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450A -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450A
KR20040102450A KR1020030033899A KR20030033899A KR20040102450A KR 20040102450 A KR20040102450 A KR 20040102450A KR 1020030033899 A KR1020030033899 A KR 1020030033899A KR 20030033899 A KR20030033899 A KR 20030033899A KR 20040102450 A KR20040102450 A KR 20040102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opening
sewage
foreign material
sanitary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경
최영수
Original Assignee
한종경
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경, 최영수 filed Critical 한종경
Priority to KR1020030033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2450A/ko
Publication of KR20040102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45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조 등에 수집되는 오수중의 이물질을 오수의 동압을 이용하여 간편하면서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는, 상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과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상부 지지판에 평행하게 결합되는 하부 지지판과;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오수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 지지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거름망;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 거름망의 내부는 다수의 격벽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이물질 수집실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이물질 수집실의 하부벽에는 이물질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일측에는 회전 거름망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이물질 개폐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유입되는 오수의 동압이 상기 격벽에 작용하여 회전 거름망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지지판에는 오수 유입관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지지판에는, 내주 및 외주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상기 회전 거름망의 이물질 배출구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내외측 벽에 의해 상기 개폐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오수 배출공과, 상부를 지나는 개폐판이 하향 회전될 수 있도록 내주 및 외주가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물질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Device for Seperating Foreign Substance from Filth Water}
본 발명은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화조 등에 수집되는 오수중의 이물질을 오수의 동압을 이용하여 간편하면서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주택에서 발생되는 인분이나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 등의 오물은 지중에 매입되어 있는 정화조에 수집되며, 정화조가 어느 정도 채워지게 되면 별도의 오물 운반 차량에 적재되어 하수 종말 처리장으로 이동된 후 정화 처리되거나, 오물 처리 차량에 적재되어 운반 중 일차 처리된 후 하수 종말 처리장에서 최종 정화처리되는 바, 정화조에 수집되어 있는 오물을 차량에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펌프가 장착되어 있는 긴 호스를 정화조 내부로 삽입하여 펌프 내부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흡입-토출력에 의해 정화조 내부의 오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그런데, 정화조로 수집되는 오수 중에는 인분이나 분뇨만 수용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머리카락, 생리대, 휴지, 각종 비닐 등 여러 가지 이물질이 함께 섞여 정화조 내부로 투입되기 때문에, 상기한 각종 이물질이 배출 펌프의 임펠러를 통과하는 중에 임펠러와 펌프 하우징 사이의 좁은 틈 사이에 걸려서 펌프가 정지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이 경우 펌프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오물 배출 작업을 중단해야 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펌프 가동 전에 정화조 내부의 이물질을 긴 도구 등을 이용해 을 분리해 내야하는 등 오물 배출 작업이 순조롭게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오물의 배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화조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오수 배출관에 필터를 설치하는 경우 배출되는 이물질에 의해 단시간에 필터가 막히게 되므로 이를 수시로 제거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오물 수집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화조에 수집되는 오수중의 이물질을 오수의 동압을 이용하여 간편하면서도 확실하게 분리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의 조립상태 주요부 종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부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 거름망 2 : 상부 지지판
3 : 하부 지지판 11 : 격벽
12 : 오수 통과공 14 : 이물질 배출구
15 : 개폐판 21 : 오수 유입관
31 : 오수 배출공 32 : 이물질 통과공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는, 상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과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상부 지지판에 평행하게 결합되는 하부 지지판과;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오수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 지지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거름망;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 거름망의 내부는 다수의 격벽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이물질 수집실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이물질 수집실의 하부벽에는 이물질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일측에는 회전 거름망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이물질 개폐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유입되는 오수의 동압이 상기 격벽에 작용하여 회전 거름망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지지판에는 오수 유입관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지지판에는, 내주 및 외주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상기 회전 거름망의 이물질 배출구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내외측 벽에 의해 상기 개폐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오수 배출공과, 상부를 지나는 개폐판이 하향 회전될 수 있도록 내주 및 외주가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물질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동력 없이 오수의 동압에 의해 회전 거름망이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확실하게 분리하여 별도로 설치되는 이물질 수집조에 수집할 수 있으므로, 막한 필터를 청소하는 번거로움 없이 하여 수집조에 수집된 이물질을 일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주요부 종 단면도를 나타내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는 회전 거름망(1)과 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지지판(2) 및 하부 지지판(3)으로 구성된다.
상부 지지판(2)과 하부 지지판(3)은 다수의 연결봉(41)에 의해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상호 고정되어 그 사이의 공간에 회전 거름망(1)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각각의 지지판에 연결봉(41)을 용접하거나 본 실시예와 같이 너트(42) 및 스프링 와셔(43)를 사용하여 나사 결합하게 된다.
상부 지지판(21)의 상부에는 오수 유입관(21)이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벗어난 지점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서, 유입되는 오수가 수직 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 경사지게 낙하되면서 상부 지지판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 거름망(1)의 격벽(12)에 수평 방향의 회전력을 가하여 회전 거름망을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 거름망(1)은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오수 유입관을 통과한 오수가 상부 개부부를 통해 회전 거름망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며, 오수중에 섞여 있는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고 오수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측벽 및 하부벽에는 다수의 오수 통과공(1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오수의 동압에 의한 회전 거름망의 회전 작동이 가능하도록 회전 거름망의 내부는 다수의 격벽(11)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이물질 수집실(13)로 구획되어 있으며, 각각의 이물질 수집실의 하부벽에는 이물질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고, 이물질 배출구(14)의 일측에는 회전 거름망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이물질 배출구(14)를 개폐하는 개폐판(15)이 힌지(15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하부 지지판(3)은 회전 거름망(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 거름망의 회전 위치에 따라 개폐판(15)을 개폐 작동시키는 역할를 하는 것으로, 오수 배출공(31)은 내주 및 외주가 이물질 배출구(14) 보다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상부를 지나는 개폐판(15)은 오수 배출공(31)의 내외측 벽(31a, 31b)에 의해 지지되어 폐쇄 상태로 유지되므로,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개폐판 상부에 잔류되고 오수만이 개폐판을 포함한 하부벽 및 측벽의 오수 통과공(12)을 통해 정화조 내부로 배출된다.
한편, 하부 지지판(3)의 이물질 통과공(32)은 개폐판과 겹치지 않도록 그 내주 및 외주가 이물질 배출구(14)보다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상부를 지나는 개폐판은 힌지(15a)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며, 따라서 개폐판의 상부에 잔류되어 있던 이물질이 이물질 통과공(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물질 통과공(32)의 하부에는 호퍼(51)가 결합되어 있으며, 호퍼의 하단에는 정화조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이물질 수집조(도시 안함)에 연결되는 이물질 배출관(52)이 연결되어 있어서, 이물질 통과공(32)을 통해 배출된 이물질은 이물질 수집조에 수집되어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오수 배출공(31)과 이물질 통과공(32)의 경계부에는 구획벽(33)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물질 통과공(32)의 회전측 전방에 위치한 구획벽(33)에는 하향 개방되어 있던 개폐판(15)이 원활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안내면(33a)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거름망(1)은 상하부 지지판(2, 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면 어느 구조라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지지판(3)의 상부면에 원주 방향으로 지지홈(36)을 형성하고 지지홈에는 다수의 로울러(37)를 설치함으로서 회전 거름망(1)의 원통형 외벽 하부를 원활하게 지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격벽들의 중앙부에는 회전축(16)을 형성하고, 상부 지지판(2) 및 하부 지지판(2)에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공(22, 35)을 각각 형성함으로서, 회전 거름망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미설명 부호 34는 오수 배출공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벽, 36a는지지홈(36)에 고인 오수를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관통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물질 분리장치는 오수 통과공(12)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정화조 내부에 수집될 수 있도록 정화조 내부에 설치되거나, 정화조와 연통되는 별도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오수 유입관(21)은 오수 수집관로에 연결되고, 이물질 배출관(52)은 정화조 측면에 별도로 설치되는 이물질 수집조에 연결되는 바, 오수 유입관(21)을 통해 오수가 유입되면, 오수의 동압이 격벽(11)에 경사방향으로 작용하여 격벽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회전 거름망(1)이 회전하게 되며, 회전 거름망(1)이 도 1의 오수 유입관(21) 우측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는 동안 회전 거름망(1)의 회전 방향 전방 수개의 이물질 수집실(13)에 해당하는 개폐판(15)은 폐쇄 상태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물질은 회전 거름망의 원통형 측벽 및 개폐판에 형성되어 있는 오수 통과공(12)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물질 수집실에 잔류되며, 오수만이 오수 통과공(12)을 통해 정화조로 수집된다.
회전 거름망(1)이 더욱 회전하여, 이물질이 잔류되어 있는 이물질 수집실이 하부 지지판의 이물질 통과공(32) 상부를 지나게 되면, 개폐판(15)이 하향 회전하여 개폐판(15) 상부에 잔류되어 있던 이물질이 이물질 배출구(14) 및 이물질 통과공(32)을 통해 호퍼(51)로 탈락됨으로서 이물질이 분리되는 바, 회전 거름망이 지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 1의 우측 부분 즉, 오수 배출공(31)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오수와 이물질의 분리 작용이, 도 1의 좌측 부분 즉, 이물질 통과공(32)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이물질 배출 작용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물질 배출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동력 없이 오수의 동압에 의해 회전 거름망이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확실하게 분리하여 별도로 설치되는 이물질 수집조에 수집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막힌 필터를 빈번하게 청소하는 번거로움 없이 수집조에 수집된 이물질을 정화조 청소시 일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물질에 의해 임펠러가 정지되는 일 없이 정화조 청소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과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상부 지지판에 평행하게 결합되는 하부 지지판과;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오수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 지지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거름망;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 거름망의 내부는 다수의 격벽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이물질 수집실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이물질 수집실의 하부벽에는 이물질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일측에는 회전 거름망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이물질 개폐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유입되는 오수의 동압이 상기 격벽에 작용하여 회전 거름망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지지판에는 오수 유입관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지지판에는, 내주 및 외주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상기 회전 거름망의 이물질 배출구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내외측 벽에 의해 상기 개폐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오수 배출공과, 상부를 지나는 개폐판이 하향 회전될 수 있도록 내주 및 외주가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물질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의 중앙부에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에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판에는 상기 회전 거름망의 원통형 외벽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홈에는 다수의 로울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KR1020030033899A 2003-05-28 2003-05-28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KR20040102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899A KR20040102450A (ko) 2003-05-28 2003-05-28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899A KR20040102450A (ko) 2003-05-28 2003-05-28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137U Division KR200324931Y1 (ko) 2003-05-31 2003-05-31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450A true KR20040102450A (ko) 2004-12-08

Family

ID=3737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899A KR20040102450A (ko) 2003-05-28 2003-05-28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24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2909A (zh) * 2018-10-26 2019-02-01 贵州兴贵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处理装置
CN114053772A (zh) * 2021-11-01 2022-02-18 江苏通用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过滤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2909A (zh) * 2018-10-26 2019-02-01 贵州兴贵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处理装置
CN114053772A (zh) * 2021-11-01 2022-02-18 江苏通用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过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348B1 (ko) 스크린, 와류, 여과 및 응집기능 복합형 종합 수처리장치
KR20130059090A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1804340B1 (ko) 잔류레미콘 처리장치
US8091474B2 (en) Rotary fan press
US7975854B2 (en) Rotary fan press
KR200324931Y1 (ko)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KR101390567B1 (ko) 하수 고액분리 집수정
KR20060005533A (ko)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CN112607888A (zh) 一种污水处理过滤装置
KR20040102450A (ko)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KR101634932B1 (ko) 유체 여과장치
KR100730319B1 (ko) 청수장치
KR101449642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102283859B1 (ko) 하수와 슬러지 분리기
KR20150071361A (ko)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KR10074497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16244B1 (ko)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JP2004358405A (ja) 管内異物除去装置
KR101176889B1 (ko) 고액 분리장치
KR200343308Y1 (ko)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KR101103570B1 (ko) 여과칼럼
KR20050051984A (ko)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KR2009000380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81324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951376B1 (ko)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