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690A -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 Google Patents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690A
KR20240044690A KR1020220124021A KR20220124021A KR20240044690A KR 20240044690 A KR20240044690 A KR 20240044690A KR 1020220124021 A KR1020220124021 A KR 1020220124021A KR 20220124021 A KR20220124021 A KR 20220124021A KR 20240044690 A KR20240044690 A KR 20240044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cutting
pulling
hand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근
김해란
Original Assignee
이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근 filed Critical 이의근
Priority to KR1020220124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690A/ko
Publication of KR2024004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06Kn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16Tools for uprooting w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22Attaching the blades or the like to handles;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14Handles; Accessories, e.g. scythe baskets,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Other tools for pruning, branching or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3Manual pruning sa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베기작업과 뽑기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작업시 커터 부위의 절접동작이 가능하고 대상 식물을 지지할 수 있어서 연속적으로 베기작업 및 뽑기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자루부; 상기 자루부의 하부에 접속되는 커터베이스부재;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커터부재; 상기 커터부재와 이격되게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식물지지부재; 및 상기 커터베이스부재가 접혀진 상태에서 복귀력을 인가하는 복귀력인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베이스부재는 상기 자루부에 절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AGRICULTURAL IMPLEMENTS FOR CUTTING AND DRAWING}
본 발명은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베기작업과 뽑기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작업시 커터 부위의 절접동작이 가능하고 대상 식물을 지지할 수 있어서 연속적으로 베기작업 및 뽑기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수수, 수수, 참깨 등과 같은 농작물의 대궁은 주로 낫을 이용하여 베기 작업을 수행하고 있고, 농작물 경작지 등에 자생하는 큰 잡초의 제거 작업 또한 낫을 이용한 베기 작업을 통해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낫을 이용하여 베기 작업을 수행할 경우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시행하는 것이므로 매우 힘들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낫을 이용하여 베기 작업을 장시간 수행하거나 반복적으로 수행할 경우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등의 건강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8-0000192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제초 및 전지용 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제초 및 전지용 칼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칼(100)은 칼날 몸체(10), 칼날, 자루(30) 및 손잡이(40)를 포함하고, 자루(30)는 칼날 몸체(10)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며, 제1 고정부(41)에 의해 손잡이(40)에 고정된다.
칼날 몸체(10)는 꺾임선(23)에 의해 굽어지며, 꺾임선(23)은 제1 칼(100)에 호미의 기능을 부여한다. 꺾임선(23)은 칼날 몸체(10)를 내측영역(A) 및 외측영역(B)으로 구분시킨다.
전술한 종래 제초 및 전지용 칼에 의하면, 잡초, 잡목 및 나무의 가지를 자르고 베며, 잡초 및 잡목의 뿌리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칼날 몸체(10)가 손잡이(40)에 정해진 각도로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므로 바닥면에 근접한 지점을 정확하게 베어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제초 및 전지용 칼은 베기 작업과정에서 베기대상 식물을 잡아주는 지지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효과적인 베기작업을 수행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작업성이 매우 낮은 한계점이 있다.
또한, 종래 제초 및 전지용 칼은 베기 작업에만 주안점을 두고 제작한 것으로 농작물 등의 뽑기작업을 전혀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8-0000192호 "제초 및 전지용 칼" 한국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9-0001603호 "스틱형 제초기구"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식물의 베기작업과 뽑기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시 커터 부위의 절접동작이 가능하여 연속적으로 베기작업 및 뽑기작업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기작업 및 뽑기작업의 시행시에 대상 식물을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자루부; 상기 자루부의 하부에 접속되는 커터베이스부재; 및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커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베이스부재는 상기 자루부에 절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자루부; 상기 자루부의 하부에 접속되는 커터베이스부재;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커터부재; 및 상기 커터부재와 이격되게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식물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베이스부재는 상기 자루부에 절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자루부; 상기 자루부의 하부에 접속되는 커터베이스부재;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커터부재; 상기 커터부재와 이격되게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식물지지부재; 및 상기 커터베이스부재가 접혀진 상태에서 복귀력을 인가하는 복귀력인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베이스부재는 상기 자루부에 절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귀력인가부재는 일단이 상기 자루부에 결속되고 타단이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결속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1 체결부재에 결속되고 타단이 체3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자루부 하단에 결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터베이스부재는, 상기 커터부재가 결합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에 돌출되고 상기 자루부에 결속되는 자루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자루결속부재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앞쪽 부위 일측에 연장되고 상기 커터부재가 결합되는 커터설치부를 구비하되, 상기 커터설치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접하여 식물이 진입하는 식물삽입홈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는 상기 자루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자루결속부재가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도록 베이스삽입홈 및 핀홀이 형성된 자루힌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는 상기 베이스판에 제1 체결부재에 의해 결속되는 베이스결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자루결속부재는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결속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식물지지부재는 상기 식물삽입홈을 향해 돌출되게 상기 자루결속부재에 결속되고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부재는 베기작업을 위해 일측에 형성되는 베기커터부와, 뽑기작업을 위해 타측에 형성되는 뽑기커터부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베기커터부와 상기 뽑기커터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기커터부는 판상커터몸체의 일측에 경사날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뽑기커터부는 상기 판상커터몸체의 타측에 오목한 형상의 오목날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루부는 봉상부재, 및 상기 봉상부재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당김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의하면, 커터 부재에 베기커터부와 뽑기커터부가 구비되어 간단하게 방향을 전환하면서 식물의 베기 및 뽑기를 수행할 수 있고, 자루부의 하단에 커터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는 동작을 최소화하면서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식물의 베기작업과 뽑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의하면, 커터부재를 포함하는 커터베이스부재가 작업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절첩되므로 연속적으로 베기작업 및 뽑기작업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의하면, 베기작업 및 뽑기작업의 시행시에 식물을 지지하는 식물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식물의 베기작업과 뽑기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제초 및 전지용 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3a 및 도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의 자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3a는 사시도, 도3b는 분리사시도이다.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의 하측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4a는 전방에 나타나는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4b는 후방에 나타나는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4b는 분리사시도이다.
도5a 및 도5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의 커터베이스부재, 커터부재 및 식물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5a는 사시도, 도5b는 분리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의 커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의 자루힌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8a는 베기작업 시행시 커터베이스부재 및 커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8b는 뽑기작업 시행시 커터베이스부재 및 커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8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2 내지 도8b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3a 및 도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의 자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3a는 사시도, 도3b는 분리사시도이다.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의 하측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4a는 전방에 나타나는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4b는 후방에 나타나는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4b는 분리사시도이다. 도5a 및 도5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의 커터베이스부재, 커터부재 및 식물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5a는 사시도, 도5b는 분리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의 커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의 자루힌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는 식물의 베기작업과 뽑기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자루부(1), 커터베이스부재(2), 커터부재(3) 및 식물지지부재(4)를 구비한다.
자루부(1)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구성요소로서 하단이 커터베이스부재(2)에 결합되고 파이프와 같은 봉상부재(1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루부(1)는 봉상부재(11)의 상단 부위에 삽입되는 자루손잡이(12)와, 사용자가 당김력을 인가하기 위한 당김손잡이부(13)가 구성되어 있다.
당김손잡이부(13)는 베기작업 및 뽑기작업의 시행시 사용자가 일측 손을 파지하여 당김력을 인가하는 부분으로서 당김력을 인가할 수 있다면 형태나 구조에 특별한 제한 없이 구성할 수 있는 것지만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예컨대, 당김손잡이부(13)는 봉상부재(11)에 삽입되는 고정링(131)과, 이 고정링(131)의 일측에 결합되는 당김손잡이부재(132) 및 고정링(131)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용체결부재(133)를 구비한다.
고정링(131)은 링 형상의 몸체 일측 및 타측에 당김손잡이부재(132) 및 고정용체결부재(133)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당김손잡이부재(132)는 손을 파지할 수 있도록 대략 환봉 형상을 갖는 손잡이의 일측에 체결볼트가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고정용체결부재(132)는 체결볼트의 일단에 회전노브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커터베이스부재(2)는 자루부(1)의 하부에 접속되는 구성요소로서, 자루부(1)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절첩이라는 용어는 정해진 각도(1 내지 90°)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커터베이스부재(2)가 자루부(1)와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펼쳐친 상태에서 작업시에 대략 45°의 각도로 접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터베이스부재(2)는 커터부재(3)가 결합되는 베이스판(21)과, 이 베이스판(21)에 돌출되고 자루부(1)에 결속되는 자루결속부재(22)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판(21)은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판상의 갈고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자루결속부재(22)가 결합되는 부품으로 일측 모서리가 절단된 직사각판 형상의 베이스부(211)와, 베이스부(211)의 앞쪽 부위 일측에 연장되고 커터부재(3)가 결합되는 커터설치부(212)를 구비하되, 커터설치부(212)와 베이스부(211)와 접하여 식물이 진입하는 식물삽입홈(213)가 요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루결속부재(22)는 직접 베이스판(21)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결속부재(23)를 매개로 베이스판(21)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베이스결속부재(23)는 볼트와 같은 복수의 제1 체결부재(25)에 의해 베이스판(21)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판(21)에 고정된 베이스결속부재(23)에 자루결속부재(22)가 볼트로 구성된 복수의 제2 체결부재(26)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커터부재(3)는 커터베이스부재(2)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판상커터몸체(31)의 일측에 베기커터부(32)가 형성되고 타측에 뽑기커터부(33)가 형성되되, 베기작업시 베기커터부(32)가 식물삽입홈(213) 방향을 향하고, 뽑기작업시에 뽑기커터부(33)가 식물삽입홈 방향을 향하도록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제4 체결부재(28)에 의해 커터베이스부재(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특징이 있다.
베기커터부(32)는 판상커터몸체(31)의 일측에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날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뽑기커터부(33)는 판상커터몸체의 타측에 오목한 형상의 오목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식물지지부재(4)는 커터부재(3)와 이격되게 커터베이스부재(2)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식물삽입홈(213)을 향해 돌출되게 자루결속부재(22)에 결속되어 있다.
그리고, 식물지지부재(4)는 식물삽입홈(213)으로 진입한 작업대상 식물을 지지하면서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예컨대, 식물지지부재(4)는 대략 모래시계와 유사하게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된 환봉부재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용 스크래치(미도시)가 형성된 지지부재(41)와, 이 지지부재(41)에 삽입되어 자루결속부재(22)에 체결되는 볼트와 같은 지지부체결부재(42)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는 작업시 커터 부위의 절접동작이 가능하여 연속적으로 베기작업 및 뽑기작업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복귀력인가부재(5)가 구성되어 있다.
복귀력인가부재(5)는 커터베이스부재(2)의 접혀진 상태에서 복귀력을 인가하여 펼쳐지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이 자루부(1)에 결속되고 타단이 커터베이스부재(2)에 결속되는 탄성부재(51)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부재(51)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일단이 볼트와 같은 제1 체결부재(25)에 결속되고 타단이 자루부(1) 하단에 볼트와 같은 체3 체결부재(27)에 의해 결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는 자루결속부재(22)를 자루부(1)에 결합하되, 상기한 커터베이스부재(2)의 절접 동작이 가능하는 자루힌지부재(6)를 구비한다.
자루힌지부재(6)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부(1)의 하단에 형성되고 자루결속부재(22)가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서, 자루부(1)의 봉상부재(11) 하단에 삽입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자루삽입부(61), 자루결속부재(22)가 삽입되는 슬릿 형상의 베이스삽입홈(621)과 힌지핀 역활을 수행하는 볼트(64)가 삽입되는 핀홀(622)이 형성된 판결속부(62), 및 자루삽입부와 판결속부 사이에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 단턱링(63)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8a는 베기작업 시행시 커터베이스부재 및 커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8b는 뽑기작업 시행시 커터베이스부재 및 커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를 베기작업의 수행과정을 살펴보면, 농경지에 재배되는 옥수수나 참께와 같은 농작물이나 잡초 등의 베기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먼저 도1,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기커터부(32)가 식물삽입홈(213) 방향을 향하도록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하게 되면, 커터부재(3)를 포함하는 커터베이스부재(2)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1)의 탄성력에 의해 당겨져 회동되면서 자루부(1)와 대략 동일축 상에 위치하도록 세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자루손잡이(12)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당김손잡이부(13)를 파지하고 베기 대상 식물이 식물삽입홈(213)으로 진입되도록 이동시킨 다음 농경지의 바닥에 커터베이스부재(2)에 올려놓게 되면 자루부(1)의 자중에 의해 자루힌지부재(6)의 베이스삽입홈(621)에 자루결속부재(22)가 회동되다가 도8a에 도시된 형태로 접혀지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당김손잡이부(13)에 당김력을 인가하면서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베기커터부(32)가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게 된다. 이때, 식물지지부재(4)는 식물삽입홈(213)으로 진입한 작업대상 식물을 지지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연이어, 커터베이스부재(2)를 농경지의 바닥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1)의 탄성력에 의해 당겨져 회동되면서 커터베이스부재(2)가 세워지게 되므로 전술한 베기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를 뽑기작업의 수행과정을 살펴보면, 농경지에 재배되는 농작물이나 잡초 등의 뽑기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뽑기커터부(33)가 식물삽입홈(213) 방향을 향하도록 커터부재(3)를 분리하여 조립한다.
이와 같이 커터부재(3)의 방향이 전환 되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자루손잡이(12)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당김손잡이부(13)를 파지한 상태에서 뽑기 대상 식물이 식물삽입홈(213)으로 진입되도록 하게 되면 뽑기커터부(33)의 오목한 부위에 위치하여 걸림되므로 전술한 베기 동작과 유사하게 상방으로 당기는 뽑기 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를 치환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자루부 11:봉상부재
12:자루손잡이 13:당김손잡이부
2:커터베이스부재 21:베이스판
213:식물삽입홈 22:자루결속부재
23:베이스결속부재 3:커터부재
31:판상커터몸체 32:베기커터부
33:뽑기커터부 4:식물지지부재
41:지지부재 42:지지부체결부재
5:복귀력인가부재 51:탄성부재
6:자루힌지부재 61:자루삽입부
62:판결속부 63:단턱링

Claims (10)

  1.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자루부;
    상기 자루부의 하부에 접속되는 커터베이스부재; 및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커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베이스부재는 상기 자루부에 절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2.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자루부;
    상기 자루부의 하부에 접속되는 커터베이스부재;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커터부재; 및
    상기 커터부재와 이격되게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식물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베이스부재는 상기 자루부에 절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3.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자루부;
    상기 자루부의 하부에 접속되는 커터베이스부재;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커터부재;
    상기 커터부재와 이격되게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식물지지부재; 및
    상기 커터베이스부재가 접혀진 상태에서 복귀력을 인가하는 복귀력인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베이스부재는 상기 자루부에 절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력인가부재는 일단이 상기 자루부에 결속되고 타단이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결속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베이스부재는,
    상기 커터부재가 결합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에 돌출되고 상기 자루부에 결속되는 자루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자루결속부재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앞쪽 부위 일측에 연장되고 상기 커터부재가 결합되는 커터설치부를 구비하되, 상기 커터설치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접하여 식물이 진입하는 식물삽입홈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자루결속부재가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도록 베이스삽입홈 및 핀홀이 형성된 자루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에 제1 체결부재에 의해 결속되는 베이스결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자루결속부재는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결속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지지부재는 상기 식물삽입홈을 향해 돌출되게 상기 자루결속부재에 결속되고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재는 베기작업을 위해 일측에 형성되는 베기커터부와, 뽑기작업을 위해 타측에 형성되는 뽑기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부재는 상기 베기커터부와 상기 뽑기커터부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커터베이스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기커터부는 판상커터몸체의 일측에 경사날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뽑기커터부는 상기 판상커터몸체의 타측에 오목한 형상의 오목날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는 봉상부재, 및 상기 봉상부재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당김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KR1020220124021A 2022-09-29 2022-09-29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KR20240044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021A KR20240044690A (ko) 2022-09-29 2022-09-29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021A KR20240044690A (ko) 2022-09-29 2022-09-29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690A true KR20240044690A (ko) 2024-04-05

Family

ID=9071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021A KR20240044690A (ko) 2022-09-29 2022-09-29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69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192U (ko) 2016-07-08 2018-01-17 차병무 제초 및 전지용 칼
KR20190001603U (ko) 2017-12-19 2019-06-27 박철찬 스틱형 제초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192U (ko) 2016-07-08 2018-01-17 차병무 제초 및 전지용 칼
KR20190001603U (ko) 2017-12-19 2019-06-27 박철찬 스틱형 제초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4263B2 (en) Combination weeding and raking tool
US5435396A (en) Hand tiller soil cultivation system
WO2007001508A2 (en) Garden tool
CA2449793C (en) Multi-purpose garden tool
US20080264655A1 (en) Combination garden tool
US6330921B1 (en) Lawn aerating and weeding tools
KR20240044690A (ko) 베기 및 뽑기를 위한 농기구
US8079423B2 (en) Cultivating tool
US20060059882A1 (en) Rake-Hoe TM
KR20190003175U (ko) 김매기용 낫 호미
US6179062B1 (en) Garden tool
US20060096765A1 (en) Continuously variable multi-surface elephant ear hoe
US20150129258A1 (en) Hoe for facilitating working on at least two sides of a plant simultaneously
KR101493653B1 (ko) 다용도 곡괭이
KR101698591B1 (ko) 잡풀 제거용 낫
US20240040942A1 (en) Multipurpose Gardening Tool
KR200401140Y1 (ko) 다목적 모종봉
GB2186773A (en) Self-clamping gardening implement
KR200272871Y1 (ko) 칼날을 갖는 호미
AU2011202048A1 (en) An improved weeding tool
KR101213216B1 (ko) 다용도 농기구
KR200163938Y1 (ko) 밭작물 뽑기용 농기구
EP1568263A1 (en) Weed eliminating or sod cutting tool
KR102418882B1 (ko) 잡초 제거 장치
US20050023851A1 (en) Weed removal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