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104A - 대상물의 정면 진열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상물의 정면 진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104A
KR20040102104A KR10-2004-7016492A KR20047016492A KR20040102104A KR 20040102104 A KR20040102104 A KR 20040102104A KR 20047016492 A KR20047016492 A KR 20047016492A KR 20040102104 A KR20040102104 A KR 20040102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main body
hanger
display ba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제이. 화이트
Original Assignee
마이클 제이. 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클 제이. 화이트 filed Critical 마이클 제이. 화이트
Publication of KR2004010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10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9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2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involving details of the hoo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9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garments
    • A47F7/24Clothes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407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identifica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행어(102)는 제 1 평면에 배치된 주몸체(104)와 주몸체(104)에 결합된 후크(106)를 포함하며, 주몸체(104)와 후크(106)가 비동일 평면 관계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상물의 정면 진열 시스템{SYSTEM FOR FRONTAL DISPLAY OF OBJECTS}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대상물의 진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상물의 정면 진열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기술
의류, 타이, 매트, 타울, 린네르류 등과 같은 대상물의 진열을 위한 현존하는 시스템에서, 대상물은 진열바에 매달려진 행어에 걸리거나 클립된다. 복수의 대상물(12)이 전통적인 행어에 걸리어 로드(14)에 매달려진 것과 같은 시스템(10)은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전통적인 행어는 후크와 주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는 2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진열바와 상호작용하는 상부 및 행어의 주몸체와 상호작용하는 하부이다. 후크의 상부는 고리모양 형상이다. 따라서, 행어가 진열바 둘레를 오직 한 접촉점에서만 접촉하므로 대상물이 매달렸을 때에 상기 행어는 불안정하게 된다. 이들 행어가 로드(14)에 걸리면, 대상물의 좁은 쪽만이 보여지도록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진열 시스템에서 소비자 또는 사용자는 대상물의 정면을 쉽게 볼 수 없다. 사용자는 개개의 대상물 정면이 보이도록 노출시키기 위해 대상물을 떼어 놓아야하는 수고를 해야한다. 따라서, 예컨대 의류의 정면 및 후면에 있는 칼라스타일, 넥오프닝의 형상, 사용된 패스너의 형상 및 디자인과같은 대상물의 많은 특징을 사용자가 보는 것은 쉽지 않다. 구매자가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대상물의 전체를 보기 위해 로드에서 행어를 옮겨야하는 것은 소매상 진열에서 특히 불편한 것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의 대상물 진열 시스템(10)의 저면도이다. 전통적인 행어 및 진열로드(14)는 서로 직각을 이루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진열 시스템(10)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걸기 위해 필요한 바닥공간은 적어도 행어의 폭(W1) 만큼은 넓어야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행어는 제 1 평면에 배치된 주몸체 및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주몸체와 상기 후크가 비동일 평면 관계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 진열 시스템은 진열바 및 상기 진열바에 매달린 복수의 행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복수의 행어 각각은 각각의 복수의 대상물의 정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동시에 보여지는 방식으로 복수의 대상물의 한 대상물을 진열바에 대해 90도와는 다른 각도로 진열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행어는 제 1 평면에 배치된 주몸체 및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회전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주몸체와 상기 후크는 서로 소망 관계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 진열 시스템은 진열바 및 상기 진열바에 매달린 복수의 행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복수의 행어 각각은 주몸체및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회전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주몸체와 상기 회전 후크는 서로 소망 관계를 유지한다.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아래의 기술을 재검토 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관점과 특징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해 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더욱 완벽한 이해를 위해 상기 목적과 그로 인한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를 참조하며,
도 1A은 종래기술의 대상물 진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B는 도 1A의 종래기술의 대상물 진열 시스템의 저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정면 진열 시스템의 정면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정면 진열 시스템의 저면도,
도 2D는 도 2C의 대상물 진열 시스템의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어의 정면도,
도 3B 및 도 3C는 삽입 클립의 사용을 도시한 본 발명의 대체 실시예에 따른 행어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3D 및 도 3E는 대체 삽입 클립의 사용을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행어의 정면도와 배면도,
도 3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체 실시예에 따른 행어의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대체 실시예에 따른 행어의 주몸체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행어의 주몸체의 배면도,
도 4C는 도 4A의 행어의 저면도,
도 4D는 후크부의 일부와 상호작용하는 도 4A의 주몸체의 4D-4D에 따른 단면도,
도 5A는 도 3F의 삽입 튜브의 사시도,
도 5B는 결합 부재가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삽입 튜브와 결합 부재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도 5A의 삽입 튜브의 단면도,
도 6A는 도 3D의 삽입 클립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삽입 클립의 저면도,
도 6C는 도 6A의 삽입 클립의 평면도,
도 6D는 도 6C의 삽입 클립의 6D-6D에 따른 단면도,
도 6E는 결합 부재가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삽입 클립과 결합 부재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도 6C의 삽입 클립의 평면도,
도 6F는 결합 부재가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삽입 클립과 결합 부재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도 6E의 삽입 클립의 평면도,
도 7A는 결합 부재가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삽입 클립과 결합 부재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도 3B의 삽입 클립의 평면도 및
도 7B는 결합 부재가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삽입 클립과 결합 부재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도 3B의 삽입 클립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이점은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정면 진열을 위한 시스템(100)의 정면도이며 여기에서 진열된 각 대상물의 정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보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행어(102)는 드러나 있으며, 진열바 또는 로드(18)에 의류와 같은 대상물을 걸어서 사용할 때에는 상기 대상물을 진열바(18)에 대하여 어떤 각도를 가지며 향하게 한다. 따라서 대상물이 각기 걸려진 다수의 행어가 진열바(18)에 매달려 있는 경우, 각 대상물의 정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사용자에게 동시에 보여질 수 있다. 걸린 대상물은 행어에 의해 진열바(18)에 대해 어떤 각도를 가지고 향해지며 의류의 정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동시에 보여지도록 조금씩 겹쳐진다. 이로써 진열된 대상물에 대한 충분한 추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상기 대상물의 특징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각 대상물을 재배열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행어는 다양한 소매점, 지역, 도매상, 제조자 및/또는 이와 유사한 곳에서 이용될 수 있는 진열 대상물의 요구에 따라 대상물을 왼손잡이용(도 2A) 및/또는 오른손잡이용(도 2B)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행어는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진다. 원한다면 행어의 제조에 다른 제조 방법 및/또는 금속, 목재 및/또는 합성재료와 같은 다른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도 2C는 대상물 진열 시스템(100)의 저면도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행어(102)는 상기 행어가 진열바(18)에 대하여 90도와는 다른 각도를 가지고 향하게 진열바(18)에 매달려 있다. 행어가 어떤 각도를 가지고 향하여지기 때문에, 진열바(18)에 대상물을 걸기 위해 요구되는 바닥공간은 행어의 폭, 즉 W1(도 1B)보다 작다. 도 2C의 실시예에서, 행어(102)에 요구되는 바닥폭은 W2이며 여기에서 W2<W1이다.
도 2D는 대상물 진열 시스템(100)의 정면도이다. 행어(102)를 사용하는 진열바는 전통적인 행어가 사용될 때보다 벽에 더 가깝게 붙혀질 수 있다. 이는 대상물을 걸고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된 벽장 이나 방에서 특히 유용하다. 또한 진열바가 벽에 더 가깝게 배치되기 때문에 동일한 벽을 따라 하나 이상의 진열바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진열바(181)는 벽으로부터 Y의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된 제 2 진열바(182) 보다 X 만큼의 거리로 벽에 더 가까이 배치되며 여기에서 Y는 행어의 폭(W1) 보다 작다. 또한 제 1 진열바(181)는 제 2 진열바(182) 보다 더 높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스, 가운과 같은 긴 대상물이 제 1 진열바(181)에 진열될 수 있으며, 셔츠, 블라우스 및 바지와 같은 짧은 대상물은 아래의 제 2 진열바(182)에 진열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어(102)의 정면도, 도 3B 및 도 3C는 삽입 클립의 사용을 도시한 본 발명의 대체 실시예에 따른 행어(12)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3D 및 도 3E는 대체 삽입 클립의 사용을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행어(102)의 정면도 및 배면도, 그리고 도 3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체 실시예에 따른 행어(102)의 정면도이다.
행어(102)는 주몸체(104) 및 주몸체(104)에 결합된 회전 후크(10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후크(106)는 주몸체(10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주몸체(10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후크 수용 채널(108)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후크 수용 채널은 주몸체(104)내에서 수직방향을 향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후크(106)는 2부분으로 구성되며 이는 상부(116)와 하부(118)이다. 상부(116)는 진열바(18)와 상호작용하고 하부(118)은 주몸체(114)와 상호작용하며 후크 수용 채널(118)내에 배치된다. 상부(116)는 일반적으로 진열바에 걸려 유지되기 위해 곡선형 윤곽을 갖는다. 후크의 상부(116)는 부드러운 연속 곡선의 윤곽을 가지거나 예컨대 하나의 꼭대기 접촉 아암(1201), 2개의 상부 접촉 아암(1202, 1203) 및 하나의 측면 접촉 아암(1204)과 같은 복수의 불연속적인 접촉 아암(집합적으로 120)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접 접촉 아암은 서로에 대해 동일 각도를 갖는다. 따라서 예컨대 접촉 아암(1204,1202)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접촉 아암(1202,1201)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와 동일하며 이는 접촉 아암(1201,1203)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와도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후크의 상부(116)의 형상은 비원형이다. 행어(102)가 진열바에 매달려질 때, 상기 상부(116)의 비원형 형상은 상기 진열바를 행어(102)의 무게중심의 어느 쪽에든 위치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접촉점에서 후크(106)의 상부(116)와 접촉하게 한다. 이들 복수의 접촉점은 행어(102)에 보다 큰 안정성을 제공한다. 정지 위치에서, 상기 행어를 적어도 2개의 접촉점에서 상기 진열바와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점에서의 접촉량은 대상물이 작게 흔들려서 재빨리 자연 정지 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돕는다. 상부(116)와 진열바(18)간의 실제 접촉점 수는 진열바의 직경, 인접 접촉 아암간의 각도, 각 아암의 길이등에 따라 다양하다. 대상물이 안정된 위치에서 행어(102)에 진열되도록 상기 정지 접촉점이 행어(102)의 무게중심의 어느 쪽에든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는 상기 대상물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향하게 진열하는 것을 손쉽게 한다.
두 접촉 아암 사이의 각도는 각 아암의 축에 의해 상기 축의 교점에서 형성되는 각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접촉 아암(1202, 1203) 사이의 각도는 72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진열바가 후크(106)의 상부(116)와 적어도 2지점에서 접촉하는 한 원한다면 상기 접촉 아암은 서로 어떤 각도로도 있을 수 있다. 상부 접촉 아암간의 바람직한 각도 범위는 20도와 140도 사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후크(106)의 단면은 비원형이다. 원한다면, 후크(106)의 하부(118)의 단면만이 비원형일 수 있으며 회전 후크(106)의 상부(116)의 단면은 원형일 수도 비원형일 수도 있다. 용어 "후크의 하부"와 "결합 부재(engaging member)"는 이하에서 서로 바뀔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회전 후크(106)의 단면은 육각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한다면, 일반적인 후크(106) 및 특수한 후크(106)의 결합 부재(118)는 6개 이상 또는 이하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원한다면, 결합 부재(118)는 4 또는 8개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크(106)는 탄력이 있어 후크(106)를 구부리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재료 및 재료의 조합으로 만들어 진다. 예컨대, 후크(106)는 중질(heavy duty) 플라스틱과 같은 플라스틱 및/또는 스틸과 같은 금속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결합 부재(118)는 후크 수용 채널(10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118)가 후크 수용 채널(108)내로 삽입될 때, 채널(108)이 복수의 가능한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결합 부재를 "고정(lock)"하기에 적합하게 후크 수용 채널(108)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후크(106)와 행어 주몸체(104)가 동일 평면에 또는 다른 평면에 있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가능한 위치 각각은 후크(106)와 행어 주몸체(104)가 다른 평면에 있게 한다. 따라서, 행어(102)가 진열바에 매달려질 때, 행어 주몸체(104)의 평면이 상기 진열바의 축과 90도와는 다른 각도로 교차한다. 도 3B 내지 도 3E의 실시예에서, 행어 주몸체(104)가 상기 진열바의 축과 어떤 각도로 교차하도록 삽입 클립(112)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118)가 후크 수용 채널(108) 및 삽입 클립(112)내로 삽입될 때, 결합 부재(118)가 복수의 가능한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고정되기에 적합하게 후크 수용 채널(108) 및 삽입 클립(112)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후크(106)와 행어 주몸체(104)가 동일 평면에 또는 다른 평면에 있게 한다. 도 3F의 실시예에서, 행어 주몸체(104)가 상기 진열바의 축과 어떤 각도로 교차하도록 삽입 튜브(114)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118)가 후크 수용 채널(108) 및 삽입 튜브(114)내로 삽입될 때, 결합 부재(118)가 복수의 가능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고정되기에 적합하게 후크 수용 채널(108) 및 삽입 튜브(114)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후크(106)와 행어 주몸체(104)가 동일 평면에 또는 다른 평면에 있게 한다. 원한다면, 대체 실시예에서, 복수의 가능 위치 중 일부는 후크(106)와 행어 주몸체(104)가 동일 평면에 있게 하고, 이에 반하여 복수의 가능 지점 중 나머지는 후크(106)와 행어 주몸체(104)가 다른 평면에 있게 한다.
또한 행어(102)의 주몸체(104)는 클립 수용 공동부(cavity)(11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클립(112)이 클립 수용 공동부(110)내로 삽입될 수 있다. 결합 부재(118)가 삽입 클립(112)에 꼭맞는 끼움(snug)를 형성하도록 행어 후크(106)의 결합 부재(118)는 후크 수용 채널(108)을 통해 삽입 클립(112)내로 삽입될 수 있다. 원한다면, 대체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118)가 후크 수용 채널(108)내로 삽입된 후, 삽입 클립(112)이 결합 부재(118)에 "고정(clip)"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118)가 삽입 클립(112)내에 삽입될 때, 바람직하게는 삽입 클립(112)은 삽입클립(112)이 복수의 가능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결합 부재(118)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결합 부재 수용 슬롯(138)(도 6A)을 포함한다. 후크(106)의 결합 부재(118)는 유지 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홈(122)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지 부재(124)(도 6B)와 결합하며 상기 유지 부재는 결합 부재(118)가 주몸체(104)로부터 부주의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 클립(112)의 결합 부재 수용 슬롯(138)내에 제공된다.
도 7A 및 도 7B는 육각형 결합 부재(118)와 도 3B 및 도 3C의 삽입 클립(112)의 상호작용(interface)을 도시하며 도 6E 및 도 6F는 육각형 결합 부재(118)와 도 3D 및 도 3E의 삽입 클립(112)의 상호작용을 도시한다.
도 3A를 다시 참조하면, 오목부(indentation)가 클립 수용 공동부(110) 근처의 주몸체(104)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는 회전 후크가 회전할 때 삽입 클립(112)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 클립(112)의 적어도 일부분, 예컨대 플랜지(140 또는 142)(도 6C)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의 형상은 사용되는 삽입 클립의 형상과 대응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삽입 클립(112)이 사용될 때, 오목부의 형상이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이다. 반면에,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삽입 클립이 사용될 때, 오목부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라운드형이다.
대상물의 정면 진열을 손쉽게 하기 위하여, 행어(102)의 후크(106) 및 주몸체(104)가 다른 평면에 있거나 비동일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부재(118)가 삽입 클립(112)에 의해 복수의 위치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행어(102)의 후크(106)가 행어 주몸체(104)의 평면에 대하여 다른 각도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행어(102)가 진열바(18)에 어떤 각도로 배치되게 한다. 따라서, 행어(102)의 주몸체(104)는 진열바(18)의 세로축에 대해 어떤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행어(102)의 주몸체(104)가 진열바(18)에 대하여 배치되는 각도는 90도 또는 90도와는 다른 어떤 각도이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삽입 튜브(114)가 행어 주몸체(104)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후크 수용 채널(108)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채널 요소일 수 있다. 또한 삽입 튜브(114)는 결합 부재(118)를 수용할 수 있다.
결합 부재(118)는 꼭맞는 끼움을 형성하도록 삽입 튜브(114)와 작동가능하게 상호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튜브(114)의 내부는 결합 부재(118)가 삽입 튜브(114)내에 삽입될 때, 삽입 튜브(114)가 복수의 가능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결합 부재(118)를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도 5B는 육각형 결합 부재(118)와 삽입 튜브(114)의 상호작용을 도시한다. 결합 부재(118)가 삽입 튜브(114)에 의해 복수의 위치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행어(102)의 후크(106)가 행어 주몸체(104)의 평면과 다른 각도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행어(102)가 어떤 각도로 진열바(18)에 배치되게 한다. 따라서, 행어(102)의 주몸체(104)는 진열바(18)의 세로축에 대해 어떤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 삽입 튜브(114)의 구조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검토될 것이다.
비록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후크 수용 채널(108), 클립수용 공동부(110), 삽입 클립(112) 및/또는 삽입 튜브(114)가 볼 수 있게 만들어졌을 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대체 실시예가 있으며, 상기 것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은 숨겨질 수 있다.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의 실시예는 삽입 튜브를 포함하지 않으며 도 3F의 실시예는 삽입 클립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특히 주의해야한다. 따라서, 원한다면 상기 행어가 삽입 튜브 및/또는 삽입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도 3B 내지 도 3F로부터 명백해 진다. 원한다면, 상기 행어는 삽입 튜브도 삽입 클립도 포함하지 않고 여전히 대상물의 정면 진열을 쉽게 할 수도 있다. 이런 실시예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검토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대체 실시예에 따른 행어(150)의 주몸체(152)의 정면도, 도 4B는 주몸체(152)의 배면도, 도 4C는 주몸체(152)의 저면도 및 도 4D는 주몸체(152)의 4D-4D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삽입 튜브 및/또는 상기 클립은 상기 행어 주몸체의 요소로 형성되거나 주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몸체(152)의 후크 수용 채널(108) 자체가 복수의 오목부(154, 156, 162, 164)를 포함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154, 156)는 행어 주몸체(152)의 배면에 제공되며 오목부(162, 164)는 행어 주몸체(152)의 정면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오목부는 적어도 2개의 오목부, 예컨대 오목부(154, 152) 또는 오목부(156, 164)가 결합 부재(118)를 협력하여 고정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오목부를 거쳐 주몸체내로 삽입되고 복수의 가능 위치 중 한 위치내에 삽입된다.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몸체(152)는 갭(16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반육각형과 같이 형성된다. 오목부(154, 162)는 각기 복수의 위치 중 한 위치내에 후크를 고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육각형 구조의 배면과 정면이다. 마찬가지로, 오목부(156, 164)는 각기 복수의 위치 중 한 위치내에 후크를 고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육각형 구조의 배면과 정면이다. 육각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서로 협력하는 2개의 오목부를 갖는 것의 이점은 사용자가 후크를 회전시켜서 주몸체(152)에 대하여 상기 후크의 각을 변경하도록 다른 위치내에 상기 후크를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이다. 도 4D는 행어 주몸체(152)가 후크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도록 후크(105)와 접촉하는 가압지점(167, 168, 169, 170)을 도시한다.
비록 도 4A 내지 도4D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부가 복수의 위치 중 한 위치내에 후크를 고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육각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협력할 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원한다면, 바람직한 형상의 단일 오목부가 상기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행어(150)의 주몸체(152)는 소수 또는 다수의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행어 주몸체(152)는 공동부(158)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후크 유지 부재(160)가 공동부(158)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후크 유지 부재(160)는 후크(106)의 결합 부재(118)가 행어(150)의 주몸체(152)내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후크(106)가 주몸체(152) 밖으로 빠지는 것은 어렵게 하는 방향 스토퍼(directional stops)로써 작용한다. 후크(106)의 유지 홈(122)(도 3A)은 결합 부재(118)가 주몸체(152)로부터 부주의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 유지 부재(160)와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홈(122)의 하부가 유지 부재(160)의 하부와 상호작용한다. 유지 부재(160)와 유지 홈(122)은 어떤 형상도 될 수 있다. 유지 부재(160)와 유지 홈(122)의 형상은 후크(106)가 주몸체(152) 내부에서 다양한 고정 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형상이다. 어떤 수의 후크 유지 부재(160)도 사용될 수 있다. 원한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후크 유지 부재(160)의 일부가 주몸체(152)로부터 돌출된다.
원한다면, 후크 스토퍼(명확히 도시 안됨)가 후크의 행어 주몸체내 삽입을 쉽게 하고 상기 행어에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오목부(156)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크 스토퍼는 후크(106)가 주몸체(152) 아래로부터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 스토퍼의 형상은 오목하지만, 이는 어떤 형상이라도 될 수 있다. 또한 후크(106)의 결합 부재(118)가 회전되고 있을 때, 상기 행어가 휘어 지지 않으면서 상기 후크가 가능 위치 중 어느 한 위치내에 고정되는 것을 유지하도록 상기 후크 스토퍼가 상기 행어에 강도를 제공한다.
도 4A 내지 도 4D의 후크 수용 채널을 사용하면 후크(106)가 행어(150)의 주몸체(152)에 대하여 6개의 가능 위치 중 한 위치내에 위치할 수 있다. 후크 수용 채널(108)의 형상 때문에 후크(106)와 주몸체(152) 사이의 각도가 부주의하게 변경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후크의 위치를 확실히 변경시키기 전까지는 후크(106)는 주몸체(152)에 대해 소기의 각도를 유지한다.
후크(106)와 주몸체(152)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사용자는 후크(106)를 주몸체(152) 내에서 현재 정지 위치로부터 새로운 고정 위치로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갭(166)은 후크(106)의 결합 부재(118)가 회전할 때, 갭(166)을 둘러싼 주몸체(152)의 일부가 휘어지거나 약간 구부러지게 한다.
상기 후크의 평면과 상기 행어 주몸체의 평면 사이의 각도는 대상물이 상기 진열바에 대하여 향해지는 각도를 결정한다. 대칭 육각형 결합 부재(118)의 경우에, 행어(102)는 행어 주몸체(104)의 각 측면이 상기 진열바에 대해 3개의 위치 각도에 있음으로써 총 6개의 다양한 각도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열바(18)에 배치된다. 상기 다른 각도는 상기 대상물을 다양한 각도 및/또는 방향으로 진열하는 것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각도에 의해, 각각 대상물이 걸린 복수의 행어가 상기 진열바에 매달릴 때, 상기 대상물은 서로 겹친다. 그러나, 상기 대상물의 측면 대신에 각 대상물의 정면의 적어도 일부는 노출된다.
도 5A는 도 3F의 삽입 튜브(114)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결합 부재(118)가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의 상기 삽입 튜브와 상기 결합 부재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삽입 튜브(114)의 단면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튜브(114)의 바깥쪽 형상은 후크 수용 채널(108)의 형상과 대응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삽입 튜브(114)는 거의 원통형이다. 삽입 튜브(114)는 바깥쪽 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합 부재(128)가 제공된다. 결합 부재(128)은 행어(102)의 주몸체(104)에 제공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 결합 채널(도시 안됨)과 결합한다. 원한다면, 상기 결합 채널은 후크 수용 채널(108)의 요소가 될 수 있다. 결합 부재(128)와 후크 수용 채널(108)의 결합은 행어 주몸체(104)내의 정해진 위치에의 삽입 튜브(114)의 고정을용이하게 하며 삽입 튜브(114)의 이동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튜브(114)의 안쪽은 결합 부재(11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다. 삽입 튜브(114)의 안쪽은 결합 부재(118)가 삽입 튜브(114)내로 삽입될 때, 삽입 튜브(114)가 복수의 가능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결합 부재(118)를 고정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삽입 튜브(114)의 안쪽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바이어스 요소(biasing element)(130)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용 공동부(132)를 포함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이어스 요소(130)와 수용 공동부(132)의 수는 같으며 이는 결합 부재(118)의 측면 수와 동일하다.
결합 부재(118)의 일부, 예컨대 결합 부재(118)의 코너가 수용 공동부(132) 중 하나에서 정지하는 위치가 발견될 때까지, 결합 부재(118)는 행어 후크(106)를 간단하게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복수의 가능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결합 부재(118)의 각 코너는 수용 공동부(132) 중 하나내에 정지한다. 바이어스 요소(130)는 결합 부재(118)의 자유로운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삽입 튜브(114)를 사용하면, 후크(106)는 행어(102)의 주몸체(104)에 대하여 6개의 가능 위치 중 하나내에 위치될 수 있다. 삽입 튜브(114)의 안쪽 형상때문에, 후크(106)와 주몸체(104) 사이의 각도는 부주의하게 변경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후크의 위치를 확실히 변경시키기 전까지는 후크(106)는 주몸체(104)에 대해 소기의 각도를 유지한다.
도 6A는 도 3D의 삽입 클립(112)의 사시도, 도 6B는 삽입 클립(112)의 저면도, 도 6C는 삽입 클립(112)의 평면도, 도 6D는 도 6C의 삽입 클립(112)의 6D-6D에따른 단면도, 도 6E는 상기 결합 부재가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의 상기 삽입 클립과 결합 부재(118)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삽입 클립(112)의 평면도 및 도 6F는 상기 결합 부재가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의 상기 삽입 클립과 결합 부재(118)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삽입 클립(112)의 평면도이다.
삽입 클립(112)은 전면(134)과 후면(136)을 포함한다. 또한 삽입 클립(112)은 결합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 부재 수용 슬롯(138)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부재 수용 슬롯(138)은 삽입 클립(11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삽입 클립(112)의 중앙에 배치된다. 삽입 클립(112)은 2개의 대칭 플랜지(140, 142)를 포함한다. 플랜지(140, 142)는 상기 행어의 상기 주몸체내의 상기 오목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삽입 클립(112)은 행어(102)의 주몸체(104) 밖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행어 주몸체(104)에 매달려 있는 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한다.
결합 부재 수용 슬롯(138)은 결합 부재(118)가 삽입될 때, 삽입 클립(112)이 복수의 가능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결합 부재(118)를 "고정"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된다. 도 6A 내지 도 6F의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 수용 슬롯(138)은 결합 부재(118)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육각형이다. 따라서, 도 6A 내지 도 6F의 삽입 클립(112)을 사용하면 후크(106)는 행어(102)의 주몸체(104)에 대하여 6개의 가능한 위치 중 한 위치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부재 수용 슬롯(138)의 형상때문에, 후크(106)와 주몸체(104) 사이의 각도는 부주의하게 변경되지 않으며 후크(106)는 사용자가 위치를 확실히 변경시키기 전까지는 주몸체(104)에 대해 소기의 각도를 유지한다.
또한 삽입 클립(112)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후크 유지 부재(124)(도 6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결합 부재 수용 슬롯(138)의 안쪽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후크 유지 부재(124)는 후크(106)의 상부(116)로부터 떨어져 있는 삽입 클립(112)의 단부 근처에 배치된다. 원한다면, 후크 유지 부재(124)는 후크(106)의 상부(116)에 인접하는 삽입 클립(112)의 단부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유지 부재(124)는 후크(106)의 결합 부재(118)가 삽입 클립(112)내로 삽입되는 것은 허용하지만 후크(106)가 삽입 클립(112) 밖으로 빠지는 것은 어렵게 하는 방향 스토퍼로써 작용한다.
후크(106)의 유지 홈(122)(도 3A)은 결합 부재(118)가 삽입 클립(112)으로부터 부주의하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 유지 부재(124)와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홈(122)의 하부는 유지 부재(124)의 하부와 상호작용한다. 유지 부재(124)와 홈(122)는 어떤 형상도 될 수 있다. 유지 부재(124)와 유지 홈(122)의 형상은 후크(106)가 삽입 클립(112)내에 꼭끼워져 다양한 고정 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하는 형상이다. 어떤 수의 후크 유지 부재(124)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크 유지 부재(124)의 길이는 홈(122)의 길이와 동일하다. 후크 유지 부재(124)는 결합 부재 수용 슬롯(138) 안쪽의 어느 곳에도 위치할 수 있다. 원한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지 부재(124)의 일부는 삽입 클립(11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후크(106)와 주몸체(104) 사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사용자는 후크(106)를 삽입 클립(112) 내에서 현재 정지 위치로부터 새로운 고정 위치로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플랜지(140, 142)는 삽입 클립(112)이 후크(106)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행어 주몸체(104)와 상호작용한다.
도 6E는 결합 부재(118)가 삽입 클립(112)의 결합 부재 수용 슬롯(138) 안쪽의 6개의 가능한 정지 위치중 한 위치내에 있는 상태의 행어 주몸체(104), 삽입 클립(112) 및 결합 부재(118)를 도시한다. 도 6F는 한 고정 위치로부터 제 2 고정 위치까지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는 결합 부재(118)를 도시한다. 행어 주몸체(104)내의 후크 수용 채널(108)(도 3A)은 삽입 클립(112)의 결합 부재 수용 슬롯(138)으로부터 약간 편심되어있다. 이로써 결합 부재(118)가 한 고정 위치에서 다른 고정 위치로 회전될 때, 행어 주몸체(104)는 결합 부재(118)를 삽입 클립(112) 내의 복수의 위치 중 한 위치로 밀기 위해 압력을 가한다.
도 6A 내지 도 6F의 삽입 클립(112)은 일반적으로 둥근형상이며 바람직하게는 바닥은 평편한다. 원한다면, 삽입 클립(112)은 어떤 형상도 될 수 있다.
도 7A는 결합 부재(118)가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의 삽입 클립(112)과 결합 부재(118)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삽입 클립(112)의 평면도 및 도 7B는 결합 부재(118)가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의 삽입 클립(112)과 결합 부재(118)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삽입 클립(112)의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의 삽입 클립(112)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며 도 6A 내지 도 6F의 삽입 클립(112)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상기 삽입 클립의 몸체는 공동부를 포함한다. 행어의 조립시, 상기 공동부는 상기 후크가 상기 행어의 주몸체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의 평편한 바닥부에 압력을 가한다. 상기 유지 홈 및 상기 후크 유지 부재가 있음으로써 상기 후크의 평편한 바닥부에 압력을 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원한다면, 와셔, 예컨대 C형 클램프 고정 와셔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행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상기 행어의 주몸체에 제공되며 브랜드, 크기, 가격, 스타일, 색상 및/또는 다른 정보와 같은 정보의 빠르고 쉬운 확인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보 태그를 제거가능하게 상기 행어에 결합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태그는 푸시(push) 태그일 수 있으며 상기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탭을 포함한다. 원한다면, 상기 태그는 다른 몇몇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슬롯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행어가 정면의 노출부를 갖기 때문에, 상기 슬롯은 상기 노출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태그는 진열바에 걸린 복수의 행어에 제공되는 정보 태그가 동시에 보일 수 있게 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회전 후크의 상기 결합 부재, 상기 삽입 튜브 또는 상기 삽입 클립의 수용 공동부는 상기 삽입 튜브 및/또는 상기 삽입 클립의 수용 공동부가 상기 결합 부재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회전 후크를 복수의 위치 중 적어도 한 위치내에 고정할 수 있는 한 어떤 바람직한 형상도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 상기 삽입 튜브 및 상기 삽입 클립의 수용 공동부의 형상은 서로 대응할 필요는 없다. 원한다면, 상기 결합 부재, 상기 삽입 튜브 또는 상기 삽입 튜브의 수용 공동부는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삽입 튜브 및/또는 상기 삽입 클립의 수용 공동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한 다른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원한다면, 상기 삽입 클립은 상기 삽입 클립에의 인쇄 및/또는 상기 삽입 클립에의 라벨 부착이 가능하도록 다지인될 수 있다.
행어 주몸체(104)는 어떤 형상 또는 크기도 될 수 있으며 대상물이 매달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행어 후크의 기저부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암은 일직선형이거나 곡선형일 수 있다. 원한다면, 상기 아암은 서로 각도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주몸체는 삼각형, 타원형, 일직선형 및/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몸체는 미국 특허 제 6,006,964호에 공개된 구조와 같을 수 있다. 대상물은 상기 아암에 단순히 걸림으로써 행어에 매달릴 수 있다. 원한다면, 클립, 후크 또는 다른 장치가 주몸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물은 상기 장치에 의해 매달려 진다. 추가적인 채널 및 홈은 숄더 스트랩(strap), 스커트 스트랩 및 대상물의 다른 부분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행어에 제공될 수 있다.
운송시, 상기 행어 주몸체가 상기 진열바에 대하여 90도 각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진열시 일부 소매업자들은 상기 행어 주몸체가 상기 진열바에 대하여 90도와는 다른 각도에 있는 것을 바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부재가 복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행어의 상기 주몸체는 적용에 따라 상기 진열바에 대하여 90도 각도 또는 상기 진열바에 대하여 90도와는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 후크가 없는 전통적인 행어에서, 상기 대상물의 정면이 잘못된 방향으로 행해진 상태로 상기 행어가 상기 진열바에 배치되게 사용자가 상기 대상물을 상기 진열바에 부주의하게 배치한다면, 사용자는 상기 대상물을 치워서 상기 대상물의 정면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행어에 다시 배치하여야 한다. 회전 후크가 있는 전통적인 행어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행어의 주몸체에 배치되는 방법과 관계없이 상기 대상물의 정면이 바람직한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대상물이 상기 진열바에 배치되게 한다. 그러나, 회전 후크가 있는 전통적인 행어는 다수의 대상물을 일정한 수평 진열바를 따라 정면 진열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행어의 이점은 대상물의 정면이 항상 바람직한 방향을 향한 상태로 상기 대상물이 진열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대상물의 정면이 잘못된 방향으로 향해진 상태로 상기 대상물을 상기 행어에 배치한다면, 상기 대상물의 정면이 바람직한 방향을 향하게 하는 방법으로 상기 행어는 여전히 상기 진열바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를 쉽게 돌려서 상기 진열바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대상물의 정면이 올바른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대상물을 상기 진열바에 진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상기 행어는 상기 대상물을 일정한 수평 진열바를 따라 정면 진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의 이점은 진열된 대상물의 색상, 스타일, 패턴 및/또는 그 밖의 특성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상기 대상물이 상기 진열바에 빽빽하게 함께 채워져 있을 때에도 상기 대상물의 정면은 여전히 보져질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하나의 이점은 올바른 크기, 색상, 스타일 및 패턴을 갖는 대상물을 빠르고 쉽게 찾을수 있다는 점이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하나의 이점은 상기 대상물의 정면의 더 많은 부분이 진열된다는 것이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하나의 이점은 상기 행어의 폭 보다 좁은 벽장 또는 진열 케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이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상세히 보여지고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기술의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Claims (52)

  1. 제 1 평면에 배치된 주몸체 및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주몸체와 상기 후크가 비동일 평면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진열바에 매달릴 때, 상기 제 1 평면이 상기 진열바의 세로축과 90도와는 다른 각도로 교차하게 상기 후크가 상기 주몸체와 결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상기 후크부의 단면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상기 후크부의 단면이 육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상부가 서로 소망의 각도로 배치된 복수의 비연속적인 접촉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상부가 적어도 2개의 접촉점에서 상기 진열바와 접촉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하부가 상기 주몸체내에 상기 후크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후크의 일부와 작동가능하게 결합한 유지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가 상기 후크의 결합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용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용 채널이 상기 주몸체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와 상기 주몸체가 비동일 평면상에 있게 상기 후크를 복수의 소정의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후크의 결합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용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용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 채널은 상기 후크와 상기 주몸체가 비동일 평면상에 있게 상기 후크를 복수의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후크의 적어도 일부를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 유지 부재가 상기 후크의 상기 일부를 상기 주몸체내에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후크의 유지 홈과 작동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용 채널은 상기 후크를 복수의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키기에 적합하며, 상기 복수의 각 위치에서 상기 후크의 평면은 상기 제 1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대상물을 상기 진열바에 대하여 어떤 각도로 진열하기 위해 상기 진열바를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이 진열되는 상기 진열바에 대한 상기 각도가 상기 후크와 상기 주몸체 사이의 각도상의 적어도 일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가 정보 태그를 진열하도록 작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태그가 상기 주몸체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18. 주몸체,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후크 및
    상기 후크 및 상기 주몸체가 비동일 평면 관계를 유지하게 상기 후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삽입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클립이 상기 주몸체에 대하여 0도와는 다른 각도로 상기 후크를 작동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클립이 상기 후크의 상기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은 비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클립은 상기 후크의 상기 일부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은 상기 후크가 상기 주몸체에 대해 어떤 각도로 있게 상기 후크를 복수의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후크의 상기 일부를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위치에서 상기 후크의 평면이 상기 주몸체의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 유지 부재가 상기 후크의 상기 일부를 상기 주몸체내에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후크의 유지 홈과 작동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용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의 상기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용 채널 및 상기 삽입 클립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가 상기 삽입 클립의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가 상기 삽입 클립을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공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27. 주몸체,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후크 및
    상기 주몸체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삽입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튜브는 상기 후크와 상기 주몸체가 비동일 평면 관계를 유지하게 상기 후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튜브가 상기 후크를 상기 주몸체에 대하여 0도와는 다른 각도에서 작동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튜브가 상기 후크의 상기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은 비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튜브는 상기 후크의 상기 일부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은 상기 후크가 상기 주몸체에대해 어떤 각도로 있게 상기 후크를 복수의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후크의 상기 일부를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위치에서 상기 후크의 평면이 상기 주몸체의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용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 튜브는 상기 수용 채널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가 상기 삽입 클립을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공동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34. 진열바 및 상기 진열바에 매달린 복수의 행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각 행어는 상기 복수의 대상물 각각의 정면의 적어도 일부가 동시에 보일수 있게 복수의 대상물 중 한 대상물을 상기 진열바에 대하여 90도와는 다른 각도로 진열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진열 시스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행어 중 적어도 하나가
    제 1 평면에 배치된 주몸체 및
    상기 주몸체와 상기 후크가 비동일 평면 관계를 유지하게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진열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상기 후크의 일부의 단면이 육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진열 시스템.
  37. 제 35 항에 있어서,
    진열바에 매달릴 때, 상기 제 1 평면이 상기 진열바의 세로축과 90도와는 다른 각도로 교차하게 상기 후크가 상기 주몸체와 결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징으로 하는 대상물 진열 시스템.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상부가 서로 소망의 각도로 배치된 복수의 불연속 접촉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진열 시스템.
  39.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행어 중 적어도 하나가
    주몸체,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후크 및
    상기 후크와 상기 주몸체가 비동일 평면 관계를 유지하게 상기 후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삽입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진열 시스템.
  40.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행어 중 적어도 하나가
    주몸체,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후크 및
    상기 주몸체내에 수직으로 배치된 삽입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상기 후크와 상기 주몸체가 비동일 평면 관계를 유지하게 상기 후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진열 시스템.
  41. 제 1 평면에 배치된 주몸체 및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회전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주몸체와 상기 후크가 서로 소망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망의 관계는 동일 평면 관계 및 비동일 평면 관계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43. 제 41 항에 있어서,
    진열바에 매달릴 때, 상기 제 1 평면이 상기 진열바의 세로축과 90도와는 다른 각도로 교차하게 상기 후크가 상기 주몸체와 결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44. 제 41 항에 있어서,
    진열바에 매달릴 때, 상기 제 1 평면이 상기 진열바의 세로축과 90도 각도로 교차하게 상기 후크가 상기 주몸체와 결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45.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상기 후크부의 단면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46.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와 상기 주몸체가 비동일 평면상에 있게 상기 후크를 복수의 소정의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후크의 결합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용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47.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용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 채널은 상기 후크와 상기 주몸체가 비동일 평면상에 있게 상기 후크를 복수의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후크의 적어도 일부를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48.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와 상기 주몸체가 동일 평면상에 있게 상기 후크를 복수의 소정의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후크의 결합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용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49.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와 상기 주몸체가 동일 평면상에 있게 상기 후크를 복수의 소정의 위치 중 한 위치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후크의 결합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후크 수용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어.
  50. 진열바 및 상기 진열바에 매달린 복수의 행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각 행어는 주몸체를 포함하며 회전 후크는 상기 회전 후크와 상기 주몸체가 서로 소망의 관계를 유지하게 상기 주몸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진열 시스템.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행어는 상기 복수의 대상물 각각의 정면의 적어도 일부가 동시에 보일수 있게 복수의 대상물 중 한 대상물을 상기 진열바에 대하여 90도와는 다른 각도로 진열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진열 시스템.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행어는 복수의 대상물 중 한 대상물을 상기 진열바에 대하여 90도의 각도로 진열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진열 시스템.
KR10-2004-7016492A 2002-04-16 2003-04-16 대상물의 정면 진열 시스템 KR200401021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319402P 2002-04-16 2002-04-16
US60/373,194 2002-04-16
US38813102P 2002-06-12 2002-06-12
US60/388,131 2002-06-12
PCT/US2003/011674 WO2003088789A2 (en) 2002-04-16 2003-04-16 System for frontal display of obje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104A true KR20040102104A (ko) 2004-12-03

Family

ID=2925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492A KR20040102104A (ko) 2002-04-16 2003-04-16 대상물의 정면 진열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494555A4 (ko)
KR (1) KR20040102104A (ko)
CN (1) CN1655699A (ko)
AU (1) AU2003223628A1 (ko)
CA (1) CA2482576A1 (ko)
MX (1) MXPA04010184A (ko)
WO (1) WO200308878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S20080255A2 (en) * 2008-04-02 2010-04-28 Paul Jevens A garment hang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3504A (en) * 1976-03-22 1980-03-18 Milton Berkowitz Hanger for hanging fabric
US4361241A (en) * 1979-11-14 1982-11-30 Abrams Fixture Corporation Hanger support
US4312464A (en) * 1980-05-28 1982-01-26 Treiman Alfred A Latchable garment hanger
US4548328A (en) * 1981-07-10 1985-10-22 Protoned B.V. Clothes stand
US4739912A (en) * 1985-03-25 1988-04-26 Batts, Inc. Clothing hanger
US4921098A (en) * 1989-06-09 1990-05-01 J. B. Martin Company, Inc. Hanger for displaying textile material and package thereof
US5249668A (en) * 1992-07-14 1993-10-05 Rand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displaying neckties
EP0790025A3 (de) * 1996-02-19 1998-12-16 Owo Kunststoffwerke AG Kleiderbügel und Ein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JPH09294667A (ja) * 1996-03-06 1997-11-18 N K G:Kk ハンガー
US6006964A (en) * 1997-11-14 1999-12-28 White; Michael J. Garment hanger
US6425490B1 (en) * 1999-01-22 2002-07-30 Thien Q. Ta Spiral tie and accessory rack with stacked pole segments
DE19916466A1 (de) * 1999-04-12 2000-10-19 Jochen Robert Schneider Kleiderbügel
ATE508668T1 (de) * 1999-09-23 2011-05-15 Coronet Kleiderbuegel & Logistik Gmbh Warenträger, insbesondere kleiderbüg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55699A (zh) 2005-08-17
WO2003088789A3 (en) 2004-06-24
EP1494555A2 (en) 2005-01-12
AU2003223628A1 (en) 2003-11-03
CA2482576A1 (en) 2003-10-30
MXPA04010184A (es) 2005-06-08
WO2003088789A2 (en) 2003-10-30
EP1494555A4 (en) 2005-08-17
WO2003088789B1 (en) 200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028B2 (en) Picture hanger assembly and method
US7836604B2 (en) Picture hanger assembly and method
US5934525A (en) Infinitely adjustable locking garment hanger
US20080210827A1 (en) Display hanger for curtain rod
US7513074B2 (en) Universal end cap for retail fixtures
US20030057336A1 (en) Display hangar for providing anti-tip and locking features for use on pegboard, slat wall and the like
US9476544B2 (en) Universal display arm holder
KR20040102104A (ko) 대상물의 정면 진열 시스템
US20030192924A1 (en) System for frontal display of objects
US20090236376A1 (en) Side sizer for wire hook hangers
US6962261B2 (en) System for frontal display of objects
US20030192846A1 (en) System for frontal display of objects
US10687637B2 (en) Promotion device
GB2233888A (en) Hanger with hook
ZA200408242B (en) System for frontal display of objects.
KR200173649Y1 (ko) 의류용 걸이대
US5950885A (en) Garment hanger with reinforced non-creep clamp retainers
JP3023345U (ja) ハンガー
NL2016457B1 (en) Promotion device.
JP3045770U (ja) カード保持具
JPH0130939Y2 (ko)
JP3026441U (ja) 展示板体
JP3025132U (ja) 物品固定具
KR101523561B1 (ko) 옷걸이 사선방향 걸이쇠
JPS611485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