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40Y1 - 다목적 모종봉 - Google Patents

다목적 모종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40Y1
KR200401140Y1 KR20-2005-0024024U KR20050024024U KR200401140Y1 KR 200401140 Y1 KR200401140 Y1 KR 200401140Y1 KR 20050024024 U KR20050024024 U KR 20050024024U KR 200401140 Y1 KR200401140 Y1 KR 200401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rod
seedling rod
shovel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공주
Original Assignee
손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공주 filed Critical 손공주
Priority to KR20-2005-0024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01B1/022Collapsible; extensible; combinations with oth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20Combinations of different kinds of han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04Sick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추, 오이, 가지 등의 육모를 이식하는 모종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다목적 모종봉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모종작업을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편하게 걸어가면서 할 수 있으며 모종작업에 필요한 삽, 낫 등의 농기구를 갈아 끼우거나 탈,부착이 가능한 다목적 모종봉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종봉의 양쪽 끝단에 핀구멍을 뚫은 모종봉(10)과; 모종봉의 한쪽 끝에 핀(20)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삽(30)과; 모종봉의 다른 쪽 끝에 연결되며 땅에 육모를 심을 자리를 만들어 주는 모종봉머리(11)와; 모종깊이를 균일하게 하면서 이랑을 덮은 비닐을 뚫어 주는 모종봉날(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목적 모종봉{omitted}
본 고안은 삽, 낫, 모종봉머리, 모종봉날이 탈, 부착이 가능한 다목적 모종봉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종봉의 양쪽 끝에 핀구멍을 뚫어서 한쪽에는 삽, 낫 등 농기구의 탈, 부착이 가능하고 다른 한쪽 끝에는 밭이랑에 고추 등의 육모를 심을 자리를 만들어주는 모종봉머리와, 밭에 나는 풀이 자라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밭이랑에 덮어주는 비닐덮개를 육모가 심어지도록 필요한 만큼 잘라주는 모종봉날이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다목적 모종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성장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에서 소정 크기 및 형상의 모판에, 필요한 작물의 씨앗을 뿌려 모종을 소정 크기로 재배한 후, 상기 모판의 모종을 비닐하우스의 다른 공간이나 외부의 농경지에 이식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모종의 이식에 있어서, 종래에는 모종의 종류 예를 들면 수박, 참외, 오이, 가지, 고추 등에 따라 경작지에 적정크기의 이랑을 만든 후, 이랑에 모종이식을 위한 이식홈을 모종삽으로 파내고, 이식홈에 모종을 심은 후 모종과 이식홈 사이의 빈 공간에 모종삽을 이용하여 흙으로 다시 채워주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모종이식 과정에서는 모종삽으로 이랑에 이식홈을 파내고 모종을 이식홈에 심은 후에 이식홈과 모종사이의 빈 공간에 흙을 채워넣기 위해서 모종삽이 사용되어 왔는데, 모종삽을 사용해서 파낸 이식홈의 크기 및 깊이가 모종의 뿌리부분보다 훨씬 크거나 깊이가 깊어서, 모종을 심은 후에 이식홈에 흙을 채워 넣기가 힘들었으며, 또한 이랑에 덮어씌운 비닐덮개를 모종이 들어가기 위한 알맞은 크기로 자르기 위해서 모종삽을 사용하였는데, 비닐덮개가 잘못 찢어지거나 크기가 모종뿌리둘레보다 훨씬 크고 일정하지가 않아서 작업능률이 떨어지거나 잘못 찢어진 비닐덮개 부분으로 잡풀이 무성하게 자라서 작물 수확량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종삽을 이용하여 이식홈을 파내고, 모종을 이식홈에 심은 후에 다시 흙을 덮는 작업과 이랑을 덮은 비닐덮개를 적당한 크기로 자르는 일련의 작업들이 모두 허리를 구부리고 앉아서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고생은 많고 노동력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이식작물의 모종작업을 함에 있어서, 풀 등 불필요한 작물이 자라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이랑을 덮은 비닐덮개를 모판에서 재배한 이식작물의 뿌리부분의 크기와 비슷하도록 비닐덮개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준 후에 이식홈을 만들어 모종을 심어주어야 하는데, 비닐덮개를 자르는 과정에서 실수로 인하여 비닐덮개가 찢어지거나 잘라낸 비닐덮개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은 원통형톱날형상의 모종봉날을 모종봉머리의 둘레에 달아서 이식홈을 찍어냄과 동시에 비닐덮개가 자연스럽게 원형으로 잘라지도록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모종삽을 사용하여 팠던 이식홈의 크기가 모종의 뿌리부분 크기보다 훨씬 커서 모종을 이식홈에 심은 후에 모종뿌리와 이식홈과의 빈 공간을 흙으로 다시 채워주워야 하지만, 본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은 모종봉머리를 이랑에 찍어서 이식홈을 찍어 내듯이 만들기 때문에, 이식홈의 크기가 모판에서 빼낸 모종의 뿌리부분과 크기, 둘레 및 깊이가 같아서 이식홈에 모종을 꽂아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별도로 흙을 채워 넣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앴다. 또한 모종삽을 사용하는 종래의 모종작업은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허리를 구부려서 이식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허리와 다리가 아파서 시간도 많이 걸리고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은 작업자가 선채로 걸어가면서 모종봉을 잡고 이랑을 모종머리로 찍어서 이식홈을 만들기 때문에 모종작업도 빨라서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밭이랑을 만들고 이랑에 육모를 옮겨 심는 모종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삽, 낫, 모종삽과 같은 농기구가 필요한데, 본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은 모종봉의 뒷부분에 핀을 이용하여 삽, 낫 등 기타 필요한 농기구를 접속하거나 탈, 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만 있으면 삽, 낫 등의 여러 가지 농기구가 필요없이 하나의 모종봉만으로 많은 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모종봉을 제공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여, 양 끝단에 핀구멍이 뚫려져서 모종봉머리, 모종날, 삽, 낫 등의 탈, 부착이 가능한 모종봉; 모판과 같이 밑면은 작은 사각형이고 윗면은 큰 사각형인 밑면이 작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윗면의 중앙에는 모종봉에 삽입되어서 부착 가능하도록 핀구멍이 뚫린 모종봉머리자루가 달린 모종봉머리; 이랑을 덮는 비닐덮개를 원형으로 자를 수 있도록 원통형톱날 모양으로 되고 중앙에 구멍이 뚫려서 모종봉이 삽입되며 삽입된 모종봉과 탈, 부착이 가능토록 모종봉과 맞닿는 부분인 모종봉날머리에 핀구멍이 뚫린 모종봉날; 모종봉과 삽, 낫, 모종봉머리, 모종봉날을 탈, 부착 시켜주는 핀; 모종봉의 한쪽 끝단에 핀에 의해서 탈, 부착되는 삽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모종봉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30)은 모종봉(10)의 한쪽 끝단에 핀(20)에 의하여 탈, 부착되고 모종봉(10)의 다른 끝단에는 모종봉머리(11)가 삽입되면서, 같은 부분에 모종봉날(12)이 모종봉머리(11)의 둘레를 감싸면서 모종봉(11)과 모종봉머리(11) 및 모종봉날(12)이 한개의 핀(20)에 의하여 연결 및 탈, 부착된다.
상기 모종봉머리(11)는 밑면이 작은 사각형이고 윗면이 밑면보다 큰 사각기둥형상으로 윗면의 중앙에는 모종봉(10)에 삽입되어 핀(20)에 의하여 모종봉(10)과 연결되도록 가운데 핀구멍(13)이 뚫린 모종봉머리자루(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종봉날(12)은 비닐덮개를 원형으로 자를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톱니날이 부착되었으며, 중앙에는 모종봉(10)이 삽입되어 핀(20)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핀구멍(13)이 뚫인 원통형상의 모종봉날머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종봉(10)을 찍으면 모종봉날(12)에 의하여 비닐덮개가 원형으로 잘라지면서 모종봉머리(11)에 의하여 이랑에 모종봉머리자국(51)이 생겨 모판에서 재배한 육모(60)를 모종봉머리자국(51)에 넣기만 하면 모종작업이 완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종봉(10)의 한쪽 끝단에는 삽(30)을 핀(20)으로 연결하고 다른 쪽 끝단에는 모종봉머리(11)와 모종봉날(12)을 핀(20)으로 연결하여 모종봉머리(11)는 모종봉머리자국(51)을 만들어서 육모(60)를 심고 모종봉날(12)은 비닐덮개를 원형으로 자르며, 삽(30)으로는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어 모종작업자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은 사용자가 선 채로 다목적 모종봉을 사용하여 이식홈을 팔 수 있기 때문에 모종을 심는 작업자들이 앉은 상태에서 허리를 숙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이식홈에 육모를 심은 후에 흙을 다시 채워 넣어야 하는 이중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비닐덮개를 일정한 크기의 원형으로 자를 수 있다. 또한 모종봉에 삽, 낫 등을 부착할 수 있어서 풀베기, 흙파기 등 여러 가지 작업에도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과 내구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모판에서 빼낸 육모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을 사용한 땅단면도
도 7은 보 고안의 다목적 모종봉을 사용한 모종작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모종봉 11 : 모종봉머리
12 : 모종봉날 13 : 핀구멍
14 : 모종봉머리자루 15 : 모종봉날머리
20 : 핀 30 : 삽
40 : 낫 50 : 땅
51 : 모종봉머리자국 52 : 모종봉날자국
60 : 육모

Claims (2)

  1. 양쪽 끝단에 핀구멍(13)이 뚫려져서 한 쪽 끝에는 삽(30), 다른 쪽 끝에는 모종봉머리(11) 및 모종봉날(12)을 탈, 부착 시킬 수 있는 모종봉(10); 밑면이 작은 사각기둥 형상의 윗면 중앙에는 모종봉(10)에 삽입되어서 모종봉에 부착 가능하도록 핀구멍(13)이 뚫린 모종봉머리자루(13)가 달린 모종봉머리자국(51)을 내는 모종봉머리(11); 원통형톱날형상으로 되고 중앙에 모종봉(10)이 삽입되는 구멍이 뚫려서 삽입된 모종봉(10)과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모종봉(10)과 맞닿는 부분인 모종봉날머리(15)에 핀구멍이 뚫린 모종봉날(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목적 모종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봉머리(11)는 원기둥 및 다각기둥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모종봉
KR20-2005-0024024U 2005-08-20 2005-08-20 다목적 모종봉 KR200401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024U KR200401140Y1 (ko) 2005-08-20 2005-08-20 다목적 모종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024U KR200401140Y1 (ko) 2005-08-20 2005-08-20 다목적 모종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526 Division 2005-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40Y1 true KR200401140Y1 (ko) 2005-11-15

Family

ID=4370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024U KR200401140Y1 (ko) 2005-08-20 2005-08-20 다목적 모종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900B1 (ko) 식물 제초 장치
US5398624A (en) Transplanting tool
KR200469843Y1 (ko) 농업용 비닐천공 및 모종이식홈 성형구
US20080264655A1 (en) Combination garden tool
CN206061422U (zh) 一种手持锄锯两用除草铲
KR200401140Y1 (ko) 다목적 모종봉
US9295187B2 (en) Dual blade parallel garden hoe
JP2000253752A (ja) 栽培用容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栽培方法
CN205694295U (zh) 电动手持链式割草装置
RU112581U1 (ru) Пропольник ручной
KR200429652Y1 (ko) 모종삽
US20060059882A1 (en) Rake-Hoe TM
JP2001169671A (ja) 植物育成容器及び植物育成二重容器並びに植物育成方法
US20130000931A1 (en) Dual Blade Parallel Garden Hoe
KR101493653B1 (ko) 다용도 곡괭이
CN204968351U (zh) 多功能园林耙子
KR20240044690A (ko)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KR100890129B1 (ko) 낫 겸용 호미
KR200272871Y1 (ko) 칼날을 갖는 호미
CN214257247U (zh) 一种苗木扦插器
KR20230174885A (ko) 멀칭비닐용 절단기
JP3104128U (ja) 草取り具
JP2004267206A (ja) 地面を、年中草が生えないように、つるつるにする装置
US20130105184A1 (en) Dual Blade Parallel Garden Hoe
RU2318301C1 (ru) Ручной культив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