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560B1 -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560B1
KR101943560B1 KR1020170120500A KR20170120500A KR101943560B1 KR 101943560 B1 KR101943560 B1 KR 101943560B1 KR 1020170120500 A KR1020170120500 A KR 1020170120500A KR 20170120500 A KR20170120500 A KR 20170120500A KR 101943560 B1 KR101943560 B1 KR 101943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temperature
storage tank
water storage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기동
유선우
이헌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0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1/00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 F24D11/002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water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8Storage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저장탱크의 온수온도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조건(20~50℃)일 경우, 또는 상기 조건하에서 소비자가 살균기능 작동버튼을 "온" 조작하면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와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현재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 또는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로 설정한 다음 순환펌프를 작동시키고 버너에 점화를 실시한 후 열량제어를 실시하며 열원발생기 내의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온수 가열용 물을 순환펌프가 설치되어 있는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을 통해 온수저장탱크 측으로 공급했다가 다시 열교환기로 환수시키는 방식을 통해 온수저장탱크의 내부온도(Ttank)가 소비자가 설정하거나, 기설정된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에 정해진 시간(A)동안 연속해서 도달될 때까지 가열하여 레지오넬라균을 살균하되, 살균기능 작동 중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소비자가 설정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을 경우에는 온수저장탱크의 급수유입구와 온수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패스밸브를 열어 온수저장탱크 내로 유입되는 급수의 일부가 온수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온수에 자동으로 희석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온수저장탱크 내에서 서식할 수 있는 레지오넬라균을 정확히 살균시킬 수 있고, 레지오넬라균의 살균기능 조건을 소비자가 설정할 수 있어 합리적 에너지 사용 및 사용하는 온수온도 유지로 온수 사용에 따른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온수저장탱크의 살균기능 작동시 또는 살균기능 작동 후 온수 사용 시 고온수의 배출로 인해 소비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Hot water discharge prevention method in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of Legionella bacteria in hot 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일러 또는 온수기 등과 같은 열원발생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온수저장탱크 내의 온도가 레지오넬라균이 발생하는 온도조건(20~50℃) 이하로 저하될 경우 온수저장탱크 내의 물을 정해진 온도 범위 내로 가열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레지오넬라균 살균기능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시켜 레지오넬라균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또 레지오넬라균을 살균하기 위해 온수저장탱크 내 물을 고온으로 가열 시 소비자가 설정한 온수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급수유입구와 온수배출구 사이에 설치한 바이패스 배관의 바이패스밸브를 열어 급수가 고온으로 가열된 온수에 자동으로 희석되게 하는 방식을 통해 저장탱크의 살균 및 살균기능 작동 후 소비자가 온수 사용 시 화상일 입게 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기는 냉수를 데워 소비자에게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설치되는 장치이고, 보일러(Boiler)는 난방과 온수의 공급을 위하여 설치되는 장치이다.
여기서, 온수기는 크기에 따라 가정용으로 이용되는 소형 온수기에서부터 식당이나 산업용 등으로 이용되는 중형 및 대형 보일러까지 널리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서 전기 온수기, 기름 온수기 및 가스 온수기 등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종류의 온수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 보일러는 각종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데우고, 데워진 물을 직접 이용하거나, 가정 또는 각종 건물들의 난방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크기에 따라 가정용으로 이용되는 소형 보일러에서부터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대형 보일러까지 널리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서 기름 보일러 및 가스 보일러 등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종류의 보일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보일러 또는 온수기 등과 같은 열원발생기에서 가열된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저장탱크는 비교적 적은 용적을 갖게 제작하여 열원발생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적 큰 용적을 갖게 제작하여 열원발생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또, 열원발생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온수저장탱크의 경우 열원발생기 본체 내의 열교환기 등을 통해 가열된 온수의 열을 이용하여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거나 또는 외부 온수저장탱크 내에 히터를 설치하여 가열하는 등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주거용 주택 등에는 냉수를 가열 공급하는 열원발생기로 난방 및 온수 겸용 보일러 및 온수기가 설치되며, 이들 중 보일러의 냉수관 및 온수관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와 온수를 주방이나 공동욕실, 개인욕실 등에서 사용하게 되고, 온수기에서는 온수관을 통해 주방이나 공동욕실, 개인욕실 등에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아파트나 주택 등의 배관에는 별도의 정수시설이 없는 관계로 수도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대장균, 일반 세균 등을 살균하기 위해 처리한 염소 등으로 인한 피부 노화촉진, 알레르기, 발암물질 생성으로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냉/온수 공급장치인 열원발생기의 경우 온수가 흐르는 배관에는 각종 세균이 증식되어 다양한 질환을 유발시키는데, 이 중에서도 최근에 밝혀진 레지오넬라균에 의해 감기 및 폐렴 증상을 유발하는 사례가 늘고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레지오넬라 병으로 발전한 10∼30%가 사망하는 등 인간의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레지오넬라균은 호수, 강, 개울, 자연온천, 진흙, 지하수, 화산활동과 관련된 연못, 물가의 토양 등의 자연 환경 뿐만 아니라 냉각탑 수, 증발형 콘덴서, 가습기, 치과에서 사용되는 물과 같은 인공 환경에서도 빈번하게 증식되는 특성이 있다.
특히, 대형 건물의 냉각탑 수가 레지오넬라 균종으로 오염될 경우 비산되는 냉각탑 수의 흡입으로 인하여 레지오넬라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또는 건물 내의 급, 배수 시설에 형성된 배관 내에서 증식한 균이 샤워나 세면시 에어로졸(물안개)을 통해 확산되므로써 인체 감염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냉온수 공급장치인 열원발생기에는 이러한 레지오넬라균을 살균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레지오넬라균에 노출된 상태로 그에 의한 감염의 위험성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일부 열원발생기에서는 온수저장탱크 내의 물의 온도를 레지오넬라균이 살균될 수 있는 온도(20~50℃) 이상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살균 기능을 작동시킨 경우에 살균을 위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가 되면 살균 기능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살균 가능한 온도 이상을 유지 시 소비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가열을 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고온의 온수만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살균 가능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 후, 살균 기능을 종료하는 경우 소비자가 설정한 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가능성이 있어 살균 기능 작동 후, 온수 사용 시 화상의 위험이 있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58073호(2014년 01월 2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59634호(2015년 10월 0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13390호(2016년 04월 1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54844호(2011년 08월 01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열원발생기의 온도조절장치에 살균기능 작동버튼과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를 더 구비시켜 주고, 열원발생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온수저장탱크의 급수유입구와 온수배출구 사이에는 바이패스밸브를 더 설치하여, 온수저장탱크 내의 온수온도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조건(20~50℃)일 경우, 또는 상기 조건하에서 소비자가 살균기능 작동버튼을 "온" 조작하면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와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현재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 또는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로 설정한 다음 순환펌프를 작동시키고 버너에 점화를 실시한 후 열량제어를 실시하며 열원발생기 내의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온수 가열용 물을 순환펌프가 설치되어 있는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을 통해 온수저장탱크 측으로 공급했다가 다시 열교환기로 환수시키는 방식을 통해 온수저장탱크의 내부온도(Ttank)가 소비자가 설정하거나, 기설정된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에 정해진 시간(A)동안 연속해서 도달될 때까지 가열하여 레지오넬라균을 살균하되, 살균기능 작동 중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소비자가 설정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을 경우에는 온수저장탱크의 급수유입구와 온수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패스밸브를 열어 온수저장탱크 내로 유입되는 급수의 일부가 온수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온수에 자동으로 희석되도록 함으로써 온수저장탱크 내에서 서식할 수 있는 레지오넬라균을 정확히 살균시킬 수 있고,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의 살균기능 조건을 소비자가 설정할 수 있어 합리적 에너지 사용 및 사용하는 온수온도 유지로 소비자의 온수 사용에 따른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온수저장탱크의 살균기능 작동시 또는 살균기능 작동 후 온수 사용 시 고온수의 배출로 인해 소비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열교환기 내에서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을 통해 온수저장탱크 측으로 공급하는 온수 가열용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공급온도 검출센서와; 열교환기에서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온수 가열용 물과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되는 온수저장탱크 내 온수온도를 검출하는 저장탱크 온수온도 검출센서와; 버너의 연소상태를 검출하는 불꽃 검출센서와; 연산장치와 기억장치를 구비하고 난방 및 온수온도 제어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송풍팬의 구동 및 회전수를 제어하는 송풍팬 구동부와;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가스공급밸브의 구동 및 개폐량을 제어하는 가스공급밸브 구동부와;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상에 설치되어 있는 순환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순환펌프 구동부와; 표시부 및 각종 키를 구비하고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 및 제어에 필요한 키 신호를 입력시켜 줄 수 있는 온도조절장치와; 정해진 용적을 갖고 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순환펌프의 작동시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 가열용 물에서 발생하는 열과의 열교환을 통해 내부로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여 소비자에게 온수로 제공하는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열원발생기의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에 소비자가 레지오넬라균의 살균기능을 작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살균기능 작동버튼과, 레지오넬라균의 살균기능 작동시 그 상태를 표시해 주는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를 더 설치하고,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급수유입구와 온수배출구 사이에는 바이패스밸브가 구비된 바이패스 배관을 더 설치하며, 상기 제어부의 출력 측에는 살균기능 작동 중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소비자가 설정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을 경우 상기 바이패스밸브를 열어 고온수에 급수가 희석되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를 자동으로 낮춰주는 바이패스밸브 구동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법은, 열원발생기의 제어부에서 통상시 저장탱크 온수온도 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이면 온도조절장치에 구비된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를 "온"시켜 주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높으면,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현재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와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레지오넬라균 살균을 위해 순환펌프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가스공급밸브를 열고 버너에 점화를 실시하여 연소를 시작하는 단계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에 대응하여 송풍팬의 회전수와 가스공급량 제어를 통해 버너의 열량을 제어하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판단하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낮으면,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이고, 그 상태가 정해진 시간(A)을 경과하는지 판단하여 정해진 시간(A)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판단하는 단계를 실시하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인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A)을 경과하면, 버너를 소화시키는 단계와; 순환펌프를 "오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에서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인지를 판단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일 경우, 온도조절장치에 구비된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를 "온"시키기에 앞서, 온도조절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살균기능 작동버튼이 "온"상태인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 살균기능 작동버튼이 "온"되었을 때에 한하여 온도조절장치에 구비된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를 "온"시키는 단계는 물론 그 이하의 단계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높은지를 판단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낮으면,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와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실시한 다음 레지오넬라균 살균을 위해 순환펌프를 구동시키는 단계로 돌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에서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판단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으면, 온수저장탱크의 급수유입구와 온수배출구 사이의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패스밸브를 열어 온수저장탱크 내로 유입되는 급수의 일부가 온수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온수에 자동으로 희석되게 하는 단계를 실시한 후,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이고, 그 상태가 정해진 시간(A)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로 돌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버너의 소화시키고 순환펌프를 "오프"시킨 후에는,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 만약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낮으면 온도조절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상기 바이패스밸브를 닫아 주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는 15~20℃로 설정하고,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는 60~75℃로 설정하며,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는 60~75℃로 설정하고, 정해진 시간(A)은 상기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의 설정값에 대응하여 설정하여 1분~30분 사이에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가 60℃이상 65℃미만 사이로 설정된 경우 정해진 시간(A)은 30분으로 설정하고,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가 65℃이상 70℃미만 사이로 설정된 경우 정해진 시간(A)은 15분으로 설정하며,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가 70℃이상 75℃미만 사이로 설정된 경우 정해진 시간(A)은 5분으로 설정하고,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가 75℃로 설정된 경우 정해진 시간(A)은 1분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에 의하면, 열원발생기의 온도조절장치에 살균기능 작동버튼과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를 더 구비시켜 주고, 열원발생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온수저장탱크의 급수유입구와 온수배출구 사이에는 바이패스밸브를 더 설치하여, 온수저장탱크 내의 온수온도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조건(20~50℃)일 경우, 또는 상기 조건하에서 소비자가 살균기능 작동버튼을 "온" 조작하면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와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현재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 또는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로 설정한 다음 순환펌프를 작동시키고 버너에 점화를 실시한 후 열량제어를 실시하며 열원발생기 내의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온수 가열용 물을 순환펌프가 설치되어 있는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을 통해 온수저장탱크 측으로 공급했다가 다시 열교환기로 환수시키는 방식을 통해 온수저장탱크의 내부온도(Ttank)가 소비자가 설정하거나, 기설정된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에 정해진 시간(A)동안 연속해서 도달될 때까지 가열하여 레지오넬라균을 살균하되, 살균기능 작동 중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소비자가 설정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을 경우에는 온수저장탱크의 급수유입구와 온수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패스밸브를 열어 온수저장탱크 내로 유입되는 급수의 일부가 온수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온수에 자동으로 희석되도록 함으로써 온수저장탱크 내에서 서식할 수 있는 레지오넬라균을 정확히 살균시킬 수 있고,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의 살균기능 조건을 소비자가 설정할 수 있어 합리적 에너지 사용 및 사용하는 온수온도 유지로 소비자의 온수 사용에 따른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온수저장탱크의 살균기능 작동시 또는 살균기능 작동 후 온수 사용 시 고온수의 배출로 인해 소비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가 적용된 열원발생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가 적용된 열원발생기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가 적용된 열원발생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가 적용된 열원발생기의 전체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열교환기(11) 내에서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12)을 통해 온수저장탱크(21) 측으로 공급하는 온수 가열용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공급온도 검출센서(13)와; 열교환기(11)에서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12)을 통해 공급하는 온수 가열용 물과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되는 온수저장탱크(21) 내 온수온도를 검출하는 저장탱크 온수온도 검출센서(14)와; 버너의 연소상태를 검출하는 불꽃 검출센서(15)와; 연산장치(161)와 기억장치(162) 등을 구비하고 난방 및 온수온도 제어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16)와; 제어부(16)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송풍팬(171)의 구동 및 회전수를 제어하는 송풍팬 구동부(17)와; 제어부(16)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가스공급밸브(181)의 구동 및 개폐량을 제어하는 가스공급밸브 구동부(18)와; 제어부(16)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12)상에 설치되어 있는 순환펌프(191)의 구동을 제어하는 순환펌프 구동부(19)와; 표시부 및 각종 키를 구비하고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 및 제어에 필요한 키 신호를 입력시켜 줄 수 있는 온도조절장치(20)와; 정해진 용적을 갖고 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순환펌프(191)의 작동시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12)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 가열용 물에서 발생하는 열과의 열교환을 통해 내부로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여 소비자에게 온수로 제공하는 온수저장탱크(21);를 구비한 열원발생기의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에 소비자가 레지오넬라균의 살균기능을 작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살균기능 작동버튼(201)과, 레지오넬라균의 살균기능 작동시 그 상태를 표시해 주는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202)를 더 설치하고,
상기 온수저장탱크(21)의 급수유입구(211)와 온수배출구(212) 사이에는 바이패스밸브(22)가 구비된 바이패스 배관(221)을 더 설치하며,
상기 제어부(16)의 출력 측에는 살균기능 작동 중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소비자가 설정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을 경우 상기 바이패스밸브(22)를 열어 고온수에 급수가 희석되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를 자동으로 낮춰주는 바이패스밸브 구동부(23)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방법은,
열원발생기의 본체 내에 구비된 제어부(16)에서 통상시 저장탱크 온수온도 검출센서(14)를 통해 검출되는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이면 온도조절장치(20)에 구비된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202)를 "온"시켜 주는 단계(S3)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4)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높으면,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현재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와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S5)와;
레지오넬라균 살균을 위해 온수저장탱크(21) 내의 물은 가열시켜 주기 위하여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12)에 구비된 순환펌프(191)를 구동시키는 단계(S7)와;
가스공급밸브(181)를 열고 버너에 점화를 실시하여 연소를 시작하는 단계(S8)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에 대응하여 송풍팬(171)의 회전수와 가스공급량 제어를 통해 버너의 열량을 제어하는 단계(S9)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판단하는 단계(S10)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낮으면(S10에서 No),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이고, 그 상태가 정해진 시간(A)을 경과하는지 판단(S12)하여, 정해진 시간(A)이 경과되지 않았으면(S12에서 No), 이전 단계(S10)로 되돌아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판단하는 단계를 실시하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인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A)을 경과하면(S12에서 Yes), 버너를 소화시키는 단계(S13)와;
순환펌프(191)를 "오프"시키는 단계(S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16)에서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인지를 판단(S1)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일 경우(S1에서 Yes), 온도조절장치(20)에 구비된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202)를 "온"시키기(S3)에 앞서,
온도조절장치(20)에 설치되어 있는 살균기능 작동버튼(201)이 "온"상태인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S2)를 더 실시하여, 살균기능 작동버튼(201)이 "온"되었을 때에 한하여 온도조절장치(20)에 구비된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202)를 "온"시키는 단계(S3)는 물론 그 이하의 단계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에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높은지를 판단(S4)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낮으면(S4에서 No),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와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S6)를 더 실시한 다음, 레지오넬라균 살균을 위해 순환펌프(S7)를 구동시키는 단계로 돌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16)에서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판단(S10)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으면(S10에서 Yes),
온수저장탱크(21)의 급수유입구(211)와 온수배출구(212) 사이의 바이패스 배관(221)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패스밸브(22)를 열어 온수저장탱크(21) 내로 유입되는 급수의 일부가 온수저장탱크(21)에서 배출되는 온수에 자동으로 희석되게 하는 단계(S11)를 실시한 후,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이고, 그 상태가 정해진 시간(A)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2)로 돌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에서 순환펌프(191)를 "오프"(S14)시킨 후에는,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계속적으로 판단(S15)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 만약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낮으면,
온도조절장치(20)에 설치되어 있는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202)를 "오프"(S16)와;
상기 바이패스밸브(22)를 닫아 주는 단계(S17);를 더 실시하고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는 15~20℃로 설정하고,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는 60~75℃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는 60~75℃로 설정하고, 정해진 시간(A)은 상기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의 설정값에 대응하여 설정하여 1분~30분 사이에서 설정하되,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가 60℃이상 65℃미만 사이로 설정된 경우 정해진 시간(A)은 30분으로 설정하고,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가 65℃이상 70℃미만 사이로 설정된 경우 정해진 시간(A)은 15분으로 설정하며,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가 70℃이상 75℃미만 사이로 설정된 경우 정해진 시간(A)은 5분으로 설정하고,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가 75℃로 설정된 경우 정해진 시간(A)은 1분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11)와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12), 공급온도 검출센서(13), 저장탱크 온수온도 검출센서(14), 불꽃 검출센서(15), 제어부(16), 송풍팬(171)과 송풍팬 구동부(17), 가스공급밸브(181)와 가스공급밸브 구동부(18), 순환펌프(191)와 순환펌프 구동부(19), 온도조절장치(20) 및 온수저장탱크(21)를 구비한 열원발생기 중 상기 온도조절장치(20)에 살균기능 작동버튼(201)과,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202)를 더 구비시키고, 상기 온수저장탱크(21)의 급수유입구(211)와 온수배출구(212) 사이에는 바이패스밸브(22)가 구비된 바이패스 배관(221)을 더 설치하며, 상기 제어부(16)의 출력 측에는 바이패스밸브 구동부(23)를 더 설치하여, 온수저장탱크 내의 온수온도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조건(20~50℃)일 경우, 또는 상기 조건하에서 소비자가 살균기능 작동버튼을 "온" 조작하면 버너의 연소를 통해 온수저장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여 레지오넬라균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소비자가 온수를 풍부하고 온도는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소비자가 살균기능 작동을 설정 시 소비자에 의해 설정된 살균기능 설정온도로 레지오넬라균을 살균할 수 있으며, 살균기능 작동 중에 온수저장탱크 내부의 온수온도가 고온일 경우 온수저장탱크 내로 유입되는 급수의 일부가 온수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온수에 자동으로 희석되도록 바이패스밸브를 열어 주어 온수저장탱크의 살균기능 작동시 또는 살균기능 작동 후 온수 사용 시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 장치가 적용된 공지의 열원발생기 구성요소 중 상기 공급온도 검출센서(13)는 열원발생기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기(11)의 온수 가열용 물 배출구 측에 설치되어 열교환기(11)에서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12)을 통해 온수저장탱크(21) 측으로 공급하는 온수 가열용 물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저장탱크 온수온도 검출센서(14)는 열원발생기의 본체와 별개로 외부에 설치되는 온수저장탱크(2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11)에서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12)을 통해 공급하는 온수 가열용 물과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되는 온수저장탱크(21) 내 온수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불꽃 검출센서(15)는 도시 생략한 버너 측에 설치되어 버너에 가스가 공급된 상태에서 도시 생략한 점화기의 점화작동에 의해 버너에서 불꽃이 발생된 후 정상적인 연소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버너 연소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부(1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제어부(16)는 연산장치(161)와 기억장치(162) 등을 포함한 본 발명 방법 등과 같은 각종 제어 프로그램 등을 구비하고 난방 및 온수온도 제어에 필요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 구동부(17)는 상기 제어부(16)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송풍팬(171)의 구동 및 회전수를 제어하고, 상기 가스공급밸브 구동부(18)는 상기 제어부(16)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가스공급밸브(181)의 구동 및 개폐량을 제어하며, 상기 순환펌프 구동부(19)는 상기 제어부(16)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12)상에 설치되어 있는 순환펌프(191)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는 기본적으로 표시부 및 각종 키를 구비하고 난방온도 및 온수온도 설정 및 제어 등에 필요한 키 신호를 입력시켜 줄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온수저장탱크(21)는 정해진 용적을 갖고 열원발생기의 본체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열교환기(11)와 연결된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12)의 일부가 내부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된 형태를 갖고, 순환펌프(191)의 작동시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12)을 통해 열교환기(11)로부터 공급되는 공급되는 온수 가열용 물에서 발생하는 열과의 열교환을 통해 내부로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여 소비자에게 온수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에 부가 설치한 구성요소 중 상기 살균기능 작동버튼(201)은 소비자가 수동 조작을 통해 레지오넬라균의 살균기능을 작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고,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202)는 상기 제어부(16)에서 수동 또는 자동모드에서 레지오넬라균의 살균기능을 작동할 때 그 상태를 표시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바이패스밸브(22)는 상기 온수저장탱크(21)의 급수유입구(211)와 온수배출구(212) 사이에 더 구비시킨 바이패스 배관(221)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밸브 구동부(23)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개폐 작동되며 상기 바이패스 배관을 통해 급수의 일부를 온수배출구(212) 측으로의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밸브(22)는 바이패스 배관(221)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로(즉, 바이패스 배관(221))의 개폐 또는 유로인 상기 바이패스 배관(221)을 통과하는 유량을 제어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밸브(22)는 상기 온수저장탱크(21)의 급수유입구(211)와 온수배출구(212) 사이에 더 구비시킨 바이패스 배관(221)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밸브 구동부(23)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개폐 작동되며 상기 바이패스 배관을 통해 급수의 일부가 온수배출구(212) 측으로 공급되어 고온수에 자동 희석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바이패스밸브 구동부(23)는 상기 제어부(16)의 출력 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레지오넬라균에 대한 살균기능 작동 중 상기 제어부(16)에서 살균기능 작동 중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와 소비자가 설정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를 상호 비교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소비자가 설정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을 때 발생되는 밸브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바이패스밸브(22)를 열어 주어, 온수저장탱크(21)로 공급되고 있는 저온의 급수가 상기 바이패스 배관(221) 및 바이패스밸브(22)를 통해 온수배출구(212) 측으로의 공급되며 고온의 온수와 자동으로 희석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소비자가 고온수에 의해 화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원발생기의 본체 내에 구비된 제어부(16)에서 통상시 저장탱크 온수온도 검출센서(14)를 통해 검출되는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 예를 들어 15~20℃)이상인지를 계속 판단한다(S1).
이와 같이 저장탱크 온수온도 검출센서(14)를 통해 검출되는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인지를 계속 판단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 미만 예를 들어 15~20℃ 미만이면 레지오넬라균이 발생할 수 없는 조건으로써 살균이 불필요하므로 실균기능 자체를 실행하지 않거나 바로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6)에서 저장탱크 온수온도 검출센서(14)를 통해 검출되는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인지를 계속 판단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인 예를 들어 15~20℃이상이면, 상기 온도조절장치(20)에 살균기능 작동버튼(201)이 구비되지 않은 자동 모드에서는 곧바로 온도조절장치(20)에 구비된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202)를 "온"시켜 주게 된다(S3).
한편, 소비자가 원할 때만 레지오넬라균에 대한 살균 기능이 수행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온도조절장치(20)에 살균기능 작동버튼(201)이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6)에서는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인지를 판단(S1)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일 경우(S1에서 Yes), 온도조절장치(20)에 설치되어 있는 살균기능 작동버튼(201)이 "온"상태인지를 지속적으로 판단(S2)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에서 살균기능 작동버튼(201)이 "온"상태인지를 지속적으로 판단(S2)한 결과, 소비자에 의해 살균기능 작동버튼(201)이 "온"된 경우에만, 온도조절장치(20)에 구비된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202)를 "온"시켜 주게 된다(S3).
상기와 같이 자동(즉, 살균기능 작동버튼(201)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또는 수동 모드(즉, 살균기능 작동버튼(201)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서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이어서 온도조절장치(20)에 구비된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202)를 "온"(S3)시킨 이후, 상기 제어부(16)에서는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온도조절장치(20)를 통해 기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S4).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에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와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 예를 들어 60~75℃)를 비교 판단(S4)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높으면,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현재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와 같도록 설정한다(S5).
그러나, 상기 제어부(16)에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높은지를 판단(S4)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낮으면(S4에서 No),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와 같은 온도(예를 들어 60~75℃)가 되도록 설정한다(S6).
이때,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를 비교하여 높은 온도로 살균기능을 실시하면, 짧은 시간내에 살균 기능을 종료할 수 있으며,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높으면 소비자가 사용하는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에서 살균 기능을 하여 불필요한 살균기능이 방지되므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높으면,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현재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와 같도록 설정(S5)하고, 그렇치 않으면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와 같은 온도로 설정(S6)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현재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와 같도록 설정(S5)하거나 또는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와 같도록 설정(S6)한 상기 제어부(16)에서는 레지오넬라균 살균을 위해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12)에 구비된 순환펌프(191)를 구동(S7)시키고, 이어서 가스공급밸브(181)를 열어 버너에 가스를 공급시켜 줌과 동시에 버너에 점화를 실시하여 연소(S8)를 시작한 다음, 상기에서 설정한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에 대응하여 송풍팬(171)의 회전수와 가스공급량 제어 등을 통해 버너의 열량을 원하는 열량으로 제어한다(S9).
이와 같이 버너에 대한 열량제어 실시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16)에서는 온수저장탱크(21) 내의 물 온도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 이상으로 과열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판단한다(S10).
이와 같이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를 상호 비교 판단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낮으면(S10에서 No), 현재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이고, 그 상태가 정해진 시간(A)을 경과(즉, 지속)하는지 판단(S12)하여, 만약 현재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인 상태가 정해진 시간(A) 지속되지 않았으면(S12에서 No),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이 되도록 열량제어를 계속 실시하며, 이전 단계(S10)인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6)에서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판단(S10)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으면(S10에서 Yes), 온수저장탱크(21) 내의 온수온도가 소비자가 설정한 온수설정 온도보다 높은 상태이므로 상기 온수저장탱크(21)의 급수유입구(211)와 온수배출구(212) 사이의 바이패스 배관(221)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패스밸브(22)를 열어 온수저장탱크(21) 내로 유입되는 급수의 일부가 온수저장탱크(21)에서 배출되는 온수에 자동으로 희석되며 온수의 온도가 강제로 내려가도록 하는 단계(S11)를 실시한 후, 다시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이고, 그 상태가 정해진 시간(A)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2)로 돌입한다.
따라서, 온수저장탱크의 살균기능 작동시 또는 살균기능 작동 후 소비자가 온수 사용 시 고온수로 인해 화상을 입게 되는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WHO에서 발표한 레지오넬라균 관련 논문에 따르면, 온수의 온도가 50℃이면 80~124분 내에 사망하고, 60℃이면 2분 내에 사망하며, 70℃이상이면 거의 즉시 사망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는 60~75℃로 설정하였고, 정해진 시간(A)은 상기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의 설정값에 대응하여 설정하여 1분~30분 사이에서 설정하였다.
즉,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60℃이상 65℃미만 사이로 설정할 경우에는 정해진 시간(A)은 30분으로 설정하고,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65℃이상 70℃미만 사이로 설정할 경우는 정해진 시간(A)은 15분으로 설정하였으며,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60℃이상 65℃미만 사이로 설정할 경우는 정해진 시간(A)은 5분으로 설정하고,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75℃(또는 그 이상)로 설정할 경우 정해진 시간(A)을 1분으로 설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의 설정값에 따라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인 상태를 유지하는 정해진 시간(A)를 변경하여 설정하게 되면, 소비자가 사용하기 위해 설정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낮은 경우는 저온에서 긴 시간 살균을 선택 또는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높은 경우는 고온에서 짧은 시간 살균을 선택할 수 있어, 살균기능 작동 후에 온수저장탱크(21) 내의 온수를 사용할 때 소비자기 화상을 입게 될 위험성이 적어지게 된다.
반대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낮은 경우 고온에서 짧은 시간 살균을 선택할 수 있어 소비자가 원하는 고온 살균이 가능하며,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높은 경우 저온에서 긴 시간 살균을 선택할 수 있어 소비자가 설정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에서 살균기능 작동 후, 바로 온수를 사용해도 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의 사용을 방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사용 조건에 따른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에서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이고, 그 상태가 정해진 시간(A)을 경과하는지 판단(S12)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인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A)을 경과하면(S12에서 Yes), 레지오넬라균에 대한 살균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고 버너를 소화(S13)시키고, 순환펌프(191)도 "오프"시킨다(S14).
이후,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S15)를 더 실시하여, 만약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낮으면, 온도조절장치(20)에 설치되어 있는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202)를 "오프"(S16)시킴은 물론 온수저장탱크(21)의 급수유입구(211)와 온수배출구(212) 사이의 바이패스 배관(221)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패스밸브(22)를 닫고(S17) 종료함으로써 살균기능 작동시 또는 작동 후에 소비자가 설정한 온수온도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1 : 열교환기 12 : 온수 가열용 물공급 배관
13 : 공급온도 검출센서 14 : 저장탱크 온수온도 검출센서
15 : 불꽃 검출센서 16 : 제어부
161 : 연산장치 162 : 기억장치
17 : 송풍팬 구동부 171 : 송풍팬
18 : 가스공급밸브 구동부 181 : 가스공급밸브
19 : 순환펌프 구동부 191 : 순환펌프
20 : 온도조절장치
201 : 살균기능 작동버튼 202 :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
21 : 온수저장탱크
211 : 급수유입구 212 : 온수배출구
22 : 바이패스밸브 221 : 바이패스 배관
23 : 바이패스밸브 구동부

Claims (8)

  1. 삭제
  2. 열원발생기의 제어부에서 통상시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이면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를 "온"시켜 주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높으면,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현재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와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순환펌프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연소를 시작하는 단계와;
    버너의 열량을 제어하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판단하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낮으면,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이고, 그 상태가 정해진 시간(A)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인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A)을 경과하면, 버너를 소화시키는 단계와;
    순환펌프를 "오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인지를 판단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이상일 경우,
    온도조절장치에 구비된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를 "온"시키기에 앞서,
    온도조절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살균기능 작동버튼이 "온"상태인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
    살균기능 작동버튼이 "온"되었을 때에 한하여 온도조절장치에 구비된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를 "온"시키는 단계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높은지를 판단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가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보다 낮으면,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를 소비자가 설정한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와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실시한 다음, 레지오넬라균 살균을 위해 순환펌프를 구동시키는 단계로 돌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판단한 결과,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으면,
    온수저장탱크의 급수유입구와 온수배출구 사이의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패스밸브를 열어 온수저장탱크 내로 유입되는 급수의 일부가 온수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온수에 자동으로 희석되게 하는 단계를 실시한 후,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 이상이고, 그 상태가 정해진 시간(A)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로 돌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버너의 소화시키고 순환펌프를 "오프"시킨 후에는,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높은지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 내부온도(Ttank)가 온수저장탱크 온수설정온도(Tset1)보다 낮으면 온도조절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살균기능 작동 표시부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온수저장탱크의 급수유입구와 온수배출구 사이의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패스밸브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바이패스밸브도 닫아 주고 종료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지오넬라균이 서식하기 시작하는 온도(T1)는 15~20℃로 설정하고, 살균기능 설정온도(Tset2)는 60~75℃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는 60~75℃로 설정하고, 정해진 시간(A)은 상기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의 설정값에 대응하여 설정하여 1분~30분 사이에서 설정하되,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가 60℃이상 65℃미만 사이로 설정된 경우 정해진 시간(A)은 30분으로 설정하고,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가 65℃이상 70℃미만 사이로 설정된 경우 정해진 시간(A)은 15분으로 설정하며,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가 70℃이상 75℃미만 사이로 설정된 경우 정해진 시간(A)은 5분으로 설정하고, 살균기능 제어온도(Tset3)가 75℃로 설정된 경우 정해진 시간(A)은 1분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KR1020170120500A 2017-09-19 2017-09-19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KR101943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500A KR101943560B1 (ko) 2017-09-19 2017-09-19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500A KR101943560B1 (ko) 2017-09-19 2017-09-19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560B1 true KR101943560B1 (ko) 2019-02-01

Family

ID=6536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500A KR101943560B1 (ko) 2017-09-19 2017-09-19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1972A (zh) * 2020-12-25 2021-04-13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等离子杀菌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6909A (ja) * 2001-08-07 2003-02-26 Noritz Corp 熱回収装置および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054844B1 (ko) 2010-12-08 2011-08-05 중앙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레지오넬라 살균되는 냉온수 공급장치
KR101358073B1 (ko) 2013-08-30 2014-02-04 (주)원봉 냉온수기 및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KR101550087B1 (ko) * 2009-03-11 2015-09-03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급탕시스템
KR101559634B1 (ko) 2013-12-30 2015-10-13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KR101613390B1 (ko) 2015-01-29 2016-04-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급탕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6909A (ja) * 2001-08-07 2003-02-26 Noritz Corp 熱回収装置および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550087B1 (ko) * 2009-03-11 2015-09-03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급탕시스템
KR101054844B1 (ko) 2010-12-08 2011-08-05 중앙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레지오넬라 살균되는 냉온수 공급장치
KR101358073B1 (ko) 2013-08-30 2014-02-04 (주)원봉 냉온수기 및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KR101559634B1 (ko) 2013-12-30 2015-10-13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KR101613390B1 (ko) 2015-01-29 2016-04-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급탕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1972A (zh) * 2020-12-25 2021-04-13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等离子杀菌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641972B (zh) * 2020-12-25 2023-10-20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等离子杀菌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855B1 (ko) 저탕식 온수저장탱크를 구비한 보일러의 온수 및 난방 자동 전환방법
KR101997043B1 (ko) 보일러 환수온도를 이용한 각방제어 시스템의 난방온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16107937A1 (es) Dispositivo e instalación de agua para prevenir la proliferacion de seres vivos en las conducciones de agua
CN106415150A (zh) 一种检测燃气锅炉烟道阻塞的方法
JP2021101148A (ja) 風呂給湯器
KR101943560B1 (ko)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과 살균시 고온수 방출 방지방법
KR20090113111A (ko) 배관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진 보일러 및 그 방법
KR101949909B1 (ko) 보일러의 잔열을 이용한 온수온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6223699A (ja) 給湯装置
KR102059154B1 (ko)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방법
KR20190032703A (ko) 온수저장탱크 내 레지오넬라균 살균장치 및 그 방법
CN116242029A (zh) 燃气热水设备及其循环水泵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KR101888966B1 (ko)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
CN113007767A (zh) 燃气热水设备及其预热循环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KR100709581B1 (ko) 보일러내 삼방밸브의 이상 감지방법
JP2004286395A (ja) 潜熱回収型熱源機
KR20180031841A (ko) 보일러의 급속 난방운전 제어방법
KR101635897B1 (ko) 유량조절밸브를 가진 보일러 및 온수기의 온수누수 차단방법
KR100279883B1 (ko) 가스보일러의 보온운전 제어방법
JP2004286394A (ja) 潜熱回収型熱源機
JP2000304350A (ja) 給湯機
CN113758020A (zh) 一种燃气热水器的消毒控制方法及燃气热水器
CN116294226A (zh) 热水设备及其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CN116147203A (zh) 燃气热水设备及其预热循环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JPH11281148A (ja) 風呂給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