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807A - 액정표시장치의 보호 커버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 보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807A
KR20040106807A KR1020030037655A KR20030037655A KR20040106807A KR 20040106807 A KR20040106807 A KR 20040106807A KR 1020030037655 A KR1020030037655 A KR 1020030037655A KR 20030037655 A KR20030037655 A KR 20030037655A KR 20040106807 A KR20040106807 A KR 20040106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otective cover
cut
variabl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6807A/ko
Publication of KR20040106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80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의 절개부를 개선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테스트 시 또는 수리 시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정전기로부터 내부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공통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가변저항 및 다수의 구동 부품을 구비하여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는 PCB가 액정표시 패널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PCB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상기 PCB 상면에 씌워진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이 위치하는 부위의 보호커버에 라운딩 구조로 절개된 절개부가 구비된 것이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의 보호 커버{Shield cover of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공통 전압 조절부를 구비하여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액정표시장치의 후면에 장착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를 보호하는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하 "LCD"라 함)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과 함께 액정 재료의 개량 및 미세화소 가공기술의 개발에 의해 화질이 가속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또한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된 하부 기판과, 칼라 필터 어레이가 형성된 상부 기판이 일정 공간을 갖고 합착되고 상기와 같이 합착된 상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 액정표시 패널과, 광원 및 도광판을 구비하여 상기 액정표시 패널에 일정한 빛을 공급하는 백 라이트와, 상기 액정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 함)에 설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액정표시 패널의 배면에 설치된다. 상기 PCB에는 액정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브 직접회로(Drive Integrated Circuit; 이하 "D-IC"라 함)와,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가변 저항기(Variable Resistor) 등이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액정표시 패널과 상기 PCB는 TCP(Tape Carrier Package: 이하 "TCP"라 함)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D-IC들의 제어신호 및 비디오신호가 액정표시 패널에 전달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보호커버가 장착된 액정표시장치의 배면도이다.
상기 액정표시장치(100)의 후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표시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가 설계된 PCB(10)가 액정표시 패널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PCB(10)와 액정표시 패널은 TCP(20, Tape Carrier Package)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PCB(10)에는 상기 액정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직접 IC(1)와, 시스템의 보드 커넥터(도시생략)와 연결시키기 위한 모듈 커넥터(2)와, 상기 액정표시 패널에 공급되는 공통전압(Vcom)을 조절하기 위한 가변저항(3, Variable Resistor)이 장착된 PCB(1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PCB(10)의 상면에는 시스템 하우징(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과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전체적으로 보호커버(30)가 씌워져 있다.
이렇게 보호커버(30)를 씌우는 직접적인 이유는, 일반적으로 전자파(EMI)를 차단시키기 위해 상기 시스템 하우징은 마그네슘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마그네슘 재질의 시스템 하우징과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PCB(10)가 직접 접촉되게 되면, 쇼트(short)등의 회로불량이 생기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막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30)와 PCB(10) 및 액정표시 패널은 케이스(40)에 의해 결합되어 액정표시장치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액저표시장치가 완성되면,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이 떨리지 않고 정확히 디스플레이되는지 테스트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액정표시 패널에 유입되는 공통전압(Vcom)이 잘못 설정되어 화면이 떨리게 된다. 따라서, 테스트 수행자는상기 PCB(10)상에 장착된 가변저항(3)을 조작하여 액정표시 패널로 인가되는 공통전압을 조절하여 정확한 공통전압이 공급되도록 해야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에 있어서는 공통 전압이 잘못 설정되어 화면이 떨리게 되면, 테스트 수행자는 상기 PCB(10)상에 장착된 가변저항(3)을 조작하여 액정표시 패널로 인가되는 공통전압을 조절하여 정확한 공통전압이 공급되도록 해야한다. 그런데,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가변저항을 커버하고 있으므로, 테스트 수행자는 케이스를 분리하여 상기 보호커버를 PCB가 장착된 액정표시 패널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가변저항을 조절해야 하므로 테스트 과정이 번잡스럽고 완성된 제품을 분리해야 하므로 테스트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또한, 사용중인 액정표시장치를 수리할 때, 가변저항을 조작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테스트 시 또는 수리 시, 상기 PCB(10)상에 장착된 가변저항(3)을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커버(30) 중 상기 가변저항(3)이 위치하는 부위에 절개부를 형성함을 특허 출원한 바 있다 (10-2001-0030835).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보호커버가 장착된 액정표시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 단면도이다.
일반적인 보호커버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의 테스트 시 또는 수리 시, 상기 PCB(10)상에 장착된 가변저항(3)을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커버(30) 중 상기 가변저항(3)이 위치하는 부위에 절개부(31)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개폐구조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30)를 상기 가변저항(3)을 따라 'ㄷ'자 형상으로 절개하여, 그 절개부(31)가 상/하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절곡되어 개폐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31)가 용이하게 잡히도록 상기 절개부의 끝단 모서리가 모따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절개부(31)의 모따기 부분을 손으로 잡아당기면, 도 3과 같이 반시계 방향(화살표 참조)으로 이동되어 절개부(31)가 열리게 되고, 이 때 사용자가 가변저항(3)을 조작하여 화면이 떨리지 않도록 공통전압(Vcom)을 조절한다. 그리고 가변저항(3) 조작이 끝나면, 보호커버(30)가 비닐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자체 탄성에 의해 자동적으로 절개부(31)가 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변저항(3)을 덮게 되어, 가변저항(3)과 시스템 하우징(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상호 접촉되는 것을 막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절개부(31)가 "??" 자 형상으로 절개되면 그에 인접한 부품들이 정전기에 데미지(Damage)를 받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호커버에 형성된 절개부 및 그에 인접한 부품들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4와 같이, 절개부(31)가 우측 방향은 절개되고 좌측 방향은 절개되지않는 상태를 갖을 경우, 절개 부분의 방향을 따라 정전기가 좌우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되어 정전기의 진행 방향에 설치된 부품(A, B)가 데미지를 받게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상기 절개부(31)가 상측 방향은 절개되고 하측 방향은 절개되지 않는 상태를 갖을 경우, 절개 부분의 방향을 따라 정전기가 상하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되어 정전기의 진행 방향에 설치된 부품(C, D)가 데미지를 받게된다.
또한, 도 6과 같이, 상기 절개부(31)가 좌측 방향은 절개되고 우측 방향은 절개되지 않는 상태를 갖을 경우, 절개 부분의 방향을 따라 정전기가 좌우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되어 정전기의 진행 방향에 설치된 부품(A, B)가 데미지를 받게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상기 절개부(31)가 하측 방향은 절개되고 상측 방향은 절개되지 않는 상태를 갖을 경우, 절개 부분의 방향을 따라 정전기가 상하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되어 정전기의 진행 방향에 설치된 부품(C, D)가 데미지를 받게된다.
이와 같은 원인을 분석한 결과, 보호 커버(30)의 절개부(31)의 절개 형상에 따라 절개 형상이 직선일 경우 정전기가 진행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의 절개부를 개선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테스트 시 또는 수리 시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정전기로부터 내부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커버 및 이를 장착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보호커버가 장착된 액정표시장치의 배면도.
도 2는 종래의 보호커버가 장착된 액정표시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도 2의 I-I 단면도.
도 4 내지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호커버에 형성된 절개부 및 그에 인접한 부품들을 나타낸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의 절개부와 PCB상에 설치된 부품들을 나타낸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의 절개부와 PCB상에 설치된 부품들을 나타낸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의 절개부와 PCB상에 설치된 부품들을 나타낸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가변저항(VR) 10 : PCB
30 : 보호커버 32, 33: 절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는, 공통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가변저항 및 다수의 구동 부품을 구비하여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는 PCB가 액정표시 패널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PCB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상기 PCB 상면에 씌워진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이 위치하는 부위의 보호커버에 라운딩 구조로 절개된 절개부가 구비됨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변저항을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절개된 홀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변저항을 주변을 따라 일부는 라운딩 구조를 갖도록 절개되고, 나머지 부분을 절개되지 않도록 형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변저항을 주변을 따라 일부는 라운딩 구조를 갖도록 절개되고, 나머지 부분을 절개되지 않으며, 상기 절개된 부분의 끝단은 상기 가변 저항 외측으로 연장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연장된 절개 부분은 라운딩 구조를 갖음에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가 장착된 액정표시장치의 배면은, 종래의 구성과 같이, 상기 액정표시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가 설계된 PCB(10)가 액정표시 패널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PCB(10)와 액정표시 패널은 TCP(20, TapeCarrier Package)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PCB(10)에는 상기 액정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직접 IC(1)와, 시스템의 보드 커넥터(도시생략)와 연결시키기 위한 모듈 커넥터(2)와, 상기 액정표시 패널에 공급되는 공통전압(Vcom)을 조정하기 위한 가변저항(3, VR)이 장착된 PCB(1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PCB(10)의 상면에는 시스템 하우징(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과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전체적으로 보호커버(30)가 씌워져 있고, 상기 보호커버(30)와 PCB(10) 및 액정표시 패널은 케이스(40)에 의해 결합되어 액정표시장치가 완제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에 있어서는, 액정표시장치의 테스트 시 또는 수리 시, 상기 PCB(10)상에 장착된 가변저항(3)을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커버(30) 중 상기 가변저항(3)이 위치하는 부위에 절개부를 형성하되, 직선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원형을 포함한 라운딩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의 절개부와 PCB상에 설치된 부품들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30) 중 상기 가변저항(3)이 위치하는 부위에 홀(hole)(3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홀(32)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원형으로 형성된 홀(32)을 통해 각 구동 부품이 장착된 PCB에 정전기가 유입될 수 있지만, 정전기의 진행 방향이 직선이 아니라 원형으로 진행함으로써 정전기가 진행하는 방향에 위치되는 부품이 데미지를 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홀(32)은 원형이 아니고 타원형이어도 무방하며, 라운딩 구조를 갖으면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의 절개부와 PCB상에 설치된 부품들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가변저항이 형성된 위치에 홀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일부는 절개되고 일부는 절개되지 않도록 절개부(33)를 형성하되 절개된 부분이 직선이 아니고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라운딩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즉, 상측 방향은 절개되고 하측은 절개되지 않도록 절개부(33)를 형성하고 절개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라운딩 구조를 갖도록 한다. 이 밖에도,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절개 부분이 라운딩 구조를 갖고 하측 방향은 절개되고 상측은 절개되지 않도록 하거나, 좌측 방향은 절개되고 우측은 절개되지 않도록 하거나, 우측 방향은 절개되고 좌측은 절개되지 않도록 하여, 절개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의 절개부와 PCB상에 설치된 부품들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같이, 절개 부분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라운딩 구조를 갖고 일부는 절개되고 나머지 일부는 절개되지 않도록 절개부(33)를 형성하되, 절개부분의 끝 지점이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잘 ??기어지지 않도록 절개부의 끝 지점을 외부 방향으로 더 연장하고 연장된 부분도라운딩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도, 절개부분의 방향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같이 여러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가변 저항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변저항이 위치된 부분의 보호커버에 절개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개 부분이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라운딩 구조를 갖도록 하므로 정전기의 진행 방향 또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정전기로부터 PCB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Claims (5)

  1. 공통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가변저항 및 다수의 구동 부품을 구비하여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는 PCB가 액정표시 패널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PCB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상기 PCB 상면에 씌워진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이 위치하는 부위의 보호커버에 라운딩 구조로 절개된 절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변저항을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절개된 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변저항을 주변을 따라 일부는 라운딩 구조를 갖도록 절개되고, 나머지 부분을 절개되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변저항을 주변을 따라 일부는 라운딩 구조를 갖도록 절개되고, 나머지 부분을 절개되지 않으며, 상기 절개된 부분의 끝단은 상기 가변저항 외측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절개 부분은 라운딩 구조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
KR1020030037655A 2003-06-11 2003-06-11 액정표시장치의 보호 커버 KR200401068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655A KR20040106807A (ko) 2003-06-11 2003-06-11 액정표시장치의 보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655A KR20040106807A (ko) 2003-06-11 2003-06-11 액정표시장치의 보호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807A true KR20040106807A (ko) 2004-12-18

Family

ID=3738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655A KR20040106807A (ko) 2003-06-11 2003-06-11 액정표시장치의 보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68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9139A (zh) * 2017-05-04 2019-11-05 株式会社Lg化学 电池组及其制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9139A (zh) * 2017-05-04 2019-11-05 株式会社Lg化学 电池组及其制造方法
CN110419139B (zh) * 2017-05-04 2022-11-08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组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2147C (zh) 液晶显示装置
US7365812B2 (en)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with grounded PCB
US7535547B2 (en) Customized electronic display and methods of customizing the physical size and/or shape thereof
KR100400714B1 (ko)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165316A1 (en) Electro 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6191111A (ja) カッティングパターンが形成され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用原板及びこれをカッティングし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を含む表示装置
TW201447428A (zh) 具有相機窗開口之顯示器
KR100463870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90235303A1 (en) Method for producing curved display
KR20070116365A (ko)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407993B1 (ko) 액정표시장치의 보호커버
US20050083447A1 (en) Grounding apparatus of print circuit boar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KR100399794B1 (ko) 하나의 특정한 설치위치에 제한되지 않는 가변형 저항기를가지며, 기계적 강도가 거의 저하되지 않는 신호 처리회로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40106807A (ko) 액정표시장치의 보호 커버
KR20040017693A (ko) 액정 표시 모듈
US20050243530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60071533A (ko) 표시장치
KR10112352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60034A (ko) 액정 표시장치
KR20070024919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166840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137878B1 (ko) 액정 표시 모듈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0493776B1 (ko) 엘씨디 모듈의 연결구조
KR20080017770A (ko) 구동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982496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326

Effective date: 2011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