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395A -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395A
KR20040103395A KR1020040038088A KR20040038088A KR20040103395A KR 20040103395 A KR20040103395 A KR 20040103395A KR 1020040038088 A KR1020040038088 A KR 1020040038088A KR 20040038088 A KR20040038088 A KR 20040038088A KR 20040103395 A KR20040103395 A KR 20040103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ata
image data
recording
code amount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3352B1 (ko
Inventor
사이히로또모
이구찌다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103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2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easuring the fullness of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 기록 기술에서, 압축 부호화를 리얼타임으로 행하며, 재생 화질의 열화도 억제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시분할로 혼합된 혼합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억하고, 각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 또는 필드 수에 따라 소정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그 메모리로부터 반복하여 판독하고, 1회째에 판독한 그 소정의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2회째에 판독한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를 행한다.

Description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MOVING PICTURE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는, 일본 특개평10-276365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9-93537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 특개평10-276365호 공보에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예측 부호화에 의해 효율적으로 데이터 압축하기 위해, 입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시분할로 혼합된 혼합 영상 데이터를, 입력 단자마다 나눠 절단하여 대응하는 메모리에 기입하고, 그 기입한 혼합 영상 데이터를 그 메모리로부터 순서대로, 소정의 프레임 수만큼 통합하여 판독하며, 그 판독한 프레임 수만큼마다, MPEG 부호화 회로에서 프레임간의 예측 부호화를 행하는 것으로 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9-93537호 공보에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가변 레이트로 고능률 부호화할 때에, 화질 열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입력 신호를 고정의 양자화 레벨로 부호화하는 장치와, 발생하는 정보량을 GOP(Group of Picture) 단위로 기록하는 장치와, 기록된 발생 정보량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가 목표로 하는 정보량을 설정하는 장치와, 구해진 목표 정보량에 의해 부호량의 제어를 행하는 장치에 의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개평10-276365호 공보 기재의 기술에서는, 복수대의 카메라의영상을 프레임마다 전환하여 1개의 혼합 영상 데이터로 하고, 그 혼합 화상 데이터로부터 동일 카메라의 영상을 통합하여 복수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로서 순차적으로 뽑아 내어 화상간 예측 부호화를 행하는 경우, 사전에 움직임이 큰 신(scene)인지의 여부의 판정이 어렵기 때문에, 재생 화상에 열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일본 특개평9-93537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과 같이 리얼타임으로 일정 용량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혼합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기록하는 큰 기록 매체가 더 필요로 되어, 시스템 규모의 증대로 이어질 것이 예상된다.
본 발명의 과제점은, 상기 종래 기술의 상황을 감안하여, 혼합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기록 기술로서, 시스템 규모의 증대를 억제한 상태에서, 압축 부호화를 리얼타임으로 행할 수 있어, 재생 영상의 화질 열화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과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장치에서의 혼합 영상 데이터의 메모리 내에서의 기록 상태와 그 상태로부터의 판독의 설명도.
도 3은 도 1의 장치에서 메모리에 입력되는 혼합 영상 데이터와 그 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혼합 영상 데이터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입력부
102 : 스위쳐
103 : A/D 변환부
104 : 메모리
105 : 선택 제어부
106 : 화상간 예측 부호화부
107 : 화상 압축부
108 : 화상간 부호화 정보 기억부
상기 과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영상 데이터 기록 기술로서,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시분할로 혼합된 혼합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억한 후, 각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 또는 필드 수에 따라 소정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그 메모리로부터 반복하여 판독하여, 1회째에 판독한 그 소정의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2회째에 판독한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를 행하는 구성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를 기본 구성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와, 상기를 경시적 기본 동작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기록 방법을 본 발명으로서 제안한다.
본원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결부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의 관점에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는, 복수대의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화상간 예측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의 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예도, 도 2는 도 1의 장치에서의 혼합 영상 데이터의 메모리 내에서의 기록 상태와 그 상태로부터의 판독의 설명도, 도 3은 도 1의 장치에서 메모리에 입력되는 혼합 영상 데이터와 그 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혼합 영상 데이터의 설명도이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101은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입력부, 참조 부호 102는 입력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전환하는 전환 수단으로서의 스위쳐, 참조 부호 103은 스위쳐(102)의 출력을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참조 부호 104는 FIFO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참조 부호 105는 스위쳐(102)의 전환을 제어함과 함께, 그 전환의 제어에 연동하여, 메모리(104) 내에서의 기억과 판독의 영역 지정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선택 제어부, 참조 부호 106은 메모리(104)로부터 판독된 혼합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를 행하는 부호화 수단으로서의 화상간 예측 부호화부, 참조 부호 107은 화상간 예측 부호화부(106)를 구성하고, 메모리(104)로부터 판독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는 화상 압축부, 참조 부호 108은 화상 압축부(107)에서 압축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의 정보(부호화 정보)를 기억하는 화상간 부호화 정보 기억부, 참조 부호 109는 화상간 부호화 정보 기억부(108)에 기억된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량을 제어하는 부호량 제어부, 참조 부호 110은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광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이다. 스위쳐(102)로부터는, 각 영상 데이터의 화상이 간헐 화상(n프레임당 1프레임의 화상)으로서 출력된다. 메모리(104)에는, 상기한 프레임 화상이, 취득된 순서로 축적된다. 메모리(104) 내에 사전에 마찬가지로 기입되어(기억되어) 있는 프레임 화상은, 영상 데이터 단위로 판독된다. 부호량 제어부(109)는, 영상 데이터의 1프레임마다 또는 1필드마다 독립된 제어를 행한다.
도 2는 도 1의 장치에서의 선택 제어부(105)의 동작 설명도로서, 혼합 영상 데이터의 메모리(104) 내에서의 기억과 판독의 영역 지정의 제어의 설명도이다.
도 2에서, 참조 부호 51은 메모리(104)에 입력되는 혼합 영상 데이터로서, 4개의 영상 데이터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의 m-n, 즉, 1-1, 1-2, 1-3, …, 2-1, 2-2, 2-3, …, 3-2, 3-4, 3-6, 4-1, 4-2, 4-3, …에서, 「m」(m=1, 2, 3, 4)은 4개의 라벨이 부착된 영상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고, 「n」은 각각의 영상 데이터에서 시계열로 번호가 붙여진 복수의 프레임을 나타낸다. 즉, 1-1은 영상 데이터1의 프레임1을 나타낸다. 본 도시의 예는, 영상 데이터1, 영상 데이터2, 영상 데이터3의 기록 프레임 레이트를 4프레임마다 1프레임 기록하는 것으로 하고, 영상 데이터3의 기록 프레임 레이트를 8프레임마다 1프레임 기록하는 것으로 한 경우이다. 참조 부호 52는, 메모리(104)의 기록 상태를 시계열로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 참조 부호 53은, 메모리(104)로부터 4프레임씩 영상 데이터 단위로 판독된 혼합 영상 데이터이다. 메모리의 기록 상태(52)에서, 사각틀 1개가 1프레임분의 영상 데이터 저장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굵은 선의 사각틀은, 그 시각에 판독·기입되는 영역을 나타내고, 화살표는 판독·기입 동작을 나타낸다. 사선 사각 부분에는, 각 영상 데이터의 「1」로 라벨 부착되기 전의 시각의 프레임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104)로부터 판독되는 영상 데이터(53) 중, 굵은 선의 사각틀의 영상 데이터에서는, 영상 데이터3(「3」으로 라벨 부착된 영상 데이터)의 기록 프레임 레이트가 4프레임마다 1프레임 기록하는 프레임 레이트이면, 프레임 3-1, 3-2, 3-3, 3-4가 출력되지만, 기록 프레임 레이트가 절반이기 때문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1-1, 1-2, 1-3, 1-4가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 제어부(105)에 의해, 메모리(104)의 판독과 기입(기억)을 제어함으로써, 혼합 영상 데이터의 재배열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1의 장치에서 메모리에 입력되는 혼합 영상 데이터와 그 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혼합 영상 데이터의 설명도이다.
도 3에서, 참조 부호 61은 메모리(104)에 기입되는(기억되는) 혼합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며, 1-1, …, 4-9로 라벨 부착되는 프레임만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62는 메모리(104)로부터 판독되는 혼합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고, 1-2, …, 4-8로 라벨 부착되는 프레임만을 나타내고 있다. 메모리(104)로부터 판독되는 혼합 영상데이터(62)에서, 도면에서의 굵은 선의 사각틀 부분은, 영상 데이터1의 연속한 4개의 프레임 1-1, 1-2, 1-3, 1-4를 반복하여 메모리(104)로부터 판독하여 출력하는 시간대를 나타내고, 여기서는, 2회째에 판독된 연속한 4개의 프레임을 나타낸다. 선택 제어부(105)는,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의 기록 프레임 레이트를 낮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시간에서, 하나의 영상 데이터의 연속한 복수 프레임을 메모리(104)로부터 반복하여 선택하여 판독한다. 도 3에서는, 1-1, …, 1-4, 2-1, …, 2-4, 또는 4-1, …, 4-4의 3개의 영상 데이터의 연속한 4프레임분, 또는, 3으로 라벨 부착된 영상 데이터의 1로 표시되는 이전의 연속한 4프레임분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 2 및 도 3에서는, 각 영상 데이터의 단위 시간당의 기록 프레임 수를 적게 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연속한 복수 프레임을 반복하여 선택하여 출력하는 시간을 확보하도록 하였지만, 이 외, 그 시간은, 예를 들면 혼합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영상 데이터의 수를 적게 함으로써 확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에서의 화상간 예측 부호화부(106)의 동작은 이하와 같이 된다.
메모리(104)로부터 판독된 영상 데이터는 화상 압축부(107)에 공급되어, MPEG 등의 부호화 방법에 의해 압축 부호화(압축 변환)된다. 화상 압축부(107)에서 압축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는 기록 매체(110)에 기록된다. 상기 화상 압축부(107)에서의 압축 부호화의 부호화 정보는, 화상간 부호화 정보 기억부(108)에 기억된다. 기억되는 부호화 정보는, 프레임마다 생성된 부호량, 설정한 목표 부호량, 움직임 벡터량이다. 화상간 부호화 정보 기억부(108)는, 선택제어부(105)에 의해 지정되는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 정보를, 부호량 제어부(109)에 공급한다. 부호량 제어부(109)는, 메모리(104)로부터 판독된 영상 데이터가, 1순째 즉 반복하여 메모리(104)로부터 판독된 소정의 영상 데이터의 연속한 복수 프레임이 아닌 경우에는, 그 영상 데이터의 이전의 부호량과 설정한 목표 부호량으로부터 화상 압축부(107)에서의 압축 부호화의 목표 부호량을 설정한다. 그 이전의 부호량이 목표 부호량보다 클 때는, 화상 압축부(107)에서 생성되는 부호량이 작아지도록 목표 부호량을 설정하고, 그 이전의 부호량이 목표 부호량보다 작을 때는, 화상 압축부(107)에서 생성되는 부호량이 커지도록 목표 부호량을 설정한다.
부호량 제어부(109)는, 메모리(104)로부터 판독된 영상 데이터가, 2순째 이후의 연속한 프레임 즉 반복하여 메모리(104)로부터 판독된 소정의 영상 데이터의 연속한 복수 프레임인 경우에는, 화상 압축부(107)에서 생성되는 부호화 데이터가, 연속한 복수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목표로 하는 부호량으로 되도록 목표 부호량을 설정함과 함께, 움직임 벡터량이 큰 프레임 즉 움직임이 큰 프레임에서는 생성 부호량을 크게 하고, 움직임 벡터량이 작은 프레임 즉 움직임이 작거나 또는 움직임이 없는 프레임에서는 생성 부호량을 작게 하도록, 각각, 프레임간의 차분을 부호화하는 프레임에 대하여 1프레임마다 목표 부호량을 제어한다.
선택 제어부(105)는, 연속한 복수 프레임을 메모리(104)로부터 반복하여 출력시키는 영상 데이터의 선택을,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즉, 선택 제어부(105)는, 부호화 정보 기록부(108)에 기록된 과거의 프레임마다의 생성된 부호량, 설정한 목표 부호량 또는 움직임 벡터를, 영상 데이터마다 비교하여, 생성부호량과 설정한 목표 부호량과의 차가 상대적으로 크고, 움직임이 큰 순서대로 영상 데이터에 우선 순위를 붙이고, 반복하여 출력 가능하며 또한 우선 순위가 높은 영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4개의 영상 데이터1, 2, 3, 4의 우선 순위가, 영상 데이터1, 영상 데이터2, 영상 데이터3, 영상 데이터4의 순인 것으로 하면,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영상 데이터1을 선택하고, 그 연속한 프레임 1-1, …, 1-4를 출력한다. 또한, 영상 데이터의 그 우선 순위는, 사용자 지정에 의해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화상간 예측 부호화부(106)에서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기록부(110)에서 광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선택 제어부(105)에 의해 영상 데이터의 연속한 복수 프레임이 반복하여 부호화된 경우에는, 마지막으로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연속한 복수 프레임의 데이터만이 기록된다.
상기 도 1∼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의 동작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장치 내의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컴퓨터가 그 동작의 수순을 실행함으로써 실시된다. 그 프로그램은, 그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내에 기억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할 때, 시스템 규모를 억제한 상태에서, 압축 부호화를 리얼타임으로 행할 수 있어, 재생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레임간의 예측 부호화를 행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필드간의 예측 부호화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금회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를 리얼타임으로 행할 수 있어, 재생 영상의 화질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0)

  1.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혼합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로서,
    입력된 상기 혼합 영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각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 또는 필드 수에 따라 소정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반복하여 판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1회째에 판독한 상기 소정의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2회째에 판독한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를 행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를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2.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디지털 혼합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로서,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입력된 각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 또는 필드 단위로 전환하여, 혼합 영상 데이터로 하는 전환 수단과,
    상기 혼합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 또는 필드 단위로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혼합 영상 데이터 중의 영상 데이터 수, 각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 또는 필드 수에 따라, 소정의 영상 데이터의 연속한 복수 프레임 또는 복수 필드를선택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반복하여 판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판독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함과 함께, 1회째에 판독한 상기 소정의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2회째에 판독한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의 부호량을 제어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를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수단은, 설정된 목표 부호량과, 압축 부호화된 부호량과, 프레임 또는 필드마다의 움직임 벡터를 기억 가능한 구성인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수단은, 상기 2회째에 판독한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의 움직임 벡터의 크기를, 상기 1회째에 판독한 상기 소정의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정보의 그것과 비교하여, 상기 2회째에 판독한 영상 데이터의 움직임 벡터쪽이 클 때는, 부호량이 커지도록 목표 부호량을 설정하고, 작을 때는 부호량이 작아지도록 상기 목표 부호량을 설정하는 구성인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에 우선 순위를 붙이고, 우선 순위가 높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영상 데이터로서, 그 복수 프레임 또는 복수 필드를 반복하여 판독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인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된 부호화 목표량과 부호화된 부호량과의 차분 절대값이 크고, 프레임마다 또는 필드마다의 움직임 벡터가 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영상 데이터로 하여, 그 복수 프레임 또는 복수 필드를 반복하여 판독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인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7.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디지털 혼합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제1 단계와,
    입력된 각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 또는 필드 단위로 전환하여, 혼합 영상 데이터를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형성된 혼합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 또는 필드 단위로 기억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혼합 영상 데이터 중의 영상 데이터 수, 각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 또는 필드 수에 따라, 소정의 영상 데이터의 연속한 복수 프레임 또는 복수 필드를 선택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반복하여 판독하는 제4 단계와,
    상기 판독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함과 함께, 1회째에 판독한 상기 소정의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2회째에 판독한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의 부호량을 제어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6 단계
    를 거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기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는, 상기 2회째에 판독한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의 움직임 벡터의 크기를, 상기 1회째에 판독한 상기 소정의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정보의 압축 부호화의 움직임 벡터와 비교하여, 상기 2회째에 판독한 영상 데이터의 움직임 벡터쪽이 클 때는, 부호량이 커지도록 목표 부호량을 설정하고, 작을 때는 부호량이 작아지도록 상기 목표 부호량을 설정하는 영상 데이터 기록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에 우선 순위를 붙이고, 우선 순위가 높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영상 데이터로서, 그 복수 프레임 또는 복수 필드를 반복하여 판독하도록 제어하는 영상 데이터 기록 방법.
  10.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혼합 영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영상 데이터 기록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에,
    입력된 상기 혼합 영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순과,
    각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 또는 필드 수에 따라 소정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반복하여 판독하도록 제어하는 수순과,
    1회째에 판독한 상기 소정의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2회째에 판독한 영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를 행하는 수순과,
    상기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수순
    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기록 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40038088A 2003-05-30 2004-05-28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 KR100593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55189A JP2004357191A (ja) 2003-05-30 2003-05-30 映像データ記録装置、映像データ記録方法及び映像データ記録制御用プログラム
JPJP-P-2003-00155189 2003-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395A true KR20040103395A (ko) 2004-12-08
KR100593352B1 KR100593352B1 (ko) 2006-06-28

Family

ID=3344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8088A KR100593352B1 (ko) 2003-05-30 2004-05-28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240552A1 (ko)
JP (1) JP2004357191A (ko)
KR (1) KR100593352B1 (ko)
CN (1) CN131168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112B1 (ko) * 2005-12-21 2007-04-13 (주)아이디스 저장 매체 및 저장 매체에 영상 데이터를 갱신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8324B2 (ja) * 2007-06-14 2012-07-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システム、画像再生方法
CN108718395B (zh) * 2018-06-08 2021-05-11 深圳市云智易联科技有限公司 一种分段视频录制的方法及行车记录仪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9642B2 (ja) * 1995-05-31 2002-07-2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情報記録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5870139A (en) * 1995-08-28 1999-02-09 Ultrak, Inc. Method and system for video multiplexing
JPH0993537A (ja) * 1995-09-27 1997-04-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ジタル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ディジタル映像信号符号化方法
JPH10276365A (ja) * 1997-03-31 1998-10-13 Hitachi Ltd 映像データ圧縮装置、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映像データの圧縮符号化方法
KR100309695B1 (ko) * 1998-06-01 2001-12-28 구자홍 간헐영상의압축기록방법및압축간헐영상의재생방법
JP2000243062A (ja) * 1999-02-17 2000-09-08 Sony Corp 映像記録装置および映像記録方法、ならびに集中監視記録システム。
US20040075741A1 (en) * 2002-10-17 2004-04-22 Berkey Thomas F. Multiple camera image multiplex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112B1 (ko) * 2005-12-21 2007-04-13 (주)아이디스 저장 매체 및 저장 매체에 영상 데이터를 갱신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57191A (ja) 2004-12-16
KR100593352B1 (ko) 2006-06-28
CN1574940A (zh) 2005-02-02
US20040240552A1 (en) 2004-12-02
CN1311684C (zh)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9586B1 (ko) 동화상 부호화 방법과 장치 및 동화상 복호화 방법과 장치
JP4898589B2 (ja) 画像圧縮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EP0732849A2 (en) Motion picture data decoding system
EP0545323A1 (en) Motion picture decoding system
JP4682102B2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方法
JP2952196B2 (ja) 映像信号符号化装置及び方法
US8184700B2 (en) Image decoder
US20020003573A1 (en) Processing apparatus,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US7515760B2 (en) Multiple picture-data compression system
US8300692B2 (en) Moving picture coding method, moving picture decoding method, moving picture coding device, and moving picture decoding device
US6882687B2 (en) Compressed image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593352B1 (ko)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
JP2001352524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2007158778A (ja) トリック再生用コンテンツ作成方法および装置、トリック再生用圧縮動画データ送出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トリック再生用コンテンツ作成用プログラム
JP2897035B2 (ja) 動画像符号化制御方式
JP4487196B2 (ja)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160021A (ja) 信号処理方法および信号処理装置
JP2009081727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4343201A (ja) 記録装置
KR100256648B1 (ko) 영상 부호화 시스템의 압축 정보 포맷
JPH10257422A (ja) 画像記録再生装置
JP2006295492A (ja) 画像処理装置
JP2005159832A (ja) 信号処理装置
JPH03224380A (ja) Dct圧縮動画データの記録・再生方式
JPH0767073A (ja) 画像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