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4609A -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메뉴로부터 가능화되는 동조기및 위성 또는 케이블 수신기 양자 모두를 위한 직접 채널진입 - Google Patents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메뉴로부터 가능화되는 동조기및 위성 또는 케이블 수신기 양자 모두를 위한 직접 채널진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4609A
KR20040104609A KR10-2004-7017081A KR20047017081A KR20040104609A KR 20040104609 A KR20040104609 A KR 20040104609A KR 20047017081 A KR20047017081 A KR 20047017081A KR 20040104609 A KR20040104609 A KR 20040104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device
television
television channel
signal receiver
televis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0870B1 (ko
Inventor
리볼드발레리사크레즈
스튜어트앤소니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4010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특히,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동조기 및 하나 이상의 보조 텔레비전 신호 동조기들에 관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채널 번호 및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번호가 속하는 텔레비전 신호 동조 디바이스 또는 그 동조기를 나타내는(52, 54) 시각적 피드백(50)을 텔레비전 채널 변경을 위한 직접 진입 디지트의 수취에 응답하여 제공한다. 다양한 보조 텔레비전 신호 동조기들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위성 수신기(30) 및 케이블 셋톱 박스(24) 같은 별개의 구성 요소들에 관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접 진입 텔레비전 채널의 수취 시, 텔레비전 채널 동조는 디폴트에 의해, 이전(즉, 최종) 동조된 채널과 연계된 동조기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디폴트 동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할 수 있다. 시각적 피드백(50)은 정보 배너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정보 배너는 별개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채널 변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별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서의 토글링(56)을 허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메뉴로부터 가능화되는 동조기 및 위성 또는 케이블 수신기 양자 모두를 위한 직접 채널 진입{Direct channel entry for tuner and satellite or cable receiver both enabled from a menu offering visual feedback}
본 미국 비가특허 출원은, 이익 및/또는 우선권, 양자 모두 공히 양도된 발명의 명칭이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메뉴로부터 가능화되는 동조기 및 위성 또는 케이블 수신기 양자 모두를 위한 직접 채널 진입"인, 2002년 4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0/374,954 호에 대한 이익 및/또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일부 경우들 및/또는 장소들에서, 안테나(즉, 무선 전송),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 위성 시스템 등,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수신된 텔레비전 채널들이 동일한 채널 번호들을 할당받을(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안테나로부터의 텔레비전 채널 및 위성 수신기로부터의 텔레비전 채널은 양자 모두 번호 "11"에 응답하는 채널들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예로서, 텔레비전 신호 수신 디바이스 또는 수신기(예로서, 개인용 비디오 리코더 또는 PVR)는 일반적으로 다른 구성 요소들(component)에 부가하여 안테나와 같은 텔레비전 신호 입력으로의 연결을 위한 내부 동조기를 가진다. 내부 동조기는, 사용자가 PVR을 특정 텔레비전 채널(즉, "동조기 채널")로 동조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PVR은 케이블 박스, 위성 수신기 등(즉, "보조 디바이스")으로부터의 텔레비전 채널의 통과(pass-through)를 허용하는 텔레비전 신호 입력을 포함한다. 보조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보조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텔레비전 신호에 관하여 특정 텔레비전 채널(즉, 위성 박스의 경우에는 "위성 채널, 케이블 박스의 경우에는 "케이블 채널" 등)로 동조하는 것을 허용한다. 사용자가 채널 "11"(즉, 동조 채널)로 동조된 내부 PVR 동조기를 가지고, 그 후, 다시 채널 "11"로 진입하면, PVR은 그 내부 동조기 상의 채널 "11"로 동조한다. 사용자가 이미 보조 디바이스 채널 상에 있고, "11"을 입력하면, 디바이스는 보조 디바이스에 그 채널 "11"로의 동조의 명령(command)을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그녀가 이미 보조 디바이스 채널(즉, 위성 채널 또는 케이블 채널) 상에 있는지 또는 동조기 채널 상에 있는지 여부를 기억하기가 곤란하다. 부가적으로, 동조기 채널들로부터 보조 채널들로 진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동조기 채널 소스(예로서, VCR)로부터 보조 채널 디바이스로 진행하기 위해, 원격 토글링 비디오 입력들 상의 버튼을 눌러야만 한다.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채널에 도달할 때까지, 채널 변경 버튼을 수회 눌러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로부터 명백하게, 종래 기술 방법들은 혼동되거나 및/또는 시간 소모적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상황들은 사용자에게 문제가될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신호 수신기 또는 수신 시스템에 대해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직접 채널 진입을 수행할 때, 텔레비전 신호 소스를 쉽게 식별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는 것은, 상술한 바로부터 명백하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신호 처리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텔레비전 채널 동조를 위한 온스크린(on-screen) 시각적 피드백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를 채용하는 예시적 텔레비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예시적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블록도.
도 3A는 동조기 채널 또는 위성 채널에 관하여, 텔레비전 채널 입력을 특정하게 예시하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 정보 배너 형태의 시각적 피드백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동조기 채널 또는 케이블 채널에 관하여, 텔레비전 채널 입력을 특정하게 예시하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 정보 배너 형태(form)의 시각적 피드백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예시적 동작 방식(manner)의 플로우차트.
대응 참조 문자들은 다수의 도면들 전체에 걸쳐 대응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 디스플레이
26 : 케이블 TV 공급자 20 : 동조기
24 : 케이블 박스 30 : 위성 수신기
34 : 처리 회로/로직 38 : 메모리
36 : 프로그램 명령어들 42 : 기록 매체
40 : OSD 생성기 14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 디스플레이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는, 텔레비전 채널 변경을 위한 직접 진입 디지트(digit)의 수취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채널 번호 및 채널이 속하는 텔레비전 신호 동조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일 형태에서, 텔레비전 채널 변경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a) 텔레비전 채널의 제 1 디지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 및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현 동조 디바이스를 직접 보여주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들이 채용되어(incorporated) 있는, 전체적으로 10으로 표기된(designated), 예시적 텔레비전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텔레비전 시스템(10)은 다양한 텔레비전 신호 소스들로부터 텔레비전 신호들을 수신 및 처리하도록 적용, 구성 및/또는 동작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TSR)(12)를 포함한다.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 및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 간에 화살표로 표현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스크린 등(15)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에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는, 비디오 신호들,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들 및/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들을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로부터 수신하고, 디스플레이(15) 상에 보이기 위해, 디스플레이(15)에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적용, 구성 및/또는 동작하는 소정 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4)가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와 별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디스플레이(14)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특정 형태에 따라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와 통합될 수 있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안테나(18)에 연결될 수 있는(그리고, 연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무선 텔레비전 신호 입력(16)을 포함한다. 안테나(18)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며, 소정의 형태일 수 있다. 아날로그 형태에서, 안테나(18)는 VHF 및 UHF 텔레비전 신호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텔레비전 신호들의 경우에,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들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텔레비전 채널들을 포함한다. 각 텔레비전 채널은 그 비디오 및 오디오 구성 요소들 또는 프로그래밍을 수반한다. 텔레비전 채널은 부가적으로, 보조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다양한 유형들을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 구성 요소를 추가로 수반할 수 있다. 수신된 무선 텔레비전 신호로부터 다양한 텔레비전 채널들을 분리하기 위해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동조기(20)를 포함한다. 동조기(20)는 특정 무선 텔레비전 채널(즉, "동조기 채널")로 동조하도록 동작, 구성 및/또는 적용된다. 동조기(20)는 따라서, 아날로그 동조기, 디지털 동조기일 수 있거나, 또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동조 기능들 양자 모두를 채용할 수 있다.
무선 텔레비전 신호 입력(16)에 부가하여,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케이블 텔레비전(CATV) 신호 입력(22)을 포함한다. CATV 입력(22)은 CATV 공급자 또는 헤드엔드(26)에 연결된 케이블 박스(24)에 연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박스(24)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들 중 어느 한쪽이거나, 아날로그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들의 조합일 수 있는 케이블 텔레비전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구성 및/또는 적용된다. 케이블 텔레비전 신호들의 경우에,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들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텔레비전 채널들을 포함한다. 각 텔레비전 채널은 그 비디오 및 오디오 구성 요소들 또는 프로그래밍을 포함한다. 텔레비전 채널은 부가적으로, 보조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다양한 유형들을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 구성 요소를 추가로 수반할 수 있다. 수신된 케이블 텔레비전 신호로부터 다양한 텔레비전 채널들을 분리하기 위해, 케이블 박스(24)는 동조기(25)를 포함한다. 동조기(25)는 특정 케이블 텔레비전 채널(즉, "케이블 채널")로 동조하도록 동작, 구성 및/또는 적용된다. 따라서, 동조기(25)는 아날로그 동조기, 디지털 동조기일 수 있거나, 아날로그 및 디지털 동조 기능들 양자 모두를 채용할 수 있다.
무선 텔레비전 신호 입력(16) 및 CATV 입력(22)에 부가하여,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위성 텔레비전 신호 입력(28)을 포함한다. 위성 입력(28)은 위성 수신 안테나(즉, 접시 안테나(dish))(32)에 연결된 위성 수신기 또는 박스(30)에 연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위성 수신기(30)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들이거나, 아날로그 및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들의 조합일 수 있는 위성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구성 및/또는 적용되지만, 일반적으로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들이다. 위성 텔레비전 신호들의 경우에,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들은 복수의 텔레비전 채널들을 포함한다. 각 텔레비전 채널은 그 비디오 및 오디오 구성 요소들 또는 프로그래밍을 수반한다. 텔레비전 채널은 보조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다양한 유형들을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 구성 요소를 추가로 수반할 수 있다. 수신된 위성 텔레비전 신호(들)로부터 다양한 텔레비전 채널들을 분리하기 위해서, 위성 수신기(30)는 동조기(31)를 포함한다. 동조기(31)는 특정 케이블 텔레비전 채널(즉, "케이블 채널")로 동조하도록 동작, 구성 및/또는 적용된다. 동조기(31)는 따라서, 아날로그 동조기, 디지털 동조기이거나, 아날로그 및 디지털 동조 기능들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 케이블 박스(24) 및 위성 수신기(30)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각 디바이스에 대해, 전형적인 방식 또는 방식들로 동작하기 위해 본 기술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다른 또는 부가적인 구성 요소들(미도시)을 포함한다.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에 관하여, 다양한 다른 구성 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와 연계하여 설명된다.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따라서, 특정 유선 텔레비전 채널로 동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또한 "케이블 tv" 동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신호 입력을 경유하여 케이블 및 유선 텔레비전 채널을 조합하거나, 케이블 및 유선 텔레비전 채널로 동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입력(16) 및 CATV 입력(22)은 조합될 수 있다.
케이블 박스(24)로부터의 케이블 채널들 및 위성 채널들(위성 수신기(30)로부터)의 경우에,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이들 텔레비전 채널들의 통로(pass-through)를 제공한다. 특히, 위성 수신기(30)에 의해 동조된 텔레비전 채널(즉, "위성 동조기" 상의 "위성 채널") 및 케이블박스(24)에 의해 동조된 텔레비전 채널(즉, "케이블 동조기" 상의 "케이블 채널")이 디스플레이(14) 또는 그에 연결된 소정의 다른 텔레비전 신호 수신 디바이스/구성 요소(전체적으로, "보조 동조기" 상의 "보조 채널들")에 제공된다. 물론,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그 자체의 목적들을 위하여 수신된 위성 채널 또는 케이블 채널을 활용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텔레비전 신호 리코더들(예로서, PVR, 하드 디스크 리코더들 등), 텔레비전, 셋톱 박스, DVD/PVR들 같은 조합 디바이스들 등 같은 텔레비전 신호들을 수신 및 처리하는 디바이스들의 많은 상이한 유형들을 표현하며, 따라서, 이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위성 텔레비전 신호들에 부가하여, 무선 텔레비전 신호들, 케이블 텔레비전 신호들, 또는 무선 및 케이블 텔레비전 신호들 양자 모두를 수용하는 위성 수신기일 수도 있다. 이 방식으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또한 케이블 박스일 수도 있다.
도 1에 관하여,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3개 텔레비전 신호 입력(즉, 무선 입력(16), CATV 입력(22) 및 위성 입력(28))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22)는 보다 많거나 적은 텔레비전 신호 입력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보다 적은 텔레비전 신호 입력들의 경우에, 둘 이상이존재한다. 또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는 다른 소스들로부터 텔레비전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그런 다른 것 또는 보조 입력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런 다른 것 또는 보조 텔레비전 신호 입력들은 AV-1, AV-2, S-비디오, Aux-1 등으로 알려져 있다.
모든 경우에, 후술될 바와 같이,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가 직접 진입 채널 변경 요청에 응답하여 동조기 채널 변경, 위성 채널 변경 또는 케이블 채널 변경 중 어떠한 것을 수행하는지 여부의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동작, 구성 및/또는 적용된다. 특히, 텔레비전 채널 변경을 위한 제 1 또는 개시 디지트의 수취에 응답하여,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시각적 피드백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생성하거나 생성하게 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에 생성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일 형태에서, 시각적 피드백은 정보 배너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정보 배너는 입력되는(또는 입력된) 채널 번호, 채널 변경 요청이 처리되는 동조 디바이스(즉, 어느 동조 디바이스가 채널 번호를 동조하는지), 및 동조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기능(예로서, 위성으로부터 케이블로)을 보여준다. 텔레비전 채널 변경이 일반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 같은 진입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사용자에 의해 개시되는 반면에, 텔레비전 채널 변경은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최종 동조된 채널의 동조 디바이스를 디폴트로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예시적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조합 DVD/PVR로서 도 2에 구현되어 있다.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들의 다른 유형들이, 특히, 도 2의DVD/PVR(12)에 관하여, 여기에 기술된 원리들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DVD/PVR(12)은 신호 처리 회로/로직, 처리기, 처리 수단 등(34)을 추가로 포함한다. 처리 회로/로직이 단일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처리 회로/로직(34)은 부가적인 회로/로직을 갖거나 갖지 않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IC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처리 회로/로직(34)은 음성 재생을 위한 오디오 정보, 디스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정보를 획득하고, PSIP/보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적용, 구성 및/또는 동작한다. 신호 처리 회로/로직(34)은 DVD/PVR(12)의 구성 요소들을 전체적으로 제어, 규제 및/또는 동작하고, 본 기술에 일반적인 및/또는 알려진 바와 같은 다른 DVD/PVR 신호 처리 테스트들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적용, 구성 및/또는 동작한다. 이 때문에, 신호 처리 회로/로직(34)은 메모리(38) 내에 저장된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 명령어들(36)을 활용하도록 적용, 구성 및/또는 동작한다. 프로그램 명령어들(36)은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DVD/PVR(12)은, 처리 회로/로직(34) 및/또는 메모리(38)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36)의 제어 하에, 다양한 텍스트 메시지들, 메뉴들, 목록들, 그래픽들, 표현들 등, 특히, 채널 변경을 위한 시각적 피드백(예로서, 정보 배너)을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가 도시 또는 보여주는 것을 허용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적용, 구성 및/또는 동작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생성기(40)를 포함한다. 이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들은 본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 실시간으로 변하거나, 정적일 수 있다.
또한, DVD/PVR(12)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및/또는 수신기(44)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수신기(44)는 직접 진입 채널 변경(즉, 디지트 단위), 선택(selection), 선정(choice), 토글 버튼(toggle button), 양태(aspect), 특징(feature) 및/또는 특징에 대한 선호도(preference), 기능 및/또는 DVD/PVR(12)의 설정에 관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 또는 수용하도록 적용, 구성 및/또는 동작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수신기(44)는 원격 제어 장치(46)이며, IR 송신기/수신기 같은 원격 제어 장치와 연계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수신기(44)는 사용자 입력을 허용하는 버튼들 등의 패널일 수 있다. 직접 디지트 진입 형태의 채널 변경의 사용자 입력은 DVD/PVR(12)에 의해 수용되고 작용된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수신기(44)는 또한, 온스크린 메뉴 선정들 및/또는 옵션들로서 제공된 기능 및/또는 특징 선정들에 응답하는 것 같은 다른 다양한 목적들을 위한 명령들을 수신한다. 이는 채널을 동조하기 위한 현재의 동조기의 변경을 포함한다.
DVD/PVR(12)은 또한 하드 드라이브, 테이프, 다른 디지털 저장 수단 등 같은 PVR 기능을 위한 기록 매체(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VD/PVR(12)은 DVD를 수용 및 재생하기 위해 본 기술에 알려진 바와 같은 DVD 구성 요소들(48)을 포함한다. 또한, DVD/PVR(12)은 여기에 특정하게 도시 및/또는 설명되지 않은, DVD/PVR들에 일반적인 다른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또한, DVD/PVR(12)은 현용 DVD/PVR들의 전형적인 다수의 특징들 및/또는 기능들을 수행할수 있다.
DVD/PVR(12)은 특히 처리 회로/로직(34)에 의해 실행 가능한, 그러나, DVD/PVR(12)의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들 또는 소프트웨어(36)를 메모리(38) 내에 저장한다. 메모리(32)는 RAM, ROM 등 같은 메모리 또는 저장 디바이스의 소정의 적절한 유형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그 동작에 부가하여 본 기술에 알려진 바와 같은 DVD/PVR의 동작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처리 회로를 통한 그 다양한 구성 요소들의 동작 및/또는 처리 회로의 동작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실행은 텔레비전 신호 처리 회로/로직(34)의 동작/기능에 부가하여, DVD/PVR(12)의 동작/기능으로 간주될 수 있다.
특히, DVD/PVR(12)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46)를 경유하여 텔레비전 채널 변경을 위한 요청을 수신한다. 채널 변경 요청은 일반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의 디지트 키들(key)을 누르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의도된 채널의 제 1 디지트의 수신 시, DVD/PVR은 OSD 생성기(40)가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게 한다. 일 형태에서, OSD 생성기(46)는 디스플레이(15) 상에 보여지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에 정보 배너를 제공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채널 변경 요청을 위한 시각적 피드백으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에 제공된 예시적 정보 배너(50)가 도시되어 있다. 정보 배너(50)는 DVD/PVR(12)의 동조기에 관하여, 텔레비전 채널 번호(3개 하선으로 표현된)를 보여주도록 동작하는 동조기 채널 섹션(52)을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디지트들이 동조기 채널 섹션(52)의 블랭크들에 제공될 때, 사용자는, 입력되는 채널 번호가 DVD/PVR 동조기("동조기 채널")에 의해 동조되며(또는 동조될 것이며), 위성, 케이블 또는 다른 구성 요소 동조기(전체적으로, "보조 채널", 개별적으로, "위성 채널", "케이블 채널" 등)에 의해 동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또한, 정보 배너(50)는 다른 각 소스들로부터 텔레비전 채널들을 획득하기 위해 가용한(DVD/PVR(12)에 연결된) 하나(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그 이상의 보조 동조 디바이스들을 도시하는 보조 동조 디바이스 섹션(54)을 포함한다. 도 3A의 예에서, 보조 동조 디바이스 섹션(54)은 위성 수신기의 위성 동조기를 보여준다. 사용자는, 채널 변경이 그 디바이스로부터 동조를 일으키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보조 동조 디바이스 섹션(54)을 선택하도록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다시, 3개 하선들은 사용자 입력 텔레비전 채널 번호(디지트들)로 대체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부가적인 동조 구성 요소들이 가용하면, 보조 동조 디바이스 토글 또는 버튼(56)이 제공된다. 본 예에서, 가용한 부가 동조 구성 요소가 존재한다(다른 소스로부터의 텔레비전 채널들의 다른 집합). 이 버튼의 선택은, 사용자가 보조 동조 디바이스 섹션(54) 내의 동조 구성 요소를 변경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3B에서, 동조 디바이스 변경 버튼 또는 토글(56)을 경유하여, 위성 동조기("Sa")로부터 케이블 동조기("Ca")로 사용자가 전환한 이후의 정보 배너(50)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박스(Ca)는 이제 보조 동조 디바이스 섹션(54)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섹션 내에서의 텔레비전 채널 번호의 진입은 케이블 박스에 의한 동조를 일으킨다. 보조 동조 디바이스 버튼(56)은 이전 디바이스 가용성을 도시하도록 변한다.
텔레비전 채널 번호의 진입 이후, 정보 배너(50)가 사라지고, 요청된 텔레비전 채널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채널 변경을 위한 채널 번호의 제 1 디지트의 최초 진입 시, DVD/PVR은 항상 동조기 채널들로 디폴트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DVD/PVR은 항상 DVD/PVR의 동조기로 디폴트되지 않고, 최종 사용된 동조기의 동조로 디폴트될 수 있다(즉, 최종의 또는 채널 변경, 텔레비전 채널이 보여지기 이전의 현재 동조기). 따라서, 사용자가 위성 채널을 시청하기를 원하면,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은 위성 동조기를 지시하는 "Sa" 라벨을 가지는 보조 동조 디바이스 섹션(54)에서 보여질 것이며, 위성 동조기가 동조를 위해 사용될 것이다. 이런 디폴트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원리들에 따른 형태에 무관하게,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의 동작의 예시적 방식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며, 전체적으로 (60)으로 표기하고 있다. 블록 62에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텔레비전 채널 번호의 제 1 디지트를 수신한다. 이는 텔레비전 채널 변경 상태를 만들어 낸다. 블록 64에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는 정보 배너 같은 텔레비전 채널 변경에 관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블록 66에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는 시각적 피드백의 특정 동조 채널 구성 요소 섹션 내에 제 1 디지트의 진입을 도시하도록 디폴트 동조 디바이스 설정을 사용한다. 블록 68에서, 사용자는 디폴트 동조 디바이스가 원하는 것이 아닌 경우, 동조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것이 허용된다.
그 후, 블록(70)에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는 잔여 텔레비전 채널 번호들/디지트들을 수신한다. 블록 72에서,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는 선택된 동조 디바이스가 특정 채널로 동조하게 한다. 시각적 피드백은, 그 후, 블록(74)에 따라서 제거된다. 상기 단계들 모두는 본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필수적이 아닌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더욱이, 모든 단계들 전부가 제시된 순서로 달성되어야만 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변형들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들의 다른 양태에 따른 방법은 도 4의 플로우차트(60)와 연계하여 설명된 단계들 및/또는 기술된 바와 다른 및/또는 변형된 단계들일 수 있고, 그 단계들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사용하기 쉬운 방식으로 시스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다른 방식들이 고려 및 예상된다.
본 발명을 양호한 디자인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본 내용의 개념(spirit) 및 범주(scope) 내에서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따라서, 그 포괄적 원리들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적용들의 소정의 변형들 및 사용들을 포괄한다. 또한, 본 출원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한정 내에 포함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알려진 또는 일상적 실시(costomary practice)에서 비롯되는 본 내용으로부터의 이탈들(departure)을 포괄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15)

  1.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에서, 텔레비전 채널 변경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60)에 있어서,
    텔레비전 채널의 제 1 디지트를 수신하는 단계(62), 및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 및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단계(64)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채널 변경 요청 처리 방법(6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상기 동조 디바이스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동조기(20) 및 상기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에 연결된 보조 동조 디바이스(24, 30)의 동조기(25, 31) 중 하나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채널 변경 요청 처리 방법(6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 및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단계(64)는 동조 디바이스로서의 보조 동조 디바이스 선택을 보여주는 단계(54)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채널 변경 요청 처리 방법(60).
  4. 제 3 항에 있어서, 동조 디바이스로서의 보조 동조 디바이스 선택을 보여주는 단계(54)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 및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단계(64)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동조 디바이스와 보조 동조 디바이스의 동조기 중 하나를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로서 사용자 선택을 허용하는 단계(68)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채널 변경 요청 처리 방법(60).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로서, 최종 텔레비전 채널이 동조된 동조 디바이스로서, 상기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동조기와 보조 동조 디바이스의 동조기 중 하나를 디폴트하는 단계(66)를 추가로 포함하는, 텔레비전 채널 변경 요청 처리 방법(60).
  6.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에 있어서,
    처리 회로(34),
    상기 처리 회로에 연결된 동조기(20),
    텔레비전 신호 입력(16),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기(40), 및
    상기 처리 회로에 연결되고, 프로그램 명령어들(36)을 포함하는 메모리(38)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들(38)은, 상기 처리 회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가
    텔레비전 채널의 제 1 디지트를 수신하는 단계(62), 및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 및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단계(64)를 수행하게 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상기 동조 디바이스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동조기(20) 및 상기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에 연결된 보조 동조 디바이스(24, 30)의 동조기(25, 31) 중 하나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 및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단계(64)는 동조 디바이스로서의 보조 동조 디바이스 선택을 보여주는 단계(54)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
  9. 제 8 항에 있어서, 동조 디바이스로서의 보조 동조 디바이스 선택을 보여주는 단계(54)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 및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단계(64)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동조 디바이스와 보조 동조 디바이스의 동조기 중 하나를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로서 사용자 선택을 허용하는 단계(68)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처리 회로에 의한 실행 시 텔레비전 신호가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로서 최종 텔레비전 채널이 동조된 동조 디바이스로서, 상기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동조기 및 보조 동조 디바이스의 동조기 중 하나를 디폴트하는 단계(66)를 수행하게 하는 추가 프로그램 명령을 가지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
  11.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에 있어서,
    텔레비전 채널의 제 1 디지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34, 44), 및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 및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34, 40)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상기 동조 디바이스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동조기(20) 및 상기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에 연결된 보조 동조 디바이스(24, 30)의 동조기(25, 31) 중 하나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 및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수단(34, 40)은 동조 디바이스로서의 보조 동조 디바이스 선택을 보여주기 위한 수단(34, 40)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
  14. 제 13 항에 있어서, 동조 디바이스로서의 보조 동조 디바이스 선택을 보여주기 위한 수단(34, 40)을 포함하는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 및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수단(34, 40)은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동조 디바이스와 보조 동조 디바이스의 동조기 중 하나를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로서 사용자 선택을 허용하는 수단(44, 46)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텔레비전 채널 디지트가 속하는 동조 디바이스로서 최종 텔레비전 채널이 동조된 동조 디바이스로서, 상기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동조기와 보조 동조 디바이스의 동조기 중 하나를 디폴트하는 수단(34)을 추가로 포함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12).
KR1020047017081A 2002-04-23 2003-04-17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메뉴로부터 가능화되는 튜너 및 위성 또는 케이블 수신기 양자 모두를 위한 직접 채널 입력 KR101010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495402P 2002-04-23 2002-04-23
US60/374,954 2002-04-23
PCT/US2003/011881 WO2003092270A1 (en) 2002-04-23 2003-04-17 Direct channel entry for tuner and satellite or cable receiver both enabled from a menu offering visual feedb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609A true KR20040104609A (ko) 2004-12-10
KR101010870B1 KR101010870B1 (ko) 2011-01-26

Family

ID=2927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081A KR101010870B1 (ko) 2002-04-23 2003-04-17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메뉴로부터 가능화되는 튜너 및 위성 또는 케이블 수신기 양자 모두를 위한 직접 채널 입력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087593A1 (ko)
EP (1) EP1497974B1 (ko)
JP (1) JP5185492B2 (ko)
KR (1) KR101010870B1 (ko)
CN (1) CN100393111C (ko)
AU (1) AU2003223667A1 (ko)
MX (1) MXPA04010501A (ko)
WO (1) WO20030922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7980B2 (ja) 2003-10-28 2007-10-24 ソニー株式会社 選択装置、選択方法
KR101295567B1 (ko) * 2006-09-28 2013-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 및 이를 이용한 선호 채널 제공 방법
KR101331530B1 (ko) 2007-03-26 2013-11-20 톰슨 라이센싱 사용자들이 채널을 입력하는 것을 돕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2498714B (zh) * 2009-07-06 2015-06-24 夏普株式会社 Av装置
KR20130081435A (ko) * 2012-01-09 2013-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0879A (ko) * 2014-10-31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 제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5946A (en) * 1982-02-16 1983-09-20 Rca Corporation Television signal converting apparatus providing an on-screen tuning display
JP2517400B2 (ja) * 1989-07-18 1996-07-24 三洋電機株式会社 チャンネル表示方法
US5103314A (en) * 1990-09-24 1992-04-0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lor-coded system for selection of rf input terminals and associated scan lists
JP3257790B2 (ja) * 1990-09-27 2002-02-18 ソニー株式会社 放送方式の識別表示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受信装置
US5850218A (en) * 1997-02-19 1998-12-15 Time Warner Entertainment Company L.P. Inter-active program guide with default selection control
US6359580B1 (en) * 1997-03-18 2002-03-19 Thomson Licensing S.A. Multiple source keypad channel entry system and method
US6766526B1 (en) * 1998-12-03 2004-07-2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mart channel entry system
US6182287B1 (en) * 1999-02-04 2001-01-30 Thomson Licensing S.A. Preferred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 a multimedia video decoder
US7194753B1 (en) * 1999-04-15 2007-03-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tuning to channels of a variety of different broadcast types
JP2001119767A (ja) * 1999-10-19 2001-04-2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2094889A (ja) * 2000-09-12 2002-03-29 Hitachi Ltd 選局装置および方法
US7047548B2 (en) * 2001-04-17 2006-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all of previous program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87593A1 (en) 2006-04-27
KR101010870B1 (ko) 2011-01-26
CN100393111C (zh) 2008-06-04
MXPA04010501A (es) 2005-02-17
JP2005524291A (ja) 2005-08-11
AU2003223667A1 (en) 2003-11-10
CN1663240A (zh) 2005-08-31
EP1497974A1 (en) 2005-01-19
JP5185492B2 (ja) 2013-04-17
WO2003092270A1 (en) 2003-11-06
EP1497974B1 (en) 201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537B1 (ko) 입력 레이블링 기능을 갖는 티브이 및 그 레이블링 방법
US6230322B1 (en) Music channel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178812B1 (ko) 채널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JP4406602B2 (ja) テレビジョンチャンネル視聴リスト中の全チャンネルを遮断又は視聴状態へ設定する方法
KR20080042473A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KR101010870B1 (ko)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메뉴로부터 가능화되는 튜너 및 위성 또는 케이블 수신기 양자 모두를 위한 직접 채널 입력
US2009021945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020063730A1 (en) Method for displaying manual of video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for
US20060048182A1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compensated program guide and method thereof
US20090201422A1 (en) Automatic input change based on remote control mode change
JPH1023344A (ja) 放送受信装置
KR100449722B1 (ko)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669140B1 (ko) 핫키를 이용한 채널 전환방법
KR100282062B1 (ko) 문자방송의 녹화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의 운영방법
KR20050123272A (ko) 텔레비전의 채널 설정 방법
KR20060070798A (ko) 한자리수의 채널번호를 이용한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JP2007082042A (ja) 受信装置、及び受信システム
JP4688169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H072330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遠隔操作装置
JP2005033421A (ja) 表示制御装置
JP2006237810A (ja) 番組予約機能を備えた放送受信装置
KR20080027663A (ko) 디지탈 tv의 채널 전환 방법
KR20060106056A (ko) 자동채널 설정장치 및 방법
KR19990025407A (ko) 비디오모드에서 채널선국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20050120416A (ko) 시청이력정보를 제공하는 텔레비젼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