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1628A - 엔진용 연료 분사 밸브 - Google Patents

엔진용 연료 분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1628A
KR20040111628A KR10-2004-7018535A KR20047018535A KR20040111628A KR 20040111628 A KR20040111628 A KR 20040111628A KR 20047018535 A KR20047018535 A KR 20047018535A KR 20040111628 A KR20040111628 A KR 20040111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uel injection
valve seat
annular groove
conic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트빌헬름
디투스베른트
뵈킹프리드리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claimed from PCT/DE2003/001579 external-priority patent/WO2003098031A1/de
Publication of KR20040111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62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73Valve seats or member ends having circumferential grooves or ridges, e.g. toroi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02M61/10Other injectors with elongated valve bodies, i.e. of needle-valv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02M61/042The valves being provided with fuel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02M61/10Other injectors with elongated valve bodies, i.e. of needle-valve type
    • F02M61/12Other injectors with elongated valve bodies, i.e. of needle-valve type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guiding or centring means for valve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어(3) 내에 종축(15)을 포함하는 밸브 니들(5)이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 밸브 본체(1)를 갖는 연료 분사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보어(3)의 연소실측 단부에는 원추형 밸브 시트(11)가 배치되고, 밸브 니들(5)과 보어(3)의 벽 사이에는 밸브 시트(11)까지 이르는 연료로 채워질 수 있는 압력 챔버(19)가 형성된다. 밸브 니들(5)에는, 밸브 시트(11)로부터 나오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개구를 제어하기 위해 밸브 시트(11)와 상호 작용하고 밸브 니들(5)의 방사상 평면 내로 진행하는 환형 홈(35)이 형성된 밸브 시일 표면(7)이 형성된다. 환형 홈(35)의 하류측 에지는 시일 에지(38)로 형성되고 항상 압력 챔버(19)와 유압 연결된다.

Description

엔진용 연료 분사 밸브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그러한 연료 분사 밸브에는 밸브 니들이 보어 내에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고, 보어의 연소실측의 단부에는 원추형의 밸브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 니들은 보어의 연소실측에 대향되는 단면 내로 안내되고 밸브 니들의 연소실측에 대향되는 단면과 보어의 벽사이에는 높은 압력 하에서 연료가 채워질 수 있는 압력 챔버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압력 챔버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분사 개구가 형성된 밸브 시트까지 연장한다. 밸브 시트로 향하는 단부에서는 밸브 니들이 실질적으로 원추형 밸브 시일 표면을 포함하므로, 밸브 시트로부터 밸브 시일 표면이 상승할 때 연료는 압력 챔버로부터 밸브 시트와 밸브 시일 표면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분사 개구로 유동할 수 있다. 밸브 니들은, 밸브 시일 표면을 밸브 시트에 대해 가압하고 추가의 힘이 존재하지 않을 때 분사 개구를 통한 연료의 분사를 방지하도록 폐쇄력에 의해 구동된다.
밸브 시일 표면에서는 제1 원추형 표면이 형성되는 데, 그 개방각은 원추형밸브 시트의 개방각보다 작다. 제1 원추형 표면의 하류측에 제공된 유동 장치에는 추가의 원추형 표면이 밸브 시일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데, 그 개방각은 밸브 시트의 개방각보다 크다. 밸브 시일 표면의 각각의 원추형 표면 사이에는 밸브 니들의 방사상 평면 내로 연장하고 각각의 원추형 표면에 인접하는 환형 홈이 형성된다.
엔진의 연소실 내로 연료를 분사하기 위해, 연료는 분사 밸브의 압력 챔버 내로 고압하에 도입된다. 이로써 폐쇄력에 대향하여 작동하는 유압력이 밸브 니들에 존재하는 압력 표면 상에 그리고 밸브 시일 표면의 일부에 발생된다. 폐쇄력이 감소된다면, 유압력은 연료가 분사 개구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밸브 니들을 밸브 시트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밸브 니들이 개방될 때 연료 압력에 의한 유압이 공통 횡단면 상에 압력 챔버 내에서 작용한다. 이러한 힘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폐쇄력이 상응하여 커야 하는 데, 이는 현재 연료 분사 시스템에서 연속하여 정확한 비례 분사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연료 분사 밸브의 폐쇄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밸브 니들이 밸브 시트에 접하자마자 유압력은 밸브 시일 표면의 일부 상에서 제거되어, 유압력에 대한 폐쇄력의 과잉이 밸브 니들 상에 발생된다. 이는 밸브 니들이 밸브 시트에 대해 높은 힘으로써 가압되어, 그로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료 분사 밸브의 수명을 급격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높은 폐쇄력이 되는 것은 명백하다. 특히 압력이 200 Mpa까지에서 작용하는 가장 최근의 연료 분사 시스템에서는, 점차 재료의 부하 용량 한계까지 접근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국제 공보 제WO 96/19661호에 공지된 바와 같은 엔진용 연료 분사 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연료 분사 밸브의 주요 부분을 종단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밸브 시트의 영역에서의 도1의 확대도이고, 밸브 니들이 밸브 시트에 바로 접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도2와 같은 밸브 니들의 폐쇄 위치에서의 부분도이다.
도4는 도2와 같은 추가의 실시예의 부분도이다.
도5는 도2와 같은 추가의 실시예의 부분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연료 분사 밸브를 선 VI-VI를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는 밸브 시트에서 폐쇄력이 감소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이점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밸브 니들의 폐쇄 위치에서는 밸브 시일 표면의 일부가 유압력에 의해 구동되므로 전체힘이 밸브 니들 상의 폐쇄 위치에서 감소된다. 제1 원추형 표면과 제2 원추형 표면 사이의 환형 홈을 통해 밸브 니들이 압력 챔버와 연결되어, 이 환형 홈 내에는 항상 압력 챔버와 동일한 연료 압력이 존재한다. 밸브 니들의 폐쇄시에 유압식으로 구동되는 표면은 밸브 니들 상에 확장되고, 이로써 증가된 대항력이 폐쇄력에 대해 발생되어, 밸브 시트의 영역 내의 표면 압력이 감소되고 동시에 양호한 시일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환형 홈이 밸브 니들 내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보어를 통해 압력 챔버와 연결된다. 그러한 연결 보어는 다양한 방법으로써 밸브 니들 내에 바람직하게 밸브 니들의 경화 전에 간단하게 형성된다. 밸브 니들의 다른 외형 및 그 기계적인 안정성은 사실상 변함없이 유지됨으로써 추가의 이점이 있다. 횡단 보어로서 연결 보어의 형태는 보어 형성 방법에서 이점을 갖는 데, 이는 횡단 보어가 시작되는 상부 표면에 대해 각이 보다 크기 때문이다. 또한 횡단 보어의 직경은 환형 홈의 폭까지 확장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압력 챔버와 환형 홈의 유압식 연결은 제1 원추형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로 만들어진다. 그러한 리세스는 또한 경화 공정 후에 외부로부터 밸브 니들 내에 간단하게 형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2 원추형 표면과 밸브 시트 사이의 시트 사이각이 제1 원추형 표면과 밸브 시트의 사이의 시트 사이각보다 작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표면 압력의 최적의 분배가 유지되고 이로써 폐쇄력이 감소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밸브 니들의 폐쇄 이동 시 환형 홈의 전환부에서 제2 원추형 표면으로 형성된 시일 에지가 최초로 밸브 시트에 접한다. 이로써 유압에 의해 효과적으로 개방될 때 밸브 니들에 접하는 시트 직경과 제2 원추형 표면의 이러한 날카로운 경계부에 의해 충분히 한정된 개방 특성이 유지되어, 충분한 연료의 비례 분사가 엔진의 연소실 내에서 가능하다.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의 다양한 실시 형태가 도시된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가 종단면도로 도시된다. 밸브 본체(1)에는 보어가 형성되고, 그 보어의 연소실측 단부는 원추형 밸브 시트(11)에 의해 폐쇄된다. 분사 개구(9)가 분기되는 포켓 보어(21)는 밸브 시트(11)와 하류측에서 이어지고, 분사 개구는 포켓 보어(21)를 엔진의 연소실과 연결시킨다. 보어 내에는 안내 영역(105)과 보어(3)의 안내면(103) 내에서 시일 가능하게 안내되는 피스톤 형태의 밸브 니들(5)이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다. 밸브 니들은 밸브 니들(5)의 안내 영역(105)을 따라, 밸브 니들(5)은 압력 견부(13)를 구성하면서 밸브 시트(11)를 향해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구성되고 안내 영역(105)보다 작은 직경을 포함하는 샤프트(205)로 연장된다. 샤프트(205)에 직접 인접하는 밸브 니들(5)의 연소실측 단부는 밸브 시트(11)와 상호 작용하고 아래에 그 정확한 형태와 기능이 다시 설명될 실질적으로 원추형의 밸브 시일 표면(7)을 통해 형성된다. 샤프트(205)와 보어(3)의 벽 사이에는 압력 견부(13)의 높이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되는 환형 채널 형태의 압력 챔버(19)가 형성된다. 압력 챔버(19)는 밸브 본체(1) 내로 통과하는 유입 채널(25)을 거쳐 고압 하에서 연료가 채워지게 되고, 유입 채널(25)은 압력 챔버(19)의 방사상 확장부에 이른다.
밸브 니들(5)은 그 연소실에 대향된 단부에서 도면에 도시 생략된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폐쇄력으로써 구동된다. 폐쇄력을 스프링 요소로써 발생시키는 장치 및 폐쇄력을 유압식으로 발생시키는 장치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밸브 시일 표면(7)을 갖는 밸브 니들(5)이 이러한 폐쇄력으로써 밸브 시트(11)에 대항하여 가압하여, 밸브 시트(11) 내에 형성되고 밸브 시트(11)를 엔진의 연소실과 연결시키는 분사 개구(9)가 압력 챔버(19)로부터 분리된다. 분사 시스템에 따라, 압력 챔버(19) 내에는 일정 압력이 존재하지만 연료의 분사가 발생되야만 한다면, 사용되는 시스템에 따라서는 100 Mpa과 200 Mpa 사이에 달할 수 있는 높은 연료 압력이존재한다. 밸브 니들(5)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압력 챔버(19) 내의 압력을 높이거나 또는 밸브 니들(5) 상의 폐쇄력을 낮출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압력 견부(13) 및 밸브 시일 표면(7) 일부의 유압력은 밸브 니들(5)의 폐쇄력보다 커져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에, 밸브 니들(5)은 밸브 시트(11)로부터 떨어져 이동되어, 연료가 압력 챔버(19)로부터 밸브 시일 표면(7)과 밸브 시트(11) 사이로 통과하여 분사 개구(9)로 유동될 수 있다. 폐쇄력을 높이거나 또는 압력 챔버(19) 내로의 연료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밸브 시일 표면(7)과 밸브 시트(11)에서 접할 때까지 밸브 니들이 그 폐쇄 위치 내로 복귀 이동하도록 밸브 니들(5)의 역학 관계를 다시 반대로 할 수 있다.
도2에는 도1에서 II로써 나타낸 부분도의 영역, 즉 밸브 시트(11) 영역의 확대도가 도시된다. 밸브 니들(5)의 밸브 시일 표면(7)은 샤프트(205)에 직접 접하는 제1 원추형 표면(30)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1 원추형 표면(30)은 제1 원추형 표면(30)과 밸브 시트(11) 사이에 사이각(δ1)이 형성되도록, 원추형 밸브 시트(11)의 개방각보다 작은 개방각을 포함한다. 분사 개구(9)로의 연료 유동의 하류측에서는 환형 홈(35)이 제1 원추형 표면(30)에서 이어지고, 이 환형 홈은 밸브 니들(5)을 그 공통 주연부로 둘러싸고 밸브 니들(5)의 종축(15)에 대해 방사상 평면으로 진행된다. 또한 환형 홈(35)에서는 밸브 니들(5)의 단부가 형성된 제2 원추형 표면(32)이 유동 하류측에서 이어진다. 제2 원추형 표면(32)의 개방각은 밸브 시트(11)의 개방각보다 커서, 이 각각의 표면 사이에는 사이각(δ2)이 형성된다. 각각의 원추형 표면(30, 32) 및 환형 홈(35)은 제1 원추형 표면(30)과 제2 원추형 표면(32)의 가상 연장부의 원형 절단선이 환형 홈(35)의 높이에 존재하도록 밸브 시일 표면(7)에 배치된다. 이는 환형 홈(35)이 밸브 니들(5)의 생산 공정의 마지막에 밸브 시일 표면(7) 내에 형성되기 때문인 데, 이로써 제1 원추형 표면(30)에 대한 경계선을 형성하는 환형 홈(35)의 상부 에지(37)와 제2 원추형 표면에 대한 경계선을 형성하는 시일 에지(38)가 종축(15)에 대해 방사상 평면 내로 정확하게 연장되는 것이 보장된다. 밸브 니들(5) 내로 연장하는 적어도 두개의 연결 보어(40)를 거쳐 환형 홈(35)은 압력 챔버(19)와 연결된다. 본원에서 연결 보어(40)는 바람직하게 밸브 니들(5)의 주연부를 거쳐 동일하게 분배되어 배치된다. 이로써 밸브 시트(11)에 대한 밸브 니들(5)의 위치에 독립적으로, 환형 홈(35)은 압력 챔버(19)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항상 동일한 연료 압력을 포함한다.
제1 원추형 표면(30), 제2 원추형 표면(32), 밸브 시트(11) 및 환형 홈(35)의 개방각으로 인해, 밸브 니들(5)의 폐쇄 이동 시 최초로 시일 에지(38)가 밸브 시트(11)에 접하게 되고 추가의 폐쇄 이동을 진행하는 동안 하류측에 존재하는 환형 홈(35)의 제한 에지에 접하도록 그 연소실측 단부의 밸브 니들(5)이 형성된다. 도2에서는 밸브 니들(5)이 정확히 이러한 위치, 즉 시일 에지(38)가 밸브 시트(11)에 접하게 되는 순간을 도시한다. 밸브 니들(5)과 밸브 시트(11)의 탄성적 변형없이 밸브 니들(5)은 이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러나 밸브 니들(5) 상에 높은 폐쇄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밸브 니들(5)의 밸브 시일 표면(7) 및 밸브 시트(11)가 변형된다. 이에 의해 발생되는 밸브 니들(5)의 형태 및 위치는 도3에 도시된다. 시일에지(38)의 영역에서는 밸브 니들(5)의 표면 접촉이 밸브 시트(11)에 발생하고 높은 표면 압력이 밸브 시일 표면(7)에 발생하여, 각각의 경우에 시일 에지(38)의 영역에 시일이 주어진다. 시일 에지(38)의 영역에서의 변형에 의해 그리고 밸브 시트(11)에 대한 밸브 니들(5)의 해머 작용에 의해 엔진의 장시간의 작동시 환형 홈(35)의 상부 에지(37)가 밸브 시트(11)에 접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밸브 시트(11)에 접하는 밸브 니들(5)의 전체 표면이 증가하고 이로써 표면 압력의 감소가 시일 에지(38)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데, 이는 여기에 전체 폐쇄력이 밸브 시트(11) 상에 더 이상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데, 도2에서와 같이, 동일한 부분도가 사용된다. 연결 보어(4) 대신에 제1 원추형 표면(30)에는 적어도 두개의 연결 홈(42)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환형 홈(35)이 유압으로 압력 챔버(19)와 연결되어 있다. 본원에서 연결 홈(42)은 바람직하게 밸브 니들(5)의 주연부를 거쳐 동일하게 분배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1/10 mm의 깊이를 포함한다.
도5에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 데, 여기에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환형 홈(35)이 연결 보어를 거쳐 압력 챔버와 연결되지만, 여기서 연결 보어는 횡단 보어로서 형성된다. 횡단 보어(44)는 환형 홈(35)으로부터 나와서 밸브 니들(5)을 횡방향으로 통과하여 샤프트(205)까지 이른다. 그러한 횡단 보어(44)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보어로서 간단하게 제조되는 데, 이는 여기서 밸브 니들(5)의 상부 표면에 대해 보다 큰 각도가 횡단 보어(44)의 각각의 단부에서 주어지기 때문이다. 도6에는 도5에 도시된 분사 밸브를 선 VI-VI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가 도시된다. 환형 홈(35)은 복수의 횡단 보어(44)를 거쳐 압력 챔버와 연결되고, 횡단 보어(44)는 도5의 선 VI-VI을 통해 특정지워진 평면의 투사도에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다. 그러나 본원에서 종단 보어(44)는, 샤프트(205)로부터 시작되는 종단 보어(44)의 단부가 일반적으로 환형 홈(35) 내의 단부와 같이 가능한 대향 위치되어 종단 보어(44)가 교차되지 않도록 정렬된다. 본원에서 종단 보어(44)의 직경은 환형 홈(35)의 폭에 상응하거나 또는 더 작은 직경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자가 분사식 엔진용의 고속 엔진에서 사용을 고려해야 하는 현재의 연료 분사 시스템에서, 효율과 유해 물질 배출과 관련하여 최근 높은 요구 조건이 설정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현재의 연료 분사 시스템에서 200 Mpa까지 이를 수 있는 매우 높은 압력으로써 분사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빠르게 연속적인 분사를 가능하게 하도록, 특히 분사 사이클 안에서 사전 분사 및 사후 분사가 실현되도록, 매우 짧은 밸브 니들(5)의 절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150 Mpa의 압력으로써 작동하는 일반적인 승용차용 연료 분사 밸브는 안내 영역(105)에서 약 4 mm의 니들 직경을 포함한다. 따라서 밸브 니들(5)이 밸브 시트(11)로부터 상승될 때 약 1900 N의 힘이 개방된 밸브 니들 상에 발생된다. 특히 압력 챔버(19) 내에서 정압의 높은 압력으로써 작동되는 시스템에서, 이러한 힘은 밸브 니들(5)의 빠른 폐쇄를 가능하게 하도록 명백히 1900N보다 높은 폐쇄력으로써 조정된다. 밸브 시일 표면(7)을 갖는 밸브 니들(5)이 밸브 시트(11)에 접하자마자, 시일에지(38)의 하류측에 있는 밸브 시일 표면(7)의 영역은 압력 챔버(19) 내의 연료 압력에 의해 더 이상 구동되지 않는다. 이로써 폐쇄력에 대항하여 작동하는 유압에 의한 개방력의 일부가 밸브 니들(5) 상에서 제거되어, 밸브 니들(5)은 밸브 시트(11)에 대해 매우 높은 힘으로써 바로 가압된다. 연료 분사 밸브의 전체 수명을 통해 살펴보면, 이러한 높은 폐쇄력과 상응하는 높은 표면 압력이 밸브 시트에서 폐쇄력의 증가를 일으키고 이로써 연료 분사 밸브의 조기 장애를 발생시킨다. 폐쇄력에 대향되는 유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압력 챔버(19)의 압력으로 구동되는 밸브 시일 표면(7)의 일부 표면이 도시된 실시예의 제1 원추형 표면(30)까지 실질적으로 확장되도록 시일 에지(38)를 보다 하류측으로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또한 개별적인 분사 작동 사이에 상응하는 압력 챔버의 압력이 높을 때에도 밸브 니들(5)이 각각 경우에 폐쇄된 채로 유지되기 때문에, 폐쇄력은 임의의 최저값을 가져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는 밸브 시일 표면(7)의 보충적인 환형 홈이 압력 챔버(19) 내의 압력을 조정하여 밸브 니들의 합력이 감소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동시에 밸브 니들(5)의 작용을 통해 시일 에지(38)에서 그리고 상부 에지(37)의 영역에서 표면 압력은 재료 제한값에 달하지 않도록 시일 에지(38)의 영역에서 낮게 보유된다.

Claims (12)

  1. 보어(3)의 연소실측 단부에는 원추형 밸브 시트(11)가 배치되고 밸브 니들(5)의 단면과 보어(3)의 벽 사이에는 밸브 시트(11)까지 이르는 연료로 채워질 수 있는 압력 챔버(19)가 형성되고, 종축(15)을 포함하는 밸브 니들(5)이 보어(3) 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밸브 본체(1)와,
    밸브 니들(5)에 형성되고 밸브 시트(11)로부터 나오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개구를 제어하기 위해 밸브 시트(11)와 상호 작용하고 밸브 니들(5)의 방사상 평면 내로 연장하는 환형 홈(35)이 형성되고, 환형 홈의 하류측 에지가 시일 에지(38)로 구성된 밸브 시일 표면(7)을 갖는 엔진용 연료 분사 밸브에 있어서,
    환형 홈(35)은 압력 챔버(19)와 항상 유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연료 분사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 시일 표면(7)은 제1 원추형 표면(3)과 이에 대해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원추형 표면(32)을 포함하고, 그 사이에 환형 홈(35)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원추형 표면(30)의 개방각은 원추형 밸브 시트(11)의 개방각보다 작고 제2 원추형 표면(32)의 개방각은 원추형 밸브 시트(11)의 개방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환형 홈(35)은 제1 원추형 표면(30) 및 제2 원추형 표면(32)에서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5. 제3항에 있어서, 제2 원추형 표면(32)과 밸브 시트(11) 사이의 시트 사이각(δ2)은 제1 원추형 표면(30)과 밸브 시트(11)의 시트 사이각(δ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6. 제2항에 있어서, 밸브 시트(11) 상으로의 밸브 니들(5)의 폐쇄 이동시 최초로 제2 원추형 표면(32)이 밸브 시트(11)에 접하게 되고 밸브 니들(5) 및/또는 밸브 본체(1)의 변형을 통해 비로소 제1 원추형 표면이 밸브 시트(30)에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챔버(19)와 환형 홈(35)의 유압식 연결부는 밸브 니들(5) 내로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보어(40)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연결 보어(40)는 횡단 보어(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연결 보어(40)는 환형 홈(35)을 밸브 니들(5)의 샤프트(205)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10. 제2항에 있어서, 압력 챔버(19)와 환형 홈(35)의 유압식 연결부는 제1 원추형 표면(30) 내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42)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11. 제3항에 있어서, 밸브 니들(5)의 폐쇄 이동시 최초로 환형 홈(35)의 전환부에서 제2 원추형 표면(32)으로 형성된 시일 에지(38)가 밸브 시트(11)에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12.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챔버(19) 내의 연료는 주기적으로 적어도 100 Mpa 이상의 압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KR10-2004-7018535A 2002-05-18 2003-05-15 엔진용 연료 분사 밸브 KR200401116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22209.6 2002-05-18
DE10222209 2002-05-18
DE10318989.0 2003-04-25
DE10318989A DE10318989A1 (de) 2002-05-18 2003-04-25 Kraftstoffeinspritzventil für Brennkraftmaschinen
PCT/DE2003/001579 WO2003098031A1 (de) 2002-05-18 2003-05-15 Kraftstoffeinspritzventil für brennkraftmaschin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628A true KR20040111628A (ko) 2004-12-31

Family

ID=2928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535A KR20040111628A (ko) 2002-05-18 2003-05-15 엔진용 연료 분사 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111628A (ko)
DE (1) DE10318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9302A1 (de) * 2003-12-17 2005-07-21 Robert Bosch Gmbh Ventilkörper mit Mehrfachkegelgeometrie am Ventilstitz
DE102005039205B4 (de) * 2005-08-18 2007-08-23 Siemens Ag Düsenbaugruppe für ein Einspritzventil
DE102008031271B4 (de) 2008-07-02 2011-07-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30165 Düsenbaugruppe für ein Einspritzventil
EP2239452A1 (en) * 2009-03-30 2010-10-13 Delphi Technologies Holding S.à.r.l. Injection Nozzle
DE102016203028A1 (de) * 2016-02-26 2017-08-3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stoffinjektor
SE539926C2 (en) * 2016-05-24 2018-01-16 Scania Cv Ab Sackless fuel in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18989A1 (de) 200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901B1 (ko) 내연기관에사용되는연료분사장치
US7143964B2 (en)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P1382836B1 (en) Fuel injector
RU2480616C2 (ru) Управляющий клапан для топливной форсунки
KR20040091522A (ko) 엔진용 연료 분사 밸브
EP1433952B1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fuel injector
US5522545A (en) Hydraulically actuated fuel injector
CN101910605B (zh) 降低了操作中随时间的变化的发动机和控制阀组件
US5219122A (en) Fuel injection system for engine
US7506635B2 (en) Fuel injection system
KR20020027575A (ko) 내연 기관용 연료 분사 밸브
KR20040093064A (ko) 내연 기관용 연료 분사 밸브
US7100847B2 (en)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20010101179A (ko) 유압이 보강된 액츄에이터가 포함된 이중개폐형 제어밸브
KR20040111628A (ko) 엔진용 연료 분사 밸브
JP4335544B2 (ja) 特に内燃機関に用いられる燃料噴射装置の高圧液体システム内の接続部を制御するための弁
US7011256B2 (en) Device for supplying high pressure fuel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504226A (ja) 弁、特に燃料噴射弁
US20020104901A1 (en)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P1247975B1 (en) Fuel injector having a free floating plunger
GB2318387A (en) I.c. engine fuel-injector with outwardly opening valve member and hydraulic damping of the opening stroke
JP5059030B2 (ja) 改良制御バルブ装置
JPH0842423A (ja) ピストン往復動型内燃機関における燃料噴射装置
JPS61255261A (ja) 燃料噴射ポンプ
US7712685B2 (en) Device for fuel injection rate sha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