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960Y1 - 방파대 - Google Patents

방파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960Y1
KR200401960Y1 KR20-2005-0024613U KR20050024613U KR200401960Y1 KR 200401960 Y1 KR200401960 Y1 KR 200401960Y1 KR 20050024613 U KR20050024613 U KR 20050024613U KR 200401960 Y1 KR200401960 Y1 KR 200401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ves
breakwater
suppor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은천
Original Assignee
경은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은천 filed Critical 경은천
Priority to KR20-2005-0024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9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960Y1/ko
Priority to CNA2006800312558A priority patent/CN101253296A/zh
Priority to US12/064,756 priority patent/US20080310919A1/en
Priority to PCT/KR2006/003385 priority patent/WO2007024124A1/en
Priority to JP2008527855A priority patent/JP2009506234A/ja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안이나 부두 또는 항만 및 방조제에 설치되어 파랑이나 파도를 차단하는 방파제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협하광진 일정 경사각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측에 굴곡형성된 방파부재를 다수개 설치하여 높은 파도나 파랑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방파부재들의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여 허리케인이나 싸이클론 등과 같은 대형 태풍이나 또는 쓰나미에 의해 발생되는 높은 해일에 의한 파랑이나 파도의 타격력을 최대한 감소시켜 방파제의 유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프레임과 방파부재의 결합을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비용에 크게 부담을 주지 않는 방파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방파대는, 상측단이 서로 체결되고 상협하광지게 일정경사각으로 벌어지며 체결공(11a)이 다수개 통공된 다수개의 지지프레임(11)과, 상기 지지프레임(11)의 하단측이 체결되어 지지되는 바닥프레임(12)을 갖는 프레임체(10)와; 상기 프레임체(10)의 지지프레임(11)의 체결공(11a)에 대응되는 결합공(21)이 통공되고 결합수단(22)에 의해 상기 체결공(11a)과 결합공(21)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전면측에 다수개 결합되는 방파부재(20)와;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상측단과 체결되는 고정줄(31)과, 상기 고정줄(31)의 하단과 연결되는 연결고리(32)가 상측단에 형성된 중량체(33)를 갖는 지지체(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인 방파대는, 방파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프레임체와 방파부재 및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체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방파부재를 프레임체의 지지프레임에 간단한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비용의 절감효과는 물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방파부재가 호형지게 굴곡진 굴곡면을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 높은 파도나 파랑이 부딪힐 경우 빠르게 분산되는 효과에 의해 방파부재가 받는 충격이 저하되어 방파부재가 유실되거나 도괴되지 않는다.
더욱이, 방파부재가 결합되는 프레임체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연장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지역에 따라 또는 파랑이나 파도의 높이에 따라 방파대를 높게 설치하여 허리케인이나 싸이클론 등과 같은 대형 태풍이나 쓰나미 등에 의해 발생되는 해일에 의해 해안이나 부두 또는 항만이나 방조제의 내측으로 파도나 파랑이 침투되는 것을 분산시켜 피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방파대{BEACHCOMBER AND BILLOW PREVENTION TOOL}
본 고안은 해안이나 방조제 또는 항만, 부두에 설치되어 외해(外海)로부터 불어오는 파도(波濤)나 파랑(波浪)을 차단하는 방파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협하광지게 형성된 프레임의 전면측에 굴곡진 방파부재를 다수개 적층하여 불어오는 파도나 파랑이 해안이나 방조제 또는 항만 및 부두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방파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해(外海)로부터의 파도(波濤)나 파랑(波浪)을 막아서 해안이나 방조재 또는 항만이나 부두 등과 같은 항내(港內)를 정온(靜穩)하게 유지하기 위해 보통 방파제가 축조되어 설치된다.
상기 방파제는 일정한 크기의 사석을 일정한 구배의 기울기로 구축한 다음 사석보다 현저히 큰 크기의 피복석을 포설하여 방파제 또는 호안을 축조하게 되는 바, 그러나 피복석으로 사용되는 자연석은 그 부존량이 절대 부족하기 때문에 상기 자연석 대신으로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블럭을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이를 피복하고 상기 블럭상면에 4개의 지간이 방사상으로 돌설된 구조의 테트라포드(일명 :트라이앵글)를 해안이나 부두 또는 항만 및 방조제의 일측에 설치함으로써, 방파제로 활용하여 오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테트라포드는 철제 거푸집을 조립하고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약 28일간 양생함으로써 콘크리트 테트라포드를 완성한 다음 설치하고자 하는 해안이나 부두 또는 항만 및 방조제로 운반하여 내항 또는 외항 방파제에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콘크리트 테트라포드가 갖고 있는 전체비중이 크지 않은 콘크리트 몰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설치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파랑이나 파도의 엄청난 힘을 버텨내기에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해수의 흐름이 거칠 경우 자주 위치가 변동되고 심한 경우 설치 위치에서 많이 벗어나 유실되는 경우가 있어 조적의 연결상태가 와해됨에 따라 방파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노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방파대가 안출된 바 있다.
일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310135호인 '골조형 방파제' 를 보면,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골조식 방파제 단위구조체 및 단위구조체의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구조체의 구조는 해저면 상면에 필요한 폭과 높이로 사석기초단을 형성하여 이 사석기초단 상면에 기초단 상면 폭보다 다소 작은 길이의 폭과 소정 높이로 되는 단위하부슬라브 상면의 내해측과 외해측 선단부에 일정한 동일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정사각 단면을 가지는 소정 높이의 수직기둥을 다수개 단위하부슬라브에 입설하고 이 단위하부슬라브 상면에 입설된 수직기둥 상단에 단위하부슬라브 넓이와 두께와 동일한 넓이와 두께를 가지는 단위상부슬라브를 연설하되 이 단위상부슬라브 내해측과 외해측 선단과 직각으로 하향 연설되도록 전면벽과 배면벽을 구비하고 전면벽에는 다수개의 해수통수공을 천설하며 이러한 상부슬라브 상면에 캡콘크리트를 현장타설 양생하여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364541호인 '소파블럭 적층식 방파제' 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소파블럭 적층식 방파제에 있어서, 전면이 내측으로 경사진 사각형 형태의 틀에 원추형 돌기를 사방으로 형성한 기둥이 상면에 좌우로 다수개 구비된 상판을 결합한 최하층 소파블럭과, 전면에 반원호의 홈을 형성하고 상면의 앞쪽에는 원추형 돌기를 사방으로 형성한 기둥이 단일개 구비되며, 그 기둥의 뒤쪽에는 수키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암키를 형성하며, 배면은 방파제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되는 중간층 소파블럭과, 전면에 반원호의 홈을 형성하고 상면에는 원추형 돌기를 사방으로 형성한 한쌍의 기둥이 전후로 나란히 구비되며, 저면에는 암키를 형성하고 배면은 캡콘크리트의 전면에 면접하는 수직면과 방파제의 경사면에 면접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최상층 소파블럭과, 전면에 반원호의 홈을 형성한 캡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안출된 방파제들의 경우, 방파제를 적층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블록 구조로 구성하여 필요시에 더 높게 연장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블록구조를 견고하게 적층배열함으로써, 심한 파도나 파랑에 의해 방파제가 유실되거나 또는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그 구성요소들이 복잡하여 설치비용에 따른 비용부담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콘크리트를 이용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양생기간 등에 의해 작업시간이 지연되거나 또는 운반함에 따른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방파제들의 경우 파랑이나 파도를 차단하는 블록들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파랑이나 파도가 타격됨에 있어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부분적인 유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해안이나 부두 또는 항만이나 방조제에 마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높은 벽을 설치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예컨대, 쓰나미에 의한 해일이나 또는 허리케인이나 매미 등과 같은 대형 태풍이 불어올 경우에 파랑이나 파도가 상기와 같인 벽면형상으로 설치된 방파제에 타격되는 힘이 매우 클 수 밖에는 없고 이러한 타격력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블록의 일부를 소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해안이나 부두 또는 항만 및 방조제에 설치되어 파랑이나 파도를 차단하는 방파제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협하광진 일정 경사각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측에 굴곡형성된 방파부재를 다수개 설치하여 높은 파도나 파랑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방파부재들의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여 허리케인이나 매미 등과 같은 대형 태풍이나 또는 쓰나미에 의해 발생되는 높은 해일에 의한 파랑이나 파도의 타격력을 최대한 감소시켜 방파제의 유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프레임과 방파부재의 결합을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비용에 크게 부담을 주지 않는 방파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방파대는,
상측단이 서로 체결되고 상협하광지게 일정경사각으로 벌어지며 체결공이 다수개 통공된 다수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측이 체결되어 지지되는 바닥프레임을 갖는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의 지지프레임의 체결공에 대응되는 결합공이 통공되고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공과 결합공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측에 다수개 결합되는 방파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단과 체결되는 고정줄과, 상기 고정줄의 하단과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상측단에 형성된 중량체를 갖는 지지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파부재는, 일정지게 굴곡형성된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방파부재에 통공된 결합공으로부터 인입되는 결합볼트와, 상기 방파부재의 결합공으로부터 인입되고 지지프레임의 체결공을 관통된 결합볼트를 체결하는 결합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를 구성하는 중량체는 내부에 돌 등과 같은 무거운 중량물질이 다수개 수용된 망사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 구성된 지지프레임들은 상기 지지프레임들과 일측이 체결되는 보강프레임에 의해 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체의 바닥프레임의 하단측에는 상기 바닥프레임이 내부에 함몰되도록 콘크리트로 타설된 콘크리트지지체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의 바닥프레임의 하단측에는 내부에 돌 등과 같은 무거운 중량물질이 다수개 수용된 지지망체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체의 지지프레임 사이에는 횡설프레임이 더 결합되고 상기 횡설프레임의 전면측에는 파도나 파랑을 차단하는 상기 방파부재가 수직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파부재는 일자형상의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파부재는 내부에 장형의 통기공들이 다수개 통공된 하나의 판재로 구성되고 이들의 판재가 상기 프레임체의 지지프레임 전면에 여러겹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방파대는, 방파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프레임체와 방파부재 및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체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방파부재를 프레임체의 지지프레임에 간단한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비용의 절감효과는 물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방파부재가 호형지게 굴곡진 굴곡면을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 높은 파도나 파랑이 부딪힐 경우 빠르게 분산되는 효과에 의해 방파부재가 받는 충격이 저하되어 방파부재가 유실되거나 도괴되지 않는다.
더욱이, 방파부재가 결합되는 프레임체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연장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지역에 따라 또는 파랑이나 파도의 높이에 따라 방파대를 높게 설치하여 허리케인이나 싸이클론 등과 같은 대형 태풍이나 쓰나미 등에 의해 발생되는 해일에 의해 해안이나 부두 또는 항만이나 방조제의 내측으로 파도나 파랑이 침투되는 것을 분산시켜 피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방파대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방파대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방파대의 일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방파대는, 해안이나 부두 또는 항만 및 방조제에 설치되어 '허리케인' 이나 '싸이클론' 등과 같은 대형 태풍이나 또는 쓰나미와 같은 해일에 의해 바다에서 발생되는 파도나 파랑이 내측으로 불어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그 피해를 줄이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상측단이 서로 체결되고 상협하광지게 일정경사각으로 벌어지며 체결공(11a)이 다수개 통공된 다수개의 지지프레임(11)과, 상기 지지프레임(11)의 하단측이 체결되어 지지되는 바닥프레임(12)을 갖는 프레임체(10)와, 상기 프레임체(10)의 지지프레임(11)의 체결공(11a)에 대응되는 결합공(21)이 통공되고 결합수단(22)에 의해 상기 체결공(11a)과 결합공(21)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전면측에 다수개 결합되는 방파부재(20)와,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상측단과 체결되는 고정줄(31)과, 상기 고정줄(31)의 하단과 연결되는 연결고리(32)가 상측단에 형성된 중량체(33)를 갖는 지지체(30)로 구성된다.
상기 방파부재(20)는, 일정지게 굴곡형성된 굴곡면(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파도나 파랑이 상기 방파부재(20)에 타격되었을 때, 타격력을 외측으로 분산시켜 방파부재(20)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방파부재(20)의 형상이 호형진 반구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방파부재(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22)은, 상기 방파부재에 통공된 결합공으로부터 인입되는 결합볼트(22a)와, 상기 방파부재의 결합공으로부터 인입되고 지지프레임의 체결공을 관통된 결합볼트를 체결하는 결합너트(22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결합볼트(22a)와 결합너트(22b) 이외에도 예컨대, 지지프레임(11)과 방파부재(20)를 용접에 의해 직접 용착하거나 또는 체결핀 등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30)를 구성하는 중량체(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돌 등과 같은 무거운 중량물질(33a)이 다수개 수용된 망사체(33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무거운 중량을 갖는 콘크리트 타설물로 구성하여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다수개 구성된 지지프레임(11)들은 상기 지지프레임들과 일측이 체결되는 보강프레임(13)에 의해 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결합되거나 또는 서로간에 용접에 의해 직접적으로 용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방파대는, 해안이나 부두 또는 방조제나 항만에 설치되어 외해(外海)로부터 발생되는 파도나 파랑에 의해 내해(內海)에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다수개 설치된다.
이러한 방파대는, 상기 지지체(3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허리케인이나 싸이클론 등과 같은 대형 태풍이나 또는 쓰나미에 의한 해일에 의해 발생되는 파도나 파랑이 해안가의 내측으로 침투되어 가옥이 소실되거나 나무가 쓰러지거나 또는 도로가 침수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한다.
도 5는 본 고안인 방파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체(10)의 바닥프레임(12)의 하단측에 상기 바닥프레임(12)이 내부에 함몰되도록 콘크리트로 타설된 콘크리트지지체(40)가 더 구성되어 본 고안인 방파대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여 준다.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체(10)의 바닥프레임(12) 하단측에 내부에 돌 등과 같은 무거운 중량물질(51)이 다수개 수용된 지지망체(50)를 더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 지지망체(50) 역시 본 고안인 방파대가 허리케인이나 매미 등과 같은 대형태풍이나 또는 쓰나미에 의한 해일에 의해 발생되는 파도나 파랑이 방파대에 부딪힐 때 견고하게 지지하여 줌으로써 방파대가 쓰러지거나 또는 소실되거나 하는 등의 방지된다.
도 7은 본 고안인 방파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체(10)의 지지프레임(11) 사이에는 횡설프레임(14)이 더 결합되고 상기 횡설프레임(14)의 전면측에는 파도나 파랑을 차단하는 상기 방파부재(20)가 수직되게 결합된다.
즉, 본 고안인 방파대의 구성요부인 방파부재는 지지프레임의 전면에 다수개 설치됨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거나 세로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설치되는 방파부재의 설치방향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파부재(20)를 일자형상의 장방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파부재를 내부에 장형의 통기공(61)들이 다수개 통공된 하나의 판재(60)로 구성되고 이들의 판재(60)가 상기 프레임체(10)의 지지프레임(11) 전면에 여러겹 적층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방파대는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예를들어 방파대의 상측단에 태양열 발전기나 또는 바람의 힘에 의해 발전되는 풍력발전기를 더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인 방파대는 그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방파대에 의하면, 방파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프레임체와 방파부재 및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체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방파부재를 프레임체의 지지프레임에 간단한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비용의 절감효과는 물론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또한 방파부재가 호형지게 굴곡진 굴곡면을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 높은 파도나 파랑이 부딪힐 경우 빠르게 분산되는 효과에 의해 방파부재가 받는 충격이 저하되어 방파부재가 유실되거나 도괴되지 않는다.
더욱이, 방파부재가 결합되는 프레임체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연장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지역에 따라 또는 파랑이나 파도의 높이에 따라 방파대를 높게 설치하여 허리케인이나 매미 등과 같은 대형 태풍이나 쓰나미 등에 의해 발생되는 해일에 의해 해안이나 부두 또는 항만이나 방조제의 내측으로 파도나 파랑이 침투되는 것을 분산시켜 피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방파대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방파대의 일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인 지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방파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방파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파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방파대의 구성요부인 방파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인 방파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체 11 : 지지프레임
12 : 바닥프레임 13 : 보강프레임
14 : 횡설프레임 20 : 방파부재
21 : 결합공 22 : 결합수단
22a : 결합볼트 22b : 결합너트
23 : 굴곡면 30 : 지지체
31 : 고정줄 32 : 연결고리
31 : 중량체 40 : 콘크리트지지체
50 : 지지망체 60 : 판재

Claims (7)

  1. 상측단이 서로 체결되고 상협하광지게 일정경사각으로 벌어지며 체결공(11a)이 다수개 통공된 다수개의 지지프레임(11)과, 상기 지지프레임(11)의 하단측이 체결되어 지지되는 바닥프레임(12)을 갖는 프레임체(10)와;
    상기 프레임체(10)의 지지프레임(11)의 체결공(11a)에 대응되는 결합공(21)이 통공되고 결합수단(22)에 의해 상기 체결공(11a)과 결합공(21)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전면측에 다수개 결합되는 방파부재(20)와;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상측단과 체결되는 고정줄(31)과, 상기 고정줄(31)의 하단과 연결되는 연결고리(32)가 상측단에 형성된 중량체(33)를 갖는 지지체(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파부재(20)는, 일정지게 굴곡형성된 굴곡면(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22)은, 상기 방파부재에 통공된 결합공으로부터 인입되는 결합볼트(22a)와, 상기 방파부재의 결합공으로부터 인입되고 지지프레임의 체결공을 관통된 결합볼트를 체결하는 결합너트(22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 구성된 지지프레임(11)들은 상기 지지프레임들과 일측이 체결되는 보강프레임(13)에 의해 더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바닥프레임의 하단측에는 내부에 돌 등과 같은 무거운 중량물질(51)이 다수개 수용된 지지망체(5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의 지지프레임 사이에는 횡설프레임(14)이 더 결합되고 상기 횡설프레임의 전면측에는 파도나 파랑을 차단하는 상기 방파부재(20)가 수직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파부재는, 내부에 장형의 통기공(61)들이 다수개 통공된 하나의 판재(60)로 구성되고 이들의 판재(60)가 상기 프레임체(10)의 지지프레임(11) 전면에 여러겹 적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대.
KR20-2005-0024613U 2005-08-26 2005-08-26 방파대 KR200401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613U KR200401960Y1 (ko) 2005-08-26 2005-08-26 방파대
CNA2006800312558A CN101253296A (zh) 2005-08-26 2006-08-28 挡浪板
US12/064,756 US20080310919A1 (en) 2005-08-26 2006-08-28 Breakwater
PCT/KR2006/003385 WO2007024124A1 (en) 2005-08-26 2006-08-28 Breakwater
JP2008527855A JP2009506234A (ja) 2005-08-26 2006-08-28 防波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613U KR200401960Y1 (ko) 2005-08-26 2005-08-26 방파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617A Division KR100714234B1 (ko) 2005-08-26 2005-08-26 방파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960Y1 true KR200401960Y1 (ko) 2005-11-23

Family

ID=3777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613U KR200401960Y1 (ko) 2005-08-26 2005-08-26 방파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310919A1 (ko)
JP (1) JP2009506234A (ko)
KR (1) KR200401960Y1 (ko)
CN (1) CN101253296A (ko)
WO (1) WO2007024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072B1 (ko) * 2005-11-05 2007-02-16 김명길 적층 조립식 방파제
WO2008115617A2 (en) * 2007-01-31 2008-09-25 United States Government Armor unit
KR101190723B1 (ko) 2010-07-08 2012-10-12 박운식 슬릿형 수중의 소파구조물
US20120230768A1 (en) * 2011-03-08 2012-09-13 Rowland Lyle R Water Containment System
US8961067B1 (en) * 2014-01-30 2015-02-24 Ta-Hsiung Peng Flexible wave-energy dissipation system
TWI655337B (zh) * 2017-11-17 2019-04-01 彭大雄 Flexible energy dissip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941A (en) * 1885-03-31 Jetty
US346140A (en) * 1886-07-27 Breakwater
US964362A (en) * 1909-09-30 1910-07-12 Walter Airhart Riprap.
US3309876A (en) * 1964-02-13 1967-03-21 John M Potter Erosion prevention apparatus
US3724221A (en) * 1971-10-21 1973-04-03 A Cool Water current directing apparatus
US3844125A (en) * 1973-07-13 1974-10-29 J Williams Anti-erosion device
US3952521A (en) * 1974-10-29 1976-04-27 Potter John M Portable floating wave tripper
US3966172A (en) * 1974-11-19 1976-06-29 Garrett Herbert V Lightweight fence for protection against airborne snow, sand or the like
US4367977A (en) * 1980-11-12 1983-01-11 Schaaf Cecil F Shore erosion prevention modules
US4954013A (en) * 1987-06-12 1990-09-04 Jacquelyn Lamberton Means and method for stabilizing shorelines
US4856935A (en) * 1987-08-03 1989-08-15 Haras William S Beachfront wave energy dissipation structure
US5174681A (en) * 1989-01-23 1992-12-29 Atkinson Mcdougal Corporation Permeable breakwater
US5899632A (en) * 1997-03-03 1999-05-04 David J. Eardley Beach restoration structure and method
JPH10325127A (ja) * 1997-05-26 1998-12-08 Kikujirou Masuda 消波装置
US5888020A (en) * 1997-08-21 1999-03-30 Brais; Joseph E. Sub-tidal platform
US6213682B1 (en) * 1999-11-24 2001-04-10 Joe Karnas Offshore ree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06234A (ja) 2009-02-12
US20080310919A1 (en) 2008-12-18
CN101253296A (zh) 2008-08-27
WO2007024124A1 (en) 200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4334B2 (en) Methods of and systems for controlling water flow, breaking water waves and reducing surface erosion along rivers, streams, waterways and coastal regions
KR200401960Y1 (ko) 방파대
CN215168679U (zh) 过水阻沙沙障
US4776725A (en) Erosion control apparatus
CN212103878U (zh) 一种防波堤构件及其防波堤结构
KR100714234B1 (ko) 방파대
JP2001295245A (ja) 構造物の保護工法
CN215289921U (zh) 一种可移动多功能防浪墙构件
JP2002105931A (ja) 透過型ダムユニットおよび透過型ダム
JP3544957B2 (ja) 組立式護岸構造体
KR102153322B1 (ko) 컴파운드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JP2013174063A (ja) 堤構造
KR200413124Y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200413470Y1 (ko) 조립식 호안기초블록
KR100696066B1 (ko) 해안방호시설용 옹벽구조물
JP3585037B2 (ja) 定置式二重カーテン壁型消波堤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268968Y1 (ko) 하천 시공용 다기능블록
KR100595941B1 (ko) 생태계 보호용 하천 호안 시설물
KR200410821Y1 (ko) 하천바닥 세굴방지용 수중보 설치구조
CN212742408U (zh) 一种预制生态混凝土结构
JP3244711U (ja) 流木捕捉体
CN217353838U (zh) 一种带管线桥架的石笼围墙
JP2014181446A (ja) 防潮堤などの壁体の構造
KR200232966Y1 (ko) 수직 소파블럭을 이용한 직립식 방파제
CN217579975U (zh) 护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5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