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411A -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411A
KR20150078411A KR1020130167726A KR20130167726A KR20150078411A KR 20150078411 A KR20150078411 A KR 20150078411A KR 1020130167726 A KR1020130167726 A KR 1020130167726A KR 20130167726 A KR20130167726 A KR 20130167726A KR 20150078411 A KR20150078411 A KR 20150078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rilizing
cold
he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9634B1 (ko
Inventor
윤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to KR1020130167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634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은 냉수 탱크, 상기 냉수 탱크 내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 관로, 상기 물을 가열시키는 살균히터, 사용자에게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배출콕 및 상기 냉수 탱크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냉온수기가 제공되는 단계, 상기 살균히터의 작동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단계, 상기 가열된 물이 상기 순환 관로를 통해 순환되어 상기 냉수 탱크 및 상기 배출콕이 살균되는 단계 및 상기 물이 냉각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냉수 탱크 및 상기 배출콕이 살균되는 동안, 상기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살균히터의 작동이 정지되거나 개시되어 상기 물의 온도가 살균설정온도에서 살균설정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METHOD FOR STERILIZING COLD AND HOT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부에 의해 냉수 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살균할 수 있는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산업화 및 공해물질로 인한 수질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수돗물을 정수기로 정화하여 식수로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를 식수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수기는 수돗물을 여러 개의 필터를 통과시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거쳐 수돗물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정화된 물을 소정온도로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 정수기 등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수기는 일반가정용 및 업소용뿐만 아니라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료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 일반가정이나 업소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정수기는, 본체 내부에 급수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시키는 복수개의 필터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저장탱크와, 상기 정수저장탱크의 정수를 각각 공급받아 가열 및 냉각시키는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정수기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정수기에 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2011년 9월 16일에 출원된 선행문헌 KR2011-0093436호에서는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에 대하여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냉수 탱크에 인접하게 배치된 살균부에 의해 냉수 탱크를 용이하게 살균시킬 수 있는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냉수 탱크뿐만 아니라 냉수가 배출되는 배출콕에 존재하는 세균 또한 살균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펌프가 아닌 자연대류 방식에 의해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살균부의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냉수 탱크 내에 공기 층을 유지함으로써 냉수 탱크 내에 단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물의 온도를 살균설정온도에서 살균설정시간 동안 유지하면서 냉수 탱크 및 배출콕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은 냉수 탱크, 상기 냉수 탱크 내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 관로, 상기 물을 가열시키는 살균히터, 사용자에게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배출콕 및 상기 냉수 탱크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냉온수기가 제공되는 단계, 상기 살균히터의 작동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단계, 상기 가열된 물이 상기 순환 관로를 통해 순환되어 상기 냉수 탱크 및 상기 배출콕이 살균되는 단계 및 상기 물이 냉각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냉수 탱크 및 상기 배출콕이 살균되는 동안, 상기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살균히터의 작동이 정지되거나 개시되어 상기 물의 온도가 살균설정온도에서 살균설정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살균히터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살균히터가 자동으로 작동되는 중에 수동으로 작동되는 경우, 뒤이은 상기 살균히터의 자동적인 작동이 생략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살균히터의 작동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단계에서, 물의 온도가 살균설정온도보다 5-15℃ 낮은 경우, 상기 살균히터는 25 내지 35초씩 작동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물의 온도가 살균설정온도에 도달되게 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살균히터의 작동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단계에서, 물의 온도가 가열 시간 경과 후에도 상기 살균설정온도보다 30 내지 40℃ 낮은 경우, 경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물이 냉각되는 단계에서, 상기 살균히터의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냉각부의 작동이 개시되며, 상기 물의 온도가 냉각설정시간 또는 냉각설정온도에 도달되면 상기 배출콕을 통한 출수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에 의하면 냉수 탱크에 인접하게 배치된 살균부에 의해 냉수 탱크를 용이하게 살균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에 의하면 냉수 탱크뿐만 아니라 냉수가 배출되는 배출콕에 존재하는 세균 또한 살균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에 의하면 펌프가 아닌 자연대류 방식에 의해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살균부의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에 의하면 냉수 탱크 내에 공기 층을 유지함으로써 냉수 탱크 내에 단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에 의하면 물의 온도를 살균설정온도에서 살균설정시간 동안 유지하면서 냉수 탱크 및 배출콕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측면도이다.
도 1 또는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10)는 냉수 탱크(100), 배출콕(200) 및 살균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수 탱크(100)는 용기로부터 공급된 정수된 물을 냉각장치(미도시)에 의해 냉각시킨 후, 냉각된 물을 보관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에는 냉수 탱크(100)가 소정의 용량을 갖는 탱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냉수 탱크(100)에는 물이 배출 또는 유입될 수 있는 배출구(11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110)는 냉수 탱크(1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게 될 순환 관로(310)의 장착을 위해 배출구(110)에 파이프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수 탱크(100)의 하부에는 배출 관로(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 관로(120)는 냉수 탱크(100)의 배출구(110) 주위에서 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 관로(120)에 의해 냉수 탱크(100) 내의 물이 후술하게 될 배출콕(200)으로 안내되거나, 살균부(300)가 작동될 때 살균부(300)에 의해 살균된 물이 다시 냉수 탱크(100)로 반환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출 관로(120)의 단부에는 배출콕(20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콕(200)은 냉수 탱크(100) 내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배출 관로(12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배출콕(200)을 통해 사용자는 냉수 탱크(100) 내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냉수 탱크(100)의 하부에는 살균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300)는 순환 관로(310) 및 살균히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 관로(310)의 양단은 각각 냉수 탱크(100)의 배출구(110)와 배출 관로(120)의 일측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순환 관로(310)는 냉수 탱크(100)의 배출구(110)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하향 부분(312), 하향 부분(312)에 연결되어 위로 굽혀지는 굽은 부분(314) 및 굽은 부분(314)으로부터 위로 연장하여 배출 관로(120)에 장착되는 상향 부분(3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향 부분(312)이 냉수 탱크(100)의 배출구(110)에 장착되는 높이와 상향 부분(316)이 배출 관로(120)에 장착되는 높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향 부분(312)이 냉수 탱크(100)의 배출구(110)에 장착되는 높이가 상향 부분(316)이 배출 관로(120)에 장착되는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향 부분(316)의 단부를 통해 빠져나간 가열된 물은 하향 부분(312)으로 바로 들어가지 않고, 냉수 탱크(100)를 순환하면서 살균을 행한 후, 다시 하향 부분(312)으로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순환 관로(310)의 구조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냉수 탱크(100)의 내부 공간을 살균시킬 수 있도록 냉수 탱크(100) 내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킬 수 있는 구조 및 배치라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출콕(200)을 별도로 살균시키는 경우, 순환 관로(310)의 일단은 배출 관로(120)에 장착되지 않고 냉수 탱크(100)에 마련된 다른 배출구 또는 개구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순환 관로(310)의 상향 부분(316)에는 살균히터(3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살균히터(320)는 예를 들어 PTC 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PTC 히터는 PTC 서미스터를 이용한 전기발열체 소자로서, 특정 온도 이상에서 급격한 저항 값의 증가를 나타내는 저항체에 전기를 통하여 발열시키면, 자신의 저항치가 증가하여 전류를 제한함으로써 외기의 온도나 전원전압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그 온도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살균히터(320)에 의해 냉수 탱크(100)로부터 전달된 물은 일정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으며, 물의 가열 온도는 배출콕(200) 및 냉수 탱크(100) 내의 세균을 살균시키는 데 효과적인 온도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살균히터(320)가 순환 관로(310)의 상향 부분(316)에 장착됨으로써, 살균히터(320)에 의해 가열된 물이 자연대류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배출 관로(12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배출 관로(120)에 전달된 가열된 물은 배출콕(200)을 순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물이 직접 공급되는 배출콕(200) 내의 세균들이 살균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어서, 배출콕(200)을 순환한 물이 다시 배출 관로(120)를 통하여 냉수 탱크(100)의 배출구(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냉수 탱크(100)의 배출구(110)를 통해 다시 전달된 가열된 물에 의해 냉수 탱크(100)가 살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부(300)에 의해 가열된 물은 냉수 탱크(100)뿐만 아니라 배출콕(200) 또한 살균시킬 수 있으며, 살균부(300)에 공급된 물을 자연대류에 의해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펌프가 설치될 필요가 없어, 살균부(300)의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살균부(300)가 냉수 탱크(100)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냉수 탱크(100) 및 배출콕(200)을 용이하게 살균시킬 수 있으며, 공간 효율 면에서도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냉수 탱크(100) 내에는 수위 센서(40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 센서(400)는 냉수 탱크(10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수위 센서(40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수위 센서(400)는 복수 개로 구성되거나, 냉수 탱크(100) 내의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위 센서(400)는 냉수 탱크(100)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정전 용량식 센서일 수 있다.
정전 용량식 센서의 경우, 수위의 증감에 따라 정전 용량이 선형적으로 비례하게 된다.
센서는 PTFE 절연재질로 완벽하게 싸인 전극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위 센서(400)에는 경보 시스템(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으며, 미리 선택된 고수위 경보 또는 저수위 경보 지점이 센서에 감지되었을 때, 경보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게다가, 냉수 탱크(100) 내에는 플로팅 밸브(50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로팅 밸브(500)는 냉수 탱크(100) 내에 저장된 물의 상면에서 부유하는 플로팅 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면이 올라갔다 내려갔다 함에 따라 움직이는 플로팅 볼의 작용에 의해 밸브(미도시)를 개폐하여 냉수 탱크(100) 내의 액면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냉수 탱크(100) 내의 액면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냉수 탱크(100) 내에는 공기 층(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 층(A)에 의해 냉수 탱크(100) 내부의 단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냉각 탱크(100)의 상부에서 완충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냉수 탱크(100) 내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살균히터(320)에 의해 가열된 물의 온도를 유지시켜 냉수 탱크(100)를 살균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냉수 탱크(100)에는 냉각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냉수 탱크(100) 내의 물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며, 냉각 코일 또는 압축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살균부(300)를 구비하는 냉온수기(10)는 간략하게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우선, 냉수 탱크(100) 내의 물이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배출구(110)에는 순환 관로(310), 또는 순환 관로(310)의 하향 부분(312)의 일단이 장착되어, 냉수 탱크(100) 내의 물이 순환 관로(310)에 직접 유입될 수 있다.
순환 관로(310)에 유입된 물은 순환 관로(310)의 하향 부분(312)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고, 이어서 순환 관로(310)의 굽은 부분(314)을 따라 이동 방향이 위로 전환될 수 있다.
이어서, 순환 관로(310)의 상향 부분(316)에 장착된 살균히터(320)에 물이 도달된다.
살균히터(320)에 도달된 물은 일정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이때, 살균히터(320)에 의해 가열된 물을 자연대류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하여, 순환 관로(310)의 상향 부분(316)이 장착된 배출 관로(120)에 도달한다.
이어서, 살균히터(320)에 의해 가열된 물은 배출콕(2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배출콕(200)에 전달된 물은 배출콕(200) 내부를 순환하면서 배출콕(200)을 살균시킬 수 있다.
배출콕(200)을 살균시킨 물은 다시 배출 관로(120)를 통과하여 냉수 탱크(100)의 배출구(1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수 탱크(100)의 배출구(110)는 냉수 탱크(100) 내의 물을 순환 관로(310)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살균부(300)로부터 가열된 물을 배출 관로(120)를 통해 냉수 탱크(100)로 다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냉수 탱크(100)로 다시 유입된 가열된 물은 냉수 탱크(100) 내에서 확산되면서 냉수 탱크(100)의 내부 공간을 살균시킬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우선 살균예약시간이 되면, 냉각부에 의한 냉각 기능이 정지되고 배출콕에 의한 냉수 및 온수의 출수가 차단되며, 살균히터에 의한 물의 가열되는 가열될 수 있다.
반면, 살균예정시간이 아닌 경우에는 냉각부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냉수 및 온수의 출수 또한 가능하다.
상기 살균예약시간에 의해 살균히터는 자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살균히터가 살균예약시간마다 자동으로 작동되는 중에 수동으로 작동된 경우, 뒤이는 살균히터의 자동적인 작동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시간마다 살균히터가 작동되도록 설정된 경우, 2시에 살균히터가 작동되고, 2시 30분에 수동 작동된 경우, 3시에 예정된 살균히터의 작동은 생략되고, 4시에 살균히터가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예약시간이 되면, 살균히터의 작동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가열 구간에 진입하게 된다.
이때, 물의 온도가 살균설정온도보다 5 내지 15℃ 낮은 경우, 예를 들어 55 내지 66℃인 경우, 살균히터를 25 내지 35초, 바람직하게 30초 간격으로 작동 및 정지를 반복적으로 하여 물의 온도가 살균설정온도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즉, 70℃인 살균설정온도와 물의 온도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경우, 연속적으로 살균히터를 작동시키는 것보다 간헐적으로 살균히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살균히터 작동 시 소요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히터의 작동에 의해 물의 온도가 살균설정온도 이상으로 되면, 살균 구간에 진입하게 된다.
그러나, 살균히터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가열 시간 경과 후에도 살균설정온도보다 30 내지 40℃ 낮은 경우, 예를 들어 살균히터가 작동되고 120분이 경과하였는데도 물의 온도가 35℃보다 낮은 경우, 경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살균히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가열을 시작한 후에도 물의 온도에 변화가 없다는 것은, 살균히터 또는 다른 부품에 이상이 생겼음을 암시할 수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이, 살균 구간에 진입을 하였을 때, 물의 온도가 66℃ 이하인 경우 살균히터가 작동되어, 물이 가열될 수 있다.
반면, 물의 온도가 68℃ 이상일 경우, 살균히터의 작동은 정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 구간 동안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살균히터를 반복적으로 작동 및 정지시킴으로써 물의 온도를 살균설정온도에 근접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물의 온도는 살균설정시간, 예를 들어 5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설정온도로 살균설정시간 동안 유지함으로써, 냉수 탱크 및 배출콕의 살균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살균설정시간 경과 후, 냉각 구간에 진입하게 된다.
상기 냉각 구간에서는 살균히터의 작동이 정지되고, 냉각부의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냉각부의 작동 이후, 물의 온도가 냉각설정온도, 예를 들어 10℃ 이하에 도달되면, 냉각 구간이 종료되어 살균 기능 또한 종료될 수 있다.
이때, 냉각설정시간이 100분으로 설정된 경우, 물의 온도에 상관 없이, 살균 기능이 종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 기능이 종료되면, 배출콕을 통한 냉수 및 온수의 출수가 가능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는 자연대류 방식에 의해 냉수 탱크로부터 살균부를 거쳐 다시 냉수 탱크로 전달되게 할 수 있어 살균부의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냉수 탱크에 인접하게 배치된 살균부에 의해 냉수 탱크를 용이하게 살균시킬 수 있다. 게다가, 냉수 탱크뿐만 아니라 냉수가 배출되는 배출콕에 존재하는 세균 또한 살균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냉수 탱크 내에 공기 층을 유지함으로써 냉수 탱크 내에 단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에 의해 물의 온도 및 설정시간을 판단하여 가열, 살균 및 냉각 구간에 자동적으로 진입하게 되어 효과적으로 냉온수기의 살균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냉온수기
100: 냉수 탱크
110: 배출구
120: 배출 관로
200: 배출콕
300: 살균부
310: 순환 관로
312: 상향 부분
314: 굽은 부분
316: 하향 부분
320: 살균히터
400: 수위 센서
500: 플로팅 밸브

Claims (5)

  1. 냉수 탱크, 상기 냉수 탱크 내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 관로, 상기 물을 가열시키는 살균히터, 사용자에게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배출콕 및 상기 냉수 탱크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냉온수기가 제공되는 단계;
    상기 살균히터의 작동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단계;
    상기 가열된 물이 상기 순환 관로를 통해 순환되어 상기 냉수 탱크 및 상기 배출콕이 살균되는 단계; 및
    상기 물이 냉각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냉수 탱크 및 상기 배출콕이 살균되는 동안, 상기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살균히터의 작동이 정지되거나 개시되어 상기 물의 온도가 살균설정온도에서 살균설정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는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히터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살균히터가 자동으로 작동되는 중에 수동으로 작동되는 경우, 뒤이은 상기 살균히터의 자동적인 작동이 생략될 수 있는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히터의 작동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단계에서, 물의 온도가 살균설정온도보다 5 내지 15℃ 낮은 경우, 상기 살균히터는 25 내지 35초씩 작동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물의 온도가 살균설정온도에 도달되게 하는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히터의 작동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단계에서, 물의 온도가 가열 시간 경과 후에도 상기 살균설정온도보다 30 내지 40℃ 낮은 경우, 경보를 표시하는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 냉각되는 단계에서, 상기 살균히터의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냉각부의 작동이 개시되며, 상기 물의 온도가 냉각설정시간 또는 냉각설정온도에 도달되면 상기 배출콕을 통한 출수가 가능해지는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KR1020130167726A 2013-12-30 2013-12-30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KR101559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726A KR101559634B1 (ko) 2013-12-30 2013-12-30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726A KR101559634B1 (ko) 2013-12-30 2013-12-30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411A true KR20150078411A (ko) 2015-07-08
KR101559634B1 KR101559634B1 (ko) 2015-10-13

Family

ID=5379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726A KR101559634B1 (ko) 2013-12-30 2013-12-30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6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890A (ko) * 2014-07-08 2016-01-18 (주)피티에스 외기 살균모듈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 시스템
CN110143641A (zh) * 2019-04-12 2019-08-20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热水设备的巡航杀菌方法及热水设备
CN113048656A (zh) * 2021-03-12 2021-06-29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电热水器的杀菌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154B1 (ko) 2017-09-19 2019-12-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방법
KR101943560B1 (ko) 2017-09-19 2019-02-0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KR20190032703A (ko) 2017-09-19 2019-03-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7845A1 (en) 2009-06-08 2012-04-12 Yong Jin Kim Steam sterilization system for a water purifi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890A (ko) * 2014-07-08 2016-01-18 (주)피티에스 외기 살균모듈을 구비한 음용수 공급 시스템
CN110143641A (zh) * 2019-04-12 2019-08-20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热水设备的巡航杀菌方法及热水设备
CN113048656A (zh) * 2021-03-12 2021-06-29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电热水器的杀菌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634B1 (ko)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634B1 (ko)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US2016024495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llecting, sanitizing, and dispensing condensed forms of atmospheric water
EP1852131B1 (en) Water dispenser with disinfection circuit
KR101629326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143791B1 (ko) 살균장치를 가진 정수기
KR100993891B1 (ko) 정수기
KR200424091Y1 (ko) 냉수와 온수의 순환교류방식에 따른 급수시스템
KR100622574B1 (ko) 가열냉각식 음수대 및 그 사용방법
KR101556176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17922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 취수 및 정수통의 살균장치
KR20050081192A (ko) 욕탕물의 가열 및 정화장치.
KR101600165B1 (ko) 냉온음료 공급기
KR20090077460A (ko) 냉온정수기
KR101012229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KR200449784Y1 (ko) 가열 냉각식 음수대
JPH09290252A (ja) 逆滲透冷・温浄水器の浄水及び循環システム
KR101365122B1 (ko) 배관청소가 용이한 급수시스템
TW201637568A (zh) 水循環寵物洗浴裝置
KR101063983B1 (ko) 급속냉각형 음수기
CN206843160U (zh) 净水机
JP3694099B2 (ja) 浴水清浄化装置
KR102326308B1 (ko) 음료 준비 장치
CN115886557A (zh) 饮水装置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385975Y1 (ko) 가열냉각식 음수대
US20140190582A1 (en) Water diverter assembly for a water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