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707A -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707A
KR20170079707A KR1020150190558A KR20150190558A KR20170079707A KR 20170079707 A KR20170079707 A KR 20170079707A KR 1020150190558 A KR1020150190558 A KR 1020150190558A KR 20150190558 A KR20150190558 A KR 20150190558A KR 20170079707 A KR20170079707 A KR 20170079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waterproof film
adhesive
fabric
breat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민
이은수
정유인
김유현
박지용
박성근
문상현
Original Assignee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filed Critical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Priority to KR1020150190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9707A/ko
Publication of KR20170079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D06M17/06Polymers of vinyl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D06M17/10Polyurethanes polyurea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7/00Sport; Milita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은 (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멘트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대비 30~70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소프트세그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 대비 30~70중량% 포함되어 있고,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대비 1~10중량% 포함되어있는 투습방수필름과, (ⅱ) 상기 투습방수필름 상에 형성된 금속증착층 및/또는 상기 투습방수필름에 형성되어 일정한 무늬패턴을 이루는 요철들로 이루어진 엠보싱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은 (ⅰ) 상기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과 (ⅱ) 원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은 투습방수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보온성 및/또는 심미감(외관)이 뛰어나 스포츠용 의류소재 및 캐쥬얼용 의류소재 등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A multi-functional Moisture Vapor Transmittable and water-proof film and multi-functional fabric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습방수성과 동시에 보온성 및/또는 심미성이 우수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과 이를 접착한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에 관한 것이다.
투습방수 소재란 공기나 수증기는 통과시키는 투습성과 빗방울 등의 액체에 대한 침투는 방지하는 방수성이라는 모순된 두 가지 성능이 잘 조화된 고기능성 소재를 의미하며, 오늘날 스키 웨어나 레인 웨어뿐만 아니라 그 밖에 등산, 골프, 해양스포츠 등의 다양한 스포츠 웨어에 적용되어 인기를 얻고 있는 소재이다. 이러한 투습방수 소재에 대한 기술 개발은 1960년대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1970년 중후반 고어텍스®의 개발을 기점으로 가속화되었으며 현재에도 그 성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개발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투습방수 소재는 가공법에 따라 크게 피막을 형성하는 코팅 타입과 박막의 필름을 접합하는 라이네이팅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코팅타입은 다시 (ⅰ)수중에서 원단상에 미세한 기공을 갖는 폴리우레탄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습식코팅타입과 (ⅱ)휘발성이 강한 유기용제가 포함된 수지조성물을 원단상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휘발성 유기용제를 휘발시킴으로써 원단상에 균질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형성시키는 건식코팅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투습방수 기능을 발현하는 원리에 따라 미세한 구멍들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포로스(microporous)타입, 무공 친수성의 하이드로필릭(hydrophilic)타입, 나노 웹 타입 및 형상기억 타입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투습방수 소재를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하지만, 기본적으로 투습방수 소재로는 강직쇄(Hard segment)와 유연쇄(Soft segment)를 블록 구조로 함께 가져 소성가공이 가능하고 성형후 재료가 고무와 유사한 탄성 회복 특성을 보이는 열가소성 탄성체를 이용한다는 점이 공통적이다. 이러한 열가소성 탄성체를 두께 수십 마이크로 미터 수준의 필름 멤브레인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강직쇄의 연속상은 멤브레인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물방울이나 오염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고분자의 유연쇄는 습기를 통과시켜 멤브레인 반대편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여 결과적으로 숨쉬는 듯한(breathable) 투습방수의 기능이 발현되는 것이다.
투습방수 소재에 대한 다양한 종래 특허기술로는 라미네이팅 공법과 관련하여 폴리에틸렌 다공질 필름과 열접착성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를 열과 압력으로 접합시켜 제조한 투습방수시트가 개시된 일본 특개평 5-124144 및 L-라이신과 유기산의 반응물로 된 분말을 0.1% 이상 함유하는 폴리아미노산계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된 투습필름을 원단에 라미네이트시켜 제조한 내마모성이 우수한 투습방수 원단이 개시된 일본 특개평 3-213581이 존재하며, 이외에 일본 특개평 4-249142, 일본 특개평 4-146275, 일본 특개평 7-258971, 일본 특개평 5-78984, 일본 특개평 8-13352 등에는 다양한 건/습식 코팅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종래기술들에 개시된 제조방법의 경우 매우 복잡하고, 이를 통해 제조된 투습방수 기능의 필름 또는 멤브레인은 기공이 불균일하여 결과적으로 투습도가 낮다는 단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에서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원단의 염료가 유기용매에 의해 빠져나와 오염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흔히 고어텍스의 소재로 알려진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계(PTFE) 소재의 경우, 막에 미세한 기공을 균일하게 형성하여 우수한 투습성은 물론 내화학성과 일광견뢰도가 뛰어나 고가에 유통되고 있음에도 가장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PTEF는 기계적 피로강도와 세탁 내구성가 떨어지며 환경유해물질인 PFCs(perfluorinated and polyfluorinated compounds), FTOHs(Fluorotelomer alcohols), PFCAs(Perfluorinated carboxylic acids), PFOS(Perfluorinated sulfonate), PFOA(perfluorooctanoic acid)등을 방출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까지 투습방수 소재로는 우수한 투습성을 가지며 다양한 가공방법이 적용가능한 폴리우레탄이 많은 부분을 차지해왔으나, 폴리우레탄은 의류에 사용할 때 세탁내구성이 부족하여 내수압이 저하되며, 특히, PTFE만큼의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막의 기공 크기를 늘일 경우 소재의 기계적 강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해왔다. 더욱이 이러한 폴리우레탄을 습식 또는 건식공법에 의해 원단상에 직접 코팅하게 될 경우, 수지용액이 원단 내부로 침투하여 제품의 촉감이 딱딱해질 우려가 있고, 투습성, 내수성 등의 기능성 발현에도 한계가 존재한다.
한편, 종래의 투습방수필름은 투습방수성능은 구비하나, 보온성이나 심미감(수려한 외관)을 구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탄성체에 기반한 투습방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투습성과 방수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촉감과 내구성이 우수하고 외관 품위가 뛰어나며 환경 친화적인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투습방수원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습방수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보온성 및/또는 심미감도 뛰어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투습방수원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멘트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대비 30~70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소프트세그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 대비 30~70중량% 포함되어 있고,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대비 1~10중량% 포함되어 있는 투습방수필름 상에 금속증착층을 형성시키거나, 일정한 무늬패턴을 이루는 요철들로 이루어진 엠보싱 처리부를 형성시키거나, 상기 금속증착층과 엠보싱 처리부를 함께 형성시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과 기재섬유를 라미네이팅하여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은 투습방수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보온성 및/또는 심미감(외관)이 뛰어나 스포츠용 의류소재 및 캐쥬얼용 의류소재 등으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의 단면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은 제1구현예로서, (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멘트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대비 30~70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소프트세그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 대비 30~70중량% 포함되어 있고,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대비 1~10중량% 포함되어 있는 투습방수필름; 및 (ⅱ) 상기 투습방수필름 상에 형성된 금속증착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금속증착층은 인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반사시켜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투습방수필름은 투습방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상기 제1구현예에 의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은 투습방수성과 보온성이 뛰어나다.
금속증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의 예로는 진공증착법이 있으며, 진공증착 장치의 가열수단으로 전자선 가열방식이나 저항 가열방식, 유도 가열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금속막과 기재 필름 사이의 밀착성과 금속막의 치밀성을 향상시키키 위하여 플라즈마 어시스트법이나 이온 빔 어시스트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금속증착 방법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증착의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이나 이온 플레이팅법, 플라즈마 기상 성장법(CVD)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증착층에 적용되는 소재로는, 예를 들면 Al(알루미늄), Ti(티타늄), Au(금), Ag(은), SUS(스테인리스스틸) 등을 사용하여 100~1,000옴스트롱 두께로 증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은 제2구현예로서, (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멘트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대비 30~70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소프트세그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 대비 30~70중량% 포함되어 있고,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대비 1~10중량% 포함되어 있는 투습방수필름; 및 (ⅱ) 상기 투습방수필름 상에 형성된 금속증착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투습방수필름에는 일정한 무늬패턴을 이루는 요철들로 이루어진 엠보싱 처리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증착층은 인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반사시켜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투습방수필름은 투습방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금속증착층과 엠보싱 처리부는 상호작용을 하면서 홀로그램상을 발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상기 제2구현예에 의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은 투습방수성 및 보온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홀로그램상을 구현하여 심미감이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은 제3구현예로서 (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멘트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대비 30~70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소프트세그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 대비 30~70중량% 포함되어 있고,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대비 1~10중량% 포함되어 있는 투습방수필름; 및 (ⅱ) 상기 투습방수필름에 형성되어 일정한 무늬패턴을 이루는 요철들로 이루어진 엠보싱 처리부;으로 구성된다.
상기 투습방수필름은 투습방수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엠보싱 처리부는 일정 무늬를 발현시켜 심미감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상기 제3구현예에 의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은 투습방수성과 심미감이 뛰어나다.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에 상기 엠보싱 처리부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ⅰ)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엠보싱 로울러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엠보싱 가공하는 방법과 (ⅱ) 엠보싱 가공된 이형지 상에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제조한 후 상기 이형지를 박리하는 방법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습방수필름을 구성하는 소프트세그멘트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단독, 폴리테트라 메틸렌 클리콜 단독, 또는 이들의 중합물일 수도 있고,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결합된 중합물이거나 하기 화학식 2와 같이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 테트라 메틸렌 글리콜이 결합된 중합물일 수도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는 2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친수성 폴리올 및 소수성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폴리올은 기계적 물성확보 및 엘라스토머 제조에 용이할 수 있도록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수 평균 분자량이 600 내지 8,000의 범위인 폴리에틸렌 글리콜일 수 있고, 그 비율은 전체 엘라스토머의 30 내지 70 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폴리올의 비율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원하는 투습도를 발현하기 어려울 수 있고, 7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융점이 매우 낮거나 높아서 가공성이 불량해 질 수 있으며, 수분과 접촉시 필름이 과도하게 팽윤되어 외관상 결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수성 폴리올 성분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수 평균 분자량이 600 내지 8,000의 범위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름의 유연성과 기재 섬유와의 모듈러스 차이 및 수분에 의한 필름의 팽윤성을 고려하여 전체 엘라스토머의 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 탄성체 조성물로 형성된 투습방수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인플레이션법이나 다이 압출법과 같은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필름의 용도에 따라 두께를 제어할 수 있으나 1 내지 100㎛의 범위의 두께를 갖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층 높은 레벨의 투습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5 내지 50㎛의 두께를 갖도록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의 두께가 1㎛ 미만일 경우에는 두께가 너무 얇아 필름의 내구성, 내열성, 내수압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며, 100㎛를 초과 할 경우 전체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투습성이 저하되거나 필름의 굽힘 경도가 증가함으로써 결속 및 취급이 어렵게 되며 적용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습방수필름은 결정성 블록인 소수성의 Hard segment(폴리에스테르 블록)가 낮은 유리전이 온도를 갖는 유연한 비결정성 블록인 Soft segmen(폴리에테르 메트릭스) 내에 분산상으로 존재하는 세그멘트화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로 구성되어 친수성 기와 소수성 폴리머 사이에서 친수성/소수성에 기인한 분간 인력이 상호작용하게 된다. 즉, 소수성 영역은 수분(예: 피부에서 발산된 땀)을 밖으로 밀어내려는 힘이 작용하고, 친수성 영역은 수분 또는 기체상의 수증기를 끌어 당기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삼투압 및 분자간 인력(반데르 발스 포스)에 의해 피부나 외부로부터 발산된 수분은 결정성 소수성 층을 통과하여 친수성 비결정 블록에 신속히 흡수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투습방수필름은 JIS L 1099(B-1) 측정 기준 3,000 내지 100,000(g/㎡*day)의 투습도 및 ISO 811 측정 기준 3,000 내지 30,000(mmH2O)의 내수압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투습방수필름이 섬유에 적층될 경우 흡수된 수분이 원단의 공극과 소수성에 기인하여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대기중으로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빨리 건조되며, 여기에 추가로 접착제가 적층된 경우 친수성인 접착제 사이에서 삼투압 작용에 의해 수분이 보다 신속하게 원단 층으로 이동 및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투습방수원단은 친수성 분자쇄가 외부 온도에 따라 민감하게 마이크로 브라운 운동을 하기 때문에 온도의 증가에 따라 가변적으로 투습량이 증가될 수 있다.
나아가 통상 고어텍스로 알려진 PTFE의 경우 기공을 가지고 있어 투습도는 좋으나 세탁시 기공이 훼손되어 투습도가 저하되며 이물에 의한 2차 오염이 발생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의 투습방수필름은 기공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세탁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은 기재섬유 및 상기 기재섬유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상기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라미드, 레이온, 아크릴, 스판덱스, 라이오셀, 면(cotton), 울(wool) 및 견(silk)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사로 형성된 직물, 편물 및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기재섬유와 투습방수필름의 적층은 열융착에 의한 적층이거나 접착제를 이용한 적층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를 이용한 적층은 폴리우레탄계 습기 경화형 접착제, 2액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열경화성 핫멜트 폴리우레탄 접착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핫멜트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EVA접착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접착제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또는 핫멜팅인 것일 수 있다.
열융착에 의한 적층시에는 열융착에 의한 적층시에는 필름을 제조하면서 기재섬유에 바로 접합하는 T-다이(T-die Direct coating)방식 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온도 150~300℃로 조절이 가능한 압출기에서 압출기 전면에 부착된 다이를 통해 균일한 두께의 필름으로 성형하여 5~100㎛의 두께를 가질수 있도록 제조하며, 겔 상의 필름이 냉각롤에 닿기 직전에 기재섬유가 동시에 투입됨으로써, 기재섬유 일면에 필름이 부착되고 이후, 냉각롤을 거쳐 고화되면서 적층된다. 열융착 공정은 별도의 접착 또는 적층 공정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의 효율성이 개선되며 접착제에 의한 투습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반면, 촉감과 드레이프(drape)성을 중시하는 투습방수기능의 원단이 목적일 경우에는 라미네이팅 또는 핫멜팅에 의한 적층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접착제 가운데 라이네이팅시에는 친수성 2액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가 보다 바람직할 수 있고, 핫멜팅시에는 폴리우레탄 습기경화형으로 대표되는 접착제가 적합할 수 있다. 특히, 핫멜팅에 적합한 접착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무용제형임과 함께, 상온에서는 고형 혹은 점조한 성상이지만, 열을 가하면 용융하여 도포가 가능한 상태가 되고, 냉각에 의해 다시 응집력이 나오는 성상을 가지기 때문에, 도트(dot) 코팅에 유용할 수 있다.
핫멜팅에 의한 적층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핫멜팅은 우선 접착성분이 함유되도록 형성된 핫멜트 접착 시트를 기재섬유와 필름 사이에 함께 이송시키며 열을 가하여 기재섬유에 핫멜트 접착 시트가 용융 적층되고 필름이 압력 롤러의 압착 방식에 의해 적층되는 방식이다. 이때, 핫멜트 접착시트는 필름형태의 접착 필름일 수 도 있고, 접착 웹의 형태일 수도 있다. 핫멜트 접착 시트를 통한 적층 방식은 100~150℃의 발열 롤러를 통해 접착 되며 100도 미만의 온도에서는 접착시트의 용융이 원활하지 않아 원하는 접착강도가 나오지 않으며, 150도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기재섬유와 필름이 온도에 의해 손상을 입어 제품화가 곤란할 수도 있게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제, 경화 촉매, 가소제, 안정제, 충전재, 염료, 안료, 형광증백제, 실란 커플링제, 왁스, 블로킹 방지제 등의 첨가제, 열가소성 수지 등을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점착 부여제로는, 예를 들면 로진계 수지, 로진에스테르계 수지, 수첨 로진에스테르계 수지, 테르펜계수지, 테르펜페놀계 수지, 수첨 테르펜계 수지나, 석유 수지로서 C5계의 지방족 수지, C9계의 방향족 수지, 및 C5계와 C9계의 공중합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의 도포는 전면도포도 가능하지만, 기재섬유의 양호한 투습성이나 유연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간헐 도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헐 도포 방법으로서는, 도트상으로 도포하는 방법이나, 망목(網目)상으로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도트상으로 도포하는 방법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제의 도포는 예를 들면, 롤에 조각을 실시한 그라비어 전사 코팅법, 스크린 코팅법, T-다이 코팅법, 파이바 코팅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접착제의 가열 용융 온도는, 80∼130℃인 것이 바람직하고, 80∼1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섬유 상에 전사된 접착제의 양은 5 내지 50 g/㎡인 것이 바람직한데, 전사된 양이 너무 많으면 직물의 텍스처가 지나치게 경질화 되어 촉감이 저하되고, 너무 적으면 결합강도가 불충분하여 세탁을 견디기에 충분한 내구성을 얻을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필름과 섬유간의 접착력이 불량해질 수 있다. 또한, 용융상태의 접착제를 원단상으로 전사 도포시키기 위해서는 이송장치와 도포장치가 모두 가열 가능해야 하며 도중에 공기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히 밀폐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기재섬유에 전사된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기재섬유와 투습방수원단을 합포롤에서 합포시켜 원단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포시에는 적외선 가열기로 예비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섬유와 필름이 합포된 후 접착제는 냉각되면서 필름 및 공기중에 포함된 소량의 수분과 반응하여 3차원으로 가교된 열경화성 물질로 변화되면서 강인하고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 접착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37 중량%, 1,4-부탄디올 24 중량% 및 수 평균 분자량이 2,000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39 중량%과 상기 화합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가교제인 트리메탄올프로판 0.05 중량부를 에스테르 교환(Ester Interchange) 반응기에 넣고, 촉매인 티타늄부톡사이드 0.16 중량부를 가하고, 120분 동안 120℃ 에서 180℃로 승온한 다음, 이후 60분 동안 180℃를 유지하면서 반응시키고, 반응 유출물인 메탄올량을 반응율로 환산하여 그 반응율이 90% 이상인 시점에서 반응을 종결시켜 올리고머를 얻는다.
상기 올리고머를 중축합(Polycondensation) 반응기로 옮기고, 여기에 페놀계 산화방지제 0.24 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120분 동안 245℃로 승온(반응압력은 60분 동안 760 torr에서 0.3 torr까지 감압, 이후 60분 동안 0.3 torr이하 고진공 유지)하면서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여, 개발자가 원하는 교반기 토크(Torque)에 도달하였을 때 반응을 종결하고, 질소압을 이용,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반응기 밖으로 토출시켜 냉각 후 펠렛(Pellet)으로 제조한다.
상기 용융중합으로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펠렛을 회전 가능한 반응기에 투입하고, 반응기내 압력을 0.3 torr로 감압한 뒤 180~190℃에서 대략 12 내지 18시간 동안 가열 및 회전시키면서 원하는 유동지수에 도달할 때까지 중합을 실시하여 고상중합에 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엘라스토머 A)를 제조하였다.
한편,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31 중량%, 1,4-부탄디올 24 중량% 및 수 평균 분자량 1,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45 중량%과 상기 화합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가교제인 트리메탄올프로판 0.0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엘라스토머 A를 제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엘라스토머 B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내열노화방지제 및 UV 안정제와 함께 혼합하여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로 제조하였다. 이때,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각각이 차지하는 함량이 37 중량부 및 2.3 중량부가 되도록 엘라스토머 A과 엘라스토머 B를 혼합하였으며, 이후, 구경 40mm 및 압축비 40의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230 내지 260℃에서 투입량 40kg/h 및 스크류 속도 250rpm으로 압출을 실시하고, 캐스팅드럼으로 급냉 및 고화시켜 두께가 15㎛인 투습방수필름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투습방수필름 상에 알루미늄의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여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제조하였다.
알루미늄 증착은 10-5 torr 진공 하에서 순도 99%의 금속을 1,500℃로 가열하여 15㎛인 투습방수필름 위에 진공증착 시킨다. 금속 증착 두께는 300옴스트롱이다.
제조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의 각종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실시예 2
먼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내열노화방지제 및 UV안정제와 함께 혼합하여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층 총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각각이 차지하는 함량이 30중량부 및 0.9중량부가 되도록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혼합하였으며, 이후 구경 40㎜ 및 압축비 40의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230내지 260℃에서 투입량 40kg/h 및 스크류 속도 250rpm으로 압출을 실시하고, 캐스팅 드럼으로 급냉 및 고화시켜 두께가 15㎛인 투습방수필름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투습방수필름을 엠보싱 로울러 사이로 통과시켜 투습방수필름 상에 요철들로 이루어진 엠보싱 처리부를 형성시킨 다음, 계속해서 알루미늄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여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의 각종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실시예 3
먼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내열노화방지제 및 UV안정제와 함께 혼합하여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투습방수필름에 엠보싱 처리부가 형성되도록 투습방수필름 제조용 이형지로는 엠보싱 가공 처리에 의해 요철이 형성된 이형지를 사용하였고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층 총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각각이 차지하는 함량이 45중량부 및 3.7중량부가 되도록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혼합하였으며, 이후 구경 40㎜ 및 압축비 40의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230내지 260℃에서 투입량 40kg/h 및 스크류 속도 250rpm으로 압출을 실시하고, 캐스팅 드럼으로 급냉 및 고화시켜 두께가 15㎛인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1
먼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내열노화방지제 및 UV안정제와 함께 혼합하여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층 총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각각이 차지하는 함량이 10중량부 및 0.4중량부가 되도록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혼합하였으며, 이후 구경 40㎜ 및 압축비 40의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230내지 260℃에서 투입량 40kg/h 및 스크류 속도 250rpm으로 압출을 실시하고, 캐스팅 드럼으로 급냉 및 고화시켜 두께가 15㎛인 투습방수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투습방수필름의 각종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비교실시예 2
먼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내열노화방지제 및 UV안정제와 함께 혼합하여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층 총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각각이 차지하는 함량이 75중량부 및 10중량부가 되도록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혼합하였으며, 이후 구경 40㎜ 및 압축비 40의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230내지 260℃에서 투입량 40kg/h 및 스크류 속도 250rpm으로 압출을 실시하고, 캐스팅 드럼으로 급냉 및 고화시켜 두께가 15㎛인 투습방수필름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투습방수필름 알루미늄의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여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의 각종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비교실시예 3
먼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내열노화방지제 및 UV안정제와 함께 혼합하여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층 총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각각이 차지하는 함량이 45중량부 및 15중량부가 되도록 엘라스토머 A와 엘라스토머 B를 혼합하였으며, 이후 구경 40㎜ 및 압축비 40의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230내지 260℃에서 투입량 40kg/h 및 스크류 속도 250rpm으로 압출을 실시하고, 캐스팅 드럼으로 급냉 및 고화시켜 두께가 15㎛인 투습방수필름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투습방수필름을 엠보싱 로울러 사이로 통과시켜 투습방수필름 상에 요철들로 이루어진 엠보싱 처리부를 형성시킨 다음, 계속해서 알루미늄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여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의 각종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구분 투습도(초산칼륨법)
(g/㎡*day)
내수압
(㎜H2O)
적외선 투과율
(%)
실시예 1 56,000 20,000 2.43
실시예 2 53,000 20,000 2.66
실시예3 68,000 19,500 29.49
비교실시예 1 7,300 20,000 46.73
비교실시예 2 105,000 7,300 3.73
비교실시예 3 38,000 18,000 2.16
실시예 4
기재섬유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가연 권축 가공사 DTY 70 DEN/48fil(코오롱패션머티리얼(주) 제조)을 경사 및 위사로 이용하여 평직 조직의 생지를 제직 한 후, 발수 가공(불소계 발수 처리제를 사용)을 포함하는 염색 공정으로 분산 염료(경인양행(주), KISCO Black S-SG)에 의해 검은색으로 염색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중량 110g/㎡)을 얻었다. 그 후, 상기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한쪽면에, 우레탄계 접착제(접착제의 부착량 12 g/㎡)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전체면에 적층시켜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았다.
실시예 5
기재섬유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가연 권축 가공사 DTY 70 DEN/48fil(코오롱패션머티리얼(주) 제조)을 경사 및 위사로 이용하여 평직 조직의 생지를 제직 한 후, 발수 가공(불소계 발수 처리제를 사용)을 포함하는 염색 공정으로 분산 염료(경인양행(주), KISCO Black S-SG)에 의해 검은색으로 염색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중량 110g/㎡)을 얻었다. 그 후, 상기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한쪽면에, 우레탄계 접착제(접착제의 부착량 12 g/㎡)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전체면에 적층시켜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았다.
실시예 6
기재섬유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가연 권축 가공사 DTY 70 DEN/48fil(코오롱패션머티리얼(주) 제조)을 경사 및 위사로 이용하여 평직 조직의 생지를 제직 한 후, 발수 가공(불소계 발수 처리제를 사용)을 포함하는 염색 공정으로 분산 염료(경인양행(주), KISCO Black S-SG)에 의해 검은색으로 염색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중량 110g/㎡)을 얻었다. 그 후, 상기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한쪽면에, 우레탄계 접착제(접착제의 부착량 12 g/㎡)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전체면에 적층시켜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았다.
비교실시예 4
기재섬유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가연 권축 가공사 DTY 70 DEN/48fil(코오롱패션머티리얼(주) 제조)을 경사 및 위사로 이용하여 평직 조직의 생지를 제직 한 후, 발수 가공(불소계 발수 처리제를 사용)을 포함하는 염색 공정으로 분산 염료(경인양행(주), KISCO Black S-SG)에 의해 검은색으로 염색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중량 110g/㎡)을 얻었다. 그 후, 상기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한쪽면에, 우레탄계 접착제(접착제의 부착량 12 g/㎡)를 이용하여 상기 비교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전체면에 적층시켜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았다.
비교실시예 5
기재섬유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가연 권축 가공사 DTY 70 DEN/48fil(코오롱패션머티리얼(주) 제조)을 경사 및 위사로 이용하여 평직 조직의 생지를 제직 한 후, 발수 가공(불소계 발수 처리제를 사용)을 포함하는 염색 공정으로 분산 염료(경인양행(주), KISCO Black S-SG)에 의해 검은색으로 염색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중량 110g/㎡)을 얻었다. 그 후, 상기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한쪽면에, 우레탄계 접착제(접착제의 부착량 12 g/㎡)를 이용하여 상기 비교실시예 2에서 제조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전체면에 적층시켜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았다.
비교실시예 6
기재섬유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가연 권축 가공사 DTY 70 DEN/48fil(코오롱패션머티리얼(주) 제조)을 경사 및 위사로 이용하여 평직 조직의 생지를 제직 한 후, 발수 가공(불소계 발수 처리제를 사용)을 포함하는 염색 공정으로 분산 염료(경인양행(주), KISCO Black S-SG)에 의해 검은색으로 염색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중량 110g/㎡)을 얻었다. 그 후, 상기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한쪽면에, 우레탄계 접착제(접착제의 부착량 12g/㎡)를 이용하여 상기 비교실시예 3에서 제조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전체면에 적층시켜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와 같았다.
다기능성 투습방수직물의 물성평가결과
구분 투습도(초산칼륨법)
(g/㎡*day)
내수압
(㎜ H2O)
보온성
실시예 4 28,500 20,000 우수
실시예 5 26,700 20,000 우수
실시예 6 31,000 20,000 보통
비교실시예 4 3,300 20,000 보통
비교실시예 5 48,000 8,600 우수
비교실시예 6 9,300 19,000 우수
표 1 및 표 2의 각종물성들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 투습도 측정(초산칼륨법, JIS L1099 측정 기준): JIS K 8363에 규정된 초산칼륨 300g을 물100㎖에 가하여 하룻밤 방치하고 결정이 석출한 상태의 흡습제를 규격에 정하는 크기의 투습컵에 넣고 필름 또는 투습방수 원단을 장착한 후, 약 10 × 10㎝크기의 투습도 측정용 보조필름을 고무 밴드로 장착해서 시험체를 준비한다. 시험체의 질량(a3)을 필름장착 쪽을 위로해서 1mg까지 측정한다. 측정한 후 시험체를 거꾸로해서 수조에 공정한 시험편 지지틀 안에 장착하고 15분 후에 시험체를 꺼내서 뒤집어 질량(a4)을 1mg까지 측정한다. 다음 식 2에 의해 투습도를 산출(24h 기준으로 환산)하고 3회의 시험결과를 평균값으로 표시하였다.
Figure pat00003
- 내수압 측정(KSK ISO 811-2009 측정 기준): Hydrostatic Tester(FX-3300)을 사용하여 물 투과 시험을 수행하였다. 20℃ 물을 60cmH2O/min의 수압을 투습방수 필름 또는 직물에 인가하여 물이 수압을 인가한 면의 반대편의 필름 또는 투습방수 원단 표면상에 3곳에서 물이 보이기 시작할 때의 압력을 측정한다. 필름 단독 내수압 측정의 경우 필름자체의 탄성으로 인하여 수압인가에 의해 필름이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있어 적절한 내수압 측정이 어려우며, 필름면이 물과 닿도록 위치하고 메쉬원단(PET 20Denier/1Filament 원사로 평직으로 직조된, 열린공간이 75% 이상의 직물)을 두장 겹쳐서 필름면 상단에 놓은 후 수압 헤드를 파지하여 압력을 측정한다.
- 적외선 투과율
태양 또는 외부로부터 열선 파장은 일반적으로 750nm~2500nm의 적외선영역이며, 2,000~2,500nm 영역에서의 파장을 차단하는 것이 열차단 효과에서 유효하다. 다기능성 투습방수 필름의 열 차단 효과의 측정하기 위하여 2000~2500nm 파장영역에서의 적외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적외선 투과율 측정은 UV_Vis_NIR Spectrophotometer (Varian社 Cary 5000)을 사용하여 시험편의 앞쪽 면(금속 증착면)에 대해 계측 파장 2,000~2,500nm의 조건 아래에서 5nm 간격으로 측정하여 적외선 투과율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표1에 나열하였다.
- 보온성, 심미성 및 홀로그램 유무 : 관능검사결과 "우수"와 "보통" 2개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Claims (13)

  1. (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멘트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대비 30~70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소프트세그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 대비 30~70중량% 포함되어 있고,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대비 1~10중량% 포함되어 있는 투습방수필름; 및
    (ⅱ) 상기 투습방수필름 상에 형성된 금속증착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필름은 일정한 무늬패턴을 이루는 요철들로 이루어진 엠보싱 처리부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3. (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드세그멘트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대비 30~70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소프트세그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 대비 30~70중량% 포함되어 있고,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은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 총량대비 1~10중량% 포함되어 있는 투습방수필름; 및
    (ⅱ) 상기 투습방수필름에 형성되어 일정한 무늬패턴을 이루는 요철들로 이루어진 엠보싱 처리부;으로 구성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금속증착층은 알루미늄(Al), 은(Ag), 금(Au), 티타늄(Ti) 및 스테인리스스틸(SUS)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금속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 필름.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금속증착층은 진공증착법, 스퍼테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및 플라즈마 가상 성장법(CVD)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 필름.
  6.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필름은 파장이 2,000~2,500㎚인 적외선 투과율이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 필름.
  7.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필름은 JIS L 1099(B-1) 측정 기준 투습도가 10,000 내지 150,000(g/㎡*24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8.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필름은 ISO 811 측정 기준 내수압이 5,000 내지 30,000(mmH2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9.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필름은 두께가 1.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
  10. 기재 섬유; 및
    상기 기재 섬유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라미드, 레이온, 아크릴, 스판덱스, 라이오셀, 면(cotton), 울(wool) 및 견(silk)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사로 형성된 직물, 편물 및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은 열융착에 의한 적층이거나 접착제에 의한 적층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에 의한 적층은 폴리우레탄계 습기 경화형 접착제, 2액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열경화성 핫멜트 폴리우레탄 접착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핫멜트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및 EVA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접착제를 사용한 라미네이팅 또는 핫멜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
KR1020150190558A 2015-12-31 2015-12-31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 KR20170079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558A KR20170079707A (ko) 2015-12-31 2015-12-31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558A KR20170079707A (ko) 2015-12-31 2015-12-31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707A true KR20170079707A (ko) 2017-07-10

Family

ID=5935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558A KR20170079707A (ko) 2015-12-31 2015-12-31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97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308B1 (ko) * 2023-01-10 2023-06-14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친환경 tpe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63036A1 (ja) * 2022-02-28 2023-08-31 東レ株式会社 接着加工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036A1 (ja) * 2022-02-28 2023-08-31 東レ株式会社 接着加工品
KR102541308B1 (ko) * 2023-01-10 2023-06-14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친환경 tpe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1869B1 (en) Thermoplastic elastomer resin composition for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film, film and fabric using same
EP1852253B1 (en) Stretch composite film and composite fabric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of them
CN112543785B (zh) 聚乙烯膜
US20080182469A1 (en)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and windproof laminated sheet, interlining using the same, and garment containing the interlining
US20100272941A1 (en) Durable water- and oil- resistant, breathable microporous membrane
WO2004030903A2 (en) Durable waterproof composite sheet material
EP3822074B1 (en) Thermally bondable multi-layered composite film for manufacturing outdoor cloth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038779B1 (ko)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KR102104718B1 (ko) 투습방수성 아웃도어용 니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9707A (ko)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
JP3921854B2 (ja) 透湿防水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84252A (ja) 防水透湿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水透湿材
KR20170105724A (ko) 인쇄성이 향상된 다기능성 투습방수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투습방수원단
JP4886119B2 (ja) 防寒及び断熱用ウェア
JP2001011779A (ja) 迷彩加工ラミネート布帛
KR102263969B1 (ko)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658095B1 (ko) 보온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8290261A (ja) 透湿防水性生地
KR102079467B1 (ko)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열접착이 가능한 다층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3020574A (ja) 透湿防水性ラミネート布帛の製造方法
KR102293565B1 (ko) 내구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678093B (zh) 功能性布帛及其制造方法
JP2002370335A (ja) 保温透湿防水布
JPS626903A (ja) 透湿性作業用手袋
JPH033576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