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8342A - 전기접속용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기접속용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8342A
KR20040108342A KR1020040046053A KR20040046053A KR20040108342A KR 20040108342 A KR20040108342 A KR 20040108342A KR 1020040046053 A KR1020040046053 A KR 1020040046053A KR 20040046053 A KR20040046053 A KR 20040046053A KR 20040108342 A KR20040108342 A KR 20040108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or
terminal
case body
receiving portio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0882B1 (ko
Inventor
김기풍
Original Assignee
동양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882B1/ko
Publication of KR2004010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3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inductive component, e.g. transfor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접속용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덕터가 내장되고 제조시 한번의 사출성형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제조시 불량율을 줄인 형태의 전기접속용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인덕터가 내부에 안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그 수용부의 벽면 일측단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케이스몸체와; 전원공급용 단자가 관통되어 수직하게 나란히 고정되고, 그 일측면에는 상기 케이스몸체의 고정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끼움편이 형성되는 단자고정구와; 상기 케이스몸체와 단자고정구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외부면에 형성되는 사출성형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를 제조시에 사출성형을 단 1회만 실시하여 내부 코일 및 케이스몸체 등의 변형을 방지하고, 제조공정을 줄여 불량률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접속용 플러그 { plug of electrical equipment }
본 발명은 전기접속용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덕터가 내장되고 제조시 한번의 사출성형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제조시 불량율을 줄인 형태의 전기접속용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외의 콘센트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가정용/산업용 전기기기들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일반 가정을 포함하는 건물의 배선설비들의 내부 배선구조를 살펴 보면 배선설비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 콘센트 단자들이 내부적으로 병렬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특정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사용되는 가전제품의 노이즈 특성이 전원공급용 플러그를 통해 역류하여 인접연결되어 사용중인 전기기기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실내 벽면에 콘센트가 여러개 구비되어 있는 경우, 1구에는 TV전원용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고, 다른 1구에는 전동드릴의 플러그가 연결되어 동시에사용하게 되면, 전동드릴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높은 주파수의 노이즈가 전동드릴의 전원케이블의 전선 및 플러그를 타고 벽면 등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를 통해 인접한 TV로 역류하여 화면의 떨림으로 인한 화질저하 및 소음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그로 인한 전기기기의 수명단축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공급용 단자(102a,102b) 또는 그라운드 단자(102c)에 인턱터(Inductor)(106)를 직렬로 연결하여 노이즈가 역류하여 콘센트(미도시됨)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러그(100)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100)는 케이스 몸체(108)의 수용부에 안착되는 원형의 인덕터(106)의 코일 양단(108a,108b)을 단자고정구(110)의 그라운드 단자(102c)와 접지선(112c)에 각각 연결하고, 나머지 2가닥의 전원용 전선(112a,112b)을 전원공급용 단자(102a,102b)와 연결하게 된다. 그런 다음 그 케이스 몸체(108) 및 단자고정구(110)를 고정한 상태에서 1차 및 2차 사출성형을 하여 1차 사출성형면(114) 및 2차 사출성형면(116)을 형성하여 최종적인 플러그(100)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 플러그(100)의 단자고정구(110)는 상기 케이스몸체(108)에 고정되지 못한 헐거워진 상태이므로 상기 케이스몸체(108)의 양측면 전체를 금형으로 고정하고 상기 단자고정구(110)의 측면의 가장자리를 잡아준후 케이스몸체(108)와 단자고정구(110) 사이의 공간을 1차로 사출성형하게 된다.
이와같이 1차사출성형 과정을 거친 후, 다시 케이스몸체(108)와 단자고정구(110) 및 1차 사출성형면(114)의 외부면에 2차 사출성형면(116)를 성형하여 최종적인 전원공급용 플러그가 완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단자(102a,102b,102c)는 단자고정구(11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인덕터(106)는 원통형상의 케이스몸체(108)의 내부에 안착시키고 전선(112) 및 코일전선(108a,108b)을 관통시켜 단자(102a,102b,102c)와 연결하는 작업을 하기 때문에 단자고정구(110)가 케이스몸체(108)에 지지되지 못하고 헐거워진 상태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1차 사출을 하여 사출성형면(114)을 형성하게 되면 단자가 제대로 자리잡지 못하게 되고 불량이 증가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다시 2차로 사출성형을 하게 되더라도 이 또한 플러그의 불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2번에 걸친 사출성형과정을 통해 인덕터 코일에 열이 전달되어 그 특성을 변화시켜 정상적인 고주파 차단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내부 전선을 서로 격리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성형하므로 피복이 벗겨진 상태의 전선끼리 서로 얽혀 쇼트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성형에 의해 플러그를 제조시에 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플러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출성형을 1회만 실시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플러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형태의 전기접속용 플러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용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용 플러그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용 플러그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용 플러그를 사출성형하는 금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용 플러그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용 플러그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플러그 102a,102b; 전원공급용 단자
102c; 그라운드 단자 106; 인덕터
110; 단자고정구 118; 케이스몸체
120; 인덕터수용부 130; 전선 수용부
140; 인덕터보호캡
본 발명은 전기기기용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인덕터가 내부에 안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그 수용부의 벽면 일측단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케이스몸체와; 전원공급용 단자가 관통되어 수직하게 나란히 고정되고, 그 일측면에는 상기 케이스몸체의 고정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끼움편이 형성되는 단자고정구와; 상기 케이스몸체와 단자고정구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외부면에 형성되는 사출성형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몸체는 내부에 구획벽을 구비하여 상기 인덕터가 안착되는 인덕터수용부와 전선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전선수용부의 벽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되고, 그 전선수용부의 가장자리 테두리면에 상기 단자고정구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용 돌기가 형성되고, 그 전선수용부의 내부 벽면에 전선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덕터수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덕터를 보호히기 위한 인덕터 보호캡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고정구에는 그라운드단자가 더 고정되되, 그 그라운드 단자의 양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끼움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몸체의 테두리면에는 가장자리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고정구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돌기안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용 플러그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용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용 플러그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용 플러그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용 플러그를 사출성형하는 금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용 플러그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용 플러그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용 플러그(100)는 인덕터수용부(120)와 전선 수용부(130)의 2개의 수용부를 구비하도록 구획벽(122)에 의해 구획되는 원통형의 케이스몸체(118)와, 상기 전선수용부(130)의 가장자리 테두리면에 놓여지며 콘센트에 끼워지는 전원공급용 단자(102a,102b)가 고정되는 단자고정구(110)와, 상기 인덕터수용부(120)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인덕터보호캡(140)으로 이루어지고, 그 조립된 상태의 케이스몸체(118)와 단자고정구(110) 및 인덕터보호캡(140)의 내외부에 사출성형을 하여 플러그(100)를 제조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용 플러그를 구성하는 케이스몸체(118)와, 단자고정구(110) 및 인덕터보호캡(140)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몸체(118)는 내부에 전원공급용 단자(102a,102b)와 전선(112)및 인덕터(106)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몸체(118)는 원통 형상으로써 내부 수용부가 이분하도록 구획벽(122)을 구비하여 인덕터(106)가 안착될 수 있는 인덕터수용부(120)와, 전선과 코일 및 단자가 압착 등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는 전선수용부(1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덕터수용부(120)에 안착되는 원형이며 중앙부가 관통된 구조인 인덕터(106)의 일면은 상기 구획벽(122)의 벽면에 접하도록 놓여지므로, 구획벽(122)의 중앙에는 전선관통공(122a)이 형성되고, 그 전선관통공(122a)의 일측면에는 인덕터(106) 코일(108a,108b)이 관통될 수 있는 코일관통공(122b)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수용부(130)의 벽면(132)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홈(132a,132b)이 형성되어 상기 단자고정구(110)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전선수용부(130)의 벽면(132) 상부의 가장자리 테두리면(132c)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용 돌기(132d)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고정구(110)의 하부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단자고정구(110)가 사출압에 의해서 변형되거나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더욱더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선수용부(130)의 내주면(132e)에는 다수의 격벽(132f)을 형성하여 선간 단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홈(132a)은 그 고정홈(132a)에 지지되는 단자고정구(110)의 그라운드 단자(102c)의 일부가 전선수용부(130) 내부의 전선들과 상호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단면을 "ㄷ"자 형상으로 구비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자고정구(110)는 전원공급용 전선(112a)이 연결되는 전원공급용 단자(102a,102b)와 과전류를 방전하기 위한 그라운드 단자(102c)가 함께 구비되는 구조로서, 콘센트(미도시됨)의 삽입홈(미도시됨)에 끼워지는 전원공급용 단자(102a,102b)는 단자고정구(110)의 몸체에 관통되어 수직하게 나란히 고정되고, 그 몸체의 표면에는 그라운드 단자(102c)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그라운드 단자(102c)는 상기 단자고정구(110)의 몸체에 고정되고, 그 그라운드 단자(102c)의 양단면은 수직으로 절곡되는 끼움편(102d)이 형성되어 상기 전선수용부(130)의 벽면(132)에 형성되는 고정홈(132b)에 끼워짐으로써 단자고정구(11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인덕터보호캡(140)은 전선(112)이 관통되도록 중앙부에 관통공(142)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몸체(118)의 인덕터수용부(120)에 안착되는 인덕터(106)를 후공정인 사출성형시에 반용융상태의 수지가 가지고 있는 고열(高熱)이 코일로 직접 전달되어 코일 표면상의 에나멜층이 벗겨져 인덕터 자체의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덕터수용부(120)의 내주면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전기접속용 플러그는 상기 인덕터(106)가 2가닥의 코일 단부가 노출되는 구조인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4가닥의 코일 단부가 노출되는 구조인 경우에도 단자고정구(110)나 케이스몸체(118), 인덕터보호캡(140) 그리고 사출금형의 변경없이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용 플러그의 제조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선(112)의 일단부에 인덕터보호캡(140)과, 인덕터(106)와, 케이스몸체(118)를 차례대로 끼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코일(108a,108b)을 다수의 코일관통공(122b)에 끼워 케이스몸체(118)의 인덕터수용부(120)에 원형의 인덕터(106)를 구획벽(122)에 맞닿도록 안착시키고 인덕터 보호캡(140)을 인덕터수용부(120)의 내주면에 끼우게 된다. 이때, 상기 인덕터(106)의 코일 양단부(108a,108b)는 전선수용부(130)로 일정길이만큼 빠져나오게 한다.
그리고, 전선수용부(130)로 배출된 전선(112) 중 접지용 전선(112c)은 인덕터(106) 코일의 타단(108b)에 압착한다. 그리고 2가닥의 전원공급용 전선(112a,112b)은 단자고정구(110)의 전원공급용 단자(102a,102b)에 압착하고, 그와동시에 그라운드 단자(102c)는 인덕터(106) 코일의 일단(108a)에 동시에 압착한다. 그리고 압착된 각각의 전선들을 전선수용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단자고정구(1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끼움편(102d)을 전선수용부(130)의 고정홈(132a,132b)에 깊숙히 삽입하면 단자고정구(110)가 케이스몸체(118)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더욱 깊이 끼우게 되면 단자고정구(110)의 측면 하부가 전선수용부(130)의 가장자리 테두리면(132c)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용 돌기(132d)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단자고정구(11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더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케이스몸체(118)의 전선수용부(130)에는 다수의 격벽(132f)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선과 단자 및 코일의 연결부위가 서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같이 결합된 상태의 결합체를 사출성형하기 위해 금형을 구성하는 하형(200)에 구비되는 단자삽입구(202)에 전원공급용 단자(102a,102b)를 끼워 결합체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상형(210) 및 하형(200)에 구비되는 고정핀(210a)(200a)을 이용하여 인덕터수용부(120)의 외주면을 잡아주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형(210) 및 하형(200)이 결합된 상태의 금형에 반용융상태의 수지를 강제로 사출하여 성형면(203)으로 밀어넣게 된다. 그리고 일정시간 냉각시키면 결합체의 내외부에 사출성형면(150)이 형성된 플러그(100)가 완성된다.
이와같이 사출한 후 일정시간 냉각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기용 플러그가 완성된다.
한편, 도 6에 따르면 인덕터보호캡(14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140a)이 형성되고, 인덕터수용부(1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20a)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더욱더 견고하게 조립체를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케이스몸체(118)의 전선수용부(130)의 가장자리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지지용 돌기(132d)를 대신하도록, 내주면을 따라 지지리브(132g)를 테두리면(132c)의 상부까지 형성하여 단자고정구(110)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형성하게 되면, 사출성형시에 인덕터(106) 후미에서 유입되는 반용융상태의 수지의 압력에 의해 상기 단자고정구(110)의 측면에 힘을 가하게 되어도 지지리브(132g)가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상기 단자고정구(110)를 지지하여 단자고정구(110)의 위치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불량률을 더욱더 줄일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따르면 케이스몸체(118)의 전선수용부(130)의 벽면에 형성되는 고정홈(132a,132b)을 넓게 형성하고, 전선수용부(130)의 상부 가장자리에 끼움돌기(133a,133b)를 형성한다. 그리고, 단자고정구(110)는 그 몸체의 양측면에는 절곡되게 연장되는 끼움편(103a,103b)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32a,132b)에 끼워지도록 하고, 그 끼움편(103a,103b)의 측면에 그라운드단자(102c)의 절곡면(103c,103d)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 상기 끼움돌기(133a,133b)가 끼워지는 돌기안착공(102e,102f)이 형성되어 더욱더 안정되고 견고히 케이스몸체(118)에 단자고정구(110)가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덕터가 내부에 안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그 수용부의 벽면 일측단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케이스몸체에, 전원공급용 단자가 관통되어 수직하게 나란히 고정되고, 그 일측면에는 상기 케이스몸체의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끼움편이 형성되는 단자고정구를 결합시킴으로 인해 사출성형을 단 1회만 실시하여 내부 코일 및 케이스몸체 등의 변형을 최대한 줄여 불량률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 방식에 의해 제조되던 플러그의 내부 전선을 다수의 격벽을 이용하여 격리시켜 줌으로 인해 사출성형시에 전선들끼리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인덕터가 내부에 안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그 수용부의 벽면 일측단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케이스몸체와;
    전원공급용 단자가 관통되어 수직하게 나란히 고정되고, 그 일측면에는 상기 케이스몸체의 고정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끼움편이 형성되는 단자고정구와;
    상기 케이스몸체와 단자고정구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외부면에 형성되는 사출성형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용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는 내부에 구획벽을 구비하여 상기 인덕터가 안착되는 인덕터수용부와 전선수용부를 형성하되, 상기 전선수용부의 벽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되고, 그 전선수용부의 가장자리 테두리면에 상기 단자고정구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용 돌기가 형성되고, 그 전선수용부의 내부 벽면에 전선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용 플러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수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덕터를 보호히기 위한 인덕터 보호캡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용 플러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고정구에는 그라운드 단자가 더 고정되되, 그 그라운드 단자의 양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끼움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용 플러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의 테두리면에는 가장자리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고정구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돌기안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용 플러그.
KR10-2004-0046053A 2004-06-21 2004-06-21 전기접속용 플러그 KR100500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053A KR100500882B1 (ko) 2004-06-21 2004-06-21 전기접속용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053A KR100500882B1 (ko) 2004-06-21 2004-06-21 전기접속용 플러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713U Division KR200363231Y1 (ko) 2004-06-15 2004-06-15 전기접속용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342A true KR20040108342A (ko) 2004-12-23
KR100500882B1 KR100500882B1 (ko) 2005-07-18

Family

ID=3738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053A KR100500882B1 (ko) 2004-06-21 2004-06-21 전기접속용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2342A (zh) * 2017-01-09 2017-04-26 广州华凌制冷设备有限公司 插座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2342A (zh) * 2017-01-09 2017-04-26 广州华凌制冷设备有限公司 插座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0882B1 (ko) 200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6320B2 (en) Motor-driven compressor
EP2195536B1 (en) Molded plug for a compressor
EP1139509B1 (en) Terminal connector
CN206379518U (zh) 插头端子组件及插头
CN101783463B (zh) 防止不正确配合的键和利用它的电连接器
CN108895363B (zh) 吊吸两用平板灯
US7891987B2 (en) Electric junction box
KR100500882B1 (ko) 전기접속용 플러그
US5485673A (en) Environmental connector
US2724095A (en) Sub-miniature tube socket
KR200363231Y1 (ko) 전기접속용 플러그
US20080026617A1 (en) Assembly for connecting the stator windings of an electric motor to the respective power supply
US20110009009A1 (en) Plug assembly with improved structure
TWI722513B (zh) 電連接器組合
KR100882868B1 (ko) 전구 소켓
KR102059537B1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US20020182924A1 (en) Connector for electronic appliance
KR101915999B1 (ko) 트래킹 현상 방지 구조를 지닌 전원 플러그
KR20090102268A (ko) 반도체 검사장비 및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접속구조
CN110495842A (zh) 电机、分水器和具有该分水器的洗碗机
CN111371230B (zh) 连接器、电机和衣物处理装置
CN211208789U (zh) 一种智能爬架用插头、插座和插头插座总成
KR101225645B1 (ko)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플러그 및 라인콘센트
KR200336677Y1 (ko) 멀티 콘센트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