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737B1 - 절전 제어 장치,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비데 및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 Google Patents

절전 제어 장치,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비데 및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737B1
KR101936737B1 KR1020120060630A KR20120060630A KR101936737B1 KR 101936737 B1 KR101936737 B1 KR 101936737B1 KR 1020120060630 A KR1020120060630 A KR 1020120060630A KR 20120060630 A KR20120060630 A KR 20120060630A KR 101936737 B1 KR101936737 B1 KR 101936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sage pattern
water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9098A (ko
Inventor
안규섭
임병훈
최인규
정진규
오동민
서혜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79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30Automatic controllers with an auxiliary heating device affecting the sensing element, e.g. for anticipating change of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전 제어 장치,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비데 및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 제어 장치는, 장치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장치에 대한 사용패턴을 생성하는 사용 패턴 생성부; 및 상기 사용패턴에 따라 상기 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조절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전 제어 장치,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비데 및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Apparatus for energy saving control function and, bidet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절전 제어 장치,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비데 및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패턴에 따라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절전 제어 장치,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비데 및 상기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 비데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온수를 공급하는 제품들은,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작대기 중에도 온수탱크에 저장된 온수를 지속적으로 가열하여 온수의 온도를 유지한다. 하지만, 정수기, 비데 등의 경우 실제 사용되는 시간은 짧은 반면에 동작대기시간은 길기 때문에, 상기 동작대기시간 동안 소모되는 전력량이 많아 문제가 되고 있다.
실제 비데의 경우를 예로들면, 비데를 사용하는 시간은 하루 24시간 중 약 40분에 불과하므로, 96%의 시간을 동작대기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즉, 40분의 사용을 위하여 23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온수를 가열하면서 전력을 낭비하는 것이다.
상기 동작대기 시간동안 소모되는 전력량을 줄이기 위하여, 절전제어기능이 적용된 정수기, 비데 등의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절전제어는 사용자의 사용에 대응하기 위해, 절전동작시에도 온수의 온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등 소극적인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그에 따라 절전동작 중에도 상당한 에너지가 소비되어 실제 에너지 저감효과는 미약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패턴에 따라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절전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패턴에 따라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패턴에 따라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절전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비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는, 장치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장치에 대한 사용패턴을 생성하는 사용 패턴 생성부; 및 상기 사용패턴에 따라 상기 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조절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패턴 생성부는,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 동작시간을 기준주기동안 누적 기록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패턴 생성부는,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 동작시간을 일주일동안 누적 기록하여 주간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패턴 생성부는, 주중과 주말을 분리하여 주중 사용패턴 및 주말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패턴 생성부는,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 동작시간을 월별로 누적 기록하여 계절별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패턴 생성부는, 상기 동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 이내이면, 상기 동작시간 및 상기 시간간격을 포함하여 동작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패턴 생성부는, 상기 장치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사용패턴에서 상기 동작구간으로 설정된 시간동안은 상기 장치에 동작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동작구간 이외의 시간동안은 상기 장치에 절전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동작구간의 전후(前後)에 각각 예열구간 및 대기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예열구간에서는 상기 장치에 예열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대기구간에서는 상기 장치에 대기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동작구간 이외의 구간에서 상기 장치에 대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장치에 상기 동작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는,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장치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장치에 대한 사용패턴을 생성하는 사용 패턴 생성부; 및 상기 감지신호 및 상기 사용패턴에 따라 상기 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조절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패턴 생성부는,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 동작시간을 기준주기동안 누적 기록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 이내이면 상기 동작시간 및 상기 시간간격을 포함하여 동작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구간 및 상기 동작구간에서는 상기 장치에 동작전력을 공급하고, 이외의 구간에서는 상기 장치에 절전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전제어장치는, 상기 장치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여 조도값을 생성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조도값의 크기가 최소조도값 이하이면 밤으로 판별하고, 상기 장치에 야간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밤으로 판별된 이후에, 기 설정값 이상의 조도값이 입력되면 돌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장치에 동작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장치에 상기 동작전력 미만의 예열전력을 공급하고, 이후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장치에 동작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 생성 이후에 상기 조도값이 상기 기 설정값 미만으로 감소하면, 상기 장치에 대기시간동안 대기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기는,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정수를 냉각하는 냉각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목표온도를 가지는 정수를 생성하는 수온조절부; 기 설정된 거리범위 내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인체감지센서;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여 상기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값을 생성하는 조도센서; 및 상기 정수의 출수를 감지하여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패턴, 감지신호 및 조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수온조절부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전제어장치는, 상기 수처리기의 출수동작이 수행되는 동작시간을 기준주기동안 누적 기록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 이내이면 상기 동작시간과 상기 시간간격을 포함하여 동작구간으로 설정하는 사용패턴생성부; 및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구간 및 상기 동작구간에서는 상기 수온조절부에 동작전력을 공급하고, 이외의 구간에서는 상기 수온조절부에 절전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조도값의 크기가 최소조도값 이하이면 밤으로 판별하여 상기 수온조절부에 야간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밤으로 판별된 이후에, 기 설정값 이상의 조도값이 입력되면 돌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온조절부에 동작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수온조절부에 상기 동작전력 미만의 예열전력을 공급하고, 이후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온조절부에 상기 동작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데는, 비데 몸체; 상기 비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깔고 앉는 시트(seat)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를 목표시트온도로 가열하는 변좌부; 상기 비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세척수를 상기 노즐부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척수를 목표세척온도로가열하는 급수부; 기 설정된 거리범위 내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인체감지센서;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여 상기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값을 생성하는 조도센서; 및 상기 세척수의 분사 및 상기 시트에 대한 착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패턴, 감지신호 및 조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급수부 및 변좌부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전제어장치는, 상기 비데의 세척수의 분사 및 상기 시트에 대한 착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동작시간을 기준주기동안 누적 기록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 이내이면 상기 동작시간과 상기 시간간격을 포함하여 동작구간으로 설정하는 사용패턴생성부; 및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구간 및 상기 동작구간에서는 상기 급수부 및변좌부에 동작전력을 공급하고, 이외의 구간에서는 상기 급수부 및 변좌부에 절전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조도값의 크기가 최소조도값 이하이면 밤으로 판별하여 상기 급수부 및 변좌부에 야간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밤으로 판별된 이후에, 기 설정값 이상의 조도값이 입력되면 돌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급수부 및 변좌부에 동작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급수부 및 변좌부에 상기 동작전력 미만의 예열전력을 공급하고, 이후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부 및 변좌부에 상기 동작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데는, 사용자에 의한 비데 사용 여부 및 사용자의 비데 사용 패턴 분석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한 비데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사용 패턴 분석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한 정보와 상기 사용 패턴 분석부에 의해 분석한 비데 사용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비데의 동작을 제어하여 절전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비데 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 비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데는, 상기 사용 패턴 분석부에 의해 분석한 비데 사용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 패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에 의한 비데 사용 여부 확인을 위해 비데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거리 센서 및 변좌 센서; 비데의 측면에 설치되어 실내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 및 비데의 건조 덕트에 설치되어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패턴 분석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소정 기간 동안 획득한 정보를 분석하여 비데 사용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데 제어부는, 상기 비데 사용 패턴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한 비데 사용 빈도가 소정 기준치 이하인 시간 동안에는 변좌온도를 설정 온도 대비 낮은 온도로 낮추도록 변좌온도를 제어하는 변좌온도 제어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비데가 사용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만 온수탱크가 히팅이 되도록 제어하는 온수탱크 히팅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한 온도 정보를 기초로 계절에 따라 온풍 온도를 조절하는 온풍온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 제어 장치,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비데 및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는, 사용패턴에 따라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므로 효과적인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 제어 장치,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비데 및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는, 인체감지센서 및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패턴에 따른 절전동작을 보완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패턴과 다르게 동작하는 경우를 인체감지센서 및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미리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 제어 장치,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비데 및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다양한 사용패턴에 따라 효과적으로 절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의 사용패턴생성부가 생성한 사용패턴의 일 예이고,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의 전원제어부가 상기 사용패턴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의 전원제어부가 동작구간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의 조도센서가 측정한 조도값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의 전원제어부가 사용패턴, 감지신호 및 조도값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전 제어 기능을 갖는 비데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 제어를 위해 사용자의 비데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100)는 사용패턴생성부(10) 및 전원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인체감지센서(30) 및 조도센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100)를 설명한다.
절전제어장치(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200)와 전원(3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장치(200)와 전원(3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전제어장치(100)는 상기 전원(300)과 상기 장치(2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300)이 상기 장치(200)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전제어장치(100)는 상기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사용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장치(200)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치(200)가 주로 사용되는 시간대에 상기 장치(200)가 동작할 수 있는 동작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장치(200)가 주로 사용되지 않는 시간대에는 상기 장치(200)에 절전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인체감지센서(30) 및 조도센서(40)를 더 이용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이용한 전력량 조절을 보완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패턴에서 상기 장치(200)가 주로 사용되는 시간대에 해당하더라도 상기 인체감지센서(30)가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장치(200)에 동작전력을 공급하지 않거나, 주로 사용되지 않는 시간대에 해당하더라도 상기 인체감지센서(30)가 인체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장치(200)에 동작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도센서가 밤으로 판별한 이후에 갑작스럽게 기 설정값 이상의 조도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패턴에 불구하고 장치(200)에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패턴에 따른 전력량 조절을 보완할 수 있다.
장치(200)는, 특정의 목적을 가지는 기계적, 전기적 장치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정수기, 비데, 제습기, 공기청정기, 냉장고, 에어컨 등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 등은 모두 포함한다.
상기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입력에 따라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200)는 동작대기상태로 유지하다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200)는 상기 동작대기상태 중에도 전력을 소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요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소모되는 전력량보다 더 큰 전력이 상기 동작대기상태에서 소모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정수기의 경우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온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지속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실제 온수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온수탱크를 지속적으로 가열하기 위하여 많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대기상태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장치(200)의 사용패턴을 파악하고, 사용패턴에 따라 상기 장치(200)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정수기, 비데 등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따라 사용패턴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장치(200)의 경우에는 상기 절전제어장치(10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제 사용되는 시간보다 동작대기하는 시간이 길고, 동작대기시간 동안에 소모되는 전력량이 많은 장치(200)에 대하여 상기 절전제어장치(100)를 적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장치(200)의 사용패턴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장치(200)의 동작을 감지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장치(200)의 동작은 다양한 방법으로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장치(200)에 상기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인가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입력 자체 또는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장치(200)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 등에 의하여 상기 장치(200)가 실제 동작하거나, 상기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장치(200)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전원(300)은, 상기 장치(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상용교류전원이나 배터리일 수 있다. 이외에도 직류 또는 교류 발전기 등이 상기 전원(300)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전제어장치(100)는, 상기 사용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패턴 생성부(10)와 상기 사용패턴에 따라 상기 장치(200)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전원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패턴생성부(10)는, 상기 장치(200)의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패턴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기준시간을 단위로 하여 상기 장치(200)가 동작하는 동작시간을 기준주기동안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시간은 상기 장치(200)가 동작을 시작한 시점부터 동작을 종료한 시점 사이의 시간이며, 상기 기준시간은 상기 동작시간을 기록하는 시간의 단위이다. 즉, 주어진 기준시간 중에서 상기 장치(200)가 동작한 구간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동작구간의 기록을 기준주기동안 반복하여 기록함으로써 상기 사용패턴을 얻을 수 있다.
예를들어, 24시간을 기준시간으로 하면, 상기 24시간 중에서 상기 장치(200)가 동작하는 동작시간을 기록하게 된다. 이후, 상기 24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장치(200)의 동작시간을 일주일동안 누적하여 기록하면, 상기 장치(200)의 일주일동안의 사용패턴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24시간을 기준시간으로 하여 상기 장치(200)의 동작시간을 측정하지만, 6시간, 12시간, 48시간 등을 기준시간으로 하여 사용패턴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기준주기도 일주일이 아니라 3일, 한달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기준주기를 5일과 2일로 각각 설정한 이후에, 주중과 주말을 분리하여 주중 사용패턴 및 주말 사용패턴을 달리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주중과 주말에 따라 별도의 사용패턴으로 절전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직장생활을 하는 현대인의 생활패턴을 고려할 때, 주중과 주말의 생활패턴은 상이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따라 사용패턴이 결정되는 정수기, 비데,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주중과 주말의 사용패턴에 따라 절전제어동작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패턴을 월별로 생성한 이후에 상기 사용패턴을 계절별로 결합하여, 계절별 사용패턴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계절에 따라 절전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수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겨울과 여름에 사용하는 온수의 양 및 온도에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비데의 경우에도 국부를 세척하는 세척수의 온도 등에 있어서 차이가 크다. 따라서, 상기 계절별 사용패턴을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 비데 등의 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100)의 사용패턴생성부(10)가 생성한 사용패턴의 일 예로서, 24시간을 단위로 정수기가 동작하는 동작시간을 일주일동안 누적하여 기록하여 생성한, 정수기에 대한 주간 사용패턴이다.
도2(a)를 살펴보면, 동작시간(a)은 오전 7시~8시, 오후 1시~2시 및 오후 7시~8시 사이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즉, 주로 식사시간에 상기 정수기에 대한 사용이 빈번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사시간을 전후해서는 동작전력을 공급하고, 식사시간 이외에는 절전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정수기에서 소모되는 전력, 특히, 온수생성을 위하여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시간(a)은 과거에 상기 정수기가 실제로 사용된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동작시간(a)이 밀집한 위치에서는 정수기가 다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시간(a)들의 밀집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동작시간(a)이 밀집한 구간에 대하여는 상기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구간을 확장하고, 상기 동작시간(a)이 없거나 드물게 위치하는 구간에 대하여는 상기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구간을 축소할 필요가 있다.
도2(a)를 참조하면, 상기 동작시간(a)들을 연결하여 동작구간(b)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작시간(a) 사이의 시간간격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d)이내이면, 상기 동작시간(a) 및 상기 동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을 포함하여 하나의 동작구간(b)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동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 가깝다는 것은 상기 시간 간격 사이에서 상기 정수기가 다시 동작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동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 멀다는 것은 상기 시간 간격 사이에서는 정수기가 다시 동작할 확률이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시간(a) 사이의 시간간격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d) 이내이면 하나의 동작구간(b)으로 설정하여, 상기 동작구간(b)동안 장치(200)에 동작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전 7시~8시 사이에는 상기 동작시간(a)이 밀집하고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간격(d) 이내에 해당하므로 상기 3개의 동작시간(a) 및 각각의 시간간격을 포함하여 하나의 동작구간(b)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오후 1시~2시 및 오후 7시~8시 사이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도2(a)의 새벽 1시에 생성된 동작시간의 경우에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간격(d)이내에 다른 동작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동작구간(b)를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일주일 동안 새벽 3시에 동작한 것은 1회에 불과하므로 상기 정수기가 다시 새벽 3시에 동작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벽 3시에 대하여는 동작전력이 아닌 절전전력을 상기 정수기에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4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동작시간(a)을 누적하여 기록한 이후에 동작구간(b)을 설정함으로써, 정수기에 대한 사용패턴을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100)의 전원제어부(20)가 도2(a)의 사용패턴에 따라 정수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하, 도2(b)를 참조하여 상기 전원제어부(2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원제어부(20)는, 상기 사용패턴에 따라 상기 장치(200)에 대한 전력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사용패턴에서 동작구간(b)으로 설정된 구간은 상기 장치(200)의 사용이 예상되는 구간으로서, 상기 동작구간(b) 동안은 동작전력을 상기 장치(200)에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전력은 상기 장치(200)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력일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동작구간(b)이외의 구간은 상기 장치(200)가 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이므로, 상기 장치(200)에 절전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전전력은 상기 장치(200)가 동작대기를 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력일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20)는, 상기 전원(300)이 상기 장치(200)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제한하여 상기 장치(200)에 절전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장치(200)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도2(b)를 참조하면, P1은 종래의 절전제어방식에 따른 정수기에서의 전력소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P2는 상기 사용패턴을 이용한 절전제어에 따른 정수기에서의 전력소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상기 그래프의 위치가 높을수록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것을 나타낸다.
P1을 살펴보면, 종래에는 단순히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야간에 해당하면 일정한 주기로 상기 정수기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절전제어를 하였다. 즉, 정수기의 사용여부를 미리 예측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정수기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적극적으로 감소시킬 수 없었으며, 상기 절전제어에 의하여 절약되는 전력량도 미미한 수준이었다.
반면에, P2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사용패턴을 고려하여 절전제어를 수행하므로, 동작구간에서는 상기 정수기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작전력을 공급하고, 이외의 구간에서는 확실하게 전력 공급량을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P1과 비교할 때, 상기 정수기가 실제 사용되지 않는 시간대에 낭비되는 전력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도2(b)의 빗금으로 표시한 부분만큼, P2가 P1에 비하여 더 많은 전력을 절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20)가 상기 정수기에 전력을 공급할 때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간을 나누고 해당하는 구간에 대응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구간이 아니더라도 상기 설정된 구간에 따라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동작구간의 전후에 각각 예열구간 및 대기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예열구간에서는 예열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대기구간에서는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수기의 경우를 예로들면, 절전제어에 따라 상기 정수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 이후에, 동작구간에서 즉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목표온도의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미리 상기 정수기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정수기의 온수탱크에 저장된 온수를 가열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이후, 상기 동작구간에서 상기 정수기에 동작전력을 공급하였을 때, 정확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온도를 가지는 온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구간이 종료되었다고 하여 곧바로 상기 정수기에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것보다는, 대기시간 동안은 대기전력을 공급하여 혹시 있을 수 있는 사용자의 온수공급 요구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상기 예열구간 및 대기구간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예열구간과 대기구간의 길이 및 상기 예열전력과 대기전력의 크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P2는 과거의 사용패턴을 바탕으로 상기 정수기에 대한 전력공급을 조절하는 것이므로, 상기 사용패턴에서 동작구간으로 설정되지 않은 시간대에 사용자가 정수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동작구간 이외의 시간대에 사용자가 정수기를 사용하면, 상기 정수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동작구간 이외의 구간에서 상기 장치(200)에 대한 입력, 즉, 제어신호 등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신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200)에 동작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어신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동작전력을 공급한다고 하여도,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가 제공될 때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불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100)는 인체감지센서(30) 및 조도센서(4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사용패턴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센서(30)는, 상기 장치(200)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체가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체감지센서(30)는, 온도감지 센서, 변위센서, 적외선 센서 등 일반적으로 인체를 감지하는 데 사용되는 센서는 어떠한 것도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장치(2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장치(200)에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사용자가 상기 장치(200)를 사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수기나 비데를 예로 들면, 정수기에서 온수, 냉수 등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에 접근하여야 하며, 비데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비데에 착좌하여야 하므로, 상기 정수기나 비데의 경우에는 상기 장치(200)의 사용을 위해서 사용자의 접근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상기 사용패턴에서 동작구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동작전력을 상기 장치(200)에 공급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동작구간에 해당하더라도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상기 장치(200)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장치(200)에 동작전력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40)는, 상기 장치(200)로 입력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여 상기 빛의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값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도센서(40)를 이용하여 밤과 낮을 구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도센서(40)가 측정한 조도값이 최소조도값 이하이면 밤으로 판별하고, 조도값이 최소조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낮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밤으로 판별되면 상기 전원제어부(20)는 별도의 야간전력을 상기 장치(200)에 공급하여 상기 장치(200)에서 소모하는 전력량을 줄일 수 있다. 사용패턴에 따라 야간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줄일 수도 있으나, 상기 조도센서(40)가 밤으로 판별하면 상기 사용패턴에 불구하고 야간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장치(200)에서 소모하는 전력량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조도센서(40)를 이용하여, 밤낮을 구별하는 것은, 상기 최소조도값을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도, 시간에 따른 조도값의 변화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시간에 따른 조도값의 변화율 즉, 조도값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밤과 낮을 구별하는 경우에는, 시간에 따라 서서히 조도값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에만 밤과 낮이 변화하는 것으로 판별하므로, 실내등이 켜져서 갑작스럽게 밝아지는 경우나 실내등이 꺼져서 어두워지는 경우를 제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실제 밤과 낮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100)의 조도센서(40)가 측정한 조도값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이하,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조도센서(40)를 이용한 절전제어동작을 설명한다.
도4를 참조하면, 시간에 흐름에 따라 조도값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상기 최소조도값(lx_min) 이하로 상기 조도값이 측정되고 있으므로, 20시 이후로는 밤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후, 새벽 2시에서 3시 사이에 급격한 조도값의 상승(C)이 존재하며, 이는 사용자가 야간에 실내등을 켰다가 끈 상황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200)로 입력되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센서(40)에 갑작스럽게 기 설정값(적어도 최소조도값)이상의 강한 빛이 입력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실내등을 점등한 것이고, 사용자가 상기 장치(200)가 위치하는 곳의 실내등을 점등하였다면 이는 사용자가 상기 장치(2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0시 이후부터 야간전력을 공급하던 전원제어부(20)는, 상기 급격한 조도값의 상승(C)이 감지되면, 돌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장치(200)에 동작전력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상기 장치(200) 사용에 대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내등의 점등이 된 이후에, 상기 장치(200)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상기 조도센서(40)와 함께 상기 인체감지센서(30)를 활용하여 상기 장치(200)에 대한 절전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도값의 상승(C)에 의하여 돌발신호가 생성되면, 사용자가 활동을 위하여 실내등을 켠 것이므로, 일단 상기 장치(200)에 예열전력을 공급하여 혹시 있을 수 있는 사용에 대비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인체감지센서(30)에서 감지신호가 생성될 정도로 사용자가 상기 장치(200)에 근접하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장치(200)를 사용할 확률이 더 높아지므로, 이에 상기 장치(200)이 동작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장치(200)의 사용에 대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조도값이 다시 급격히 어두워져 조도값이 상기 기 설정값 미만으로 감소하면, 이는 사용자가 실내등을 소등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즉시 상기 장치(20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으나, 상기 장치(200)에 대기시간동안 대기전력을 공급하여 이후 다시 있을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200) 사용에 대비할 수도 있다.
정수기를 예로 들어 다시 설명하면, 야간의 어두운 주방에 정수기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원제어부(20)는 사용패턴 또는 조도센서(40)에 따라 상기 정수기에 대한 전원공급을 최소한으로 제한하고 있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주방으로 들어오면서 갑작스럽게 상기 주방의 실내등을 켤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에 위치하는 조도센서(40)에는 기 설정값 이상의 조도값이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제어부(20)는 돌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정수기에 동작전력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정수기 사용에 대비할 수 있다.
늦은 밤에 사용자가 주방의 실내등을 켜고 주방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많은 경우 상기 정수기를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를 사용하기 전에 미리 동작전력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정수기 사용에 대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주방으로 들어온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를 사용하는 대신에 전자레인지 등 다른 장치를 사용하는 등, 상기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대비하여, 상기 돌발신호가 입력되면 먼저 상기 정수기에 예열전력을 공급하고, 이후에 인체감지센서(30)가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정수기에 동작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실내등이 켜지고,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에 가까이 다가오면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돌발신호와 함께 감지신호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온수를 급속히팅하도록 하여 상기 정수기가 사용자의 온수사용에 빠르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100)의 전원제어부(20)가 사용패턴, 감지신호 및 조도값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P1은 종래의 절전제어방식에 따른 정수기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P3는 상기 사용패턴(b), 감지신호(s) 및 조도값에 따라 절전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에 정수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2(b)와 비교할 때, 사용패턴(b)이외에 인체감지센서(30)에 의한 감지신호(s)를 더 고려하여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사용패턴(b)이 종료된 이후에도 감지신호(s)가 입력되면 계속하여 동작전력을 공급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새벽 2시 부근에 미리 설정된 사용패턴(b)은 없으나, 상기 감지신호(s)에 의하여, 정수기에 공급하는 전력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2(b)의 P2와의 차이점으로서, P3의 경우에 상기 인체감지센서(30)를 활용하므로 상기 사용패턴(b)이외의 구간에서 사용자의 동작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빗금친 부분은 P1에 비하여 P3의 경우에 더 절약한 전력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수처리기는 필터부(f), 히터(h), 정수출수밸브(v1), 온수출수밸브(v2) 및 절전제어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기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수처리기는 오폐수 등을 처리하거나 초순수를 제조하는 등 산업용이나 가정용(업소용을 포함)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는 특히 음용을 위해 사용되는 수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음용을 위한 수처리기는 원수를 공급받아 여과하여 음용을 위한 정수를 생성하므로 좁은 의미에서 정수기로 통칭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정수기는 원수를 공급받아 필터부에서 여과한 상온의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온의 정수를 가열/냉각하여 온수 및/또는 냉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또한, 음용을 위한 수처리기는 정수뿐만 아니라, 이온수, 탄산수, 산소수와 같은 각종 기능수를 공급하는 기능수기도 포함한다. 이외에도, 물통 등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 또는 냉각하거나 얼음을 생성하는 온수기, 냉수기, 제빙기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수처리기라 함은 전술한, 정수기, 기능수기, 온수기, 냉수기, 제빙수기 등과 이들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지닌 기기를 총칭하는 의미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필터부(f)는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기수처리기로 유입되는 수도수 또는 자연수 등의 원수에 포함된 입자성 불순물,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f)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포스트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 및 나노필터(nano-filter)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터의 종류, 개수 및 순서는 수처리기의 여과방식 또는 수처리기에 요구되는 여과성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세디먼트 필터와 프리 카본필터가 일체화된 전처리 복합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역삼투막 필터 대신에 중공사막 필터(ultra filtration filter)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필터를 대신하거나 추가하여 마이크로 필터(micro filter)나 다른 기능성 필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세디먼트 필터는 부직포가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여과할 수 있으며, 프리카본 필터는 계면 활성탄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 등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는 0.001um정도의 미세한 입자를 여과할 수 있으며, 포스트카본 필터는 상기 프리카본 필터의 계면 활성탄보다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색소와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중공사막 필터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실 모양의 막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세균을 여과할 수 있다.
히터(h)는, 상기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온도의 온수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처리기의 온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온수 사용에 대비하여 상기 온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지속적으로 가열하여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온수가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동작대기시간에 소모되는 전력량이 많으므로, 상기 절전제어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대기시간에 소모되는 전력량일 최소화할 수 있다.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상기 절전제어장치(100)의 사용패턴생성부(10)는 상기 수처리기의 온수사용에 대한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온수가 출수되는 온수출수밸브(v2)의 개폐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온수출수밸브(v2)의 개폐는 상기 수처리기의 메인제어부에서 제어되므로, 상기 메인제어부가 생성하는 상기 온수출수밸브(v2)의 개폐에 대한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온수제공을 요청하는 입력이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상기 수처리기로 입력되면, 상기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상기 절전제어장치(100)의 전원제어부(20)는, 상기 사용패턴생성부(10)가 생성한 사용패턴, 상기 인체감지센서(30)의 감지신호 및 상기 조도센서(40)의 조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히터(h)에 대한 전력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패턴 중에서 동작구간에서는 동작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동작구간 이외에서는 절전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구간 이외의 구간이라도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도센서(40)를 이용하여, 야간에 사용자가 갑자기 상기 수처리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처리기는 상기 히터(h) 대신에 상기 정수를 냉각하는 냉각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열전소자(TEM) 또는 냉매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를 냉각하는 것으로서, 상기 히터(h)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냉수 사용에 대비하여 냉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지속적으로 냉각하여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기는 상기 히터(h)와 마찬가지로 동작대기시간에 소모되는 전력량이 많으므로, 상기 동작대기시간에 소모되는 전력량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절전제어장치(100)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수처리기는 상기 히터(h) 및 냉각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히터(h) 및/또는 냉각기를 포함하여 수온조절부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처리기는, 상기 정수를 가열하는 히터(h) 및 상기 정수를 냉각하는 냉각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목표온도를 가지는 정수를 생성하는 수온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전제어장치(100)는, 상기 히터(h) 및 냉각기 각각에 대하여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각각에 대하여 절전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비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비데는 좌변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데 몸체, 변좌부, 노즐부, 급수부, 인체감지센서, 조도센서 및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체감지센서, 조도센서 및 절전제어장치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변좌부는 비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깔고 앉는 시트를 포함하며, 입력되는 목표시트온도에 따라 상기 시트를 가열하여 상기 시트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변좌부의 시트 내부에는 상기 시트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열선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변좌부는 상기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시트를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좌부는 사용자의 착좌에 대비하여 지속적으로 상기 열선을 가열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실제로 사용자가 착좌하지 않은 동작대기시간에 소모되는 전력량이 과다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전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대기시간에 소모되는 전력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절전제어장치는 사용패턴생성부를 이용하여 상기 변좌부에 대한 사용자의 착좌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변좌부에 포함된 착좌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착좌에 대한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착좌감지센서는 사용자의 착좌에 의하여 상기 변좌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착좌여부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전제어장치는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상기 사용패턴, 감지신호 및 조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변좌부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급수부는, 상기 노즐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목표세척수온도에 따라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여 상기 세척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가 공급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부는 사용자의 국부를 세척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노즐제어신호에 따라 분사강도, 분사위치 및 분사시간을 조절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부는 상수도 등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상기 노즐부에서 사용하는 세척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변좌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급수부도 사용자의 비데 사용에 대비하여 지속적으로 상기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동작대기시간에 과다한 전력량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전제어장치의 사용패턴생성부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수의 사용에 대한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절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부의 세척수 분사를 감지하여 상기 급수부의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상기 절전제어장치는 상기 사용패턴, 감지신호 및 조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급수부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방법은, 사용패턴생성단계(S10) 및 전원제어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패턴생성단계(S10)는 동작시간기록 과정(S11) 및 동작구간설정 과정(S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사용패턴생성단계(S10)는, 장치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장치에 대한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대한 절전제어를 위해서, 상기 장치가 주로 사용되는 시간대를 파악하여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패턴을 바탕으로 상기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패턴생성단계(S10)는 동작시간기록 과정(S11) 및 동작구간설정 과정(S12)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시간 기록 과정(S11)은,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 동작시간을 기준주기동안 누적 기록할 수 있다. 즉, 주어진 기준시간 중에서 상기 장치가 동작한 구간을 상기 기준주기동안 반복하여 기록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24시간을 기준시간으로 하여, 상기 24시간 중에서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 동작시간을 일주일 동안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시간, 기준주기는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주간사용패턴, 월별사용패턴, 계절별 사용패턴 등 다양한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구간설정 과정(S12)은, 상기 동작시간 기록 과정(S11)에서 생성한 사용패턴 중에서, 상기 동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 이내이면, 상기 동작시간 및 상기 시간간격을 포함하여 동작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동작시간은 상기 장치가 동작을 시작한 시점부터 동작을 종료한 시점까지를 기록한 것으로서, 상기 동작시간이 밀집한 시간대는 사용자가 주로 상기 장치를 사용하는 시간대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시간이 밀집한 시간대에 대하여는 상기 장치가 사용될 확률이 높은 동작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패턴생성단계(S10)에서 상기 동작시간을 기록하고 동작구간을 설정하여 상기 장치에 대한 사용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장치에 대한 절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절전제어단계(S20)는, 상기 사용패턴에 따라 상기 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패턴에서 동작구간에 해당하면 동작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동작구간 이외의 구간에서는 절전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동작구간 이외의 구간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동작구간 전후에 예열구간 및 대기구간을 설정하여, 각각 예열전력 및 대기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작구간은 실제 상기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구간이므로, 상기 동작구간 전에 미리 상기 장치에 예열구간동안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동작구간의 시작과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구간 이후에 사용자가 다시 상기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대기구간동안 전력을 공급하여 이에 대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절전제어단계(S20)는, 상기 장치에 인체감지센서, 조도센서 등이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생성하는 감지신호, 상기 조도센서가 생성하는 조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패턴에 따른 전력공급 조절을 보완할 수 있다.
상기 사용패턴은 상기 장치의 과거 동작을 바탕으로 생성한 것이므로, 상기 사용패턴에 벗어나는 사용자의 동작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체감지센서 및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패턴에 벗어나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사용패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장치에 동작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사용패턴에 해당하더라도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동작전력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야간에 갑자기 기 설정값 이상의 조도가 상기 조도센서로 입력되면, 상기 장치에 동작전력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상기 장치 사용에 대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상기 장치에 예열전력을 공급하고, 이후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한하여 동작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절전제어기능을 갖는 비데가 있을 수 있다. 도9는 상기 절전제어기능을 갖는 비데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전제어기능을 갖는 비데(b100)는 센서부(b110), 사용패턴분석부(b120), 사용패턴저장부(b130), 비데제어부(b140) 및 조작부(b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b110)는 사용자에 의한 비데 사용 여부 및 사용자의 비데 사용 패턴 분석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거리 센서(b111), 변좌 센서(b112), 조도 센서(b113) 및 온도 센서(b1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거리 센서(b111)와 변좌 센서(b112)는 사용자에 의한 비데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비데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거리 센서(b111) 및 변좌 센서(b112)를 이용하여 비데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사항에 해당하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도 센서(b113)는 비데의 측면에 설치되어 실내 밝기를 측정한다.
온도 센서(b114)는 비데의 건조 덕트(미도시)에 설치되어 실내 온도를 측정한다.
사용 패턴 분석부(b120)는 센서부(b110)에 의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한 비데 사용 패턴을 분석한다.
이때, 사용 패턴 분석부(b120)는 보다 신뢰성 있는 비데 사용 패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일정 기간(예를 들어, 일주일) 동안 획득한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비데 사용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패턴 분석부(b120)는 조도 센서(b113)에 의해 획득된 실내 밝기 정보를 이용하여 이에 따른 사용 패턴을 분석할 수도 있다.
사용 패턴 저장부(b130)는 사용 패턴 분석부(b120)에 의해 분석된 비데 사용 패턴 정보를 저장한다.
비데 제어부(b140)는 센서부(b110)에 의해 획득된 정보와 사용 패턴 분석부(b120)에 의해 분석된 비데 사용 패턴 정보 또는 사용 패턴 저장부(b130)에 저장된 비데 사용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비데의 동작을 제어하여 절전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변좌온도 제어부(b141), 온수탱크 히팅부(b142) 및 온풍온도 제어부(b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변좌온도 제어부(b141)는 비데 사용 패턴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한 비데 사용 빈도가 소정 기준치 이하인 시간 동안에는 변좌온도를 사용자에 의한 설정 온도(예를 들어, 32도)에 대비하여 낮은 온도(예를 들어, 25도)로 낮추도록 변좌온도를 제어한다. 이로써, 불필요하게 변좌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온수탱크 히팅부(b142)는 센서부(b11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비데가 사용되고 있다고 확인된 경우에만 온수탱크가 히팅이 되도록 제어한다.
온풍온도 제어부(b143)는 센서부(b110)에 의해 획득된 온도 정보를 기초로 계절에 따라 온풍 온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b110)에 의해 획득된 실내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온풍 온도를 설정 온도가 되도록 제어하고, 실내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온풍 온도를 설정 온도보다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b150)는 사용자로부터 비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인 비데에 구비되는 조작부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 제어를 위해 사용자의 비데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루 동안 사용자에 의한 비데의 사용은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분포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간, 예를 들어 아침, 점심 그리고 저녁 시간 주위에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용자의 비데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데의 절전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장하면서도 에너지 저감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 사용패턴생성부 20: 전원제어부
30: 인체감지센서 40: 조도센서
100: 절전제어장치 200: 장치
300: 전원
b100: 비데 b110: 센서부
b111: 거리 센서 b112: 변좌 센서
b113: 조도 센서 b114: 온도 센서
b120: 사용 패턴 분석부 b130: 사용 패턴 저장부
b140: 비데 제어부 b141: 변좌온도 제어부
b142: 온수탱크 히팅부 b143: 온풍온도 제어부
b150: 조작부
f: 필터부 h: 히터
v1: 정수출수밸브 v2: 온수출수밸브
S10: 사용패턴생성단계 S11: 동작시간기록과정
S12: 동작구간설정과정 S20: 전원제어단계

Claims (33)

  1. 장치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장치에 대한 사용패턴을 생성하는 사용 패턴 생성부; 및
    상기 사용패턴에 따라 상기 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조절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패턴 생성부는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 동작시간을 기준주기동안 누적 기록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 이내이면, 상기 동작시간 및 상기 시간간격을 포함하여 동작구간으로 설정하며,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사용패턴에서 상기 동작구간으로 설정된 시간동안은 상기 장치에 동작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동작구간 이외의 시간동안은 상기 장치에 절전전력을 공급하는 절전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패턴 생성부는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 동작시간을 일주일동안 누적 기록하여 주간 사용패턴을 생성하는 절전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패턴 생성부는
    주중과 주말을 분리하여 주중 사용패턴 및 주말 사용패턴을 생성하는 절전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패턴 생성부는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 동작시간을 월별로 누적 기록하여 계절별 사용패턴을 생성하는 절전제어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패턴 생성부는
    상기 장치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의 동작을 감지하는 절전제어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동작구간의 전후(前後)에 각각 예열구간 및 대기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예열구간에서는 상기 장치에 예열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대기구간에서는 상기 장치에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절전제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동작구간 이외의 구간에서 상기 장치에 대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장치에 상기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절전제어장치.
  11.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장치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장치에 대한 사용패턴을 생성하는 사용 패턴 생성부; 및
    상기 감지신호 및 상기 사용패턴에 따라 상기 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조절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패턴 생성부는 상기 장치가 동작하는 동작시간을 기준주기동안 누적 기록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 이내이면 상기 동작시간 및 상기 시간간격을 포함하여 동작구간으로 설정하며,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구간 및 상기 동작구간에서는 상기 장치에 동작전력을 공급하고, 이외의 구간에서는 상기 장치에 절전전력을 공급하는 절전제어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여 조도값을 생성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절전제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조도값의 크기가 최소조도값 이하이면 밤으로 판별하고, 상기 장치에 야간전력을 공급하는 절전제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밤으로 판별된 이후에, 기 설정값 이상의 조도값이 입력되면 돌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장치에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절전제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장치에 상기 동작전력 미만의 예열전력을 공급하고, 이후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장치에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절전제어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 생성 이후에 상기 조도값이 상기 기 설정값 미만으로 감소하면, 상기 장치에 대기시간동안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절전제어장치.
  19.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정수를 냉각하는 냉각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목표온도를 가지는 정수를 생성하는 수온조절부;
    기 설정된 거리범위 내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인체감지센서;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여 상기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값을 생성하는 조도센서; 및
    상기 정수의 출수를 감지하여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패턴, 감지신호 및 조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수온조절부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절전제어장치는
    수처리기의 출수동작이 수행되는 동작시간을 기준주기동안 누적 기록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 이내이면 상기 동작시간과 상기 시간간격을 포함하여 동작구간으로 설정하는 사용패턴생성부; 및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구간 및 상기 동작구간에서는 상기 수온조절부에 동작전력을 공급하고, 이외의 구간에서는 상기 수온조절부에 절전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조도값의 크기가 최소조도값 이하이면 밤으로 판별하여 상기 수온조절부에 야간전력을 공급하는 수처리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밤으로 판별된 이후에, 기 설정값 이상의 조도값이 입력되면 돌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온조절부에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수처리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수온조절부에 상기 동작전력 미만의 예열전력을 공급하고, 이후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온조절부에 상기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수처리기.
  24. 비데 몸체;
    상기 비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깔고 앉는 시트(seat)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를 목표시트온도로 가열하는 변좌부;
    상기 비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세척수를 상기 노즐부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척수를 목표세척온도로 가열하는 급수부;
    기 설정된 거리범위 내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인체감지센서;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여 상기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값을 생성하는 조도센서; 및
    상기 세척수의 분사 및 상기 시트에 대한 착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패턴, 감지신호 및 조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급수부 및 변좌부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절전제어장치는
    상기 비데의 세척수의 분사 및 상기 시트에 대한 착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동작시간을 기준주기동안 누적 기록하여 상기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 이내이면 상기 동작시간과 상기 시간간격을 포함하여 동작구간으로 설정하는 사용패턴생성부; 및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구간 및 상기 동작구간에서는 상기 급수부 및 변좌부에 동작전력을 공급하고, 이외의 구간에서는 상기 급수부 및 변좌부에 절전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비데.
  25. 삭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조도값의 크기가 최소조도값 이하이면 밤으로 판별하여 상기 급수부 및 변좌부에 야간전력을 공급하는 비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밤으로 판별된 이후에, 기 설정값 이상의 조도값이 입력되면 돌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급수부 및 변좌부에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비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급수부 및 변좌부에 상기 동작전력 미만의 예열전력을 공급하고, 이후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부 및 변좌부에 상기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비데.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120060630A 2012-01-02 2012-06-05 절전 제어 장치,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비데 및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KR101936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0217 2012-01-02
KR1020120000217 2012-0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098A KR20130079098A (ko) 2013-07-10
KR101936737B1 true KR101936737B1 (ko) 2019-04-09

Family

ID=4899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630A KR101936737B1 (ko) 2012-01-02 2012-06-05 절전 제어 장치,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비데 및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184B1 (ko) * 2014-02-26 2020-11-16 코웨이 주식회사 절전 기능을 갖는 냉온 정수기
CN114705809A (zh) * 2022-02-21 2022-07-05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检测模块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895A (ko) * 2003-03-31 2003-05-27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
KR101063539B1 (ko) * 2009-12-09 2011-09-07 주식회사 노비타 온수세정기의 절전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098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3291A (en) Water electrolyzer
EP2793667B1 (en) Device for purifying and recycling shower water
CN107449073A (zh) 空气净化空调器的智能控制方法
KR101936737B1 (ko) 절전 제어 장치, 절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비데 및 절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US5846390A (en) Non-membrane water electrolyzer
TWI388369B (zh) 水處理裝置
JP4790071B1 (ja) 濾材洗浄装置とそれを備える浄水器
CN210736339U (zh) 供热水系统及软水设备
KR20050081192A (ko) 욕탕물의 가열 및 정화장치.
CN112254339A (zh) 一种高效节能的空气源热泵热水器
CN109373532B (zh) 一种基于冷等离子净化空气的控制方法及其装置
KR100630446B1 (ko)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KR101063982B1 (ko) 절전형 음수기
CN111335406A (zh) 一种集成水槽及其控制方法
CN111238026A (zh) 多级净水集成装置、零冷水燃气热水器及其控制方法
CN210419582U (zh) 台式净水机
KR200324921Y1 (ko) 탁도에 따른 수영장 담수의 순환량 조절장치
JP2001104724A (ja) 浄化機能付き給湯風呂装置
KR20090040975A (ko) 수위, 수온 및 여과기 제어장치
CN209098352U (zh) 用于一体机的净水器
KR0173765B1 (ko) 정수기의 단수감지방법
JP3694093B2 (ja) 浴水清浄化装置
KR0161642B1 (ko) 냉온정수기의 온수역류감지방법
JP2504159Y2 (ja) 電気温水器
KR200336269Y1 (ko) 냉온정수 이온수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