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269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269A
KR20040110269A KR1020030039494A KR20030039494A KR20040110269A KR 20040110269 A KR20040110269 A KR 20040110269A KR 1020030039494 A KR1020030039494 A KR 1020030039494A KR 20030039494 A KR20030039494 A KR 20030039494A KR 20040110269 A KR20040110269 A KR 20040110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lock function
func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9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0269A/ko
Publication of KR20040110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26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4Bilge k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the foils comprising flexible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5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the foils being pivotal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위치하거나 해외 출장으로 인해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받지 못하는 경우, 리얼타임 클럭에 의한 시계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함으로써, 시계 기능의 안정적인 사용으로 단말기의 효용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프라인 모드 전환 명령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오프라인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될 경우,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딥 슬립 모드(deep sleep mode)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딥 슬립 모드의 전환에 의해 단말기의 통신 기능은 오프시키고, 리얼타임 클럭을 소스로 하여 시계 기능만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계 기능을 오프라인 모드 탈출 명령 입력 시까지 계속 구동한 후, 온라인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CLOCK FUNCTION US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위치하거나 해외 출장으로 인해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받지 못하는 경우, 리얼타임 클럭에 의한 시계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함으로써, 시계 기능의 안정적인 사용으로 단말기의 효용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영지역으로 진입할 경우 딥 슬립(deep sleep) 모드로 전환되어 전류소모를 최소로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에 의해 딥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게 되고, 이후 전 채널을 스캔하면서 기지국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단말기의 전류 소모량이 증가하게 되고, 더욱이 비행기 안이나 병원 등의 장소에서는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전파가, 정밀 기계 장치에 영향이 미치는 것을 우려하여 단말기를 오프 시키도록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에서 시계 기능이 제공되는 이유로 단말기와 시계를 모두 소지하고 다니는 사용자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있거나 오프 시켜야 되는 상황에서는, 시계 기능도 같이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동기를 통해 현재 시간을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단말기가 온 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음영지역에 진입하거나 해외 출장에 의해 기지국과 동기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혀 시간을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해외 출장 시 로밍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다소 해결할 수 있지만, 그 사용에 따른 비용이 클 뿐 아니라 음영지역에서는 역시 통화 자체도 불가능하며, 사용자들은 단말기의 시계 기능을 계속적으로 사용하길 원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영지역이나 서비스 지역이 아닌 곳에서 버튼의 누름이나 폴더의 열리고 닫힘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채널 전체에 대한 검색을 시행하고 이때 많은 전류를 소모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순수하게 시계 기능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위치하거나 해외 출장으로 인해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받지 못하는 경우, 리얼타임 클럭에 의한 시계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함으로써, 시계 기능의 안정적인 사용으로 단말기의 효용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프라인 모드 전환 명령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오프라인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될 경우,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딥 슬립 모드(deep sleep mode)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딥 슬립 모드의 전환에 의해 단말기의 통신 기능은 오프시키고, 리얼타임 클럭을 소스로 하여 시계 기능만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계 기능을 오프라인 모드 탈출 명령 입력 시까지 계속 구동한 후, 온라인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보인 순서도.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의 강제 설정에 의해 단말기를 오프라인(offline) 모드로 설정하여 딥 슬립 모드로 강제 전환함으로써 단말기의 통신 기능만을 오프시키고, 리얼타임 클럭(real time clock)에 의해 시계 기능은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하여 시간을 표시하고자 함을 요지로 한다.
이때, 상기 오프라인 모드로의 전환은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음영지역에 진입할 경우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시계 기능을 통신 기능과는 별도로 동작시킴으로써, 단말기의 키 패드를 현재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기능 버튼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듀얼 폴더의 경우 외부의 표시장치(LCD)와 내부의 표시장치가 각기 원하는 지역의 시간을 표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의 제공을 요지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사용자로부터 오프라인 모드 전환을 위한 버튼(미도시)이 입력되는지 또는 메뉴 설정에 의한 오프라인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검출하고, 오프라인 모드 전환 버튼이나 명령이 입력될 경우,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딥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딥 슬립 모드로 전환될 경우 통신 기능은 오프되며, 종래와 달리 시계 기능은 리얼타임 클럭을 소스로 하여, 최종 표시된 시간으로부터 계속해서 시간을 카운트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오프라인 모드 탈출 버튼(미도시)이나 명령이 입력될 경우, 단말기는 딥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며 시계 기능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실시간 정보에 의해 시간을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진입하게 되어 딥 슬립 모드로 전환될 경우 자동으로 오프라인 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영 지역을 벗어나 딥 슬립 모드에서 깨어날 경우, 자동으로 오프라인 모드를 탈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오프라인 모드 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기능은 정지되지만 시계 기능은 리얼타임 클럭에 의해 별도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시계 기능을 이용하고자 하는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를 오프라인 모드로 전환하여 통신 기능과 별도로 시계 기능만을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은, 해외 출장이나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는 지역에서 통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단말기를 시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효용성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오프라인 모드 전환 버튼이나 메뉴에 대한 도면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부가되어 있는 기존의 버튼을 기능 전환하거나 버튼을 추가하는 것으로 쉽게 해결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통신 기능과 별도로 사용하는 시계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즉, 단말기가 오프라인 모드로 전환될 경우, 리얼타임 클럭에 의해 시계 기능이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되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키 패드를 시간 조정을 위한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고, 시간 설정을 위한 메뉴 항목을 더 구비하고, 그 시간 설정 메뉴를 통해 듀얼 폴더의 외부의 표시장치(LCD)와 내부의 표시장치에 각기 원하는 지역의 시간을 표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오프라인 모드에서는 통화를 하지 않으므로, 키패드의 숫자버튼을 누를 일이 없게 된다. 또한, 해외 출장 시 시계로만 사용하는 경우 현지 시간이나 알람 기능을 설정해 줄 필요가 있으므로, 키 패드의 일부 버튼을 시간 설정을위한 기능 버튼으로 전환되게 하여, 시계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듀얼 폴더 단말기의 경우 오프라인 모드에서는 시간 설정을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폴더를 열어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외부의 표시장치에만 현지의 시간을 표시하면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본국의 시간을 확인할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화면 설정 메뉴에 시간 표시 설정 메뉴를 추가로 구비하고, 폴더 외부 표시장치에는 현지시간을 표시하게 하고, 폴더 내부 표시장치에는 본국의 시간을 표시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한다.
물론, 기지국과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지역(온라인 모드 지역)에서는 해외 출장과 같이 장기적으로 시계 기능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온라인 모드에서는 상기 시계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시 전화 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한다.
즉, 키패드는 시간 설정을 위한 기능 키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고,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기능 키로 동작하고, 폴더 내/외부 표시장치에도 모두 현재 시간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음영지역에 있던가, 해외 출장이나 여행 시 단말기를 이용 가능지역까지 최대한 사용하다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단말기를 시계 용도로만 사용함으로써, 해외 출장자에게는 좀더 간편하게 시계를 제공하는 등 사용자들의 편의를 제공하다가, 귀국 시 또는 음영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개인 설정에 의해 기존의 단말기 기능으로 복귀하게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단말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위치하거나 해외 출장으로 인해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받지 못하는 경우, 리얼타임 클럭에 의한 시계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함으로써, 시계 기능의 안정적인 사용으로 단말기의 효용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오프라인 모드 전환 명령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오프라인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될 경우,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딥 슬립 모드(deep sleep mode)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딥 슬립 모드의 전환에 의해 단말기의 통신 기능은 오프시키고, 리얼타임 클럭을 소스로 하여 시계 기능만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계 기능을 오프라인 모드 탈출 명령 입력 시까지 계속 구동한 후, 온라인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모드 전환 명령은 지정된 소정 버튼이 입력되거나 메뉴 설정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또는, 단말기의 음영지역 진입에 의해 딥 슬립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모드 탈출 명령은 지정된 소정 버튼이 입력되거나 메뉴 설정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또는, 단말기의 음영지역 탈출에 의해 딥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는 경우에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오프라인 모드로 전환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키 패드를 시간 조정을 위한 기능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오프라인 모드로 전환될 경우, 폴더형 단말기의 외부 표시장치와 내부 표시장치에 각기 다른 지역의 시간을 표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
KR1020030039494A 2003-06-18 2003-06-18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 KR20040110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494A KR20040110269A (ko) 2003-06-18 2003-06-18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494A KR20040110269A (ko) 2003-06-18 2003-06-18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269A true KR20040110269A (ko) 2004-12-31

Family

ID=3738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494A KR20040110269A (ko) 2003-06-18 2003-06-18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02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20457B (zh) 双屏幕直板手机
JP4318370B2 (ja) 携帯電話装置
CN201393240Y (zh) 双屏幕直板手机
EP1458171B1 (en) Integrated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isplay unit
JP2002185599A (ja) 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メニュー表示方法
JP2005354544A (ja) 携帯機器
KR2004011026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 구동 방법
US2004022472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integral laser pointer
KR20030055855A (ko)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KR2005002382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전력모드 수행 방법
KR1006782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6615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절약방법
JP3842673B2 (ja) 通信端末
KR2003001263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보호기 구동 방법
JP5683080B2 (ja) 情報端末装置
KR20060044191A (ko) 듀얼 클럭 휴대폰
KR20000074571A (ko) 휴대전화 자동 온/오프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040026325A (ko) 휴대폰의 절전을 위한 화면일부 표시 기능 제공 방법
CN210270533U (zh) 一种智能手表
KR100389832B1 (ko) 무선 단말기의 지역별 시간정보 표시방법
KR20040033685A (ko) 휴대폰 엘시디 화면 제어방법
KR100237445B1 (ko) 무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 전환방법
KR20090039841A (ko) 휴대 단말 장치 및 입력 모드 제어 방법
JP2002010359A (ja) 携帯電話機
KR20000060078A (ko) 개선된 구조의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