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308Y1 -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308Y1
KR200343308Y1 KR20-2003-0037256U KR20030037256U KR200343308Y1 KR 200343308 Y1 KR200343308 Y1 KR 200343308Y1 KR 20030037256 U KR20030037256 U KR 20030037256U KR 200343308 Y1 KR200343308 Y1 KR 200343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rotary sieve
foreign matter
rotary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태
Original Assignee
최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태 filed Critical 최종태
Priority to KR20-2003-0037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3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3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정화조 등에 수집되는 오수 중의 이물질을 간편하면서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다수의 오수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거름망과; 상기 회전 거름망의 내벽에 일체로 결합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회전 거름망의 일측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오수를 상기 회전 거름망 내측으로 안내하는 오수 유입관과; 상기 회전 거름망의 타측 하부의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이송 스크류에 의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이물질 수집조로 안내하는 호퍼와; 상기 회전 거름망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고안의 오수 이물질 배출장치에 따르면, 오수 유입관을 통해 회전 거름망 내측으로 공급되는 오수가 이송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중에, 오수중의 수분 및 미세 이물질은 회전 거름망의 오수 통과공을 통해 오물 수집조로 배출되며, 오수 통과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이물질은 중력 및 이송 스크류의 작용에 의해 회전 거름망의 배출측까지 이송되어 호퍼를 통해 이물질 수집조에 별도로 수집되게 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정화조 등에 수집되는 오수 중의 이물질을 간편하면서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Device for Seperating Foreign Substance from Filth Water}
본 고안은 오수중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정화조 등에 수집되는 오수 중의 이물질을 간편하면서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주택에서 발생되는 인분이나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 등의 오물은 지중에 매입되어 있는 정화조에 수집되며, 정화조가 어느 정도 채워지게 되면 별도의 오물 운반 차량에 적재되어 하수 종말 처리장으로 이동된 후 정화 처리되거나, 오물 처리 차량에 적재되어 운반 중 일차 처리된 후 하수 종말 처리장에서 최종 정화처리되는 바, 정화조에 수집되어 있는 오물을 차량에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펌프가 장착되어 있는 긴 호스를 정화조 내부로 삽입하여 펌프 내부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흡입-토출력에 의해 정화조 내부의 오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그런데, 정화조로 수집되는 오수 중에는 인분이나 분뇨만 수용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머리카락, 생리대, 휴지, 각종 비닐 등 여러 가지 이물질이 함께 섞여 정화조 내부로 투입되기 때문에, 상기한 각종 이물질이 배출 펌프의 임펠러를 통과하는 중에 임펠러와 펌프 하우징 사이의 좁은 틈 사이에 걸려서 펌프가 정지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이 경우 펌프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오물 배출 작업을 중단해야 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펌프 가동 전에 정화조 내부의 이물질을 긴 도구 등을 이용해 을 분리해 내야하는 등 오물 배출 작업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오물의 배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정화조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오수 배출관에 필터를설치하는 경우 배출되는 이물질에 의해 단시간에 필터가 막히게 되므로 이를 수작업으로 수시로 제거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용신안등록 제20-0324931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물질 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배출 장치에 따르면,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회전 거름망(101)이 다수의 격벽(111)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부 지지판(102)의 오수 유입관(121)을 통해 유입된 오수의 압력이 격벽(111)에 작용하여 격벽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회전 거름망(101)이 회전하게 되며, 회전 거름망(101)이 일정 각도 회전하는 동안, 회전 방향 전방 수개의 이물질 수집실(113)에 해당하는 개폐판(115)은 하부 지지판(103)에 형성되어 있는 오수 배출공(131)의 내외측 벽(131a, 131b)에 의해 지지되어 폐쇄 상태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물질은 회전 거름망(101)의 원통형 측벽 및 개폐판에 형성되어 있는 오수 통과공(112)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물질 수집실에 잔류되며, 오수만이 오수 통과공(112)을 통해 정화조로 수집되며, 회전 거름망(101)이 더욱 회전하여, 이물질이 잔류되어 있는 이물질 수집실이 하부 지지판의 이물질 통과공(132) 상부를 지나게 되면, 개폐판(115)이 하향 회전하여 개폐판(115) 상부에 잔류되어 있던 이물질이 이물질 배출구(114) 및 이물질 통과공(132)을 통해 호퍼(151)로 탈락됨으로서 이물질이 분리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물질 배출 장치는, 필터와는 달리 이물질 배출구(114) 및 이물질 통과공(132)를 통해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배출되므로, 이물질을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회전거름망(101)의 하부에 다수의 개폐판(11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을 수집하고 배출시키기 위해, 개폐판(115)이 하부 지지판(103)에 형성되어 있는 오수 배출공(131)의 내외측 벽(131a, 131b)에 의해 지지되는 폐쇄상태와, 지지 해제되어 하향 회전하는 개방 상태를 반복해야 하므로 작동 중 소음의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 배출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어서 실용화 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오물 수집 방식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정화조 등에 수집되는 오수 중의 이물질을 간편하면서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물질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의 조립상태 절결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 거름망 20 : 이송 스크류
30 : 베인 40 : 베이스 프레임
50 : 오수 유입관 60 : 호퍼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다수의 오수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거름망과; 상기 회전 거름망의 내벽에 일체로 결합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회전 거름망의 일측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오수를 상기 회전 거름망 내측으로 안내하는 오수 유입관과; 상기 회전 거름망의 타측 하부의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이송 스크류에 의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이물질 수집조로 안내하는 호퍼와; 상기 회전 거름망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고안의 오수 이물질 배출장치에 따르면, 오수 유입관을 통해 회전 거름망 내측으로 공급되는 오수가 이송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중에, 오수중의 수분 및 미세 이물질은 회전 거름망의 오수 통과공을 통해 오물 수집조로 배출되며, 오수 통과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이물질은 중력 및 이송 스크류의 작용에 의해 회전 거름망의 배출측까지 이송되어 호퍼를 통해 이물질 수집조에 별도로 수집되게 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정화조 등에 수집되는 오수 중의 이물질을 간편하면서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회전 거름망의 유입구측 내벽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베인을 설치하는 경우, 별도의 구동 모터 없이 오수 유입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의 압력에 의해 회전 거름망, 다시 말해 이송 스크류를 회전시켜 이물질 배출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정화조에 수집되는 오수 중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야채 쓰레기 등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야채 쓰레기로부터 오수를 분리해 내는 초기 처리 과정에도 적용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부하가 큰 점을 고려할 때 회전 거름망의 외벽에 스프로킷 등의 동력 전달체를 설치하여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거름망을 회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를나타내는 바, 회전 거름망(10)은, 전체 면에 걸쳐 다수의 오수 통과공(11)이 형성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제 다공판이나 스테인레스 망을 원형으로 절곡하여 구성되며, 양단에는 오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 방지판(18a, 19a)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관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내벽에는 이송 스크류(20)가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이송 스크류의 입구측의 내벽 원주 방향으로는 다수의 베인(30)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 거름망(10)은 베이스 프레임(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데,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 거름망(10)의 내측벽에 다수의 아암(12, 13)을 매개로 회전축(14, 15)이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축(14, 15)이 베이스 프레임(40) 양측의 축 지지부(41, 42)에 슬라이드 베어링(41a, 41b)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40)에 로울러(43, 44)를 설치하고, 회전 거름망(10)의 외주에는 로울러(43, 44)에 안착되는 "ㄷ"채널 형상의 회전 가이드(16, 17)를 설치함으로서, 회전 거름망를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회전 거름망을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식이면 어느 방식이나 무방하다.
전술 하였듯이, 베이스 프레임(40)은 회전 거름망(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회전 거름망(10)의 오수 통과공(11)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정화조 또는 오수 저장조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 중앙부의 회전 거름망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오수 배출구(41)가 개구되어 있으며, 일단부는 아파트 등의 오수 수집관로(5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회전 거름망의 일측 내부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오수 수집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회전 거름망 내부의 베인 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오수 유입관(50) 및 이송 스크류(20)에 의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이물질 수집조로 안내하는 호퍼(60)가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된다.
호퍼(60)의 하단에는 정화조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이물질 수집조(도시 안함)에 연결되는 이물질 배출관(61)이 연결되어 있어서, 이송 스크류에 의해 배출되는 이물질은 이물질 수집조에 수집되어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는, 회전 거름망의 오수 통과공(11)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정화조 내부에 수집될 수 있도록 정화조 내부에 설치되거나, 베이스 프레임의 오수 배출구(41)가 정화조의 투입구에 연통되는 상태로 정화조 상부에 설치될 수 있는 바, 정화조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오수 및 악취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40)의 상부에 커버(42)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수 유입관(50)을 통해 오수가 유입되면, 오수의 압력이 회전 거름망 내부의 베인(30)에 작용하여 회전 거름망(10)이 회전하게 되며, 회전 거름망(10)이 회전함에 따라, 오수 통과공(11)을 통과하지 못하는 이물질은 이송 스크류(20)에 의해 출구 측으로 서서히 밀려간 후, 호퍼(60) 및 이물질 배출관(61)을 통해 이물질 수집조로 배출되며, 오수는 오수 통과공(11)을 통과하여 회전 거름망 하부로 배출된 후 오수 배출구(41)을 통해 정화조에 수집된다.
이송 스크류(20)에 의한 이물질 배출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회전 거름망은 이물질 배출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회전 거름망(10)을 회전 구동하는 수단으로, 회전 거름망의 외벽에 스프로킷(71) 등의 동력 전달체를 설치하여 모터(72)의 동력에 의해 회전 거름망을 회전 구동시키며, 회전 거름망을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40)에 다수의 로울러(43, 44)를 설치하고, 회전 거름망(10)의 외주에는 로울러(43, 44)에 안착되는 "ㄷ"채널 형상의 회전 가이드(16, 17)를 설치되고, 야채 등으로부터 분리되는 오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40)이 통체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 거름망이 모터의 동력에 의해 큰 파워로 구동될 수 있으므로, 정화조에 수집되는 오수 등에 비해 수분이 비교적 적고 중량이 많이 나가는 야채 쓰레기 등으로부터 오수를 분리해 내는 초기 처리 과정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이물질 배출장치에 의하면, 오수 유입관을 통해 회전 거름망 내측으로 공급되는 오수가 이송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중에, 오수중의 수분 및 미세 이물질은 회전 거름망의 오수 통과공을 통해 오물 수집조로 배출되며, 오수 통과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이물질은 중력 및 이송 스크류의 작용에 의해 회전 거름망의 배출측까지 이송되어 호퍼를 통해 이물질 수집조에 별도로 수집되게 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정화조 등에 수집되는 오수 중의 이물질을간편하면서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이물질에 의해 임펠러가 정지되는 일 없이 정화조 청소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막힌 필터를 빈번하게 청소하는 번거로움 없이 수집조에 수집된 이물질을 정화조 청소시 일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베이스 프레임과;
    다수의 오수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거름망과;
    상기 회전 거름망의 내벽에 일체로 결합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회전 거름망의 일측에 배치되어 오수를 상기 회전 거름망 내측으로 안내하는 오수 유입관과;
    상기 회전 거름망의 타측 하부의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에 의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이물질 수집조로 안내하는 호퍼와;
    상기 회전 거름망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거름망의 유입구측 내벽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베인이 설치되어, 상기 오수 유입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의 압력이 상기 베인에 작용함으로서 상기 회전 거름망이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거름망은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KR20-2003-0037256U 2003-11-28 2003-11-28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KR200343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256U KR200343308Y1 (ko) 2003-11-28 2003-11-28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256U KR200343308Y1 (ko) 2003-11-28 2003-11-28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674A Division KR20050051984A (ko) 2003-11-28 2003-11-28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308Y1 true KR200343308Y1 (ko) 2004-02-27

Family

ID=4942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256U KR200343308Y1 (ko) 2003-11-28 2003-11-28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3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59466A (zh) * 2023-02-03 2023-05-05 广州市焕思实业有限公司 一种防堵型脉冲冲洗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59466A (zh) * 2023-02-03 2023-05-05 广州市焕思实业有限公司 一种防堵型脉冲冲洗器
CN116059466B (zh) * 2023-02-03 2023-09-12 广州市焕思实业有限公司 一种防堵型脉冲冲洗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1940A (en) Non-flushing toilet
KR10183891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69008B1 (ko) 협잡물 강제이송 및 절단장치가 장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0741992B1 (ko)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KR10148571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WO19950242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al of biological waste
KR200343308Y1 (ko)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KR100753808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KR20050051984A (ko)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KR200409043Y1 (ko) 농축, 탈수라인을 갖는 슬러지 처리장치
KR20050099424A (ko)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 장치
KR200445264Y1 (ko) 하수처리용 드럼 스크린 장치
KR102283859B1 (ko) 하수와 슬러지 분리기
KR10226340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74497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16244B1 (ko)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KR200324931Y1 (ko)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CN208104101U (zh) 一种污水处理箱
KR1023359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54407Y1 (ko)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 장치
KR1019073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56326Y1 (ko) 음식물 처리장치
PL111064B1 (en) Apparatus for neutralization of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waters
KR20040102450A (ko) 오수 이물질 분리장치
CN213171848U (zh) 一种屠宰加工废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