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652A - 보온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온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652A
KR20040110652A KR1020030040064A KR20030040064A KR20040110652A KR 20040110652 A KR20040110652 A KR 20040110652A KR 1020030040064 A KR1020030040064 A KR 1020030040064A KR 20030040064 A KR20030040064 A KR 20030040064A KR 20040110652 A KR20040110652 A KR 20040110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waterproof fabric
moisture
dispersible polyuretha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8095B1 (ko
Inventor
이상윤
최정주
정인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3004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095B1/ko
Publication of KR2004011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Abstract

본 발명은 보온기능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단(A)상에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의 접착 필름층(B)과 망상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의 표면 필름층(C)이 차례로 코팅된 3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접착 필름층(B) 내에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은 방수성능과 투습성능이 우수함과 동시에 의복제조시 의복 내 온도 변화를 줄여줄 수 있어서 쾌적한 착용감을 발현하다.

Description

보온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A breathable and waterproof fabric with enhanced thermal properties, and a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same}
본 발명은 투습성과 방수성은 물론 보온기능성도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는 종래의 기술로는 폴리우레탄과 유기용제인 디메틸포름아마이드를 혼합하여 제조한 수지를 원단 상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한 후 물 속을 통과시키는 공정에 의해 원단 상에 미세한 기공을 갖는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형성시켜서, 투습성과 내수성을 동시에 갖도록 하는 습식공법이 있다.
그리고 폴리우레탄을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아세톤,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 휘발성이 강한 유기용제에 용해시켜서 제조한 수지를 원단 상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휘발성 유기용제를 휘발시킴에 의해 원단 상에 균질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형성시켜서, 투습성과 내수성을 동시에 갖도록 하는 건식공법이 있다.
상기의 습식공법 및 건식공법은 원단 상에 직접 폴리우레탄 수지용액으로 도포하는 방법이므로 수지용액이 원단내부로 침투하여 제품의 촉감이 딱딱해질 우려가 있으며, 투습성, 내수성 등의 기능성을 발현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능성 필름을 별도로 제조한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원단과 합포하는 방식인 라미네이팅 공법이 투습방수원단의 제조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 일예를 살펴보면 폴리우레탄을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아세톤,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 휘발성이 강한 유기용제에 용해시켜서 제조한 수지를 한 면이 매끈한 시이트(종이, 필름, 직물 등)상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휘발성 유기용제를 휘발시켜서 제조한 균질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형성시킨 후, 여기에 폴리우레탄 접착제성분을 유기용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혼합시켜서 제조한 접착수지를 나이프(knife)로 균일하게 전면 도포하거나, 그라비아를 사용하여 점 도포한 후 원단과 합포하고 숙성시켜서 투습성과 내수성을 동시에 가지면서 부드러운 원단 촉감을 그대로 발현하도록 한다.
종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투습방수원단은 투습성과 방수성이라는 두 가지기본적인 기능성을 발현하도록 설계되었는데, 투습성은 수증기 상태의 물분자의 투과성을 개선시킨 것이고, 방수성은 액체상태인 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부여된 기능성이다. 이것들은 모두 수분의 이동을 제어하는데 목적을 두었는데, 인체의 쾌적성이란 관점에서 보았을 때 외부 환경과의 열의 이동을 제어하는데는 한계를 드러낸다.
투습방수원단의 열 제어 기능을 보안한 종래의 기술로는 코팅층 내에 태양으로부터 빛에너지를 받아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능성을 갖는 세라믹 성분을 첨가시켜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은 비중이 높은 세라믹을 첨가하므로 코팅된 원단의 무게가 무겁고, 원단의 촉감이 딱딱해지는 단점을 가지며, 태양광선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만 보온성능을 발현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보온 기능성이 필요한 야간에는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며, 보온 성능 또한 인체가 감지하기에는 매우 미미한 상태에 그친다.
미국 특허 제 5,366,801호 에서는 의복의 보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전이 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을 원단의 한쪽 면에 형성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은 마이크로캡슐의 상전이 현상에 의해 의복 내의 온도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인체로부터 발생하는 땀 수증기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쾌적한 의복의 제조에는 한계를 드러내며,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코팅층이 단일층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전이 물질 함유 마이크로캡슐이 마찰에 의하여 탈리되거나 캡슐막이 부서져서 내부의 상전이 물질이 빠져나와 온도제어 기능을상실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전이 물질 자체는 인체에 유해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의류용 원단을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적절한 방법이 아니다. 또한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의 바인더로 사용된 코팅층의 고분자 물질이 피막을 형성할 때 균일한 무공성 피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실제 착용 시 피막을 통한 전도에 의한 열 손실이 커서 실질적인 의복 내의 온도를 유지, 보온시키는 데는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투습방수원단의 보온 기능성을 향상시켜, 방수성능, 투습성능처럼 수분의 제어뿐만 아니라 외부환경과의 열에너지 교환을 제어할 수 있어서 인체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기능성을 보유하는 원단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코팅 수지 용액내에 열을 저장, 방출 기능성이 있는 마이크로캡슐을 첨가시켜서 이의 열 교환 능력에 의해서 의복 내의 온도의 변화를 줄여줄 수 있는 기능성을 보유하며, 우수한 방수성능과 투습성능을 동시에 발현할 수 있는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세한 기공을 가지는 균일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수지를 사용하여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제조된 원단의 온도 조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 저장, 방출 기능성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을 첨가하여 코팅용 수지를 조성하고 이것을 원단 상에 균일 도포하여 방수성능, 투습성능을 동시에 발현하도록 하는 투습방수원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투습방수원단은 우수한 방수기능성과 투습기능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비와 바람의 침투를 방지하여 체온 손실을 줄여주며, 극심한 운동 시 인체에서 발생하는 땀 수증기를 외부로 적절히 배출하여 의복 내 온도의 상승을 막아주는 동시에 외부의 기온이 상당히 낮을 경우에는 코팅피막 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캡슐내의 열 저장, 방출 물질이 액체상태에서 고체상태로 전이하면서 잠열을 방출하여 의복 내 온도를 높여 주고, 의복 내의 온도가 필요이상으로 높아졌을 때에는 코팅피막 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캡슐내의 열 저장, 방출물질이 고체상태에서 액체상태로 전이하면서 열을 흡수하여 의복 내 온도를 낮춰주는 기능성을 발현하여 의복 내 온도를 적절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성을 발현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투습방수원단의 단면도.
도 2는 의복 내 온도 및 온도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장치의 개략도.
도3은 도1 중 부호 2(사각형 격자)의 확대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원단 2 : 사각형 격자 3 : 전열기 4 : 가열판
A : 원단(층) B : 접착 필름층 C : 표면 필름층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은 원단(A)상에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의 접착 필름층(B)과 망상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의 표면 필름층(C)이 차례로 코팅된 3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접착 필름층(B) 내에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은 원단(A)상에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 조성물을 건식코팅하여 접착 필름층(B)을 형성하고, 그 위에 망상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 조성물을 건식코팅하여 표면 필름층(C)을 형성하여 원단(A), 접착 필름층(B) 및 표면 필름층(C)이 차례로 적층된 3층 구조의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 조성물에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은 원단(A)상에 열을 저장 또는 방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캡슐(이하 "상전이 마이크로캡슐" 이라고 한다)이 첨가된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 조성물을 건식코팅하여 접착 필름층(B)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선택적으로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이 첨가된 망상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 조성물을 건식코팅하여 표면 필름층(C)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접착용 수지) 조성물에는 필수적으로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이 첨가되며, 망상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표면처리용 수지) 조성물에는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이 첨가될 수도 있고 첨가되지 않는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는 방법 중 일례를 살펴보면, 통상의 방법으로 발수처리된 원단 위에 조성 1과 같이 제조된 접착 필름층 제조용 수지조성물을 플로팅 코팅방식으로 10-200g/㎡가 되도록 균일하게 코팅한 후 100-150℃에서 1-5분간 건조하는 방식으로 1-3회 실시하여 접착 필름층(B)을 형성한다.
-- 조 성 1 --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접착용 수지) : 100 중량부
물 : 5 - 20 중량부
수분산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 2.0 - 10 중량부
상전이 마이크로캡슐 : 5 - 80 중량부
여기에 조성 2와 같이 제조된 표면 필름층 제조용 수지조성물을 상술한 바와같은 방식으로 코팅하여 표면 필름층(C)을 형성한다.
-- 조 성 2 --
망상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표면처리용 수지) : 100 중량부
물 : 5 - 20 중량부
수분산성 실리콘 : 0.5 - 5 중량부
상전이 마이크로캡슐 : 0 - 50 중량부
상기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접착용 수지)로는 분자사슬 내에 폴리에틸렌 옥사이드(CH2CH2O)단위를 5-50개를 가지고 이온성 관능기로서 카르복실 암모늄염, 황산암모늄염 또는 이의 복합체를 전체 분자량의 1-10 중량 %를 함유하고 있으면서 전체 분자량이 1000이상 10000이하인 올리고머 상태이 선형 우레탄수지를 사용한다.
이때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는 필름이 친수성을 발현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온성 관능기는 수중에서 분산성을 좌우한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의 개수가 5개 미만일 경우에는 고분자의 친수성능이 저하되어 최종제품의 투습성이 저하될 수 있고, 50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층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온성 관능기가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수분산이 되지 않으며 10 중량 % 이상일 경우에는 내가수분해성이 떨어지고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표면 필름층의 내구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표면처리용 수지로는 상술한 접착용 수지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면서 가교점 사이의 분자량이 500-10000 이하이며 전체 분자량이 5000 이상 50만 이하인 망상구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을 사용한다.
사용된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은 섭씨 10-40℃ 사이에서 고체에서 액체로 상전이를 일으키는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외벽은 폴리우레아계 가교체로 구성되거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가 주성분인 가교체 혹은 멜라민 가교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직경은 1.0-100㎛의 사이에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열 저장, 방출 기능성을 가지는 상변화 물질로는 하이드로카본 등이 사용된다.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은 상전이 온도 주위에서 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하였을 때 용융엔탈피의 변화(△H)가 30-300J/g의 범위에 있는 것이다.
상술한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접착용수지)는 수분산성 이소아네이트계 가교제와 가교 반응을 일으켜서 원단과 강인한 접착을 이루며 균일한 무공형 필름층을 형성하여 내수성을 발현하며 분자사슬 내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부분은 친수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습성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표면처리용 수지는 자체로 망상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중에서 안정한 분산상태를 유지하며 코팅되었을 때에는 강인한 피막을 형성하고 내가수분해성능이 우수하여 접착 필름층(B)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전이 마이크로캡슐내 물질은 일정 온도 주위에서 액체에서 고체로, 혹은 고체에서 액체로 상전이를 하여 주위로 열을 방출 혹은 흡수하여 의복 내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접착 필름층(B) 및 표면 필름층(C) 내에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의 함량이 많을수록 방출, 흡수하는 열량의 양이 많아서 온도조절 능력이 향상되나, 코팅 피막의 강도를 저하시키거나 결점을 일으킬 가능성이 많아서 방수성능 및 투습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접착 필름층(B) 및 표면 필름층(C) 내에 함유된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의 함량이 적을수록 방수성능 및 투습성능은 향상되나 온도조절 능력이 줄어든다.
코팅피막 1야드(Yd)당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의 함량은 1-200g 수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접착 필름층(B)을 코팅할 때 사용된 폴리우레탄수지는 저분자량의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이며 이를 수분산성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와 함께 혼합하여 코팅한 후 건조과정에서 경화반응을 진행시키기 때문에 가교제가 원단과 폴리우레탄 분자간의 가교결합을 일으켜서 강인한 접착력을 발현하고, 폴리우레탄 분자간에도 가교반응이 일어나서 견고한 피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분자 사슬 내에 도입된 친수성 관능기들은 수증기 상태의 물분자를 재빨리 흡수하여 확산 반응을 통해 외부로 신속히 배출할 수 있는 기능성을 발현하게 된다. 코팅수지 내에 첨가된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은 수계에서 마이크로캡슐화 되었기 때문에 수계 폴리우레탄과의 상용성 및 분산성이 양호하여 코팅가공 하였을 때 코팅피막 내에 균일하게 분포하며 입자의 크기가 1-100㎛로서 작기 때문에 코팅피막의 방수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첨가된 마이크로캡슐내의 상전이 물질은 10-40℃ 사이에서 고체에서 액체로,액체에서 고체로 상전이를 일으키는 물질이며, 이의 열 교환 반응으로 의복 내의 체온 부근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만약 상전이 물질의 상전이 온도가 30℃라고 하고, 의복내의 온도는 약 27℃이라고 하면, 마이크로캡슐내의 상전이 물질은 고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신체가 격렬한 운동을 하거나 외부환경의 온도가 올라가서 의복 내의 온도가 30℃를 넘어서게 되면, 인체는 더위를 느끼게 된다. 이때 상전이 물질은 고체에서 액체상태로 상변화 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의복 내의 온도를 낮춰주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신체가 운동을 멈추거나 외부의 온도가 내려가면 의복 내의 온도가 30℃ 이하로 떨어지게 되며, 이때 신체는 추위를 느끼게 된다. 그러면 액체상태의 상전이 물질이 고체상태로 상변화하면서 그 잠열만큼 열을 방출하게 되어 의복 내의 온도를 상승 또는 유지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상전이 물질은 상변화를 할 때 용융엔탈피의 변화(△H)가 30-300J/g의 범위에 있는 것을 사용하며, 이것을 코팅 피막 내에 1g/yd에서 200g/yd 수준으로 첨가시킨 경우, 주위의 온도가 30℃에서 0℃로 변화되었을 때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이 첨가되지 않은 원단에 비하여 의복 내 온도를 0.5℃-3.5℃정도 높은 상태로 5분-1시간 정도 유지시켜주는 효과를 발현하게 된다.
본 발명 투습방수원단의 투습방수 기능성은 내수성 1000-10000mmH2O(ISO 811법)수준이며, 투습도는 3000-10000g/㎡·24시간(ASTM E 96, inverted cup 법)수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투습방수원단은 우수한 방수성능, 투습성능을 보유하면서 의복 내 온도의 변화를 완화시켜서 쾌적한 착용감을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습방수원단의 각종물성은 아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내수압
ISO 811 방법으로 측정한다.
·투습도
ASTM E 96(CaCl2법)으로 측정한다.
·접착력
ASTM A751 방법으로 측정한다.
·의복내 온도
가로 15cm×세로 15cm인 시험편을 도1과 같이 항상 36.5℃를 유지하는 전열기(3) 위에 높이가 3cm인 사각형 격자(2)를 사이에 두고 코팅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장치한다. 이것을 외부온도 30℃에서 1시간 방치한 후 신속히 온도가 0℃인 쳄버 안에 넣고 5분간 방치 후 원단과 전열기 사이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의복 내 온도로 평가하였다.
·의복내 온도 지속시간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시험편(A)과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지 않은 시험편(B) 각각을 상기 의복 내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과 같이 처리한 후 온도가 0℃인 쳄버 내에 넣었을 때 2개 시험편의 온도가 동일하게 될 때까지 소요시간을 의복 내 온도 지속시간으로 평가하였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단위수가 20이고 황산암모늄관능기를 5중량 % 함유하며 전체 분자량이 약 5000인 수분산성 선형 우레탄 수지를 접착용 수지로 사용하며, 상전이 온도가 28.2℃인 상변화 물질(옥타데칸)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조성3과 같이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나일론 원단(A)에 플로팅 나이프로 도포량 40g/m2코팅한 후 150℃에서 2분간 건조하는 방식으로 2회 코팅하여 원단 상에 접착 필름층(B)을 형성한다.
-- 조 성 3 --
접착용 수지 : 100 중량부
물 : 15 중량부
수분산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 7 중량부
상전이 마이크로캡슐 : 30 중량부
여기에 가교점 사이의 분자량이 약 5000이며 전체 분자량이 약 30000인 수분산성 망상구조형 폴리우레탄수지를 표면처리용 수지로 사용하여, 조성 4와 같이 제조된 표면처리용 코팅수지 조성물을 플로팅 나이프로 도포량 20g/㎡코팅한 후 150℃에서 2분간 건조하여 상기 접착 필름층(B)상에 표면 필름층(C)을 형성하여 3층 구조의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한다.
-- 조 성 4 --
표면처리용 수지 : 100중량부
물 : 10 중량부
수분산성 실리콘 : 0.5 중량부
제조한 투습방수원단의 각종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조성 3의 수지 조성물을 1회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공정으로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투습방수원단의 각종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1과 같다.
실시예 3
조성 3의 수지 조성물 내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의 함량을 100 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공정으로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투습방수원단의 각종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1과 같다.
실시예 4
조성 3의 수지 조성물 내 상전이 마이크로캡슐로서 상변화 온도가 22℃인 상변화 물질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공정으로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투습방수원단의 각종물성을평가한 결과는 표1과 같다.
실시예 5
조성 4의 표면처리용 코팅수지 조성물내에 상전이 온도가 28.2℃인 상변화물질(옥타데칸)을 함유하는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을 30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공정으로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투습방수원단의 각종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1과 같다.
비교실시예 1
조성 3의 접착 필름층용 수지조성물 내에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공정으로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투습방수원단의 각종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1과 같다.
<표1> 투습방수원단 물성평가 결과
구분 내수압(mmH2O) 투습도(g/㎡·24hrs) 접착력(g/cm) 의복내 온도(℃)
실시예 1 4,000 5,600 500 29
실시예 2 3,000 7,000 500 28
실시예 3 4,000 5,000 400 29
실시예 4 4,000 5,500 500 28
실시예 5 3,500 6,000 400 29
비교실시예 1 4,000 6,000 450 26.5
본 발명은 방수성과 투습성이 우수한 동시에 보온 기능성도 우수하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은 의복제조시 양호한 쾌적감을 발현한다.

Claims (12)

  1. 원단(A)상에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의 접착 필름층(B)과 망상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의 표면 필름층(C)이 차례로 코팅된 3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접착 필름층(B) 내에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2. 1항에 있어서, 접착 필름층(B)과 표면 필름층(C) 모두에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3.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이 상변화 온도가 10-40℃인 상변화 물질을 멜라민 가교체, 폴리우레아계 가교체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가교체로 캡슐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4.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의 직경이 1.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5.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접착 필름층(B) 및 표면 필름층(C)내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의 함량이 각 필름층 1야드(Yd)당 1-2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6.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전이 온도 주위에서 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시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의 용융엔탈피 변화(△H)가 30-300J/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7. 1항에 있어서,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이 분자사슬 내에 에틸렌 옥사이드(CH2CH2O)단위를 5-50개 가지며 이온성 관능기로 카르복실 암모늄, 황산 암모늄염 또는 이의 복합체를 전체 분자량 대비 1-10 중량 % 함유하며 전체 분자량이 1,000-10,000인 올리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8. 1항에 있어서, 망상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이 5,000-500,000의 전체 분자량을 가지며 가교점 사이의 분자량이 500-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9. 1항에 있어서, 내수압이 1,000-10,000mmH2O이고, 투습도가 3,000-10,000g/㎡·24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10. 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이 고형분을 제외한 액체부분의 97 중량% 이상이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조절 기능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11. 원단(A)상에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 조성물을 건식코팅하여 접착 필름층(B)을 형성하고, 그 위에 망상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 조성물을 건식코팅하여 표면 필름층(C)을 형성하여 원단(A), 접착 필름층(B) 및 표면 필름층(C)이 차례로 적층된 3층 구조의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 조성물에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12. 11항에 있어서, 선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 조성물과 망상형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 조성물 각각에 모두 상전이 마이크로캡슐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의 제조방법.
KR1020030040064A 2003-06-20 2003-06-20 보온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58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064A KR100658095B1 (ko) 2003-06-20 2003-06-20 보온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064A KR100658095B1 (ko) 2003-06-20 2003-06-20 보온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652A true KR20040110652A (ko) 2004-12-31
KR100658095B1 KR100658095B1 (ko) 2006-12-14

Family

ID=3738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064A KR100658095B1 (ko) 2003-06-20 2003-06-20 보온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0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321B1 (ko) * 2004-09-24 2006-07-18 김용근 항온성 및 항균성이 향상된 기능성 투습 방수포 및 이의제조방법
KR100746155B1 (ko) * 2005-05-19 2007-08-09 은광판지포장 주식회사 바닥재용 골판지
KR101141501B1 (ko) * 2010-07-29 2012-05-04 (주)글로벌첼린지 섬유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2929B1 (ko) * 2012-10-24 2014-03-12 (주)앤디아이 축열기능과 이면소프트성이 우수한 3층 구조 보온성 원단
KR20170061970A (ko) * 2015-11-27 2017-06-0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무독성 입체 무늬를 가진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908587A (zh) * 2022-06-21 2022-08-16 上海华峰新材料研发科技有限公司 一种自调温水性服装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8810A2 (ko) * 2009-05-06 2010-11-11 Cho Young-Soo 기능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과 기능성 원단을 이용한 제품
KR101965583B1 (ko) 2018-09-27 2019-04-04 (주)보경텍스타일 원단 코팅용 투습방수성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원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6825B2 (ja) * 1989-05-25 1994-11-30 帝人株式会社 保温性透湿性防水布帛の製造方法
JP3133131B2 (ja) * 1992-02-27 2001-02-05 旭化成工業株式会社 複合シート
JP2002011833A (ja) 2000-06-27 2002-01-15 Ks Senshoku Kk 防水保温性布帛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321B1 (ko) * 2004-09-24 2006-07-18 김용근 항온성 및 항균성이 향상된 기능성 투습 방수포 및 이의제조방법
KR100746155B1 (ko) * 2005-05-19 2007-08-09 은광판지포장 주식회사 바닥재용 골판지
KR101141501B1 (ko) * 2010-07-29 2012-05-04 (주)글로벌첼린지 섬유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2929B1 (ko) * 2012-10-24 2014-03-12 (주)앤디아이 축열기능과 이면소프트성이 우수한 3층 구조 보온성 원단
KR20170061970A (ko) * 2015-11-27 2017-06-0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무독성 입체 무늬를 가진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908587A (zh) * 2022-06-21 2022-08-16 上海华峰新材料研发科技有限公司 一种自调温水性服装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095B1 (ko)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095B1 (ko) 보온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US9062194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extile layers and coatings
KR100612294B1 (ko) 발포 투습 방습 방수포와 그 제조 방법
EP1977883B1 (en) Fabric with highly expanded laye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Maity et al. Waterproof breathable fabrics and suits
US10729194B2 (en) Garment with strategically positioned polymide aerogel panels
JP4868497B2 (ja) 高発泡層を備えた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16273A (ja) 保温性透湿防水布帛
CN107641453B (zh) 一种透气防风透湿的涂料的制备方法
JP4886119B2 (ja) 防寒及び断熱用ウェア
JP3925178B2 (ja) ウインドブレーカー
KR100715308B1 (ko) 체온조절 기능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94502B1 (ko) 경량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
JPWO2020012945A1 (ja) 熱転写シート、繊維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繊維構造物
JP4832821B2 (ja) 保温性と通気性を有する透湿防水防風性フィルム、及びこれを布帛に積層してなる複合材料
JPH05247854A (ja) 複合シート
JP2008121141A (ja) 高発泡層を備えた透湿防水性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79707A (ko)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
JPH05222679A (ja) 透湿性防水布帛
KR100710865B1 (ko) 내수압이 우수한 이중 복합 투습 방수직물의 제조방법
TW201946672A (zh) 口罩
JP2598760Y2 (ja) 保温性透湿防水布帛
Jahid Functional materials for thermo-regulating textiles
CN212629923U (zh) 口罩
KR100422461B1 (ko) 환경대응 기능일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