 상부와 내주면에 안착되어 향제의 배출을 유도하는 개폐부와, 상기 배출구의 하부와 하부커버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배출구로 유입된 향제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향제조절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수단의 향제조절부를 보인 부분단면도이며,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도 4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a,b은 도 6에 도시된 다른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향제를 수용하는 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좌(30)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배출유도공(41)이 형성된 하부커버(40)와, 상기 회전좌(3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몸체(10)에 내장된 향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20)으로 이루어진 향제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20)은 몸체(10)의 배출구(12) 상부와 내주면에 안착되는 개폐부(21)와, 상기 배출구(12)의 하부와 하부커버(40)의 내주면에 구비된 향제조절부(24)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좌(30)는 전기를 인가받아 좌우로 일정한 각도로 회동가능한 것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채택한다.
상기 몸체(10)에는 2개가 한조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향제를 수용가능하게 형성된 향제수용부(11)와, 상부에는 향제수용부(11)에 연통되며 향제수용부에 수용된 향제의 내부압력을 유지하는 압력조절부(70)와, 상기 향제수용부(11)에 연통되며 향제를 배출하는 배출수단(20)과, 하부에는 회전좌(30)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결합편(16)이 형성된다.
상기 압력조절부(70)는 향제수용부(11)에 연통되는 통공(71)과, 상기 통공(71)에 삽입되며 승하강하는 승강부재(72)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부재(72)는 통공(71)의 상부를 막는 구체(73)와, 상기 구체(73)에 연장되며 상기 통공(71)의 내부에 승하강가능하게 삽입된 연장편(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커버(50)가 더 포함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와 상부커버(50)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부(51)가 형성되어 상기 압력조절부(70)의 승강부재(72)가 소정높이로 승하강가능한 것이다.
상기 향제수용부(11)에는 수용된 향제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수단(20)은 배출구(12)의 상부에 설치되는 개폐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2)의 하부에 설치되는 향제조절부(2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부(21)는 배출구(12)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고정편(22)과, 상기 고정편(2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2)의 상부에 안착되는 캡(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23)은 원판 또는 삿갓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좌(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향제의 유동되거나 내부압력을 상승에 따른 상기 향제와 접촉되는 상기 캡(23)의 표면적을 넓게 구비하여 상기 개폐부(21)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향제조절부(24)는 배출구(12)의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25)과, 상기 결합홈(25)의 외주면 일단에서 연장된 지지편(26)과, 상기 결합홈(25)과 하부커버(40)의 가이드편(43)에 안착되는 볼(27)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27)은 구 또는 타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커버(40)의 가이드편(4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결합홈(25)의 배출구(12)를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편(26)은 하부커버(40)의 스커트부(42)를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볼(27)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25)의 외주면과 하부커버(40)의 걸림턱(44)은 동일한 회전선상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커버(40)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커버(40)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배출유도공(41)이 형성되고, 내주면 중앙부에 관통된 스커트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부(42)의 외주면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가이드편(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커트부(42)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편(43) 사이 적소에 상향돌출된 걸림턱(4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43)은 스커트부(4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압력조절부(70)의 승강부재(72)를 열고 통공을 통해 향제를 향제수용부(11)에 충전한다.
상기 몸체(10)를 잡고 하부커버(40)를 회동시키면, 상기 향제조절부(24)의 볼(27)이 하강되어 상기 배출구(12)가 열려진 상태가 된다.
이어 상기 몸체(10)의 결합편에 상기 회전좌(30)의 회전축을 결합한 후 상기 회전좌(3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회전좌(30)에 의해 상기 향제수용부(11)에 수용된 향제가 유동되면서 내부압력이 상승됨에 따라 상기 배출수단(20)의 개폐부(21)가 상승되어 상기 배출구(12)를 따라 향제가 이송되고 이어 상기 향제조절부(24)를 거쳐 상기 하부커버(40)의 배출유도공(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향제조절부(24)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향제조절부(24)의 결합홈(25)과 하부커버(40)의 가이드편(43) 사이에 당접된 상태(상기 볼에 의해 배출구(12)가 막혀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커버(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가이드편(43)을 따라 볼(27)이 이송되어 상기 배출구(12)로 유입된 향제가 배출가능한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하부커버(40)의 걸림턱(44)이 회동되면서 상기 결합홈(25)의 외주면에 걸려져 상기 배출구(12)가 완전히 열려진 상태가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향제분사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상기 하부커버(40)를 회동시키면 상기 볼(27)이 가이드편(43)을 따라 상승되면서 상기 결합홈(25)의 외주면이 걸림턱(44)에 걸려져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볼(27)은 결합홈(25)의 배출구(12)를 막아 상기 향제가 배출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배출수단(20)은 상기 하부커버(4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향제조절부(24)에 의해 배출구(12)에 유입된 향제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수단(20)의 개폐부(21)는 향제에 당접되는 표면적을 넓게하여 회전좌(30)의 동작에 의해 향제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향제수용부(11)의 내부압력이 급격하게 상승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조절부(70)의 통공(71)을 따라 승강부재(72)가 승강됨에 따라 향제수용부(11)의 향제가 상기 몸체(10)와 상부커버(50) 사이의 공간부(51)로 이동되어 상기 향제수용부(11)의 내부압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몸체(10)는 2개가 한조로 분리결합되는 그 사이로 향제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폐부(60)는 배출구(12)의 상부에 안착되는 승강판(61)과, 상기 승강판(61)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구(12)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재(6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63)는 상부에 원형상의 걸림턱(64)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64)의 하부로 연장된 삽입편(65)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판(61)은 중앙에 관통된 관통공(62)과, 이 관통공(62)을 중심으로 편심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63)와 승강판(61)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12)의 내부와 상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61)이 편심되게 형성되어 회전좌 및 작은 진동에도 향제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향제분사용기는 배출수단의 개폐부와 향제조절부를 구비하여 향제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향제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항제수용부에 연통되는 압력조절부를 설치함에 따라 상기 향제수용부의 급격한 압력상승에 대처가능하여 향제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수단의 향제조절부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도 4의 작동상태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a,b은 도 6에 도시된 다른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1: 향제수용부
12: 배출구 13: 주입구
20: 배출수단 21: 개폐부
22: 고정편 23: 캡
24: 향제조절부 25: 결합홈
26: 지지편 27: 볼
30: 회전좌 40: 하부커버
41: 배출유도공 42: 스커트부
43: 가이드편 44: 걸림턱
50: 상부커버

Claims (9)

  1. 일정한 각도로 회전축을 회동시키는 회전좌(30)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향제를 수용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커버(40)와, 상기 회전좌(3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몸체(10)에 내장된 향제를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20)으로 이루어진 향제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20)은 배출구(12)의 상부와 내주면에 안착되며 향제를 배출시키는 개폐부(21)와, 상기 배출구(12)의 하부와 하부커버(40)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12)로 유입된 향제의 배출을 유도하는 향제조절부(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21)는 배출구(12)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고정편(22)과, 상기 고정편(22)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2)의 상부에 안착되는 캡(2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60)는 배출구(12)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부재(63)와, 상기 가이드부재(63)와 배출구(12) 사이에 결합되며 편심된 승강판(6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제조절부(24)는 배출구(12)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25)과, 상기 결합홈(25)의 일단에 연장된 지지편(26)과, 상기 결합홈(25)과 하부커버(40) 사이에 개재되는 볼(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40)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배출유도공(41)이 형성되고, 내측에 스커트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부(42)의 외주면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가이드편(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43)은 스커트부(42)의 외주면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향제수용부(11)에 연통되며 향제수용부(11)의 상승된 내부압력을 유지하는 압력조절부(7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70)는 향제수용부(11)에 연통되는 통공(71)과, 상기 통공(71)에 안착되며 향제의 배출을 유도하는 승강부재(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23)은 원판 또는 삿갓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KR20-2005-0015854U 2005-06-02 2005-06-02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KR200396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854U KR200396348Y1 (ko) 2005-06-02 2005-06-02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854U KR200396348Y1 (ko) 2005-06-02 2005-06-02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348Y1 true KR200396348Y1 (ko) 2005-09-21

Family

ID=4369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854U KR200396348Y1 (ko) 2005-06-02 2005-06-02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3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294B1 (ko) 2011-06-20 2014-01-2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향 분사 장치 및 이를 위한 초소형 노즐의 제조 방법
KR20220014231A (ko) * 2020-07-28 2022-02-0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디퓨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294B1 (ko) 2011-06-20 2014-01-2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향 분사 장치 및 이를 위한 초소형 노즐의 제조 방법
KR20220014231A (ko) * 2020-07-28 2022-02-0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디퓨져
KR102402500B1 (ko) 2020-07-28 2022-05-25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디퓨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078B1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US6363948B2 (en) Cosmetic brush assembly
ES2899277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que un dispensador genere diferentes pulverizaciones
KR101717972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US8800891B2 (en) Shower soap dispenser and cartridge
KR102210005B1 (ko) 음료제조용 텀블러
RU2004107506A (ru) Открываемое посредством вращения дозирующе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прокладки
KR20150010306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US20110020052A1 (en) Powder case
KR200396348Y1 (ko)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용기
KR101180456B1 (ko) 수처리용 카트리지 유닛
EP2992967B1 (en) Medicament dispenser
KR101861810B1 (ko) 액상 화장품 토출 장치
JP4510580B2 (ja) 包装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KR101185606B1 (ko) 유체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부재
KR101994141B1 (ko) 분수용 안전노즐
KR101869042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KR100643024B1 (ko) 배출량이 조절 가능한 액체 배출 장치
KR200421639Y1 (ko) 분말재료 공급장치
US11259618B1 (en) Liquid dispensing container assembly
KR101663206B1 (ko) 디스펜서
KR101279910B1 (ko) 회전조절스토퍼 구조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의 배출조절장치 및 그 배출조절장치가 구비된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200402613Y1 (ko) 배출양이 조절 가능한 액체배출장치
KR101797126B1 (ko) 액상 화장품 토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