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898A -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898A
KR20040107898A KR1020030038565A KR20030038565A KR20040107898A KR 20040107898 A KR20040107898 A KR 20040107898A KR 1020030038565 A KR1020030038565 A KR 1020030038565A KR 20030038565 A KR20030038565 A KR 20030038565A KR 20040107898 A KR20040107898 A KR 20040107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ient
input
unit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8573B1 (ko
Inventor
김성권
Original Assignee
이지케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케어텍(주) filed Critical 이지케어텍(주)
Priority to KR10-2003-0038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573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사들이 환자를 진료하는 중에 작성해야할 각종 서류에 대한 양식, 간호사들이 환자를 간호하는 중에 작성해야할 각종 서류에 대한 양식, 검사실 직원들이 환자를 검사 또는 치료하는 중에 작성해야할 각종 서류에 대한 양식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한편,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두었다가 열람권한이 있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해 주므로써 환자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In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인 네트워크인 인터넷과 랜(LAN) 및 인트라넷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가 발달함에 따라, 각종 정보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도록 하는 기술 및 컨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의료업계에도 일고 있으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병원내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정보 공유는 단순히 사용자의 인적사항이라든지, 치료를 받고자 하는 진료항목, 진료예약 정보, 치료내역 정보, 입원정보 등의 간단한 내용들에 불과하다. 이외에도 의사들이 환자를 진료한 후에 환자에 대해 발행하는 오더(Order), 예를 들어 어떠한 약을 얼만큼 조제해야 하는지, 어떠한 주사를 놓아야 하는지, 어떠한 검사를 실시해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들 정도만이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병원에서 환자를 치료하거나 간호하는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정보는 상기와 같은 정보들이 아니라, 환자의 병증상을 관찰하는 간호사들이 기록한 간호일지, 의사의 치료 소견 및 치료 방법, 검사결과, 치료결과와 같은 각 환자의 병증상에 따른 개별적인 상태 정보들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들은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는 중에 작성한 차트나, 간호사가 환자를 간호하는 중에 작성한 간호일지 또는 검사실 직원들이 환자를 검사하거나 치료한 경우에 작성하는 각종 보고서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각 환자의 병증상에 따른 개별적인 상태 정보들은 그 입수 경로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입력해야할 내용이 각 진료과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통일화하여 전산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정보를 병원내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말해서, 상기와 같은 환자의 병증상에 따른 개별적인 상태 정보들은 네트워크와 컴퓨터 기술이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종이차트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상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상기 종이차트에 기록된 내용을 별도의 직원 또는 시스템을 통해 전산화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환자들의 정보를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정보들이 전산화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환자들은 진료 또는 치료를 받는 과정에 있어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동일한 환자에 대해 의사가 관리하는 종이차트, 간호사가 관리하는 종이차트, 검사실 직원이 관리하는 종이차트가 개별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므로 환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 파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각각의 차트들이 전산화 된다고 하더도 상기 전산화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사들이 환자를 진료하는 중에 작성해야할 각종 서류에 대한 양식, 간호사들이 환자를 간호하는 중에 작성해야할 각종 서류에 대한 양식, 검사실 직원들이 환자를 검사 또는 치료하는 중에 작성해야할 각종 서류에 대한 양식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한편,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두었다가 열람권한이 있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해 주므로써 환자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많은 서류 양식들을 일정한 방식에 따라 표준화하여 간소화 하므로써, 모든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들이 별도의 종이 차트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환자에 대한 완벽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병원 업무의 일실시예 계략도.
도 1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g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중 의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f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중 간호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o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중 검사실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의사용 단말기(20)로부터 의사용 의료정보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당한 사용권한이 있는 자에 의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 마의 메뉴부(120), 주 메뉴부(130), 환자정보 열람부(140), 환자정보 입력부(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의사용 웹화면을 상기 의사용 단말기(20)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진료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상기 환자정보 열람부(140)로부터 상기 진료정보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환자정보 열람부로 상기 진료정보를 출력하는 제 1 단계;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간호사용 단말기(30)로부터 간호사용 의료정보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당한 사용권한이 있는 자에 의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 마의 메뉴부(220), 주 메뉴부(230), 환자 선택부(240), 환자정보 입출력부(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간호사용 웹화면을 상기 간호사용 단말기(30)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간호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로부터 상기 간호정보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로 상기 간호정보를 출력하는 제 2 단계; 및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로부터 검사실용 의료정보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당한 사용권한이 있는 자에 의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표시부, 주 메뉴부, 환자정보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기능 검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검사실용 웹화면,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담당하는 재활의학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검사실용 웹화면, 건강체크를 위한 검사를 담당하는 건강증진검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검사실용 웹화면, 방사선 치료를 담당하는 방사선치료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검사실용 웹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검사 또는 치료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정보를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로 출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검사실용 웹화면은 정당한 사용권한이 있는 간호사 또는 의사가 사용하는 간호사용 단말기(30) 또는 의사용 단말기(20)로도 출력이 가능하며, 상기 환자정보 입력부(150), 환자정보 입출력부(250) 및 상기 제 3 단계의 환자정보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하나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서 공통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가, 상기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로부터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기의 웹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병원 업무의 일실시예 계략도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 업무 특히 환자에 대한 진료를 담당하는 환자진료 업무는, 의사가 환자를 직접 상대하며 진료 하는 의사의 진료 업무, 간호사가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 업무 및 각종 검사실의 검사실 직원이 환자에 대해 검사 또는 치료를 수행하는 검사 업무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의사의 진료 업무, 간호사의 간호 업무 및 검사실 직원에 의한 검사 업무의 수행에 따른 각종 환자 정보를 공유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환자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 한편 병원의 일반 업무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의사들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들에 대한 각종 정보를 열람하고 진료 결과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들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들에 대한 각종 정보를 열람하거나 진료 결과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호사용 단말기(30), 병원내의 각종 검사실 직원들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들의 검사 요청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하거나 검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 병원의 일반 업무를 담당하는 일반직원들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병원 업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열람하거나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반 원무용 단말기(50) 및 상기 단말기들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 1a 에서 언급한 의사에 의한 진료 업무, 간호사에 의한 간호 업무 및 검사실 직원에 의한 검사 업무는 각각 상기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에서 수행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가 병원내에 구축되어 있는 내부 네트워크(인트라넷, Intranet)(이하, 간단히 "인트라넷"이라 함)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져 운영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트라넷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인트라넷이란 전산 환경에 있어서, 더 확장된 네트웍을 구성하기 위해 영구적으로 서로 연결된 네트웍들의 그룹이나 단일 네트웍을 말하는 것으로써, 상기 인트라넷은 한 그룹으로 소유되는 LAN(또는 WAN)이나 공공 네트워크인 인터넷과는 약간 다른 개념이다. 즉, LAN과는 달리 인터넷 기술과 통신용으로 TCP/IP를 사용하고 있으며, 인터넷이 공공 네트워크인 반면, 인트라넷은 보안벽으로 침입자를차단할 수 있는 사설 네트워크라 할 수 있다.
또한, 인트라넷은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지능적인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여러 개의 지역 네트워크들을 단절없이 연결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인터넷보다 훨씬 복잡할 수 있다. 한편, 인트라넷에 접속한 사용자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지만, 인터넷에서 인트라넷으로는 제한되고 통제된 접근만이 허용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인트라넷은 인터넷 표준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LAN과는 다르다. 따라서, 의사, 간호사 또는 검사실 직원 등이 각각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터넷 접속 방법과 마찬가지로 웹브라우져를 구동시켜 접속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인터넷 기반의 웹브라우져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전송받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 내부의 저장매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어떠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갖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11), 제어부(12), 환자정보 관리부(13), 이미지 정보 관리부(15), 일반원무 관리부(15) 및 인증 관리부(16)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인터페이스(11)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 단말기(20, 30, 40, 50) 및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과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인터페이스(11)는상기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와는 인트라넷을 통한 접속을 수행하며,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인터넷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일반 원무용 단말기(50)와는 랜과 같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과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환자정보 관리부(13)는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 일반 원무용 단말기(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부터 입력된 환자 정보의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한편, 의사용 단말기(20)로부터 담당 환자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환자의 의료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이미지정보 관리부(14)는 상기한 각 단말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정보를 관리하는 한편, 의사용 단말기(20)로부터 담당 환자에 대한 이미지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환자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정보란 일반적으로 엑스레이 촬영 사진, 내시경 사진, CT 촬영 사진 등과 같이 환자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촬영된 각종 사진 등을 전자적으로 이미지화한 것을 말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사진 뿐만 아니라 각종 서류 또는 사진 등을 스캔하여 이미지화한 것도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일반원무 관리부(15)는 병원의 일반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직원들이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입력한 원무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한편,상기 일반 원무용 단말기(50) 및 또 다른 단말기들(20, 30, 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부터 정보의 출력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단말기로 원무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인증 관리부(16)는 네트워크(인터넷 또는 인트라넷)를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들어오는 각 사용자들에 대해 인증을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 일반 병원 업무 담당 직원들이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 접속이 허여된 사용자인지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접속을 허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처럼 병원내의 환자 정보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그 보안이 철저히 요구되며 따라서 자체적인 인증만으로는 미흡한 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넷에 접속된 내부 인증 시스템이 아닌 외부의 공인 인증 시스템(60)을 통해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인증 관리부(16)는 사용자로부터 인증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으로 전송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접속 여부를 결정짓게 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0)는, 상기 인터페이스 및 각 부(13,14,15,16)를 제어하는 한편,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정보들을 상기 단말기들로 전송하거나 전송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 및 각 부(12 내지 16)는 하나의 컴퓨터 또는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각종 장애에 대비하기 위하여 보조 시스템을 둘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 각각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므로써, 환자의 정보를 공유하여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환자의 기본적인 정보(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이름, 환자번호, 성별 등)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의 최초 등록은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사용 단말기(20) 또는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를 통해 서도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랜과 같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과 접속되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g 를 참조하여 의사용 단말기(20)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a 내지 도 2g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중 의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2a 는 의사가 의사용 단말기(20)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 각종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초기화면의 일예시도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의사는 웹브라우져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내부의 인증 관리부(16) 또는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을 통해 인증과정을 거쳐야 정상적으로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의사가 정상적인 로그인을 거쳐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한 경우에 활성화 되는 웹브라우져 화면(이하, 간단히 "의사용 웹화면"이라 함)의 일예를 도 2a 에 도시하였으며,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용 웹화면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 마이 메뉴부(120), 주 메뉴부(130), 환자정보 열람부(140) 및 환자정보 입력부(150)의 다섯개 블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먼저,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는 로그인한 의사의 정보(사용자)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의사가 정보의 열람 및 입력을 원하는 환자를 선택한 경우에는 환자의 이름, 병원내에서의 환자 등록번호, 치료과, 지정의, 주치의 등의 기본적인 정보가 표시되며, 이외에도 진단명, 수술명, 수술일, 협진의, 처방약품 등에 대한 정보 중 해당되는 사항들이 출력된다. 상기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은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환자 정보는 병원내의 환자접수를 담당하는 일반직원들에 의해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입력된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방법에 의해 입력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2b 에 대한 설명에서 정리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마의 메뉴부(120)는 각 사용자(의사)가 주 메뉴부(130)에 있는 다수의 메뉴들 중 자신이 즐겨쓰는 메뉴에 대하여 설정된 단축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다. 즉, 상기 마의 메뉴부(120)는 각 의사별로 자신이 원하는 메뉴를 주 메뉴부(130)에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마의 메뉴부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는 주 메뉴부(130)에 구비되어 있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 메뉴부내의 "My menu"란 메뉴 버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주 메뉴부(130)는 의사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메뉴들을 정리한 것으로써 주 메뉴부(130) 내의 메뉴 버튼을 클릭하면 다양한 메뉴가 트리형태로 출력되며, 의사는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다음으로, 환자정보 열람부(140)는,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들의 세부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블록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래초진, 외래경과, 오더, 검사조회, 타과의뢰, 과별서식, Vital Sheet, 간호일지, 입원초진, 입원결과, 수술기록, 퇴원기록 등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여 열람할 수 있다. 한편, 도 2a 에서는 아직 어떠한 정보 열람도 선택하지 않은 상태로써 백지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환자정보 열람부(140)에서 출력되는 정보들 중 외래초진, 외래결과, 입원초진, 입원경과 등의 항목은, 의사가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하여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불러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환자정보 열람부(14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환자정보 입력부(150)는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도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블록으로써, 외래초진, 외래경과, 입원초진, 입원경과, 타과의롸, 수술기록, 퇴원기록 등과 같이 모든 의사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진단서/의견서, 과별서식, 정신과 진단평가와 같이 특수한 경우에 요구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도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통해 의사가 입력한 정보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며, 의사가 의사용 웹화면의 환자정보 열람부(140)의 메뉴 클릭을 통해 해당 정보에 대한 요청을 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의사용 웹화면을 통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환자 정보 입력부(1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정리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2b 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의사가 로그인을 하여 도 2a 와 같은 의사용 웹화면이 활성화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의사용 웹화면의 출력과 동시에 환자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창(160)이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나, 환자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창(이하, 간단히 "환자 선택창"이라 함)(160)은 상기와 같이 의사용 웹화면의 활성화와 동시에 팝업창 형식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으나, 도 2a 에 도시된 마이 메뉴부(120)에 구비된 환자선택 단축아이콘 또는 주 메뉴부(130)의 환자선택 메뉴를 클릭하므로써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의사는 도 2b 에 도시된 환자 선택창(160)에 표시된 병동, 외래, 응급, 수술장, 자문환자, 진료과, 지정의, 주치의 등의 선택 메뉴들을 통해 찾고자 하는 환자를 조회할 수 있다. 그러나, 의사라고 하더라도 모든 환자의 정보를 다 열람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또한, 모든 환자의 정보를 수정 및 입력할 수 있는것은 아니다. 즉, 특별히 관리해야할 필요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환자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의사의 범위를 지정의나 주치의 및 기타 한정된 의사로 한정할 수도 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모든 의사가 각 환자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는 것은 허용하도록 하는 한편 환자의 정보를 수정 및 입력하는 권한에 있어서는 지정의 또는 주치의와 같이 한정된 의사에게만 그 권한을 부여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을 처음 방문하여 진료를 받고자 하는 초진환자의 경우에는 병원내 접수 창고에 있는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기본적인 환자 정보가 입력된 후 환자 정보 관리부(13)에 상기 환자 정보가 저장되어, 의사는 해당 환자에 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즉, 병원을 방문한 환자들에 대한 초기 정보는 병원내 접수를 담당하는 직원이 이용하는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입력되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3)에 저장되며, 이후에는 각 의사 또는 간호사 등이 환자 정보를 열람 및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 선택창(160) 또는 대기 환자 명단을 통해 사용자는 진료할 환자를 선택하게 되며, 진료할 환자가 선택되면, 도 2a 에 도시된 의사용 웹화면의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에는 선택된 환자의 이름, 성별, 나이, 병원내에서의 환자번호, 지정의, 주치의 등의 환자 정보가 출력되게 된다.
또한, 환자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기본적인 환자 정보가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에 출력되며, 이와 동시에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더 입력창(170)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오더 입력창(170)은 의사가 환자에 대한 진료결과에 따라 치료방법, 검사의뢰, 약조재 의뢰, 간호방법, 주사 치료 방법 등의 오더(Order)를 해당 업무부에 지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다.
한편, 오더 입력창(170)은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더를 입력할 수 있는 오더 입력부(171), 입력된 오더의 내용을 열람할 수 있는 오더 열람부(172) 및 오더와 관련하여 선택될 수 있는 메뉴들을 모아놓은 오더 메뉴부(17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오더 메뉴부(173)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오더 입력부(171)를 통해 입력된 오더 정보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다가, 의사의 요청에 따라 오더 열람부(172)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오더 입력창(170)을 통해 입력된 오더는 간호사, 검사실 직원 또는 일반직원이 열람하도로 하므로써, 그 오더 내용에 따른 조치를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더 입력창(17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 정보 출력과 동시에 활성화 되도록 하는 방법외에도 환자 선택창(160)처럼 도 2a 에 도시된 마의 메뉴부(120)에 구비된 환자선택 단축아이콘 또는 주 메뉴부(130)의 환자선택 메뉴를 클릭하므로써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d 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2d 는 의사용 웹화면 중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화면이다.
즉, 도 2d 에 도시된 환자정보 입력부(150)는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는 중에 기록해야할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블록으로써, 종래에는 종이로된 차트에 입력하던 것들을 컴퓨터로 입력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를위해 상기 환자정보 입력부(150)에서는 외래초진시의 진료 결과 입력, 외래경과에 따른 진료 결과 입력, 입원초진의 경우에 필요한 정보 입력, 입원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진료 정보 입력, 타과에 환자를 의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입력, 수술에 따른 환자 정보 입력, 퇴원시에 필요한 정보 입력을 위해 기록선택란(151) 안에 외래초진, 외래경과, 입원초진, 입원경과, 타과의뢰, 수술기록, 퇴원기록 메뉴를 둘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뉴들은 모든 의사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뉴들이며 이 외에도 의사에 따라서는 각종 진단서/의뢰서를 작성해야할 필요가 있으므로 진단서/의뢰서 메뉴를 상기 기록선택란(151)에 포함하였다. 또한, 상기한 메뉴들 외에도 각 진료과별로 요구되는 서식들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서식들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정형화된 양식을 만들 수는 없으므로 과별서식 메뉴를 상기 기록선택란(151)에 포함 하므로써 각 진료과별로 필요한 양식을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과별서식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별도의 정형화된 양식이 출력되는 것은 아니며, 각 진료과별로 특징적인 서식을 직접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양식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신과의 경우 역시 다른 진료과와는 달리 여러가지 다양한 형식의 서식들이 요구되므로 그에 따른 서식을 별도록 관리하기 위해 정신과 진단평가 메뉴를 상기 기록선택란(151)에 포함하였다.
한편, 상기 기록선택란(151)의 각 메뉴를 통해 입력한 환자정보들은 환자정보 열람부(140)의 각 메뉴를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e 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2e 는 상기 기록선택란(151)의메뉴 중에서 외래초진 메뉴를 선택하여 나타나는 환자정보 입력부(150)에 각 항목을 입력한 후 환자정보 열람부(140)에서 그 입력 내용을 열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화면이다.
즉, 도 2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d 에 도시된 환자정보 입력부(150)는 기록선택란(151), 상태 저장부(153) 및 상태 입력부(154)의 세 부분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즉, 환자정보 입력부(150)의 초기화면에는 도 2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선택란(151) 만이 표시되나 상기 기록표시란(151)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도 2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저장부(153) 및 상태 입력부(154)가 표시된다. 이때, 상태 저장부(153)는 상태 입력부(154)를 통해 입력된 환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환자정보 관리부(13)로 저장하도록 하거나 또는 입력된 정보에 대한 서명을 날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2e 에 도시된 환자정보 입력부(150)의 기록선택란(151), 상태 저장부(153)는 기록선택란(151)에서 선택된 메뉴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태로 표현되나 상기 상태 입력부(154)는 기록선택란(151)에서 선택된 메뉴의 종류 또는 선택된 메뉴 내의 또 다른 세부 메뉴에 따라서 그 형태를 달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e 는 기록선택란(151)에서 외래초진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으로써, 외래초진 메뉴의 경우에는 상태 입력부(154)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래초진 중에 필요한 세부 메뉴로써 7가지를 포함하고 있는 외래초진 메뉴부(154a)와 상기 외래초진 메뉴부에 의해 선택된 상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창(154a-1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래초진 메뉴부(154a)는 외래초진을 선택한 상태에서는 그 형태가 변하지 않으며, 다만 외래초진 메뉴부에 의해 선택되어진 메뉴에 따라 입력창(154a-10)의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래초진 메뉴부(154a)는 주증상(CC), 현재 상태(PI), 과거 병력1(PHx1), 과거 병력2(PHx2), 리뷰(ROS), 신체검증(PE) 및 진료계획(A/P)의 7가지 세부 메뉴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2e 에 도시된 상태 입력부(154)에는 상기 7가지 메뉴 중 특히 주증상(CC) 메뉴를 선택한 경우의 주증상 상태 입력부(154a-10)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환자의 주증상에 대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의사는 상태 저장부(153)의 저장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며, 이때 입력된 정보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된다. 이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창(154a-10)에 표시된 각종 정보들은 사용자에 의해 체크되거나 입력을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증상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거나 주증상에 대한 사항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외래초진 메뉴부(154a)의 나머지 6개 메뉴들을 선택한 후 각각 필요한 환자정보를 입력하고 해당 내용을 저장하게 된다.
한편, 도 2e 의 환자정보 열람부(140)에는 외래초진 정보를 열람하는 화면 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2a 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한 환자정보 열람부(140)는 도 2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람 메뉴부(141) 및 열람 표시부(142)로 구분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과정을 통해 입력된 외래초진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열람 메뉴부(141)의외래초진 메뉴(141a)를 선택하게 된다. 즉, 의사가 열람 메뉴부(141)의 외래초진 메뉴(141a)를 선택하게 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부(11)는 환자정보 관리부(13)에서 해당 환자의 외래초진 정보를 불러봐 상기 의사의 의사용 단말기(20)로 전송하게 되며, 열람 표시부(142)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한편, 열람 표시부(142)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정보들로서, 기록선택(151) 메뉴 중 외래초진 메뉴를 선택하여 세부 7가 메뉴 즉, 주증상(CC), 현재 상태(PI), 과거 병력1(PHx1), 과거 병력2(PHx2), 리뷰(ROS), 신체검증(PE) 및 진료계획(A/P) 별로 입력된 정보들이다.
따라서, 도 2e 의 열람 표시부(1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7가지 메뉴별로 입력된 정보들이 표시되어 있다.
즉, 주증상(CC) 메뉴를 통해 입력한 정보(142a-1), PHx-1 메뉴를 통해 입력한 정보(142a-2,142a-3), ROS 메뉴를 통해 입력한 정보(142a-4) 및 나머지 메뉴들에 의해 입력한 정보들이 열람 표시부(142)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f 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2f 는 환자정보 입력부(150)의 기록선택란(151)에서 외래경과 메뉴를 선택하여 정보를 입력한 후 환자정보 열람부(140)의 열람 메뉴부(141)에서 외래경과 메뉴(141b)를 선택한 경우의 일실시예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외래경과란 상기 도 2e 를 통해 초진을 받은 환자가 다시 재진료를 받는 경우에 진료 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항목으로써, 외래경과의 상태 입력부(15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견을 적는 란(154b-1) 및 Assessment & Plan란(154b-2)으로 나뉘어져 있어, 각각 해당 내용을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의사는 환자를 진료하면서 필요한 내용을 상기 상태 입력부(154)의 각 란에 입력을 하게 되며, 원하는 내용을 기록한 후에는, 상기 도 2e 에 대한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상태 저장부(153)에서 저장 단축 아이콘을 클릭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태 저장부(153)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환자정보 열람부(140)에서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즉, 의사가 열람 메뉴부(141)의 외래경과 메뉴(141b)를 선택하게 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부(11)는 환자정보 관리부(13)에서 해당 환자의 외래경과 정보를 불러봐 상기 의사의 의사용 단말기(20)로 전송하게 되며, 열람 표시부(142)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한편, 열람 표시부(142)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정보들로서, 소견란(154b-1) 및 Assessment & Plan 란(154b-2)을 통해 입력된 정보들이다.
즉, 도 2f 의 상태 입력부에 도시된 소견란(154b-1)의 정보(XXXXX YYYYY ZZZZZ) 및 Assessment & Plan 란(154b-2)의 정보(AAAAA BBBBB CCCCCC)가 열람표시부(142)에 표시되어 있다(142b-1).
이때, 상기 열람표시부(142)에는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최종 정보 뿐만 아니라 기존에 기록되었던 정보들도 입력날짜별로 차례로 기록되어 있어 의사는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환자의 과거 및 현재의 의료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3년 5월 27일에 입력한 외래경과정보와 2003년 5월 30일에 입력한 외래경과 정보(142b-1)가 차례대로 출력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록선택란(151)의 나머지 메뉴들, 즉, 입원초진, 입원경과, 타과의뢰, 수술기록, 퇴원기록, 진단서/의뢰서, 과별서식, 정신과 진단평가 메뉴를 선택한 경우의 환자 정보 입력은 상기 도 2e 및 도 2f 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행되며, 각 메뉴별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정보를 열람하는 방법도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음으로, 도 2g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g 는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환자정보 열람부(140) 및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의 또 다른 메뉴 및 기능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사용 웹화면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 마의 메뉴부(120), 주 메뉴부(130), 환자정보 열람부(140) 및 환자정보 입력부(150)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환자정보 열람부(140)는 도 2g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람 메뉴부(141)와 열람 표시부(142)로 나뉘어 질 수 있으며, 열람 메뉴부(141)의 메뉴 중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메뉴들이 도시되어 있다.
즉, 열람 메뉴부(141)에는 상기에서 설명된 메뉴들 외에도, 수진이력(141-1), 기록지 이력(141-2), 오더(141-3), 검사조회(141-4), vital sheet(141-5) 및 간호일지(141-6)에 대한 메뉴들이 더 포함되어 있다.
먼저, 수진이력(141-1)은, 환자가 진료를 받은 이력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상기 수진이력(141-1)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환자가 진료받은 내역을 표시한 팝업창이 뜨게 된다.
다음으로, 기록지 이력(142-2)은,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에 의해 환자정보가 입력된 이력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기록지 이력(142-2)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환자에 대해 상기 기록 선택란(151)의 각 메뉴별로 기록된 이력을 표시한 팝업창이 뜨게 된다.
다음으로, 오더(141-3)는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더 입력창(170)을 통해 입력된 오더의 내용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오더(141-3)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열람 표시부(142)에 입력된 오더 내용이 출력되게 된다.
다음으로, 검사조회(141-4)는 상기 환자에 대해 각종 검사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각 검사실의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를 통해 입력되어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검사결과 내용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검사조회(141-4)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검사결과에 대한 내용이 열람 표시부(142)에 출력되게 된다. 한편, 검사실 직원이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를 이용하여 환자의 검사 또는 치료 결과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4a 내지 도 4o 에 대한 설명에서 정리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vital sheet(141-5) 및 간호일지(141-6)는 간호사용 단말기(30)에 의해 입력된 정보들로서, 예를 들어 환자의 체온, 몸무게, 혈압 등 간호사들이 측정한 내용들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Vital sheet(141-5) 메뉴를 선택하게 되며, 간호사가 일반적으로 환자를 간호하면서 기록한 간호일지에 대한 내용을 열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간호일지(141-6)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즉, 간호사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정보들은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열람 표시부(142) 또는 팝업창으로 출력되게 된다. 한편, 간호사가 간호사용 단말기(30)를 통해 환자의 간호 중에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3a 내지 도 3f 에 대한 설명에서 정리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에는 도 2a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로그인한 의사의 이름 및 입력 날자를 포함한 정보(110-1)가 출력 되며, 로그인한 상기 의사가 도 2b 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환자를 선택한 경우에는 환자의 정보(110-2)와 함께 상기 환자가 속한 진료과 및 지정의와 주치의에 대한 정보(110-3)가 출력된다.
또한, 도 2g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에는 메뉴부(110-4)가 출력되어 있는데, 상기 메뉴부는 환자 또는 진료 의사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세한 정보를 입력 또는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2g 에는 상기 메뉴부(110-4)의 세부 메뉴로써 협진의, 처방약품, 환자정보, Alert 및 Reminder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협진의 메뉴는 상기 환자에 대해 주치의 외의 또 다른 의사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의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메뉴이다.
다음으로, 처방약품 메뉴는 상기 환자에 대한 처방된 약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메뉴이다.
다음으로, 환자정보 메뉴는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를 통해 출력된 환자정보(110-2) 보다 상세한 환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메뉴이다.
마지막으로, Alert 메뉴 및 Reminder 메뉴는 상기 환자의 진료에 있어 중요한 사항에 대해 체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Alert 메뉴의 경우에는 환자가 알러지 반응이 있는 경우에 그것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부작용이 있는 약품에 대한 사용을 금지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입력해 놓을 수도 있고, 임신 여부에 대한 항목을 체크하여 놓을 수도 있다. 즉, 상기 Alert 메뉴는 환자를 진료하는 중에 발생된 환자의 특이 정보를 의사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Reminder 메뉴는 이후의 진료과정에 있어서 의사가 한번쯤은 확인하고 넘어가야 할 사항들에 대해 입력해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Alert 메뉴 및 Reminder 메뉴는 의사가 직접 환자를 진료하는 중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입력된 정보는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팝업창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협진의, 처방약품, 환자정보에 대한 메뉴들 역시 해당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팝업창을 통해 화면 조회 또는 입력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때 의사가 직접 입력하여 환자정보 관리부(13)에 등록할 수도 있고, 기타 단말기(30, 40, 50)에 의해 상기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만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이용하므로써, 의사는 환자들에 대한 진료 정보를 진료 즉시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정보 관리부(13)로 저장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상기 환자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의사는 간호사, 검사실 직원 또는 일반 직원들에게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각종 오더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호사, 검사실 직원 또는 일반 직원이 입력한 각종 환자 정보를 언제든지 검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f 를 참조하여 간호사용 단말기(30)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a 내지 도 3f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중 간호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3a 는 간호사가 간호사용 단말기(30)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 각종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초기화면의 일예시도이다. 즉,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호사용 웹화면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 마이 메뉴부(220), 주 메뉴부(230), 환자 선택부(240) 및 환자정보 입출력부(250)의 다섯개 블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먼저, 사용자 정보 표시부(100)는 로그인한 간호사의 정보(사용자)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접속한 간호사가 정보의 열람 및 입력을 원하는 환자를 선택한 경우에는 환자의 이름, 병원내에서의 환자 등록번호, 치료과, 지정의, 주치의 등의 기본적인 정보가 표시되며, 이외에도 진단명, 수술명, 협진의, 처방약품 등에 대한정보 중 해당되는 사항들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은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이다. 또한,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3b 에 대한 설명에서 정리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마의 메뉴부(220)는 각 사용자(간호사)가 주메뉴부(230)에 있는 다수의 메뉴들 중 자신이 즐겨쓰는 메뉴에 대하여 설정된 단축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다. 즉, 상기 마의 메뉴부(220)는 각 간호사별로 자신이 원하는 메뉴를 주 메뉴부(230)에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마의 메뉴부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는 주 메뉴부(130)에 구비되어 있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 메뉴부 내의 "My menu"란 메뉴 버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의 메뉴부(220)에 표시되어 있는 단축 아이콘 들은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메뉴로써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주 메뉴부(230)는 간호사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메뉴들을 정리한 것으로써 주 메뉴부(230) 내의 메뉴 버튼을 클릭하면 다양한 메뉴가 트리형태로 출력되며, 의사는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다음으로, 환자 선택부(240)는,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정보들 중 정보 검색을 원하는 환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블록으로써,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도 3b 에 대한 설명에서 정리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환자정보 입출력부(250)는 간호사가 환자를 간호하는 도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한 블록으로써, 도 3a 의 단계에서는 아직 환자를 선택하지 않은 상태이며 기본적으로 오더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창이활성화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출력부(250)를 통해 간호사가 입력한 정보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며, 간호사가 간호사용 웹화면의 마의 메뉴부(220) 또는 주 메뉴부(230)의 메뉴 클릭을 통해 해당 정보에 대한 요청을 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간호사용 웹화면을 통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b 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b 는 간호사용 웹화면 중 환자 선택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간호사가 로그인을 하여 도 3a 와 같은 간호사용 웹화면이 활성화되는 경우, 간호사는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환자들 중 정보를 원하는 환자를 상기 환자 선택부(240)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호사가 제1 환자 선택 버튼(240-1)을 클릭하게 되면, 병동, 응급, 외래, 수술장, 투석, 주사처치 등의 메뉴가 활성화 되며, 병동을 담당하고 있는 간호사인 경우에는 병동을 선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인 경우에는 응급을 선택할 수 있으며, 수술실에 있는 간호사인 경우에는 수술장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간호사가 병동을 선택한 경우에는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환자 선택 버튼(240-2)이 표시되며, 상기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병원내의 각 병동이 표시되고, 이때 간호사가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병동을 선택하면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병동의 환자 목록(240-3)이 출력된다. 간호사는 상기 환자들의 목록(240-3) 중에서 정보를 원하는 환자를 선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환자 선택 버튼(240-2)은 제1 환자 선택 버튼(240-1)에서 어떠한 메뉴를 선택하였느냐에 따라서 각기 다른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수술장을 선택한 경우에는 수술실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외래의 경우에는 담당 의사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환자 선택 버튼(240-2)의 형태는 상기 제1 환자 선택 버튼(240-1)에서 선택된 메뉴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간호사라고 하더라도 모든 환자의 정보를 다 열람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또한, 모든 환자의 정보를 수정 및 입력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즉, 특별히 관리해야할 필요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환자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간호사의 범위를 해당 병동 또는 병실의 담당 간호사로 한정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모든 간호사가 각 환자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는 것은 허용하도록 하는 한편 환자의 정보를 수정 및 입력하는 권한에 있어서는 담당 간호사에게만 그 권한을 부여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을 처음 방문하여 진료를 받고자 하는 초진환자의 경우에는 병원내 접수 창고에 있는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기본적인 환자 정보가 입력된 후 환자 정보 관리부(13)에 상기 환자 정보가 저장되어, 간호사는 해당 환자에 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즉, 병원을 방문한 환자들에 대한 초기 정보는 병원내 접수를 담당하는 직원이 이용하는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입력되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3)에 저장되며, 이후에는 각 의사 또는 간호사 등이 환자 정보를 열람 및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c 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c 는 간호사용 웹화면 중 환자를 선택한 경우의 사용자 정보 표시부를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도 3b 의 화면에서 간호사가 정보 검색을 원하는 환자를 선택한 경우의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화면이다.
즉, 환자 선택부(240)의 환자목록(240-3)에서 이용세란 환자의 목록(240-4)을 선택하게 되면, 간호사용 웹화면의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에는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에는 도 3a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로그인한 간호사의 이름 및 접속일자를 포함한 정보(210-2)가 출력 되며, 선택된 환자의 정보(210-1)와 함께 상기 환자가 속한 진료과 및 지정의와 주치의에 대한 정보(210-3)가 출력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에는 메뉴부(210-4)가 출력되어 있는데, 상기 메뉴부(210-4)는 환자 또는 진료 의사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세한 정보를 입력 또는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3c 에는 상기 메뉴부(210-4)의 세부 메뉴로써 협진의, 처방약품, 환자정보, Alert 및 Reminder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세부 메뉴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2g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가 선택되면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를 통해 환자 정보가 출력되며, 마의 메뉴부(220)의 각 메뉴들도 사용가능한 상태로 활성화 된다.
즉, 환자가 선택된 후에는 상기 마의 메뉴부(220) 또는 주 메뉴부(230)의 각종 환자 관리 메뉴들을 통해 환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열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의 메뉴부(220)의 세부 단축 아이콘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정 불가능하게 셋팅되어져 있을 수도 있으며, 사용하는 간호사에 의해 추가 및 삭제가 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오더수행, 라벨&Name Card 출력, 간호일지, 임상관찰, 중환자 간호기록, 간호활동 수행, 초기 간호 정보, 퇴원간호계획, 수술전 간호 상태 확인표, 간호일지 및 간호활동 조회, 환자위치 이동확인, 처치발행, 식이발행 및 조회, 투약라벨 출력, 처치라벨 출력, 수혈라벨 출력, 검체라벨 출력, 검사결과 조회, 퇴원진행 및 프린트 등 20개의 단축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단축아이콘에 따른 메뉴들 중 오더수행, 간호일지 및 임상관찰 메뉴에 따른 간호사용 웹화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도 3d 는 간호사용 웹화면 중 마의 메뉴부에서 오더수행 단축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의 예시도이다.
즉, 마의 메뉴부(220)의 오더수행 단축 아이콘(220a)을 선택하게 되면, 도 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출력부(250)에는 오더내역(250a-5)이 출력되게 된다.
이때, 상기 오더내역(250a-5)은 상기 환자의 담당 의사가 상기 도 2c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입력한 내용으로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던 것이다.
한편, 오더수행 단축 아이콘에 의해 출력된 환자정보 입출력부(250)에는 오더내역(250a-5) 뿐만 아니라 수행시간, 약접수시간 등의 항목들도 표시되어 있으며, 해당 내용을 확인하였는지를 체크할 수 있는 업무확인 버튼(250a-1) 및 익일오더확인 버튼(250a-2)과 전일오더확인 버튼(250-3)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을 통해 내용을 확인한 후 원래의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복귀 버튼(250a-4)도 표시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오더내역 확인을 통해 간호사는 환자에 대해 의사가 지시한 오더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e 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e 는 간호사용 웹화면 중 마의 메뉴부에서 간호일지 단축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의 예시도이다.
즉, 마의 메뉴부(220)의 간호일지 단축 아이콘(220b)을 선택하게 되면, 도 3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출력부(250)에는 날짜별로 환자를 간호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내용들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출력되며, 간호사는 상기 입력창에서 해당 내용(대변봄)(250b-2)을 선택해 클릭하게 되며, 이때 선택된 내용은 간호기록란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입력창은 병동과 공유 폴더로 구분되어 있어서, 각 병동별로 필요한 세부 메뉴를 정리하거나 또는 병원전체에서 사용되는 메뉴로 정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e 에 도시된 입력창은 병동폴더에서 해당 환자가 속해있는 병동을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목록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입력한 내용을 간호기록란에서 확인한 후 저장버튼(250b-1)을클릭하게 되면, 입력된 내용은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는 한편, 간호일지 표시란(250b-3)에 출력된다.
또한, 입력된 내용이 간호문제와 관련된 경우에는 별도의 창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간호활동과 관련된 경우역시 별도의 창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에 입력된 간호일지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창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간호일지 내용의 입력 및 출력을 통해 간호사는 각 날짜별로 환자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과정을 통해 입력된 간호일지는 환자 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는 한편, 상기 도 2g 에서 설명된 간호일지 메뉴(141-6)에 의해 의사가 열람해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f 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f 는 간호사용 웹화면 중 마의 메뉴부에서 임상관찰 단축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의 예시도이다.
즉, 마의 메뉴부(220)의 임상관찰 단축 아이콘(220c)을 선택하게 되면, 도 3f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출력부(250)에는 날짜 및 시간별로 환자의 임상상태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는 입출력창이 출력되며, 간호사는 상기 입출력창을 통해 환자의 각종 임상상태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임상정보라 함은 환자의 몸무게, 체온, 소변량, 섭취량 등과 같은 정보를 말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250)의 입출력 창은 크게 차트 표시란(250c-2)과 수치를 입력할 수 있는 란(250c-3)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수치입력란(250c-3)을 통해 해당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버튼(250c-5)을 누르면 입력된 내용이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는 한편, 상기 입력란(250c-3)을 통해 출력되고, 입력된 내용이 상기 차트 표시란(250c-2)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차트 표시란을 통해 차트 형식으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입력란(250c-3)에 새로운 항목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변항목설정 버튼(250c-4)을 선택하여 추가하고자 하는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된 내용은 상기 입력란(250c-3)에 추가되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입력란(250c-3)의 항목이 다양하여 크게 보고자 하거나, 또는 차트 표시란(250c-2)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차트 감추기 버튼(250c-6)을 클릭할 수 있으며, 이때 차트는 표시되지 않고 입력란만이 환자정보 입출력부(250)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임상정보를 활력징후/신체계측, 섭취량/배설량 및 정신과 환자평가 메뉴(250c-1)로 구분하여 각각의 환자정보를 입력하도록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f 에 도시된 환자정보 입출력부(250)의 입력란(250c-3)에는 상기 메뉴(250c-1) 중 섭취량/배설량 메뉴를 선택한 경우의 항목이 출력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임상관찰 내용의 입력 및 출력을 통해 간호사는 환자의 각종 임상정보를 날짜 및 시간별로 체크하므로써 보다 정확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과정을 통해 입력된 환자의 임상관찰 정보는 환자 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는 한편, 상기 도 2g 에서 설명된 Vital Sheet메뉴(141-5)에 의해 의사가 열람해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된 마의 메뉴부(220)의 메뉴들 외에도 환자의 간호에 필요한 다양한 메뉴들이 있으며, 간호사는 해당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내용을 열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새로운 내용을 입력하므로써 환자의 상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간호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이용하므로써, 간호사는 환자들에 대한 간호 정보를 간호 즉시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정보 관리부(13)로 저장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상기 환자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간호사는 의사, 검사실 직원 또는 일반 직원들에게 환자의 간호에 필요한 각종 오더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 검사실 직원 또는 일반 직원이 입력한 각종 환자 정보를 언제든지 검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o 를 참조하여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30)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각종 검사실의 직원들이 상기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정상적으로 접속한 경우에, 상기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를 통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될 의료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검사 요청을 열람하고 검사 결과를 입력하는 주체는 검사실 직원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 결과를 열람하거나 판독내용을 입력하는 주체는 의사 또는 간호사가 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에 한정되어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의사용 단말기(20) 및 간호사용 단말기(30)를 통해서도 검사 결과를 열람하거나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이용하게 되는 상기 검사실 직원, 의사, 간호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검사요원"이란 명칭을 사용하겠으며,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단말기"란 명칭을 사용하겠다. 다만, 검사실 직원, 의사, 간호사를 구분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 해당 명칭을 사용하도록 하겠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하에서 설명될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의사, 간호사 및 검사실 직원 모두에게 공유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들과 차이점이 있다. 즉, 의사용 단말기(20)에서 실행되는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의사에게 부여된 아이디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로그인하는 사용자에게만 허용되는 것이며, 간호사용 단말기(30)에서 실행되는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간호사에게 부여된 아이디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로그인하는 사용자에게만 허용되는 것이나,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에서 실행되는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그 특성상 검사실 직원 뿐만 아니라 의사 또는 간호사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에서 실행되는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로그인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기본적으로 출력되는 화면 정보를 달리하도록 하므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즉, 의사가 이하에서 설명될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판독화면 또는 검사결과 조회화면을 기본적으로 출력해주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간호사의 경우에는 검사결과 조회화면을 기본적으로 출력해주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검사실 직원의 경우에는 의사가 발급한 오더 내용을 검색할 수 있는 화면을 기본적으로 출력해 주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기본출력 화면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운영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검사는 그 수행 업무에 따라 크게 네가지로 분류할 수가 있다. 즉, 심전도, 근전도, 뇌파검사 등 각 진료과별로 할당된 검사를 담당하는 기능 검사, 물리치료, 작업치료 등을 담당하는 재활의학, 건강체크를 위한 검사를 담당하는 건강증진검사 및 방사선 치료를 담당하는 방사선치료의 네가지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능 검사, 재활의학, 건강증진검사 및 방사선치료의 네가지 업무분야에서 실행될 수 있는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방법에 대해 각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a 내지 도 4o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중 검사실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4a 내지 도 4e 는 검사요원이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 기능검사에 따른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들이다.
즉, 도 4a 는 검사요원이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후 상기 네가지 메뉴 중 기능 검사를 선택한 경우에 각종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초기화면의 일예시도이다.
한편,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요원이 정상적인 로그인을 거쳐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한 경우에 활성화 되는 웹브라우져 화면(이하, 간단히 "검사실용 웹화면"이라 함)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a), 주 메뉴부(330a),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의 세개 블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a)는 로그인한 검사요원의 정보(사용자)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접속한 검사요원이 정보의 열람 및 입력을 원하는 환자를 선택한 경우에는 환자의 이름, 병원내에서의 환자 등록번호, 치료과, 지정의, 주치의 등의 기본적인 정보가 표시되며, 이외에도 진단명, 검사이력, 수진이력 등을 조회할 수 있는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기능 검사실이 세분화 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검사실을 검색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환자 정보는 병원내의 환자접수를 담당하는 일반직원들에 의해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입력된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자 번호" 메뉴를 클릭한 경우에 출력되는 환자선택 창에서 정보의 입력 및 열람을 원하는 환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주 메뉴부(330a)는 검사요원이 이용할 수 있는 메뉴들을 나열해 놓은 것으로써, 상기 메뉴들 중 중요한 메뉴들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4b 내지 도 4e 에 대한 설명에서 정리하기로 한다.
또한,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는 검사요원이 해당 환자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한 블록으로써, 아래의 도 4b 내지 도 4e 에 대한 설명에서 함께 정리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를 통해 검사요원이 입력한 정보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며, 검사요원이 검사실용 웹화면의 주 메뉴부(330a)의 메뉴 클릭을 통해 해당 정보에 대한 요청을 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검사실용 웹화면을 통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입력된 정보가 이미지인 경우에는 이미지 정보 관리부(14)에 상기 이미지를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 는 상기 주 메뉴부(330a)의 메뉴 중 오더조회 메뉴(330a-1)를 선택한 경우의 검사실용 웹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써, 원하는 환자를 선택한 후 상기 오더조회 메뉴(330a-1)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환자에 대하여 의사 또는 간호사가 요청한 오더(Order)가 오더조회 메뉴용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1)를 통해 출력된다. 즉, 도 2c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의사 또는 간호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도중에 요청한 검사항목 내용이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1)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출력되는 오더의 내용들은 의사용 단말기(20) 또는 간호사용 단말기(30)를 통해 입력되어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이다. 즉, 검사요원 특히 실제로 검사를 수행하게 되는 검사실 직원은 상기 환자에 대한 오더를 확인한 후 그에 따라 필요한 검사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c 는 상기 주 메뉴부(330a)의 메뉴 중 접수메뉴(330a-3)를 선택한 경우의 검사실용 웹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접수메뉴(330a-3)를 선택하게 되면 검사가 필요한 환자에 대해 검사항목 및 검사일정 등을 접수받을 수 있는 접수용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3)가 출력되게 되며, 검사요원은 상기 입출력부(350a-3)에 해당 내용을 입력하므로써 환자에 대한 검사실 접수를 완료하게 된다. 즉, 검사요원은 환자에 대한 오더를 열람하고 그에 따른 검사를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에 대한 검사 접수를 입력하거나 열람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d 는 상기 주 메뉴부(330a)의 메뉴 중 시행메뉴(330a-4)를 선택한 경우의 검사실용 웹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시행메뉴(330a-4)를 선택하게 되면 검사가 필요한 환자에 대해 수행해야할 검사의 목록을 확인하고 검사 시행 결과를 체크할 수 있는 시행용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4)가 출력되게 되며, 검사요원은 상기 입출력부(350a-4)에 해당 내용을 입력하므로써 환자에 대한 검사 시행을 완료하게 된다.
즉, 도 4d 에 표시된 시행 메뉴에 따른 화면은 해당 검사과의 검사실로 의뢰된 검사중 접수된 검사를 실시처리하는 화면이다.
즉, 검사요원은 환자에 대한 오더를 열람하고 그에 따른 검사를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에 대한 검사 접수를 입력하거나 열람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메뉴들 외에도 주 메뉴부(330)에는 예약조회, 검사예약, 통계, 검사코드관리, 검사실예약생성, 검사실기준정보 등록 및 검사실등록과 같은 다양한 메뉴들이 있으며, 이러한 메뉴들은 검사실을 찾는 환자들을 관리하거나 다수개의 검사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들이다. 즉, 검사를 시행할 환자들에 대한 정보를 입력 또는 열람하거나, 검사를 실시한 환자의 정보(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입력 또는 열람하거나, 각 검사실별로 필요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들이다.
이때, 검사를 실시한 환자의 정보가 특히 엑스레이사진, CT촬영사진, 초음파 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들을 컴퓨터에서 검색할 수 있는 이미지로 변환하여 이미지 정보 입력 메뉴를 통해 이미지 정보 관리부(14)에 저장하게 된다. 즉, 검사 장치에 의해 바로 컴퓨터에서 검색할 수 있는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검사 장치로부터 해당 이미지를 읽어와 상기 검사실용 웹화면의 이미지 등록 메뉴를 통해 바로 입력을 할 수 있으며, 직접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스캐너와 같은 이미지 처리가 가능한 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검색할 수 있는 이미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과정에 의해 입력된 정보는 이미지 관리부(15)에 저장되며, 의사, 간호사 또는 검사실 직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된다.
마지막으로, 도 4e 는 상기 주 메뉴부(330a)의 메뉴 중 판독메뉴(330a-5)를 선택한 경우의 검사실용 웹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판독메뉴(330a-5)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환자에 대해 실시된 검사의 내용을 열람할 수 있는 판독용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5)가 출력되게 되며, 의사는 상기 입출력부(350a-5)에 출력되는 검사 내용을 확인하므로써 검사결과에 대한 판독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검사 결과에 대한 각종 수치 또는 자료가 상기 입출력부(350a-5)의 우측화면에 출력되게 되며, 의사는 상기 수치 또는 자료들을 검색하면서 각 수치 또는 자료에 따라 해당 체크란에 체크를 하므로써 상기 검사 결과에 대한 판독을 수행하게 된다.
즉, 검사실 직원은 상기와 같은 메뉴들을 통하여 요청된 오더에 따라 환자에 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의사는 실시된 검사 내용을 판독하므로써 환자에 대한 정확한 검사결과를 추출해 낼 수 있고, 그에 따라 환자에 대한 진료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f 내지 도 4i 는 검사요원이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 재활의학에 따른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들이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재활 의학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과 상기에서 설명된 기능 검사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의 차이점은, 상기 기능 검사에서 시행되는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서는 검사결과를 의사가 판독하는 과정이 수반되는 것이나, 재활 의학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물리치료, 작업치료와 같은 치료를 위한 것으로써 판독과 같은 절차가 반드시 수행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먼저, 도 4f 는 검사요원이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후 상기 네가지 메뉴 중 재활 의학을 선택한 경우에 각종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초기화면의 일예시도이다.
한편, 도 4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사실용 웹화면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b), 주 메뉴부(330b), 환자정보 입출력부(350b)의 세개 블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b)는 도 4a 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그 외에도 이하에서 상기 도 4a 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주 메뉴부(330b)는 검사요원이 이용할 수 있는 메뉴들을 나열해 놓은 것이다.
또한, 환자정보 입출력부(350b)는 검사요원이 해당 환자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한 블록이다.
즉, 재활의학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사용되는 주 메뉴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원환자 조회, 신환조회, 접수, 치료사 배정, 치료예정 조회, 치료 및 통계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중 퇴원환자 조회는 재활의학에 등록되어 있는 환자들 중에서 퇴원환자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기 의한 것이며, 신환조회는 새롭게 재활의학 서비스에 등록된 환자를 검색하기 위한 메뉴이다.
또한, 도 4g 에 도시된 접수메뉴(330b-1)는 검사요원이 직접 환자에 대해 재활의학에 접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메뉴로서 도 4g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통해 검사요원이 접수를 받게 된다. 상기 도 3b 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 접수된 환자 정보 및 수가 내용은 환자정보 관리부(13) 또는 일반원무 관리부(16)에 각각 저장되게 된다.
또한, 도 4h 에 도시된 화면은 재활의학이 요구되는 환자들에 대해 각각 치료를 담당할 치료사를 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다. 즉, 재활의학실을 담당하는 선임 또는 담당자는 도 4h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료사 배정 화면에서 치료사배정 메뉴(330b-2)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치료사를 배정할 수 있는 창(350b-2)이 출력되며, 담당자는 환자정보 및 치료 내용에 따라 각 환자별로 치료사를 배정하게 된다. 이때 배정된 치료사의 정보는 환자정보와 함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된다.
또한, 도 4i 에 도시된 화면은 치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들의 목록과 치료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화면이다. 즉, 각 치료사는 치료 메뉴(330b-3)를 선택한 후 자신에게 배정된 환자들의 목록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치료를 수행한 후 그 수행결과를 치료용 환자정보 입출력부(350b-3)에 체크하여 저장하게 된다.
상기 메뉴들 외에도 치료예정 메뉴는 치료가 예정된 환자들에 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메뉴이며, 통계 메뉴는 치료에 따른 각종 정보에 대한 통계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이다.
즉, 상기와 같은 메뉴들을 통하여 검사실 직원은 요청된 치료 오더에 따라 환자에 대한 치료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기록하므로써 의사 또는 간호사는 상기 환자에 대해 정상적으로 치료가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j 내지 도 4m 은 검사요원이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 건강증진검사에 따른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들이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건강증진검사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의사에 의한 환자의 치료와는 상관없이 건강증진검사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들에 대하여 건강증진검사 신청을 받고 그 검진 결과를 입력한다는 점에서, 상기에서 설명된 기능검사 및 재활의학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각종 검사를 수행한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먼저, 도 4j 는 검사요원이 정상적인 로그인을 거쳐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한 경우에 활성화 되는 검사실용 웹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실용 웹화면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c), 주 메뉴부(330c), 환자정보 입출력부(350c)의 세개 블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c)는 도 4a 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그 외에도 이하에서 상기 도 4a 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주 메뉴부(330c)는 검사요원이 이용할 수 있는 메뉴들을 나열해 놓은 것이다. 이때, 도 4j 에 도시된 검사실용 웹화면에서는 도 4a 또는 도 4f 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주메뉴 버튼이 있고 상기 주메뉴 버튼을 클릭하면 전체 메뉴가 트리 형태로 나타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환자정보 입출력부(350c)는 검사요원이 해당 환자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한 블록이다.
즉, 건강증진검사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사용되는 주 메뉴는 건증(건강증진검사의 약어, 이하 동일)예약 관리, 건증검사, 건증판정관리, 마스터관리의 네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상기 메뉴 각각에는 소메뉴가 있을 수 있다.
먼저, 건증예약관리 메뉴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주메뉴부(330c)에서 건증예약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도 4k 와 같은 건증예약 화면이 출력된다. 이때, 도 4k 에 도시된 화면은 건강증진검사 예약을 등록하는 화면으로써 해당 환자를 등록한후 환자가 원하는 패키지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환자가 추가적인 검사를 원하는 경우에는 추가검사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4k 의 건증예약용 환자정보 입출력부(350c)의 왼쪽 상단부에는 패키지 종류 선택란(350c-1)이 있으며, 검사요원은 환자가 원하는 건강증진검사의 패키지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키지란 건강증진검사에 포함된 다수의 검사 목록을 연령별, 성별, 현재의 건강상태별 등으로 구분하여 각 분류별로 건강증진검사 항목을 지정해 놓은 것을 말한다. 이렇게 검사항목을 패키지화하므로써 사용자들은 간편하게 필요한 건강증진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패키지 종류 선택란(350c-1)을 통해 패키지의 종류가 선택되면, 그에 따른 추가오더 및 검사실 목록이 환자정보 입출력부(350c)의 왼쪽 하단부에 출력된다. 즉, 상기 패키지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받을 수 있는 검사항목이 출력될 수 있으며 환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 오더를 발행할 수 있다. 또한, 추가오더를 실시하는 검사실을 선택하거나 지정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건강증진검사를 시행할 날짜를 선택한 후에는 예약등록을 하므로써, 입력된 패키지 및 사용자 정보 등이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주메뉴부(330c)의 오더발행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건강증진검사 외에서 시행하는 검사에 대한 오더를 발행할 수 있게 된다. 즉, 건강증진검사를 신청한 환자들 중 별도의 검사를 추가적으로 원하는 경우에 검사오더를 발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4l 에 도시된 화면은 건강증진검사를 시행하기 위한 화면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출력부(350c)의 좌측에는 건강증진검사를 수진하는 환자의 정보가 출력되게 되며, 그 우측에는 실시될 건강증진검사의 목록이 출력되게 된다. 이때, 검사실 직원은 상기 목록에 따라 검사를 실시하게 되며, 검사 항목에 대한 코멘트 및 검사 결과들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는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게 된다.
또한, 도 4m 에 도시된 화면은 건강증진검사검사를 시행한 후에 그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화면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출력부(350c)의 좌측에는 건강증진검사를 수진한 환자의 정보가 출력되며, 그 우측에는 실시된 건강증진검사의 결과가 출력된다. 이때, 출력되는 검사 결과는 상기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이다.
즉, 상기와 같이 검사요원은 건강증진검사를 받고자 하는 환자들에 대한 예약을 접수받고, 그에 따라 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도 조회할 수 있게 된다.
이 외에도 주 메뉴부(330c)에 도시된 다양한 메뉴들에 의해 검사 요원은 환자들에 대한 건강증진검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입력하며 조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n 및 도 4o 는 검사요원이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 방사선 치료에 따른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들이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방사선치료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된 기능검사 또는 재활의학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능검사 또는 재활의학에서 다루는 검사 또는 치료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방사선 치료를 관장하는 이유로 하여 별도로 구분할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될 방사선치료에서의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은 그 메뉴체계 및 표현방식에서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상기한 기능검사 또는 재활의학에서의 의료정보 방법을 활용하므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4n 은 검사요원이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후 상기 네가지 메뉴 중 방사선치료를 선택한 경우에 각종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초기화면의 일예시도이다.
한편, 도 4n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사실용 웹화면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d), 주 메뉴부(330d), 환자정보 입출력부(350d)의 세개 블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d)는 도 4a 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며, 다만 출력되는 정보의 내용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주 메뉴부(330d)는 검사요원이 이용할 수 있는 메뉴들을 나열해 놓은 것이다. 이때, 도 4n 에 도시된 검사실용 웹화면에서는 도 4a 또는 도 4f 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주메뉴 버튼이 있고 상기 주메뉴 버튼을 클릭하면 전체 메뉴가 트리 형태로 나타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환자정보 입출력부(350d)는 검사요원이 해당 환자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한 블록이다.
한편, 방사선치료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사용되는 주 메뉴는 도 4o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능검사 또는 재활의학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방사선 치료를 받을 환자에 대한 접수 및 예약, 접수상태의 확인, 방사선 치료의 시행 및 결과 입력, 방사선 치료의 결과 판독 및 열람 등의 메뉴가 있을 수 있다.
즉, 검사 요원은 도 4o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 메뉴부(330d)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출력되는 환자정보 입출력부(350d)를 통해 방사선 치료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열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검사실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이용하므로써, 검사실 직원은 환자들에 대한 검사 또는 치료 결과 정보를 검사 또는 치료 즉시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정보 관리부(13)로 저장시킬 수 있으며, 검사실 직원, 의사 또는 간호사는 원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상기 환자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검사실 직원은 의사, 간호사 또는 일반 직원들에게 환자의 검사 또는 치료에 필요한 각종 오더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 간호사 또는 일반 직원이 입력한 각종 환자 정보를 언제든지 검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의 단말기에서 구현되는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의해,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은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의 진료, 간호, 검사 및 치료 결과를 공유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환자에 대한 진료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병원내에서의 각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들이 종이 챠트를 이용하여 환자들에 대한 진료 정보를 입력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해당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해 주므로써,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게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들이 환자들을 진료, 간호, 검사 및 치료하도록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저장하여 두도록 하므로써 상기 정보에 대한 열람 권한이 있는 사용자라면 누구든지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므로 환자에 대한 신속한 정보 획득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이 환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의사용 단말기(20)로부터 의사용 의료정보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당한 사용권한이 있는 자에 의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 마의 메뉴부(120), 주 메뉴부(130), 환자정보 열람부(140), 환자정보 입력부(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의사용 웹화면을 상기 의사용 단말기(20)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진료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상기 환자정보 열람부(140)로부터 상기 진료정보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환자정보 열람부로 상기 진료정보를 출력하는 제 1 단계;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간호사용 단말기(30)로부터 간호사용 의료정보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당한 사용권한이 있는 자에 의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 마의 메뉴부(220), 주 메뉴부(230), 환자 선택부(240), 환자정보 입출력부(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간호사용 웹화면을 상기 간호사용 단말기(30)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간호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로부터 상기 간호정보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로 상기 간호정보를 출력하는 제 2 단계; 및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로부터 검사실용 의료정보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당한 사용권한이 있는 자에 의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표시부, 주 메뉴부, 환자정보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기능 검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검사실용 웹화면,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담당하는 재활의학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검사실용 웹화면, 건강체크를 위한 검사를 담당하는 건강증진검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검사실용 웹화면, 방사선 치료를 담당하는 방사선치료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검사실용 웹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검사 또는 치료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정보를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로 출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검사실용 웹화면은 정당한 사용권한이 있는 간호사 또는 의사가 사용하는 간호사용 단말기(30) 또는 의사용 단말기(20)로도 출력이 가능하며, 상기 환자정보 입력부(150), 환자정보 입출력부(250) 및 상기 제 3 단계의 환자정보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하나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서 공통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가, 상기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로부터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기의 웹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호사용 웹화면 또는 검사실용 웹화면을 통해, 상기 의사용 웹화면에서 의사가 입력한 오더(Order)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간호사용 웹화면 또는 검사실용 웹화면을 통해 입력된 환자 정보를 상기 의사용 웹화면을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정보 열람부(140) 또는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되거나 열람될 수 있는 정보로는, 환자에 대한 외래초진 정보, 외래경과 정보, 입원초진 정보, 입원경과 정보, 타과의뢰 정보, 수술기록 정보, 퇴원기록 정보, 진단서/의뢰서 정보, 과별서식 정보, 정신과 진단평가 정보, 오더 정보, 간호일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25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될 수 있는 정보는, 오더수행, 간호일지, 임상관찰, 중환자 간호기록, 간호활동 수행, 초기 간호 정보, 퇴원간호계획, 수술전 간호 상태 확인표, 간호일지 및 간호활동 조회, 환자위치 이동확인, 처치발행, 식이발행 및 조회, 검사결과 조회, 퇴원진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실용 웹화면은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 중 누가 접속을 시도하였는지에 따라, 초기 화면의 설정을 달리하여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KR10-2003-0038565A 2003-06-14 2003-06-14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KR100538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565A KR100538573B1 (ko) 2003-06-14 2003-06-14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565A KR100538573B1 (ko) 2003-06-14 2003-06-14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898A true KR20040107898A (ko) 2004-12-23
KR100538573B1 KR100538573B1 (ko) 2005-12-22

Family

ID=3738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565A KR100538573B1 (ko) 2003-06-14 2003-06-14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5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479B1 (ko) * 2005-11-02 2009-02-0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453430B1 (ko) * 2012-04-03 2014-10-21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980B1 (ko) 2019-04-19 2020-03-13 이정의 사용자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479B1 (ko) * 2005-11-02 2009-02-0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453430B1 (ko) * 2012-04-03 2014-10-21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8573B1 (ko)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584B1 (ko) 온라인 상에서의 의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
USRE46866E1 (en) System for maintaining patient medical records for participating patients
KR100538577B1 (ko) 의료 정보의 전산 표준화 방법
US8301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integration
US7174335B2 (en)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080249804A1 (en)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Online
US8900141B2 (en) Integrated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s determination
KR100538579B1 (ko) 온라인 상에서의 의무기록서식 관리 방법
JP2004514982A (ja) 疾患管理を医師ワークフローにて統合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3242745A (ja) 診療データ統合管理システム及びこの診療データ統合管理システムを連携した病診連携システム
US201001457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associated with a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KR100538580B1 (ko)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JP5165955B2 (ja) 患者情報管理装置
KR101525576B1 (ko) 주제별로 연계된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Sainfort et al. Human–computer interaction in healthcare
JP2002251459A (ja) 医療支援システム及び医療支援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661045B1 (ja) 医療関係者マッチングシステム
JP2003303240A (ja) セカンドオピニオン支援システム及びセカンドオピニオン支援方法
KR100538573B1 (ko)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JP2002203045A (ja) 医療データ管理システムおよび医療データ管理装置
KR20050008022A (ko)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의사결정지원 방법
KR100538581B1 (ko) 온라인 상에서의 검사실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
JP5348903B2 (ja) 患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患者情報管理方法
KR100538583B1 (ko) 온라인 상에서의 간호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
Lorence et al. Toward a patient–centric medical information model: issues and challenges for US ado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