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952A -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952A
KR20040101952A KR1020040065584A KR20040065584A KR20040101952A KR 20040101952 A KR20040101952 A KR 20040101952A KR 1020040065584 A KR1020040065584 A KR 1020040065584A KR 20040065584 A KR20040065584 A KR 20040065584A KR 20040101952 A KR20040101952 A KR 20040101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dity
water
circulation pump
swimming pool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446B1 (ko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레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레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레저
Priority to KR1020040065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446B1/ko
Publication of KR20040101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9Chlorine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영장으로부터 흘러 넘쳐 배수되는 물의 PH 및 염소수치를 조절하면서 정화 처리하도록 상기 수영장의 하부에 설치되는 정화처리설비에 있어서, 상기 정화처리설비의 담수 순환경로상에 설치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에 관연결되어 물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감지센서; 당해 감지탁도를 설정된 기준탁도수치와 비교하여 상기 순환펌프의 속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기준탁도수치가 저장된 메모리가 내장되고, 상기 탁도감지센서 및 순환펌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 및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속도가 조절을 위해 인가되는 전원량이 상기 제어기에서 조절되도록 상기 제어기 및 순환펌프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A Circulation-Quantity According To Muddy Grade Of Swimming Pool Holding Water}
본 발명은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담수의 산란성에 기초하여 탁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됨으로써, 수영장으로부터 넘쳐 흘러내린 물의 탁도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순환펌프의 속도를 조절하는 구조의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영장 내에 물이 공급될 때에는 최대수위 이상 즉 수영장의 벽 높이 이상까지 공급된다. 이에 따라 넘치는 물은 수영장 하부의 처리장치를 거쳐 정화되고 다시 수영장의 바닥을 통해 공급되는 구조이다.
*종래 수영장 담수의 처리장치에서, 넘친 물이 계속적으로 상기 수영장 내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 대형의 순환펌프가 도입되어 넘친 물의 순환경로에 투입 설치된다.
그리고 순환되는 담수 내의 이물질(특히 머리카락 등), 미세한 부유물 등이 여과되어 담수가 정화될 수 있도록 상기 순환펌프에 집모기(Hair Catcher) 및 여과필터, 활성탄 등이 포함된 여과탱크 등이 관연결되어 있다.
이는 보통 수영장의 담수량이 워낙 크기 때문에, 물을 전부 배수하고 정화 처리된 물을 다시 채워 넣는 것이 아니라 상기와 같이 넘치도록 공급하면서 넘쳐 흘러내리는 물을 처리하여 재공급하는 과정 및 구조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는 넘친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계속적으로 작동되어야만 하며, 수영장과 같이 대규모 담수용으로 구비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순환펌프의 대당 가동에는 상당한 전력이 소모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오랜 시간 동안 작동되어야 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담수의 탁도를 줄이고자 하는 것인데, 종래 정화처리장치에서는 탁도를 감지하고 이에 기초하여 순환펌프의 작동속도을 제어할 만한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순환펌프의 계속적인 작동에 상당한 전력을 낭비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통 수영장에는 대용량의 순환펌프가 2대 이상 설치됨으로, 수영장의 규모에 커질수록 소요되는 전력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당해 수영장의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의 낭비가 크다. 특히 여타 냉각장치(예를 들어 에어컨, 냉장고, 선풍기 등)의 사용이 빈번하여 국가적으로 소요전력이 큰 여름철에 수영장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를 감안할 경우 이러한 전력낭비는 수영장 자체만의 문제로 국한되는 것은 아닐 것임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흘러 넘치는 수영장 담수의 탁도에 기초하여 순환펌프의 작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수영장 담수의 탁도에 기초하여 수영장에 대한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수영장으로부터 흘러 넘쳐 배수되는 물의 PH 및 염소수치를 조절하면서 정화 처리하도록 상기 수영장의 하부에 설치되는 정화처리설비에 있어서,
상기 정화처리설비의 담수 순환경로상에 설치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에 관연결되어 물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감지센서;
당해 감지탁도를 설정된 기준탁도수치와 비교하여 상기 순환펌프의 속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기준탁도수치가 저장된 메모리가 내장되고, 상기 탁도감지센서 및 순환펌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 및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속도가 조절을 위해 인가되는 전원량이 상기 제어기에서 조절되도록 상기 제어기 및 순환펌프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탁도감지센서는 상기 정화처리설비의 PH감지센서 및 염소감지센서의 설치위치에 동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탁도감지센서는 물로 조사된 빛의 산란정도가 탁도감지의 기초가 되도록 텅스텐-할로겐램프 내장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량 조절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블럭구성도,
도 3은 도 1의 조절장치가 수영장(2000)의 정화처리설비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0: 순환펌프 200: 제어기
210: 메모리 300: 인버터
400: 탁도감지센서 1000: 순환량 조절장치
2000: 수영장 2000a: 배수구
2000b: 입수구 2100: 수위조절탱크
2200: 집모기 2300: 오존혼합탱크
2400: 여과탱크 2500: 열교환기
2600: PH정량유닛 2600a: PH감지센서
2700: 염소정량유닛 2700a: 염소감지센서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량 조절장치(1000)는, 순환펌프(100)를 제어하는 제어기(200)에 담수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감지센서(400)가 연결되어 담수의 탁도를 기초로 상기 순환펌프(100)의 작동속도를 조절하여 수영장(2000) 물의 순환량을 조절하는 구조의 장치이다.
이를 위해 상기 순환량 조절장치(1000)는, 담도에 빛을 조사하여 그 산란정도를 기초로 탁도를 감지하는 구조의 탁도감지센서(400)와, 상기 탁도감지센서(400)의 감지신호를 메모리(210)에 저장된 기준탁도수치와 비교하여 순환펌프(100)의 작동속도를 결정하는 제어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200)는 인버터(300)가 내장된 일체형 구조이다. 상기 인버터(300)는 순환펌프(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제어기(200)는 상기 인버터(300)를 통해 순환펌프(100)에 인가되는 전원량을 조절한다.
상기 제어기(200)에는 메모리(210)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210)에는 탁도의 기준을 수치로서 설정한 기준탁도수치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제어기(200)에는 탁도감지센서(4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기(200)는 메모리(210)의 기준탁도수치와 탁도감지센서(400)의 당해 감지탁도를 비교하여 순환펌프(100)에 인가될 전원량을 결정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탁도감지센서(400)는 순환되는 물의 탁도를 감지하여 신호로서 상기 제어기(200)에 송출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당해 감지탁도는 상기 기준탁도수치와 제어기(200)에서 비교된다.
탁도감지센서(400)는 텅스텐-할로겐램프 내장 구조이다. 그래서 물속에 빛을 조사하고 수중 미세부유물 또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머리카락 등)에 빛이 부딪혀 산란하는 정도에 따라 탁도를 측정 감지하는 구조이다.
이 때 작은 미립자는 긴 파장 대역보다 짧은 파장 대역에서 더 강하게 산란함으로, 상기 탁도감지센서(400)에는 파장 대역이 약 400nm∼600nm 정도로 매우 짧은 램프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순환펌프(100)는 수영장(2000)에서 흘러 넘치는 물이 순환되어 다시 수영장(2000) 내로 입수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이 때 상기 탁도감지센서(400)는 상기 순환펌프(100)의 취출구 측에 관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순환펌프(100)에서 취출되는 물이 탁도감지센서(400)에 도달하게 된다. 도달된 물에는 빛이 조사되고 그 산란 정도에 따라 탁도가 측정 감지된다. 그리고 감지된 탁도는 신호로서 상기 제어기(200)에 송출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블럭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200)는 전기적으로 인버터(30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내장된 메모리(210)에는 기준탁도수치가 저장되어 있다.
인버터(300)의 내장으로 상기 제어기(200)는 순환펌프(100)의 전원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탁도감지센서(400)는 상기 제어기(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당해 감지탁도를 제어기(200)에 송출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조절장치의 구조에 따라 상기 제어기(200)는 기준탁도수치에 대해 상기 당해 감지탁도를 비교한다. 당해 감지탁도가 수치상 기준탁도수치보다 클 경우 인버터(300)를 통해 순환펌프(100)의 작동속도를 크게 조절한다.
관연결된 수영장(2000)의 물이 순환펌프(100)에 도달할 경우 현재 작동중인 순환펌프(100)는 취출구를 통해 배수하여 순환시킨다. 이 때 탁도감지센서(400)가 상기 취출구 측에 관연결되어 있다.
상기 순환펌프(100)에 의해 순환되는 물, 즉 수영장(2000) 내에 있었던 물의 탁도가 탁도감지센서(400)에 의해 감지된다. 그리고 감지신호는 제어기(200)에 송출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기(200)에서는 이 감지신호를 수치로 변환하고, 메모리(210)의 기준탁도수치를 로딩하여 서로 비교한다. 만일 기준탁도수치에 비해 해당 감지탁도의 수치상 크기가 작을 경우 제어기(200)는 인버터(300)를 통해 순환펌프(100)를 감속시켜 순환량을 감소시킨다.
이와는 반대일 경우 인버터(300)를 통해 순환펌프(100)를 증속시킴으로써, 순환량이 증대시킨다.
도 3은 도 1의 조절장치가 수영장(2000)의 정화처리설비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영장(2000)의 하부에는 정화처리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정화처리설비는 순환펌프(100)로 수영장(2000)으로부터 흘러내린 물을 순환시키면서 여과처리하는 구조의 설비장치이다.
수영장(2000)의 일측에는 배수구(2000a)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2000a)는 흘러 넘치는 물이 하부로 빠지도록 구비된 것으로, 배수구(2000a)의 하부에는 수위조절탱크(2100)가 관연결되어 있다.
수위조절탱크(2100)의 물은 수위조절탱크(2100)와 관연결된 집모기(2200)(hair catcher)에 유입되고 머리카락 등과 같이 비교적 큰 이물질이 여과된다. 상기 집모기(2200)는 2대가 설치되는데, 상기 수위조절탱크(2100)에서 분기관연결구조로 연결된다. 각 집모기(2200)에는 순환펌프(100)가 구비되어 집모기(2200)에서 여과된 물을 순환시킨다.
각 순환펌프(100)는 공히 오존혼합탱크(2300)가 연결되어 있고 오존혼합탱크(2300)는 보다 큰 용적의 여과탱크(2400)에 연결되어 있다. 물이 오존혼합탱크(2300)에 유입되면 일정 농도의 오존으로 살균 처리되고, 여과탱크(2400)에 입수되어 미세 이물질이 여과된다.
이 때 탁도감지센서(400)는 상기 순환펌프(100)와 오존혼합탱크(2300) 사이에 관연결되어 있어 오존혼합탱크(2300)로 유입될 물의 탁도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탁도감지센서(400)는 물의 PH수치와 염소수치를 감지하는 PH감지센서(2600a) 및 염소감지센서(2700a)와 더불어 설치된다.
따라서 탁도의 감지와 더불어 PH수치 및 염소수치가 동반 감지되며 제어기(200)에 상기 각 센서(400,2600a,2700a)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각 감지신호가 제어기(200)에 송출된다. 이때 상기 감지신호중 당해 감지탁도에 대한 신호를 수치로 변환하고 메모리(210)의 기준탁도수치와 비교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인버터(300)를 통해 상기 각 순환펌프(100)의 작동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여과탱크(2400)에서 배출되는 물은 여과탱크(2400)에 관연결된 열교환기(2500)에 유입된다. 열교환기(2500)는 고온의 스팀을 물에 가하여 온도를 높여준다. 열교환기(2500)에서 승온된 물은 수영장(2000)의 바닥에 분기 설치된 입수구(2000b)를 통해 수영장(2000) 내로 재공급된다.
이 때 상기 열교환기(2500)와 입수구(2000b) 사이에는 PH정량유닛(2600) 및 염소정량유닛(2700)이 관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정량유닛(2600,2700)은 제어기(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기(200)는 앞에서 언급된 PH감지센서(2600a) 및 염소감지센서(2700a)의 감지된 당해 PH수치 및 염소수치를 기초로 상기 각 정량유닛(2600,2700)을 제어하여 각 정량유닛으로 하여금 수영장(2000)에 유입될 물의 PH농도 및 염소농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량 조절장치(10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화처리설비에서 탁도감지센서(400)가 순환펌프(100)와 오존혼합탱크(2300) 사이에 관연결되며 여타 PH감지센서(2600a) 및 염소감지센서(2700a)와 더불어 설치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PH감지센서(2600a) 및 염소감지센서(2700a)의 감지구조는 순환펌프(100)의 작동속도를 제어하는 것과는 무관하지만, 탁도감지센서(400)의 감지구조는 순환펌프(100)의 작동속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탁도에 따라 물의 순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량 조절장치(1000)에서, 탁도감지센서(400)는, 수영장(2000)내로 물이 입수되기 직전 위치인 입수구(2000b)에도 설치하여 정화처리설비의 정화처리 정도를 측정 및 감지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기(200)는 인버터(300)가 일체형인 구조 이외에, 제어기(2000)와는 별도로 분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에 의하면, 전력소모가 비교적 큰 순환펌프의 작동속도를 물의 탁도에 기초하여 조절함으로써, 물이 비교적 깨끗함에도 불구하고 순환펌프를 작동하는데 소요되었던 전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큰 부대비용의 소요없이 기존 정화설비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3)

  1. 수영장(2000)으로부터 흘러 넘쳐 배수되는 물의 PH 및 염소수치를 조절하면서 정화 처리하도록 상기 수영장(20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정화처리설비에 있어서,
    상기 정화처리설비의 담수 순환경로상에 설치되는 순환펌프(100);
    상기 순환펌프(100)에 관연결되어 물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감지센서(400);
    당해 감지탁도를 설정된 기준탁도수치와 비교하여 상기 순환펌프(100)의 속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기준탁도수치가 저장된 메모리(210)가 내장되고, 상기 탁도감지센서(400) 및 순환펌프(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200); 및
    상기 순환펌프(100)의 작동속도가 조절을 위해 인가되는 전원량이 상기 제어기(200)에서 조절되도록 상기 제어기(200) 및 순환펌프(10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버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탁도감지센서(400)는 상기 정화처리설비의 PH감지센서(2600a) 및 염소감지센서(2700a)의 설치위치에 동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탁도감지센서(400)는 물로 조사된 빛의 산란정도가 탁도감지의 기초가 되도록 텅스텐-할로겐램프 내장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KR1020040065584A 2004-08-19 2004-08-19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KR100630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584A KR100630446B1 (ko) 2004-08-19 2004-08-19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584A KR100630446B1 (ko) 2004-08-19 2004-08-19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348U Division KR200324921Y1 (ko) 2003-05-26 2003-05-26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952A true KR20040101952A (ko) 2004-12-03
KR100630446B1 KR100630446B1 (ko) 2006-10-09

Family

ID=3737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584A KR100630446B1 (ko) 2004-08-19 2004-08-19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4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00B1 (ko) * 2008-02-20 2008-11-14 한명우 수영장의 절수 시스템
KR102495849B1 (ko) * 2021-11-25 2023-02-07 유승열 수영장 수질 향상 및 수량 절약을 위한 반복여과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558B1 (ko) * 2015-07-24 2017-08-29 박창훈 수영장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236138B1 (ko) * 2019-12-26 2021-04-06 김동휘 생존 수영 교육을 위한 이동식 콘테이너 수영장의 인공지능 기반 제어 시스템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00B1 (ko) * 2008-02-20 2008-11-14 한명우 수영장의 절수 시스템
KR102495849B1 (ko) * 2021-11-25 2023-02-07 유승열 수영장 수질 향상 및 수량 절약을 위한 반복여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0446B1 (ko)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77503U (zh) 一种节水浴池
JP2003305454A (ja) 取水水質管理装置
KR100630446B1 (ko)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JP2920803B2 (ja) 固液分離装置
KR200324921Y1 (ko)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JP4968420B2 (ja) 凝集剤注入装置
KR101936737B1 (ko) 절전 제어 장치,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비데 및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CN106946376A (zh) 臭氧协同悬浮物在线监控的循环冷却水处理系统及方法
KR100688388B1 (ko) 정수기 및 은공급수단작동방법
CN113342070A (zh) 风量控制系统、方法、控制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R2979908B1 (fr) Installation et procede de traitement et de distribution d&#39;eau
JP4309645B2 (ja) 凝集剤注入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0046795A (ja) 残留塩素濃度測定装置
JP2004267976A (ja) 紫外線消毒装置
KR100204291B1 (ko) 정수기의 정수동작 제어방법
KR19990016977U (ko) 필터교환 감지기를 갖는 정수기
EP3814283B1 (en) Suspended solids measurement of wastewater
JP2000117275A (ja) プール水のオゾン浄化装置及びオゾン浄化方法
JP2914682B2 (ja) 風呂用殺菌装置におけるフィルターの目づまり検出装置
JPS6054782A (ja) 活性炭吸着装置
JP2010032453A (ja) 電解液の濃度測定装置及び軟水化システム
KR0173765B1 (ko) 정수기의 단수감지방법
CN115325524A (zh) 一种用于余热锅炉定排水和热网水双向回收系统
JPH025123B2 (ko)
JP3694093B2 (ja) 浴水清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4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