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967A - 나선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선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967A
KR20040110967A KR1020030084635A KR20030084635A KR20040110967A KR 20040110967 A KR20040110967 A KR 20040110967A KR 1020030084635 A KR1020030084635 A KR 1020030084635A KR 20030084635 A KR20030084635 A KR 20030084635A KR 20040110967 A KR20040110967 A KR 20040110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s
bonded
spiral tube
square pipes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9009B1 (ko
Inventor
유명상
Original Assignee
유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상 filed Critical 유명상
Priority to KR1020030084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009B1/ko
Publication of KR20040110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3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with particular features
    • B29C53/587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with particular features having a non-uniform wall-structure, e.g. with inserts, perforations, locally concentrat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1Shaping in several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선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압출기(300, 300')에서 압출된 소구경의 사각 파이프(400, 400')가 각각 진공 사이징 탱크(310, 310')와 냉각장치(320, 320')를 통과하고, 상기 사각 파이프(400, 400')가 접합장치(330)에 의해 접합된 후, 권취기(340)에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나선관(500)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선관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spiral pipe}
본 발명은 나선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구경의 사각 파이프들의 측면을 고주파 접착방법으로 접합하여 소구경 사각 파이프의 접합면이 보강막 역할을 할 수 있는 나선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나선관(1)은 사각 파이프(3)가 나선형으로 촘촘하게 감겨진 후, 상기 사각 파이프(3) 사이에 접착수지(5)가 주입되어, 감겨진 사각 파이프(3)가 접착수지(5)에 의해 연결되므로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나선관을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은 압출기(10)에서 성형되어 나오는 사각 파이프(3)를 진공 사이징 탱크(11)와 냉각장치(13)를 통과시킨 후, 사각 파이프(5)를 권취기(15)에 나선형으로 감는 것과 동시에 상기 사각 파이프 사이에 접착수지를 주입하여 나선관(1)을 성형하고, 절단기(17)를 이용하여 상기 나선관(1)을 일정 길이로 절단한다.
그러나, 종래의 나선관은 토압 또는 윤압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강이 요구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최외각 절단면에 오목홈(7)이 형성되어, 성형 작업후, 상기 오목홈을 별도의 합성수지 등으로 채워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선형으로 감겨진 사각 파이프의 측면에 감겨지는 사각 파이프가 접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급되는 접착수지가 연질수지와 경질수지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접착수지의 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선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압출기에서 소구경의 사각 파이프를 압출하고, 상기 압출기에서 나오는 소구경의 사각 파이프를 고주파로 접합하여 나선관의 접합면이 보강막 역할을 함으로서, 나선관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는 나선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나선관을 도시한 일부 절취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나선관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나선관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a 내지 도 4f는 도 3의 사각 파이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나선관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6은 도 5의 사각 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나선관 제조방법은 복수개의 압출기(300, 300')에서 압출된 소구경의 사각 파이프(400, 400')가 각각 진공 사이징 탱크(310, 310')와 냉각장치(320, 320')를 통과하고, 상기 사각 파이프(400, 400')가 접합장치(330)에 의해 접합된 후, 권취기(340 ; winder)에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나선관(500)으로 성형된다.
상기 접합장치(330)는 고주파 접합장치 또는 열융착 접합장치일 수 있으며, 미설명한 도면부호 350은 접착수지공급기이다.
상기 압출기(300, 300')는 도 3에 대표적으로 2개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갯수의 압출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나선관(50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같이 2개의 사각 파이프(400a, 400b)가 접착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4개의 사각 파이프(400c, 400d, 400e, 400f)가 접착되거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같이 4개의 직사각형 파이프(400g, 400h, 400i, 400j)가 적층되어 접착되거나, 도 4d에 도시된 바와같이 십자형 보강재(410a, 410b)가 형성된 사각 파이프(400k, 400l)가 겹쳐진 후 접착되거나, 도 4e에 도시된 바와같이 격막(420)에 의해 2개의 사각중공구멍(421, 423)이 형성된 2개의 직사각형 파이프(400m, 400n)가 적층되어 접착되거나, 도 4f에 도시된 바와같이 격막(420)에 의해 2개의 사각중공구멍(421, 423)이 형성된 2개의 직사각형 파이프(400p)와 직사각형 파이프(400r)가 적층되어 접착될 수 있다.
도 4d의 십자형 보강재(410a, 410b)가 형성된 사각 파이프(400k, 400l) 및격막에 의해 2개의 사각중공구멍이 형성된 직사각형 파이프(400m, 400n, 400p)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0-0204043호(2000년 9월 8일 등록)에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나선관(500)은 겹쳐지는 사각 파이프의 접합면이 보강막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나선관 제조방법은 복수개의 압출기(600, 600')에서 압출된 소구경의 사각 파이프(700, 700')가 각각 진공 사이징 탱크(610, 610')와 냉각장치(620, 620')를 통과하고, 상기 사각 파이프(700, 700')가 접합장치(630)에 의해 접합된 후, 천공기(640)에 의해 사각 파이프(700, 700')에 구멍(710, 710')이 일정간격(d)으로 천공되고, 용융수지공급장치(650)에서 상기 사각 파이프(700, 700')의 구멍(710, 710')을 통해 상기 사각 파이프(700, 700')의 내부로 용융수지를 투입하므로서, 나선관(800)을 형성하는 사각 파이프(700, 700')의 내경에 격막(720 ; 도 6 참조)이 일정간격(d)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 파이프(700, 700')가 권취기(660)에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나선관(800)으로 성형된다.
상기 압출기(600, 600'), 진공 사이징 탱크(610, 610'), 냉각장치(620, 620'), 접합장치(630), 천공기(640), 용융수지공급장치(650) 및 권취기(660)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설명을 위하여 개략적으로 박스로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천공기(640)에 의해 사각 파이프(700, 700')에 구멍(710, 710')이 일정간격(d)으로 천공되고, 용융수지공급장치(650)에서 사각파이프(700, 700')의 내부로 용융수지를 투입하여 사각 파이프(700, 700')의 내부에 격막(720) 및 채움재(730)가 성형된다.
상기 천공기(660)는 드릴 또는 펀칭기일 수 있다.
상기 용융수지공급장치(650)는 사각 파이프(700, 700')가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할 때, 노즐이 가이드를 따라 사각 파이프와 함께 같은 속도로 이동하면서 구멍(710, 710')을 통해 용융수지를 공급므로서, 사각 파이프(710, 710')의 절단부위에 채움재(730)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나선관(800)의 길이는 원주의 길이 × 사각 파이프가 권취기에 감기는 권수로 계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절단하고자 하는 나선관(800)의 길이를 미리 연산하여, 사각 파이프(700, 700')에 채움재(730)가 채워져야 하는 구간이 용융수지공급장치(650)를 통과할 때, 용융수지공급장치(650)가 사각 파이프(700, 700')의 구멍(710, 710')을 통해 채움재(730)를 공급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선관 제조방법 및 나선관은 각각의 압출기에서 소구경의 사각 파이프를 압출하고, 상기 압출기에서 나오는 소구경의 사각 파이프를 고주파로 접합하여 나선관의 접합면이 보강막 역할을 함으로서, 나선관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각 파이프에 보강막을 형성시켜 나선관의 강도를 더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복수개의 압출기(300, 300')에서 압출된 소구경의 사각 파이프(400, 400')가 각각 진공 사이징 탱크(310, 310')와 냉각장치(320, 320')를 통과하고, 상기 사각 파이프(400, 400')가 접합장치(330)에 의해 접합된 후, 권취기(340)에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나선관(500)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관(500)은 2개의 사각 파이프(400a, 400b)가 접착되거나, 4개의 사각 파이프(400c, 400d, 400e, 400f)가 접착되거나, 4개의 직사각형 파이프(400g, 400h, 400i, 400j)가 적층되어 접착되거나, 십자형 보강재(410a, 410b)가 형성된 사각 파이프(400k, 400l)가 겹쳐진 후 접착되거나, 격막(420)에 의해 2개의 사각중공구멍(421, 423)이 형성된 2개의 직사각형 파이프(400m, 400n)가 적층되어 접착되거나, 격막(420)에 의해 2개의 사각중공구멍(421, 423)이 형성된 2개의 직사각형 파이프(400p)와 직사각형 파이프(400r)가 적층되어 접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제조방법.
  3. 복수개의 압출기(600, 600')에서 압출된 소구경의 사각 파이프(700, 700')가 각각 진공 사이징 탱크(610, 610')와 냉각장치(620, 620')를 통과하여, 사각 파이프(700, 700')가 접합장치(630)에 의해 접합된 후, 천공기(640)에 의해 사각 파이프(700, 700')에 구멍(710, 710')이 일정간격(d)으로 천공되고, 용융수지공급장치(650)에서 상기 사각 파이프(700, 700')의 구멍(710, 710')을 통해 상기 사각 파이프(700, 700')의 내부로 용융수지를 투입하므로서, 나선관(800)을 형성하는 사각 파이프(700, 700')의 내경에 격막(720)이 일정간격(d)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 파이프(700, 700')가 권취기(660)에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나선관(800)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제조방법.
KR1020030084635A 2003-11-26 2003-11-26 나선관 제조방법 KR100579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635A KR100579009B1 (ko) 2003-11-26 2003-11-26 나선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635A KR100579009B1 (ko) 2003-11-26 2003-11-26 나선관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328A Division KR100541211B1 (ko) 2003-06-18 2003-06-18 나선관 제조방법 및 나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967A true KR20040110967A (ko) 2004-12-31
KR100579009B1 KR100579009B1 (ko) 2006-05-12

Family

ID=3738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635A KR100579009B1 (ko) 2003-11-26 2003-11-26 나선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0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217B1 (ko) * 2007-03-02 2007-07-27 (주)명성화학 강도 향상형 합성수지관
KR101880425B1 (ko) * 2018-02-12 2018-07-20 이경호 결속력이 증대된 합성수지 파이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488172B1 (ko) * 2021-12-24 2023-01-19 주식회사 그린피앤피 이중벽 하수관용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481B1 (ko) 2008-05-26 2008-11-19 주식회사 대산 나선호스 제조장치
KR101968559B1 (ko) * 2018-10-05 2019-04-12 황승하 폴리에틸렌 다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장치와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217B1 (ko) * 2007-03-02 2007-07-27 (주)명성화학 강도 향상형 합성수지관
KR101880425B1 (ko) * 2018-02-12 2018-07-20 이경호 결속력이 증대된 합성수지 파이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488172B1 (ko) * 2021-12-24 2023-01-19 주식회사 그린피앤피 이중벽 하수관용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9009B1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00196A (ja) スチールストリップによって補強されたプラスチック排水管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機器ならびにスチールによって補強されたプラスチック排水管
US533892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d joining electro-fusion fitting
KR100579009B1 (ko) 나선관 제조방법
CN114161745B (zh) 一种连续纤维增强复合管一步法成型的加工方法
JP6771196B2 (ja) 樹脂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12062B2 (ja) 熱可塑性材料からの容器作成方法
KR20040110144A (ko) 나선관 제조방법 및 나선관
JP2004351658A (ja) 分岐パイプの製造方法
KR100877337B1 (ko) 고강도 스틸 폴리에틸렌 3층 피복관 제조방법
KR19990024148A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널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CN216230678U (zh) 一种聚乙烯复合管挤出模具
CN102001183A (zh) 二次复合铝塑软管制管机及其制造复合铝塑软管的方法
KR100533456B1 (ko) 폐폴리에틸렌 솔리드 하수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522821B2 (ja) 耐火二層管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24127B1 (ko) 강도가 향상된 복층관과 그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조장치
KR100278578B1 (ko) 초강성 평활 다층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KR100743238B1 (ko) 합성수지관의 압출성형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하수관
JP6641124B2 (ja) 管ライニング材、管ライニング材の製造方法及び管ライニング方法
KR20000021521A (ko) 고강도 나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
CN217647808U (zh) 一种金属管对接熔透焊内衬装置
KR100853414B1 (ko) 고강도 스틸 폴리에틸렌 3층 피복관과 그 제조장치
JP2900245B2 (ja) 暗渠パイプ用帯状体とその製造装置
US20020157721A1 (en) Sheath pipe, sheath pipe manufacturing method, and sheath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KR102103124B1 (ko) 합성수지 차수벽 하수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1634019A (zh) 多层缠绕增强管道的制备设备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