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371A -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371A
KR20040106371A KR10-2004-7016997A KR20047016997A KR20040106371A KR 20040106371 A KR20040106371 A KR 20040106371A KR 20047016997 A KR20047016997 A KR 20047016997A KR 20040106371 A KR20040106371 A KR 20040106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unction
video signal
video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3705B1 (ko
Inventor
마크 길모어 미어스
애론 할 딘위디
조셉 웨인 폴러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40106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비디오 장치(100)의 기록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장치(100)의 어떤 디스플레이 기능이 기록 결과물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기록의 품질을 개선한다. 어떤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하나의 특정한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선택한 후 기록 기능을 선택할 때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그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이 원하지 않는 포맷으로, 예를 들어 다른 종횡비 또는 줌 모드로,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비디오 장치(201)의 기록 기능 작동을 감지하고, 그 감지(203)에 응답하여 비디오 장치에서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끄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그 문제점을 극복한다.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processing) 장치에 관련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 기능의 작동에 응답하여 장치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user-activated display) 기능을 자동적으로 무효화 함으로써 미리 지정된 포맷(format)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여 미리 지정된 포맷으로 확실히 상기 기록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기록 작용 동안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를 제어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배경 정보
텔레비젼 세트(set)와 같은 현대의 비디오 장치는 사용자에게 시각 경험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종종 제공한다. 예를 들어, 어떤 비디오 장치는, 화상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변화시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영상의 원하는 부분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비디오크기 조절 기능(늘리기(stretch), 줌(zoom), 정상(normal) 등) 등과 같은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가이드(program guide), 브라우저(browser), 화상-속-화상(picture-in-picture, PIP) 등의 다른 기능들 또한 어떤 비디오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 중에 포함된다. 이러한 다른 기능들은 비디오 영상을 전체 화면의 인셋(inset) 부분 내에 포함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한 기능들은 다방면에서 사용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는 반면에, 비디오 장치의 또 다른 중요 기능, 즉 기록 기능에는 불리한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특히, 비디오 장치의 그러한 디스플레이 기능이 비디오 기록 동안 작동된다면, 기록된 결과는 불리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왜냐하면 기록 장치가 비디오 장치 내에 포함되었건 외부 기록 장치로서 연결되었건 간에, 기록 장치에 제공되는 출력 신호가 기록을 위하여 원하는 포맷이 아닌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에 따른 포맷 형태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디오 장치가 외부 기록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면, 출력 신호는 일반적으로 출력 터미널(terminal)을 통하여 연결되고 제어 라인(line), 예를 들어 IR 블래스터(blaster)를 통하여 제어된다.
어느 경우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의 작동은 원치 않는 기록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영상을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확장하는 비디오 크기 조절 기능은 종횡비가 4:3인 비디오 영상을 종횡비가 16:9인 화면에 맞추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기능이 비디오 기록 동안 켜져 있으면, 기록된 결과에는 비디오 원래 내용의 일부분이 소실(즉, 절단)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예를 들어 줌 모드(mode)가 작동되었을 때에도 일어날 수 있다.
나아가, 프로그램 가이드 또는 브라우저 기능이 비디오 기록 동안 작동되면, 기록 결과에는 아무 비디오 영상도 존재하지 않거나 원래의 비디오 포맷보다 더 작은 크기의 비디오 영상이 존재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PIP 기능이 비디오 기록 동안 작동되면, 기록 결과에는 주요 비디오 영상 및 2차적 비디오 영상 모두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 또한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기록 기능 동안 상기한 문제점을 피하게 하여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비디오 신호가 확실히 기록되도록, 위와 같은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출원은 미국 특허청에 2002년 4월 23일에 출원된 가출원 60/374,890의 우선권 및 모든 권리를 주장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징과 다른 특징 및 잇점과 그 것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은 하기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으로 더욱 명백해 질 것이며 본 발명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단계들을 나타낸 흐름도(flowchart)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화면 메세지(message)를 도시한다.
여기서 개시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어느 면에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예시는 아니다.
본 발명은,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이 켜져 있는지 여부가 기록 기능의 작동을 감지할 때 결정되고, 만일 켜져 있으면 기록에 적합하게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자동적으로 무효화시키는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 및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들을 극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라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법은, 비디오 신호 소스(source)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접수하는 단계; 영상화(imager) 장치 상의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제1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을 접수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한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 중의 하나에 따라 제2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출력 신호를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에 결합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포맷 중 하나의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출력 터미널에 제공하는 단계; 기록 기능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기록 기능의 작동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제1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출력 터미널에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 중에서 이전에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한 하나를 자동적으로 무효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여,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비디오 장치는, 비디오 신호 소스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입력 수단; 영상화 장치 상의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제1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프로세싱 하기 위한 신호 프로세싱 수단; 출력 신호를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프로세싱 수단은 복수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한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 중의 하나에 따라 제2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용되고, 상기 신호 프로세싱 수단은 기록 기능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기록 기능의 작동을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신호 프로세싱 수단은 기록 기능의 작동 감지에 응답하여 제1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한 특정한 하나를 자동적으로 무효화 시킨다.
도면, 특히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비디오 장치(100)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 및 설명을 위하여, 장치(100)는 투사 스크린(projection screen) 텔레비젼으로 구현된 텔레비젼 신호 리시버(receiver)의 예시적인 일부분을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다른 장치에도 응용될 수 있다는 원칙은 당업자들에게 직관적 사실일 것이다.
장치(100)의 구성요소(element)들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으로 논의될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는 오디오/비디오 입력/출력(AV IO) 블럭(block)(101), 전면 오디오/비디오(FAO) 코넥터(connector)(102),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 전면 패널 어셈블리(front panel assembly, FPA)(104), 적외선(IR) 프리앰프(preamp)(105), 오디오 블럭(106), 전력 공급기(107), 서브우퍼(subwoofer) 앰프/전력 공급기(108), 서브우퍼(109), 편향 블럭(110), 수렴 블럭(111), CRT(112, 113, 114), 요우크(yoke)(115, 116, 117)를 포함한다. 도1의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도1에서 데이터 선으로 표시된 형태로 기능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당업자는 직관적으로, 도1에 도시된 많은 구성요소들은 집적회로(IC)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V IO 블럭(10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입력을 접수 및 프로세스하고, 장치(100)의 프로세싱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출력하도록 작동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AV IO 블럭(101)은 비디오 신호의 외부 소스(예를 들어 위성, 지상, 유선, 인터넷 등)로부터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입력을 접수하고, 또한 오디오 블럭(106)으로부터 프로세싱된 오디오 입력을 접수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AV IO 블럭(101)은 위와 같은 입출력 혼성 비디오 신호 및 모든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에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하여 공급하는 반면, 출력을 구성하는 비디오 신호(예를 들어 2H, 2.14H, Y, Pr, Pb 비디오 정보)는 편향 블럭(110)에 제공한다. AV IO 블럭(101)은 또한 기록 장치(도시되지 않음)-프로세싱된 비디오 신호를 AV IO(101)를 통하여 받을 수 있음-를 켜거나 끄는 적외선 출력 신호를 전달하고, 기록을 위하여 기록 장치에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출력을 제공하도록 작동한다. FAV 커넥터(102)는 AV IO(101)블럭에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입력을 제공하도록 작동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는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100)의 일체로 된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장치(100)는 하드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의 대용량(mass) 저장 장치와, 그 대용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읽고 쓰기는 물론 인코딩(encoding) 및 디코딩(decoding) 하기 위하여,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에 결합된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함께 포함한다.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튜닝(tuning), 복조, 신호 디콤프레션(decompression), 메모리 또는 기타의 여러 디지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작동한다.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이 신호 디지털 데이터 프로세싱 블럭으로 개시되었다 할지라도,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 내에서 수행되는 기능들이,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별도의 IC, 중앙 프로세싱,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A/D 변환, D/A 변환, PIP 영상의 생성을 위한 유사 및 주 영상 간의 스위칭(switching)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잘 공지된 IC 블럭 또는 유니트(unit)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잘 공지된 바이다. 줌 및 다양한 종횡비 화상 등의 여러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술 및 방법들은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으며 그러한 기술 및 방법들은 본 발명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어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충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요구되는 비디오 및 데이터 프로세싱 작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RAM 및 ROM(도시되지 않음)을 액세스(access)하고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프로세싱된 비디오 신호를,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편향 및 출력 블럭(110)으로 출력하고,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된 비디오 신호를 직접적으로, 또는 AV IO 블럭(101)을 통하여 기록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 개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또한, 장치(100)의 여러가지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 예를 들어,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비디오 크기 조절 기능,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 브라우저 기능, 화상-속-화상(PIP) 기능, 또는 기타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가능하도록 작동한다. 나아가,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장치(100)의 기록 기능이 작동하고 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이 디스플레이 기능들을 끄도록 작동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바람직한 기록 포맷이 제공된다.
FPA(104)는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은, IR 휴대용 원격 조정기, RF 원격 조정 장치, 무선 키보드(keyboard), 유선 원격 조정 장치, 또는 기타 유사 장치 등의 원격 조정 장치에 대한 사용자-작동에 응답하여 공지된 통신 링크(link)를 통하여 접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신호가 접수될 때, FPA(104)는 해당하는 디코딩된 제어 출력 신호를 프리앰프(105)로 제공한다. 프리앰프(105)는 FPA(104)로부터 접수된 신호를 증폭하고 그 출력을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으로 제공되도록 작동한다.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이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은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 프로세싱 유닛 기능을 통합할 수 있음-은, 디코딩된 제어 신호를 접수하고 그 신호에 응답하여 여러 작동을 수행하고 장치(100)를 제어한다.
오디오 블럭(106)은 여러 오디오 프로세싱 기능을 수행하고, 프로세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작동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오디오 블럭(106)은 중앙 채널 입력 신호를 접수하고, 그것을 오디오 출력 신호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프로세싱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블럭(106)은 오디오 출력 신호를 장치(100)의 외부 및 내부 스피커(speaker) 모두에 제공하기 위하여 작동한다. 부가적으로, 오디오 블럭(106)은 오디오 출력 신호를 AV IO 블럭(106)에 공급하고, 또한 서브우퍼 오디오 신호를 서브 우퍼 앰프/전력 공급기(108)에도 제공한다.
전력 공급기(107)는 입력 교류 전력 신호(AC-IN)를 접수하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의 여러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작동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력 공급기(107)는 그러한 전압 신호를 AV IO 블럭(101),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 오디오 블럭(106), 서브우퍼 앰프/전력 공급기(108), 및 편향 블럭(110)으로 제공한다. 서브우퍼 앰프/전력 공급기(108)는 오디오 블럭(106)으로부터 제공된 서브우퍼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서브우퍼 오디오 신호를 서브우퍼(109)로 제공하도록 작동된다. 서브우퍼 앰프/전력 공급기(108)는 또한 전압 신호를 서브우퍼(109)로 출력하는데, 전력 공급기로서 이용된다. 서브우퍼(109)는 서브우퍼 앰프/전력 공급기(108)로부터 제공된 증폭된 서브우퍼 오디오 신호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도록 작동한다.
편향 및 출력 블럭(110)은 장치(100)의 편향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작동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편향 블럭(110)은 편향 제어 신호를, CRT(112, 113, 114)에 의하여 각각 발생된 고강도 빔의 수평 및 수직 편향을 제어하는 요우크(115, 116, 117)로 출력한다. 편향 블럭(110)은 또한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으로부터 제공된 프로세싱된 비디오 신호 및 기타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CRT(112, 113, 114)로 컬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작동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편향 블럭(110)은 수렴 블럭(111) 및 CRT(112, 113, 114)로 그들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작동한다.
수렴 블럭(111)은 장치(100)의 수렴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작동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렴 블럭(111)은 수렴 제어 신호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우크(115, 116, 117)로 출력 하는데, 그것은 화면(도시되지 않음) 상에서 CRT(112, 113, 114)로부터 방출된 고강도 빔의 촛점을 정확히 맞추기 위하여 포지티브(positive) 수렴 조정을 제어한다.
CRT(112, 113, 114)는 편향 블럭(110)으로부터의 컬러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화면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고강도의 적, 녹, 청의 빔을 발생시키도록 작동한다. 요우크(115, 116, 117)는 편향 블럭(110)으로부터의 편향 제어 신호 및 수렴 블럭(111)으로부터의 수렴 제어 신호에 각각 응답하는 CRT(112, 113, 114)를 제어하기 위하여 작동한다.
도2에서는,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한 예시적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예시 및 설명을 위하여 도2의 단계들은 도1의 장치(100)를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도2의 단계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어떤 방법으로도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201)에서, 장치(100)는 대기 전송, 유선, 위성 등을 통한 비디오 신호소스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접수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비디오 신호를 감지하고, 영상을 발생시키기 위해 편향 및 출력 블럭(110)으로 인가되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접수된 신호를 프로세싱한다. 출력 비디오 신호는, 또한 기록 장치 등과 같은 다른 장치에도 AV IO(101)의 기록 출력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출력 비디오 신호는, 화면 종횡비에 따른 디폴트(default) 포맷일 수 있는 제1 포맷으로 제공된다.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사용자가 선택한 다른 비디오 디스플레이 포맷이 없을 경우에 제1 포맷으로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단계(206)에서, 사용자가 줌 또는 확장 등의 다른 디스플레이 포맷을 선택하였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선택한 경우,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단계(208)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2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형태로 접수된 비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제1 또는 디폴트 포맷으로, 또는 단계(210)에서의 이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형태로 접수된 비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한다.
단계(212)에서, 장치(100)의 기록 기능 작동이 감지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내부 기록 타이머(timer)(도시되지 않음)가 작동되고, 이로써 기록 기능의 시작을 표시할 때 이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 기록 기능은, 예를 들어, 장치(100)로의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기록 시작 명령)에 이어서, 또는 그대신 사용자가 미래의 어느 시점(예를 들어 그 다음날 등)에서 기록 기능이 작동하도록 입력하는 장치(100)의 프로그램 기능에 따라 즉시 작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통하여 장치(100)로 그러한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214)에서, 장치(100)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이 현재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내에서,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은 모든 채널, 선택된 채널군, 또는 각각의 채널들에 대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선택하거나 또는 이전에 선택한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비활성화 시킬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장치(100)의 다양한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단계(214)에서 그것의 현재 설정(setting)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작동된 디스플레이 기능을 표시하는 내부 플래그(flag) 설정을 사용하여) 결정을 내린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러한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이 기록 과정 동안 유지되면 기록의 품질에 불리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비디오 크기 조절 기능,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 브라우저 기능, PIP 기능,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참조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이 장치(100)가 켜져 있을 때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켜질 수(즉, 작동될 수) 있으면 그 디스플레이 기능은 "사용자-작동"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늘리기 기능 및 줌 기능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다른 비디오 크기 조절 기능이 있는데, 이는 장치(100)로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켜질 수 있다. 늘리기 기능은 비디오 영상의 수평적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 줌 기능은 비디오 영상의 수평 및 수직 확장 모두를 가능하게 한다. 늘리기 및 줌 기능은 예를 들어 정상 크기에 대한 미리 설정된 백분율(예를 들어, 33%, 50% 등)로 비디오 영상을 실질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늘리기 및 줌 기능은 종횡비가 4:3인 비디오 영상을 종횡비가 16:9인 화면에 맞추기 위하여 확장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비디오를 비선형 방법으로 늘리는 시네라마(cinerama) 기능 등의 다른 크기 조절 기능-화상의 우측 및 좌측 가장자리에 더 가까운 비디오에 대해서는 영상이 더 늘려지는-, 또는 비디오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다른 크기 조절 기능들도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은 장치(100)로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켜질 수 있고, 프로그램 제목, 프로그램 시작/종료 시간, 프로그램 광고 등의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메뉴(menu)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한다. 프로그램 가이드의 고정된 부분은 예를 들어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 내에 비트맵(bitmap) 영상으로서 저장될 수 있는 반면에, 프로그램 정보 등과 같은 프로그램 가이드의 다른 부분은 장치(100)에 제공된 외부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일단 프로그램 가이드가 디스플레이 되면, 사용자는 예를 들어 특정한 텔레비젼 프로그램으로의 튜닝, 기록 기능의 작동 및 기타 기능 등과 같은 장치(100)의 여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입력을 프로그램 가이드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브라우저 기능은 장치(100)로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켜질 수 있고, 메뉴-사용자가 이를 통하여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network)로 접근할 수 있음-의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브라우저의 고정된 부분도 디지털프로세싱 블럭(103) 내에 비트맵 영상으로서 저장될 수 있는 반면에, 뉴스(news) 정보 및 그와 유사한 것 등의 브라우저의 나머지 부분은 장치(100)에 제공된 외부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일단 브라우저가 디스플레이 되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인터넷 검색을 위하여 브라우저를 통하여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PIP 기능은 장치(100)로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켜질 수 있고 2차 비디오 영상이 주 비디오 영상 상에 겹쳐지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2개의 다른 프로그램을 동시에 볼 수 있게 한다. PIP 기능은 전형적으로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이 이중 튜너(tuner)를 갖도록 요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기서 간략히 개시된 이외의 디스플레이 기능들도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단계(214)에서의 결정이 긍정이면, 장치(100)가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자동적으로 무효화 시키고, 단계(218)에서 프로세스는 제1 또는 디폴트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216)로 넘어간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장치(100)의 기록 기능 작동의 감지에 응답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프로그램되는데, 이 제어 신호는 기록에 적합한 제1 또는 디폴트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의 모든 디스플레이 기능을 자동적으로 끈다.
따라서, 비디오 영상을 수평적 및/또는 수직적으로 확장시키는 하나의 비디오 크기 조절 기능이 선택되면,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그 기능을 자동적으로 무효화 시키고, 따라서 비디오 영상 포맷을 정상 또는 디폴트 세팅으로 재설정한다. 이것은 원래의 비디오 내용물의 일부분이 기록되는 동안 절단되는 것을 예방한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가이드, 브라우저 또는 PIP 기능 등의 다른 디스플레이 기능이 선택되면,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그 기능을 끄고, 이에 따라 예컨대 비디오 영상이 브라우저와 함께 기록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능이 기록 결과물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을 예방한다.
단계(218) 다음에, 프로세스는 기록 기능이 가능하게 된 단계(220)로 나아간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단계(216)에서 어느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이 꺼진 후 기록 기능을 가능하게 하도록 프로그램되고, 출력 신호가 단계(218)의 제1 또는 디폴트 포맷으로 제공된다. 특히,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출력 신호를 AV IO 블럭(101)으로 보냄으로써 단계(220)에서 기록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것은 비디오 카세트 리코더(video casette recorder, VCR), 개인용 비디오 리코더(PVR) 또는 기타 기록 장치 등의 기록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될 수 있다. 디지털 프로세싱 블럭(103)은 또한 AV IO 블럭(101)이 기록 장치를 켜기 위하여 IR 신호를 전송하게 하는 제어 신호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방법에 있어서, 장치(100)의 기록 기능은 기록의 품질에 불리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모든 디스플레이 기능이 꺼진 후에만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채널튠이 왜 일어났으며 "깨끗한" 기록을 만들기 위하여 어떤 작동을 피해야 하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화면 메세지가 기록 기능이 시작되기 바로 전 또는 후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메세지의 일예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메세지(300)는 사용자에게 기록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록의 품질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어떤 디스플레이 기능을 작동하는 것에 대항한 조언을 한다. 물론 화면 메세지(300)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유형의 메세지가 제공될 수 있다.
기록 기능이 완료된 후, 장치(100)는 기록 채널에 튜닝된 데로 유지되고, 모든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은 꺼진 채로 유지된다. 그러나 기록을 재생하는 때에는, 사용자가 위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원하는 데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그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은 기록 기능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다시 켜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록 기능이 작동될 때 장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자동적으로 끔으로써 비디오 장치의 기록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디스플레이 기능의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운 "깨끗한" 기록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거나 없거나, 다양한 장치에 응용 가능하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된 용어, "비디오 장치" 또는 "텔레비젼 신호 리시버(receiver)"는 텔레비젼 세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모니터, 및 세트톱 박스(set-top box) 등의 시스템 또는 장치, VCR, 디지털 버서타일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k, DVD) 플레이어(player), 비디오 게임 박스, PVR,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컴퓨터 또는 기타 장치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시스템 또는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호되는 설계(design)를 가지는 것으로 개시되었으나, 본 발명은상술한 내용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더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본 발명의 일반적 원칙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사용, 또는 적용을 포괄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출원은 본 발명이 속하고, 첨부된 청구항의 한정 사항 내에 포함되는 기술의 공지된 또는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바 내에 포함되는 본 발명으로부터의 그러한 변경을 포괄하고자 한다.

Claims (16)

  1.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의 제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 소스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접수하는 단계;
    영상화 장치 상의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제1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선택 명령을 접수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 중에서 특정한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 중 하나에 따라 제2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출력 신호를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포맷들 중 하나로 상기 출력 신호를 출력 터미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 기능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기능의 작동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포맷으로 상기 출력 신호를 상기 출력 터미널에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 중에서 특정한 하나에 대한 이전 사용자 선택을 자동적으로 무효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은 비디오 크기 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크기 조절 기능은 수평 확장 기능을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크기 조절 기능은 수직 확장 기능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은 상기 비디오 신호를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내에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은 상기 비디오 신호를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내에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2 비디오 신호를 상기 비디오 신호 소스로부터 접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이 화상-속-화상(picture-in-picture) 디스플레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무효화시킨 후 상기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 내에서 상기 기록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 기능의 완료 후 상기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다시 작동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 소스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접수하기 위한 신호 입력 수단;
    영상화 장치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적절한 제1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접수된 비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신호 프로세싱 수단;
    상기 출력 신호를 비디오 신호 기록 장치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coupling) 수단; 및
    사용자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프로세싱 수단은,
    복수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 중에서 특정한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 중의 하나에 따라 제2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적용되며(adapted);
    기록 기능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기능의 작동을 감지하도록 적용되고, 상기 기록 기능 작동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포맷으로 상기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 중에서 특정한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이전 선택을 자동적으로 무효화 하는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은 비디오 크기 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크기 조절 기능은 확장 기능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은 비디오 신호를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내에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은 비디오 신호를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내에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은 제2 비디오 신호를 접수하도록 적용되고, 상기 신호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제2 비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적용되고, 상기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은 화상-속-화상 디스플레이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상기 기록 기능의 감지에 응답하여 무효화 시킨 후에 상기 기록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기록 기능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포맷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작동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다시 가능하게 하는 비디오 신호 프로세싱 장치.
KR1020047016997A 2002-04-23 2003-04-15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63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489002P 2002-04-23 2002-04-23
US60/374,890 2002-04-23
PCT/US2003/011739 WO2003092000A1 (en) 2002-04-23 2003-04-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371A true KR20040106371A (ko) 2004-12-17
KR100963705B1 KR100963705B1 (ko) 2010-06-14

Family

ID=2927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997A KR100963705B1 (ko) 2002-04-23 2003-04-15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45930B2 (ko)
EP (1) EP1497828B1 (ko)
JP (2) JP4494961B2 (ko)
KR (1) KR100963705B1 (ko)
CN (1) CN1306800C (ko)
AU (1) AU2003223642A1 (ko)
ES (1) ES2366904T3 (ko)
MX (1) MXPA04010497A (ko)
MY (1) MY135276A (ko)
WO (1) WO2003092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0858A1 (en) * 2004-02-04 2005-08-18 Halgas Joseph F.Jr. Customized video processing modes for HD-capable set-top decoders
JP2006191171A (ja) * 2004-12-28 2006-07-20 Canon Inc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6112808A1 (en) * 2005-03-15 2006-10-26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Customized video processing modes for hd-capable set-top decoders
US8452165B2 (en) * 2005-08-09 2013-05-28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8381512B2 (en) * 2008-05-02 2013-0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ssive ammonia-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for NOx control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0140168522A1 (en) * 2012-12-14 2014-06-19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er, and code processing method
JP7277156B2 (ja) * 2019-01-30 2023-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5851B2 (ja) * 1987-04-16 1996-10-23 ソニー株式会社 Vtr一体型のテレビ受像機
JPS63288444A (ja) * 1987-05-20 1988-11-25 Sanyo Electric Co Ltd ビデオテ−プレコ−ダ
JP2915676B2 (ja) * 1992-02-28 1999-07-05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H09247624A (ja) * 1996-03-12 1997-09-19 Sony Corp テレビジョン信号の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JP3780029B2 (ja) 1996-04-10 2006-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リントシステム
JPH10224707A (ja) * 1997-02-06 1998-08-21 Toshiba Corp ディジタル放送録画設定装置
JPH1173264A (ja) 1997-08-29 1999-03-1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メニュー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JP3884874B2 (ja) * 1998-02-04 2007-0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受信装置
KR100327377B1 (ko) * 2000-03-06 2002-03-06 구자홍 디지털 영상 수신기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디지털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US7636931B2 (en) * 2001-08-17 2009-12-22 Igt Interactive television devices and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66904T3 (es) 2011-10-26
MY135276A (en) 2008-03-31
JP2010081639A (ja) 2010-04-08
US7945930B2 (en) 2011-05-17
EP1497828B1 (en) 2011-06-08
AU2003223642A1 (en) 2003-11-10
US20050169601A1 (en) 2005-08-04
CN1306800C (zh) 2007-03-21
EP1497828A1 (en) 2005-01-19
MXPA04010497A (es) 2004-12-13
CN1659650A (zh) 2005-08-24
JP4494961B2 (ja) 2010-06-30
KR100963705B1 (ko) 2010-06-14
JP2005524270A (ja) 2005-08-11
WO2003092000A1 (en) 200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81639A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EP3062512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37250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display on-screen display user-guide information about status of external device
JPWO2011037147A1 (ja) 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20100225807A1 (en) Closed-Captioning System and Method
KR100954072B1 (ko) 스크린 에이징을 방지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를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5042634B2 (ja) チャネル検索方法、チャネル検索装置、ビデオ信号処理装置
US20020063730A1 (en) Method for displaying manual of video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for
KR2010006259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1023344A (ja) 放送受信装置
US20080284913A1 (en) Audio-visual system, reproduc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JP6947356B2 (ja) 音響制御装置、及び、音響制御方法
JP4605422B2 (ja) 表示装置
JP2006180121A (ja) ディスク装置内蔵型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その視聴制限レベル設定方法
WO200507659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matic format switching according to input aspect ratio
KR100731357B1 (ko) 화질 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KR100218100B1 (ko) 시스템 프로그램의 다운 로딩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72681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동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282062B1 (ko) 문자방송의 녹화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의 운영방법
KR100806865B1 (ko) 해상도 표시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및 해상도 표시 방법
KR19980040699A (ko) 다수의 외부신호 입력단자를 가진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외부신호 입력시 자동 선택장치 및 그 방법
JP2010171923A (ja) 映像再生装置
JP2010124417A (ja)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JP2008054195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19980029613A (ko) 텔레비젼 수상기로 문자방송 시청시 문자정보 자동 인식에 의한 문자크기 설정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