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909A - 하지의 정맥 부전 기능 장애를 전기 자극에 의해 치료하고심정맥 혈전증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용 편물 및 의료 기구 - Google Patents

하지의 정맥 부전 기능 장애를 전기 자극에 의해 치료하고심정맥 혈전증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용 편물 및 의료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909A
KR20040103909A KR10-2004-7009372A KR20047009372A KR20040103909A KR 20040103909 A KR20040103909 A KR 20040103909A KR 20047009372 A KR20047009372 A KR 20047009372A KR 20040103909 A KR20040103909 A KR 20040103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region
medical
knitted fabric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갸르동-몰라르크리스띠앙
Original Assignee
이노떼라 토픽 엥떼르나씨오날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떼라 토픽 엥떼르나씨오날 에스.아. filed Critical 이노떼라 토픽 엥떼르나씨오날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40103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9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04B1/265Surgical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9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physical therapy, e.g. cold or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9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physical therapy, e.g. cold or magnetic
    • A61F2013/00923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physical therapy, e.g. cold or magnetic triboelectricit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장치(10)는 하지의 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다리부를 구비한 스타킹, 양말, 또는 타이츠 형태의 편물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하지와 접촉하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전기 자극 생성기(12)의 단자에 연결된 도전성 편직 영역(24)을 포함한다. 도전성 영역(24)의 높이는 하지의 소정 영역의 범위, 특히 종아리 및/또는 대퇴부 및/또는 발 부위를 덮도록 설정되고, 상기 도전성 영역 내의 편직부의 편사는 도전성의 필러 위사(18) 및/또는 페이스 위사(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물의 편직부 및 위사는, 발목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치료 압박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압박 보조기를 형성하도록 선정된다.

Description

하지의 정맥 부전 기능 장애를 전기 자극에 의해 치료하고 심정맥 혈전증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용 편물 및 의료 기구{THERAPEUTIC DEVICE FOR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REATMENT OF VENOUS DEFICIENCY FUNCTIONAL DISORDERS OF THE LOWER LIMBS AND FOR PREVENTING DEEP VENOUS THROMBOSIS}
의료계의 일치된 견해에 의하면, 보행과 관련된 누감성 의료용 탄성 지지 호스가 하지의 정맥부전의 기능적 증상에 대하여 효과적이다. 소위 "종아리 근육 펌프"가 작용하도록 하여 종아리 근육을 수축시키는 바람직한 효과가 오랫동안 알려져 있으며, 상기 펌프는 하지로부터의 정맥 환송을 상당히 촉진한다.
이러한 방법은 고령자 또는 장애자 또는 움직임이 제한되는 특별한 상황에 처한 사람(대표적 경우로서, 장거리 항공 여행을 하는 사람)에게는 추천하기가 곤란하며, 전반적 또는 부분적 부동 자세의 상태가 정맥 울혈과 관련된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와 유사한 상황이, 다리 궤양을 치료하는 동안에 운동을 하기가 종종 부적합한 환자, 보다 일반적으로는, 수술 전, 수술 중, 및 수술 후에 침대에 누워 있는환자 또는 세심한 간호가 필요한 환자에게서 발생한다.
본 발명은 하지(下肢)의 정맥부전 기능장애 치료 및 심정맥 혈전증 방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 기구를 형성하는 여러 요소들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의료 기구에 사용되는 편물의 편직 피륙에 대한 상세도.
도 3은 편물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편물에 대한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의료 기구 사용 시에 얻어지는 혈류에 상당하는 도플러 에코그래프(Doppler echograph)의 기록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들 중 하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황에서 하지의 정맥부전 기능장애를 치료하고, 정맥 울혈, 일반적으로는 장시간의 부동 자세로 인한 과도한 정맥 울혈의 모든 상황과 관련된 하지의 여러 증상을 치료하고, 특히 심정맥 혈전증(DVT)을 치료하기 위한 의료 기구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은, 하지의 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다리부를 구비한 스타킹, 양말, 또는 타이츠(tights) 형태의 편물(編物)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하지와 접촉하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전성 편직(編織) 영역을 포함하고, 도전성 영역의 높이는 하지의 소정 영역의 범위, 특히 종아리 및/또는 대퇴부 및/또는 발 부위를 덮도록 설정되고, 도전성 영역 내의 편직부의 편사(編絲)는 도전성의 필러 위사(filler yarn) 및/또는 페이스 위사(face yar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의 구현을 제안한다. 도전성 영역의 면적은 전형적으로 100cm2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00cm2이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출력 단자들 사이에 전류 펄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기 자극 생성기; 전술한 바와 같은 장치; 상기 장치의 도전성 영역을 전기 자극 생성기의 각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와이어를 조합형으로 포함하는 의료 기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의 소정 위치의 국부적 자극에 의하여 피동적 근육 수축을 일으키기 위한 전기 자극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 장치는 피부에 배치되는 점착성 카본 또는 카본 전극(카본 전극은 습윤화될 필요가 있음)을 필요로 하므로, 전극의 적절한 배치, 고정, 피부로부터 전극이 분리되었을 경우에 재배치 등의 복잡한 취급 과정을 필요로 한다.
국제공개특허공보 제WO-A-01/02052호에는, 전극을 구성하는 도전성 영역을 피륙 내에 부분적으로 일체화함으로써 상기 전극을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고정하기가 용이한 의복이 개시되어 있으며, 전극이 비교적 소형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위 기록 신호의 수신, 특정 신경의 경피 자극 등의 추구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전극을 적확한 위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전극을 배치하지 않더라도 단순히 편물에 의하여, 편물의 도전성 영역의 전체에 걸쳐서 분산된 방식으로 근육을 자극시킬 수 있다.
편물의 피륙 및 위사는, 발목에서 멀어질수록 누감되는 치료 압박 지지력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구성된 압박 보조기를 형성하도록 선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압박은 치료를 위한 것으로 발목에서의 압력은 적어도 10mmHg(13.3hPa)이다.
스타킹에 의해 제공되는 전기 자극 효과와 압박 지지력 효과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과다한 압박 지지력이 필요하지 않더라도 (예를 들면, 등급 I 또는 등급 II와 같은 낮거나 중간 수준의 지지력 등급의 스타킹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함) 매우 바람직한 정맥 환송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기 자극이 정지될 경우일지라도, 환자는 가벼운 압박 지지력을 받아 안락함을 계속 느낄 수 있다는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예를 들면 자동차 또는 항공기 여행 중에 장시간의 부동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상황의 사람들에게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소정의 보조기 및 소정의 환자에 있어서, 정맥 순환에 미치는 "2 단계"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또한 바람직하다. 즉, 스타킹에 의해 제공되는 압박 지지력에 의하여, 지속적인 제1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 침대에 누워 있거나 거동이 불편하거나 혼수 상태에 있는 환자에게 전기 자극을 실시함으로써, 시간과 강도 조정이 가능한 부가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편물은 비도전성 중간 영역에 의하여 분리되는 상부 도전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간 영역을 가로질러 상부 영역과 전도성 영역을 연결시키는 전기 연결부가 중간 영역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상부 영역은 전기 자극 생성기의 단자로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와이어를 위한 연결 스트립 또는 연결 영역을 형성한다. 전기 연결부는 도전성 편직 위사(knit yarn) 및/또는 필러 위사를 포함하는 편물의 협폭 편직 스트립(strip)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위사는 특히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은, 금, 구리 및 산화 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료의 실을 포함하는 위사이다. 도전성 재료의 실은 커버링 실, 특히 평행한 커버링 실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의 피부와 접촉하는 전도성 영역의 면은, 도전성 위사의 최대 표면적을 나타내는 면들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서, 도면 부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스타킹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륙에 의해 직접 근육을 자극할 수 있도록 스타킹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지하는 도전성 금속사(金屬絲)를 일체형으로 포함한다. 도 1은 대퇴부까지의 길이의 편물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양말, 허벅지 길이의 스타킹, 타이츠, (발 부위 또는 뒤꿈치 부위가 없는 슬리브 형태의) 관형 압박 보조기 등과 같은 외과용 스타킹의 모든 모델에 적용이 가능하다.
각 스타킹은 연결 도전체(14)에 의하여, 예를 들면 허리에 착용되어 있는 전기 자극 생성기(12)의 단자에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 도전체(14)는 악어 입 형태의 클립(16) 등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스타킹(10)의 각 도전성 영역에 연결된다.
전기 자극 생성기로는 공지의 상용화되어 있는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생성기의 전극을 각 연결 도전체(14)에 의하여 생성기에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스타킹(10)으로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자극용으로 개발되었고 비대칭 2상 펄스 형태의 저주파(1.25Hz 내지 1.75Hz의 범위)를 공급하고 순전류가 0인 마이크로스팀 인셉 원(Microstim INSEP One) 장치[스위스의 발메트 에스아(Valmed SA)에서 제조]가 전기 자극 생성기로서 적합하다. 개회로에서, 펄스의 피크 전압은 45V±10%이다. 500Ω의 부하에서, 88mA±10%의 피크 전류에 대하여 전압은 5V (제곱 평균 평방근)rms±10%이다.
스타킹(10)의 전체 또는 일부를 도전성이 되도록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러한 특징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도전성 금속사를,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커버링 실의 형태로 편직 위사에 포함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커버링 실은 피부와 접촉해야 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단일 커버링일 수 있거나, 2개의 커버링이 있는 경우에는 제2 커버링일 수도 있다. 커버링은, 종래의 회전형 커버링 대신에 "공기 제트(air jet)" 혼방 및 직조 기술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평행형 커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링 처리된 도전성 위사는, 소정 모델에 있어서 접촉시키고자 하는 피부 영역에 따라, 편직 위사 또는 필러 위사 또는 두 종류 위사 모두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이와 같이 편직 위사(18)와 필러 위사 또는 페이스 위사(20)를 이용하여 제조한 편직 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서, 도전성 위사(22)는, 예를 들면 노벨 파이버 테크놀러지스(Nobel Fiber Technologies)(미국 펜실베니아 스크랜톤 소재)에서 생산하는 (등록상표) 형태의 위사로서, 표면 은층 내에 커버링 처리된 폴리아미드 위사이다. 이 위사는 폴리아미드 섬유와 혼합된 약 15%의 은을 함유한다. 이 위사는 공지되어 있기는 하나, 의료 분야 또는 위생 관련 분야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성들에 대해서만 제안되어 있다.
ㆍ항균 특성(은과 은염에 기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어 있는 성질);
ㆍ항취(抗臭) 특성: 특히 암모니아와 변성 단백질에 대하여 은의 촉매 효과에 의한 항취 특성; 및
ㆍ항스트레스 특성: 도전성 피륙은 피부 표면에 축적된 마찰 전기의 전하를 수용하여 발산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 금속 도전성을 활용하여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넓은 면적의 도전성 표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위사를 사용하며, 따라서 전기가 피부를 통해 피부의 천연 보습의 수분 (및/또는 직물의 보습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용화되어 있는 광천수 분무 캔으로 분무한 연무질 수분)에 의해 전도되고 발산될 수 있다.
도전성 재료로서 은만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구리와 산화구리를 기초로 하는 금속들 또는 충전 중합체와 같은 비금속 재료 등의 다른 도전성 재료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리의 피부와 접촉하는 도전성 영역의 면은 도전성 위사의 가장 넓은 표면적을 나타내는 면들 중의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극이 퍼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전성 영역의 점유 면적은 100cm2이상이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400cm2이상이다.
편직 위사와 특히 필러 위사는 작은 크기의 치료 압박 지지력을 생성하도록 전형적으로 등급 I 또는 II(프랑스 표준에 따른 분류)에서 선정되며, 등급 I에 대해서는 발목에서의 압력이 10mmHg 내지 15mmHg(13.3hPa 내지 20hPa)이고, 등급 II에 대해서는 15mmHg 내지 20mmHg(20.0hPa 내지 2.6hPa)이다. 발목에서 대퇴부로 갈수록 압력이 일정하게 감소하는 압력 구배를 얻음으로써 정맥 환송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 압력은 발목에서 대퇴부로 갈수록 감소하고, 상부에서의 압력은 발목에서의 압력의 50% 미만이다.
그와 같은 의료적인 압박 지지 방법 자체는 공지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기 자극과 함께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낮은 수준의 지지력 등급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의하여 높은 압박 지지력을 사용하지 않아도 정맥 환송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스타킹(10)의 도전성 영역을 구성하는 2가지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종아리를 덮는 무릎 길이의 스타킹의 예를 나타내고, 도 4는 대퇴부 길이의 스타킹으로서 높이가 높지만 마찬가지로 종아리 근육을 자극하기 위한 스타킹이다.
도 3과 도 4에서, 도면부호 24는 전기 자극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수용하여 피부로 분산시키는 도전성 영역을 나타낸다. 이 영역은 종아리 근육을 자극하도록 실질적으로 발목부터 무릎 직하까지 형성되어 있다. 전기 자극 생성기에 연결되어 있는 클립(16)이 연결될 수 있도록, 비도전성 영역(28)에 의하여 도전성 영역(24)으로부터 분리된 상부 가장자리(26)도 마찬가지로 도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생성기에 연결되어 있는 악어 입 형태의 작은 클립을 상부 가장자리(26)에 부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발을 덮는 저부 영역(30)은 중간 영역(28)과 마찬가지로 비도전성이다. 저부 영역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물건은 더 이상 양말 또는 스타킹의 형태가 아니고, 오히려 발 또는 뒤꿈치가 없는 개방 슬리브의 형태가 된다.
도전성 영역(24)과 전기가 공급되는 상부 영역(26) 사이의 전기 연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는데,
ㆍ편직부에 포함되지 않은 특정 도전체에 의하거나,
ㆍ바람직하게는, 영역(24, 26)들 사이의 단속 없이 도전성 위사(편직 위사 및/또는 필러 위사)를 조직 내에 일체형으로 포함하는 소정 폭의 편직 스트립(32)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첫 번째 방안에 비하여 두 번째 방안은, 예를 들면 세탁 또는 취급 중에 발생한 도전성 위사의 특정 위치에서의 파손이 실질적으로 전기 연속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더욱 파손이 용이한) 단일 와이어 또는 선형 도전체와는 달리 인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종아리 근육 자극의 혈류 역학 효과에 대한 예비 임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연구의 목적은, 안정 상태의 건강한 피실험자의 정맥 혈류 환송에 있어서 "종아리 근육 펌프"로의 간헐적인 전기 자극의 효과를 관찰하고 정량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걷거나 달리는 동안에 선 자세에서 발생하는 생리학적 근육 수축에 의하여 정맥혈이 구심력에 의해 본질적으로 심정맥 및 근육 정맥 네트워크로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험에 있어서는, 전기 자극에 의해 반사적 근육 수축을 발생시켜, 부동 자세의 피실험자의 심정맥혈의 방출 강도를 조사하였다.
실험은, 정맥 질환 또는 과거 또는 최근의 정맥 질환 합병증의 병력이 없는 19세의 건강한 남성 지원자(183cm, 85kg)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도플러 에코그래프 장치에 의해 심정맥 혈류의 파동을 관찰하였으며, 7MHz로 설정된 3-주파수 환형부 탐침를 이용하여 다리의 심정맥을 조사하였고, 10MHz의 연속 도플러 탐침을 이용하여 기록을 하였다.
앉은 자세에서 슬와 정맥에서의 혈류를 측정하였다.
실험 전에, 피실험자의 하지의 천정맥(淺靜脈)과 심정맥의 도플러 에코그래프 검사를 실시하였고, 특히 다리의 정맥 네트워크 전체(즉, 천정맥 및 심정맥 네트워크)의 판막 기능에 관해서는 정상임을 확인하였다.
그 후 환자는 도전성 스타킹 슬리브를 착용하였고, 두 다리의 가자미근(soleus muscle) 상에 도전성 스타킹 슬리브가 배치되었다.
생성기의 도전성 케이블의 각 단부는, 피부와 접촉하는 슬리브 아래이고 슬리브의 상부 가장자리의 하방인 위치에 배치되었다(단자 전극이 제거된 후).
환자는, 견딜 수 있는 고통의 임계치, 즉 생성기의 다이얼 상의 노치 39(40까지 증가)까지 수동 조작에 의해 펄스를 스스로 증가시켰으며, 근육 수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관찰 결과에 의하여, 종아리 근육의 반사적인 근육 수축은 수축 강도가 생성기의 다이얼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펄스의 강도에 비례한다는 점을 명확히 알 수 있었다. 근육 수축은, 생성기의 연결 와이어에 대한 연결 영역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서도 일어났는데, 이는 피륙의 도전성이 양호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피실험자는 종아리부터 대퇴부까지 펄스를 느낄 수 있었다고 말하였다.
환자가 앉아 있는 동안에 우측 슬와 정맥 혈류를 도플러 에코그래프로 관찰한 결과(도 5에 반복 기록 결과를 도시)에 의하면,
ㆍ도 5의 34에서, 심장 박동에 기인한 규칙적인 동맥류가 규칙적인 빈도로 피크로서 나타나고,
ㆍ도 5의 36에서, 자극에 의한 정맥류가 매회의 반사 근육 수축마다 반복되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인위적 정맥 펄스를 생성하며, 그에 의해 정맥의 진성 "동맥혈화"(arterialization)를 달성한다.
또한, 관찰 결과에 의하면, 혈류의 강도는 앉은 자세일 때, 즉 선 자세를 유지하는 데 관여하는 근육들이 안정 상태일 때에 최적화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타킹 피륙의 양호한 도전성 및 생리학적으로 환송 혈류를 증가시키는 근육 수축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의하면, 근육의 기능이 휴지 상태이거나 더 이상 기능을 발휘하지못하는 부동 자세의 환자에 대하여, 보행을 하지 않더라도 정맥 환송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울혈 방지 효과를 유발하며, 외과용 스타킹의 치료 효과에 의한 누감적 압박 지지력을 추가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2)

  1. 하지의 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다리부를 구비한 스타킹, 양말, 또는 타이츠 형태의 편물을 포함하는 유형이고, 하지의 정맥부전 기능장애를 치료하고 심정맥 혈전증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용 편물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편물은 하지와 접촉하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전성 편직 영역(24)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영역(24)의 높이는 하지의 소정 영역의 범위, 특히 종아리 및/또는 대퇴부 및/또는 발 부위를 덮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영역 내의 편직부의 편사는 도전성 필러 위사(18) 및/또는 페이스 위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편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영역(24)의 면적은 100cm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편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영역(24)의 면적은 400cm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편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의 편직부 및 위사는, 발목에서 지지 압력이 10mmHg (13.3hPa) 이상이고 발목에서 멀어질수록 누감되는 치료 압박 지지력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압박 보조기를 형성하도록 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편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편물은 비도전성 중간 영역(28)에 의하여 상기 도전성 영역(24)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도전성 상부 영역(26)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영역(28)은 상부 영역(26)과 도전성 영역(24)을 연결하는 횡단형 전기 연결부(3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상부 영역은, 전기 자극 생성기의 단자로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와이어를 위한 연결 스트립 또는 연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편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연결부(32)는, 도전성이 있는 편직 위사 및/또는 필러 위사를 포함하는 편물의 협폭 편직 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편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위사(18)는 도전성 재료의 실을 포함하는 위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편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재료는 은, 금, 구리 및 산화구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편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재료의 실은 커버링 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편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재료의 실은 평행한 커버링 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편물.
  11. 제1항에 있어서,
    하지의 피부와 접촉하는 도전성 영역의 면은, 도전성 위사의 최대 표면적을 나타내는 면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편물.
  12. 하지의 정맥부전 기능장애를 치료하고 심정맥 혈전증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기구로서,
    출력 단자들 사이에 전류 펄스를 공급하기에 적합한 전기 자극 생성기(12)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료용 편물(10)과,
    상기 의료용 편물의 도전성 영역을 전기 자극 생성기의 각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와이어(14)를 조합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기구.
KR10-2004-7009372A 2001-12-17 2002-12-17 하지의 정맥 부전 기능 장애를 전기 자극에 의해 치료하고심정맥 혈전증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용 편물 및 의료 기구 KR200401039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16294A FR2833497B1 (fr) 2001-12-17 2001-12-17 Article tricote therapeutique de type bas, chaussette ou collant pour le traitement par electromyostimulation des troubles fonctionnels de l'insuffisance veineuse des membres inferieurs
FR01/16294 2001-12-17
PCT/FR2002/004408 WO2003051456A1 (fr) 2001-12-17 2002-12-17 Dispositif therapeutique pour le traitement par electromyostimulation des troubles fonctionnels de l'insuffisance veineuse des membres inferieurs et la prevention des thromboses veineuses profon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909A true KR20040103909A (ko) 2004-12-09

Family

ID=887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372A KR20040103909A (ko) 2001-12-17 2002-12-17 하지의 정맥 부전 기능 장애를 전기 자극에 의해 치료하고심정맥 혈전증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용 편물 및 의료 기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50131489A1 (ko)
EP (1) EP1465704A1 (ko)
JP (1) JP2005525143A (ko)
KR (1) KR20040103909A (ko)
CN (1) CN1604802A (ko)
AU (1) AU2002364662A1 (ko)
BR (1) BR0214974A (ko)
CA (1) CA2470175A1 (ko)
EA (1) EA006183B1 (ko)
FR (1) FR2833497B1 (ko)
PL (1) PL369142A1 (ko)
WO (1) WO200305145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918A2 (ko) * 2010-03-26 2011-09-29 Lee Ji Hun 미세전류 자극용 양말
KR101393705B1 (ko) * 2013-07-09 2014-05-1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박의복 장치
KR20190026215A (ko) * 2017-09-04 2019-03-13 주식회사 티알상사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KR20220011457A (ko) 2020-07-21 2022-01-28 홍대순 도전성 원단으로 된 양극 밴드형 저주파 마사지기
KR20220011446A (ko) 2020-07-21 2022-01-28 홍대순 도전성 스판원단으로 편직된 밴드형 저주파 마사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8758B1 (fr) * 2003-08-14 2006-04-07 Tam Telesante Sarl Systeme de surveillance medicale au moyen d'un vetement
US8182521B2 (en) * 2003-09-24 2012-05-22 Dynatherm Medic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blood circulation
WO2005030101A1 (en) * 2003-09-24 2005-04-07 Dynatherm Medic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body core temperature
GB2412068A (en) * 2004-03-18 2005-09-21 Tsung-I Yu Electro-stimulating massage confiner
JP4733466B2 (ja) * 2005-08-19 2011-07-27 ダイユーペイント株式会社 健康用具
GB0519836D0 (en) 2005-09-29 2005-11-09 Smartlife Technology Ltd Contact sensors
US20090312826A1 (en) * 2006-05-15 2009-12-17 High Tech Health International Limited Device for peripheral information input in test subjects by means of electrical fields and currents
WO2009150652A1 (en) * 2008-06-12 2009-12-17 Empire Bio-Medical Devices In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the natural venous muscle pump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compounded by external pressure
US8755894B2 (en) * 2006-05-22 2014-06-17 Empire Bio-Medical Devices Inc. Method and device for enhanced blood flow
US10537732B2 (en) * 2006-05-22 2020-01-21 Flowaid Medical Technologies Corp. Method and device for enhanced blood flow
US20070282409A1 (en) * 2006-06-06 2007-12-06 Healt & Life Co., Ltd. Low frequency medical apparatus
US9308148B2 (en) * 2006-12-04 2016-04-12 Thermatx,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blood circulation
US8603150B2 (en) 2006-12-04 2013-12-10 Carefusion 2200,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blood circulation
DE102007028133A1 (de) 2007-06-19 2008-12-24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Medizinische Blutbehandlungseinrichtung für eine extrakorporale Blutbehandlung
US20090177184A1 (en) * 2008-01-09 2009-07-09 Christensen Scott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enous access
DE102009006941B4 (de) 2009-01-30 2013-01-10 Otto Bock Healthcare Gmbh Verwendung von fein verteilten Metallpartikeln in einem Material, einer Hautauflage und einem orthopädischen Artikel
KR20120123408A (ko) * 2010-01-08 2012-11-08 다이나썸 메디칼, 인코포레이티드 치료적 및 개입적 절차를 향상시키기 위한 부속기관 내의 혈관 접근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1140487A2 (en) * 2010-05-07 2011-11-10 Windisch Theresa A Thermal regulating compression garments
CA2761036C (en) 2010-12-08 2019-02-12 Groupe Ctt Inc. Fully integrated three-dimensional textile electrodes
US9125787B2 (en) 2011-09-30 2015-09-08 Covidien Lp Compression garment having a foam layer
US20170266431A1 (en) * 2016-03-21 2017-09-21 Weartech Therapeutics, Inc. Electrotherapeutic garment
ES2660025T3 (es) * 2012-06-28 2018-03-20 Dirk Fritzsche Dispositivo para la estimulación muscular
US9402779B2 (en) 2013-03-11 2016-08-02 Covidien Lp Compression garment with perspiration relief
JP6400230B2 (ja) * 2014-12-12 2018-10-03 ウ デギWOO, Dae−Ki 低周波治療用着用バンド
RU185746U1 (ru) * 2018-07-02 2018-12-17 Василий Викторович Дьяконов Одежда для электромиостимуляции
RU2704600C1 (ru) * 2018-11-29 2019-10-29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оенно-промышл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Лечебно-тренировочный электромиостимуляционный костюм
TR201917004A2 (tr) * 2019-11-04 2021-05-21 Zorluteks Tekstil Ticaret Ve Sanayi Anonim Sirketi Bi̇r elektri̇k sti̇mülasyon si̇stemi̇
CN112426343A (zh) * 2020-11-17 2021-03-02 厦门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便捷式预防双下肢深静脉栓塞装置
KR102584494B1 (ko) * 2021-08-05 2023-10-05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전기자극용 피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4118A (en) * 1982-08-30 1987-05-12 Batters Robert C Electrical therapeutic assembly and method for reducing pain and edema in a human body
JPS62100968A (ja) * 1985-10-29 1987-05-11 東レ株式会社 糸状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374283A (en) * 1993-12-01 1994-12-20 Flick; A. Bart Electrical therapeutic apparatus
AU5530900A (en) 1999-07-01 2001-01-22 N.V. Bekaert S.A. Garment comprising electrode
US6615080B1 (en) * 2001-03-29 2003-09-02 John Duncan Unsworth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foot muscles for prevention of deep vein thrombosis and pulmonary embolis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918A2 (ko) * 2010-03-26 2011-09-29 Lee Ji Hun 미세전류 자극용 양말
WO2011118918A3 (ko) * 2010-03-26 2012-01-26 Lee Ji Hun 미세전류 자극용 양말
KR101393705B1 (ko) * 2013-07-09 2014-05-1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박의복 장치
KR20190026215A (ko) * 2017-09-04 2019-03-13 주식회사 티알상사 원통형 저주파마사지기 착용구
KR20220011457A (ko) 2020-07-21 2022-01-28 홍대순 도전성 원단으로 된 양극 밴드형 저주파 마사지기
KR20220011446A (ko) 2020-07-21 2022-01-28 홍대순 도전성 스판원단으로 편직된 밴드형 저주파 마사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04802A (zh) 2005-04-06
JP2005525143A (ja) 2005-08-25
PL369142A1 (en) 2005-04-18
AU2002364662A1 (en) 2003-06-30
FR2833497B1 (fr) 2004-11-19
EP1465704A1 (fr) 2004-10-13
EA200400818A1 (ru) 2004-12-30
EA006183B1 (ru) 2005-10-27
BR0214974A (pt) 2006-05-30
WO2003051456A1 (fr) 2003-06-26
FR2833497A1 (fr) 2003-06-20
CA2470175A1 (fr) 2003-06-26
US20050131489A1 (en)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3909A (ko) 하지의 정맥 부전 기능 장애를 전기 자극에 의해 치료하고심정맥 혈전증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용 편물 및 의료 기구
US20040030270A1 (en) Compression garment with electro-stimulation
Marsolais et al. Implantation techniques and experience with percutaneous intramuscular electrodes in the lower extremities
Marsolais et al. Functional walking in paralyzed patients by means of electrical stimulation
JP4609923B2 (ja) 弾性着衣
RU2471518C2 (ru) Способ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тимуляции спинного мозга
JP5690740B2 (ja) 処置
US201700211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inhibition of deep vein thrombosis
JP4693513B2 (ja) 下肢被覆材
US20110082517A1 (en)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the Natural Venous Muscle Pump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Compounded by External Pressure
KR20120127597A (ko) 프로그래밍 가능한 발 근육 전기 자극
KR20080036581A (ko) 만성 정맥 부전증 치료를 위한 하지용 편직 압박 보조기
US10967177B2 (en) Method and stimulation system for stimulating a human leg
CA3192233A1 (en) Nerve stimulation garment
CN108883273B (zh) 增强受试者的下肢静脉回流的可穿戴非侵入式设备和方法
AU2006343489B2 (en) Device for peripheral information input in test subjects by means of electrical fields and currents
KR20150046007A (ko) 미소 순환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
KR101442046B1 (ko) 패치형 하지정맥류 치료 장치
KR20100049382A (ko)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예방용 하지 근육 전기자극기
KR20120003028U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착용물
WO20170331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al nerve electrostimulation for the treatment of medical conditions
WO2006134875A1 (ja) 下肢被覆材
JP2005052223A (ja) 末梢血液循環改善具
JP4361220B2 (ja) エコノミークラス症候群予防装置
RU2651448C1 (ru) Компрессионная одежда, выполненна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интетических искусственных мыш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