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966B1 -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966B1
KR101888966B1 KR1020160176243A KR20160176243A KR101888966B1 KR 101888966 B1 KR101888966 B1 KR 101888966B1 KR 1020160176243 A KR1020160176243 A KR 1020160176243A KR 20160176243 A KR20160176243 A KR 20160176243A KR 101888966 B1 KR101888966 B1 KR 101888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temperature
gas
tim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946A (ko
Inventor
유승우
이현철
권기출
이상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9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18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rate of flow of air or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counting of energy consumption
    • F23N2025/00
    • F23N2025/1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5/00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5/00Measuring
    • F23N2225/08Measuring temperature
    • F23N2225/12Measuring temperature room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부에서 통상적인 난방 또는 온수운전을 실시하던 중 절약운전모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계속 판단하는 단계와; 절약운전모드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을 저장하는 단계와;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와; 현재 연소모드가 난방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난방모드이면 잔여 가스량 및 남은 사용시간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난방연소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 계속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난방연소시간(T1)이 경과되었으면,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면,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보다는 높고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보다는 낮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보다는 높고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보다는 낮으면 난방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만큼 증가시켜 주고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최대한 난방효과 및 사용성은 유지하면서 가스 사용량이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게 됨은 물론 사용자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Combustion control method to save gas in boiler by using gas consumption}
본 발명은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보일러에서 사용하는 가스 사용량을 계산하여 온도조절기에 표시하고, 절약운전모드 설정 시 사용자가 설정한 가스 사용량과 보일러의 가스 사용량을 비교하여 난방 사용 시 연소시간(소화시간)과 난방설정온도를 조절하고, 온수 사용 시 온수설정온도를 조절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는, 각종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데우고, 데워진 물을 직접 이용하거나, 가정 또는 각종 건물들의 난방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크기에 따라 가정용으로 이용되는 소형 보일러에서부터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대형 보일러까지 널리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서 기름 보일러 및 가스보일러 등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종류의 보일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가스보일러는 청정연료인 가스를 연료로 이용하여 연소시키고, 이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물을 실내의 난방배관을 따라서 순환시켜 난방을 하며 또한 목욕탕, 싱크대 등에 온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가스 보일러의 작동상태를 간단히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보일러가 작동되면 가스밸브가 열려서 가스가 공급된다. 공급된 가스는 버너에 유입된 후에 착화되어서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고온의 열은 상승하면서 열교환기를 가열한다.
상기 열교환기 내부에는 난방수가 흐르고 있어서 가열된 후에 난방 공급관을 통하여 실내에 설치된 난방배관을 순환하는데, 이때에는 순환펌프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순환되며,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배기연도를 통하여 배기팬에 의하여 강제배출된다.
순환하면서 열을 발산한 난방수는 난방공급수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인 상태로 다시 난방 환수관을 통하여 보일러로 복귀되고, 복귀된 난방수는 물탱크를 통과한 후에 다시 순환펌프를 통과하여 열교환기로 유입되어 가열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보일러에서의 온도조절기능은 보일러 자체에 부착된 온도조절장치를 사용하거나 또는 실내에 설치되는 리모콘 즉, 온도조절장치에 의하여 수행된다.
온도조절장치는 난방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하여 실내온도를 조정하며 최저온도(20℃)와 최고온도(90℃)의 범위 내에서 온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보일러작동 예약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키를 사용하며, 또 예약상태, 난방, 온수사용상태, 연소 중과 같은 보일러의 동작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보일러는 한 가정의 가장 주요하며,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기기임에도 불구하고, 온도조절장치에는 온도 및 시간, 예약상태, 난방, 온수사용상태, 연소 중과 같은 보일러의 동작상태만을 나타내며, 실내난방 시작점과 난방의 종료 시점은 오직 사용자의 감각적 요소와 경험적 데이터에 의해 그 사용자로 하여금 그 기기의 에너지 소비량을 인지하고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사용자가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 관리를 하지 못하였다.
즉, 소비자는 보일러를 온도 및 시간만으로 제어함에 따라 보일러를 가동하는데 얼마간의 가스가 소비되었는지를 알 수 없으며, 한달간의 사용 후 가스사용 고지서가 나왔을 때의 가스 사용량으로는 하루의 사용습관이나 사용량 등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원하지 않는 에너지 소비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었다.
또한, 가동시간을 무시한 설치년도로 기기의 사용정도를 예측하여 그 기기의 적정한 상태를 소비자 및 기술자가 알지 못하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보일러의 출력을 절약, 쾌적, 급속난방모드로 제어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하절기에는 연료절약이 가능하며 동절기에는 설정온도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는 가스보일러의 제어방법이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212511호로 제시된 바 있다.
또한, 본 출원인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일러의 기본적인 제어요소인 온도와 시간만이 아니라 가스의 소비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가스의 소비량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소비하고자 하는 가스량을 설정하여 설정한 가스량만큼만 보일러의 연소를 제어하여 원치않는 가스의 소비를 막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소비량 표시 및 설정이 가능한 보일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이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043894호로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종래 대부분의 기술들은 사용자가 설정한 총 가스소비량에 도달하면 보일러의 운전을 정지하거나 알림 표시를 했다. 이로 인해 남은 사용기간과 관계없이 설정된 총 가스소비량에 도달하면 보일러 운전을 정지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절약운전방법으로 연소되는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가스소비량에 관계없이 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킴으로 인해 목표온도 도달속도 및 사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12511호(1999년 03월 1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43894호(2011년 06월 16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난방운전 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난방)에 맞춰 연소시간, 소화시간, 난방설정온도를 조절하여 가스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절약운전모드 운전을 수행하는 방식을 통해 최대한 난방효과 및 사용성은 유지하면서 가스 사용량이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수운전 시에는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온수)에 맞춰 온수설정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가스의 사용량을 줄이는 방식을 통해 가스 사용량이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약운전모드 동작 시 가스 사용량을 누적하여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과 비교하면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이하로 제어(조기소화가 발생하는 난방설정온도의 범위를 제외)하여 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범위 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에너지는 최대한 절약할 수 있는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법은, 온도조절장치로부터 연소지시가 있어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 난방수 또는 온수온도를 검출하며 각각의 출탕온도가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이르도록 하는 통상적인 난방 또는 온수운전을 실시하던 중 온도조절장치로부터 절약운전모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계속 판단하는 단계와; 온도조절장치로부터 절약운전모드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에게 온도조절장치를 통해 원하는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을 입력하도록 하여 입력되면 이를 저장하는 단계와; 보일러의 가동시 가스 사용량 검출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와; 현재 연소모드가 난방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난방모드이면 잔여 가스량 및 남은 사용시간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난방연소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 계속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난방연소시간(T1)이 경과되었으면,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면,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보다는 높고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보다는 낮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보다는 높고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보다는 낮으면 난방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만큼 증가시켜 주고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에서 현재 연소모드가 난방모드인지를 판단한 결과 난방모드가 아니면, 온수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온수모드이면, 잔여 가스량 및 남은 사용시간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온수연소시간(T2)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여 정해지는 온수연소시간(T2)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정해진 온수연소시간(T2)이 경과되었으면,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면, 현재 온수온도가 사용자의 온수설정온도보다 낮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온수온도가 사용자의 온수설정온도보다 낮으면 온수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만큼 증가시켜 주고 현재 온수온도가 사용자의 온수설정온도보다 높을 때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에서 난방모드 작동 중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 판단한 결과,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지 않으면,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으면 난방 연소시간을 정해진 시간만큼 감소시켜 주고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 < 현재 난방시간 <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 상태를 만족하지 않으면,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를 만족하면, 난방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만큼 감소시켜 주고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를 만족하지 않을 때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는지 판단한 결과 이들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보다는 높고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보다는 낮은지를 판단한 결과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도 만족하지 않으면,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으면 난방 연소시간을 정해진 시간만큼 증가시켜 주고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온수모드 작동 중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 판단한 결과,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지 않으면, 현재 온수온도가 정해진 최저 온수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온수온도가 정해진 최저 온수온도보다 높으면 온수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만큼 감소시켜 주고 현재 온수온도가 최저 온수온도보다 낮거나 같을 때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에 의하면, 첫째 난방운전 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난방)에 맞춰 연소시간, 소화시간, 난방설정온도를 조절하여 가스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절약운전모드 운전을 수행함으로써, 최대한 난방효과 및 사용성은 유지하면서 가스 사용량이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게 됨은 물론 사용자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온수운전 시에는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온수)에 맞춰 온수설정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가스의 사용량을 줄여 줌으로써 가스 사용량이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게 된다.
셋째, 절약운전모드 동작 시 가스 사용량을 누적하여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과 비교하면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이하로 제어(조기소화가 발생하는 난방설정온도의 범위를 제외)하여 줌으로써 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범위 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에너지는 최대한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품질과 상품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방법은,
온도조절장치(4)로부터 연소지시가 있어 보일러 내 제어부(1)에서 난방수 또는 온수온도를 검출하며 각각의 출탕온도가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이르도록 하는 통상적인 난방 또는 온수운전을 실시(S1)하던 중 온도조절장치(4)로부터 절약운전모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계속 판단하는 단계(S2)와;
온도조절장치(4)로부터 절약운전모드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에게 온도조절장치(4)를 통해 원하는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예를 들어 1개월에 사용하고자 하는 총 가스 사용량)을 입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입력부(42)를 통해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을 입력하면 이를 자체 내에 구비된 기억장치(11)에 저장하는 단계(S3)와;
보일러의 가동시 가스 사용량 검출장치(3)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11)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S4)와;
현재 연소모드가 난방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와;
난방모드이면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에서 지금까지 사용한 누적 사용 가스량을 빼는 방식에 의해 산출되는 잔여 가스량 및 예를 들어 1개월 중 앞으로 더 사용해야 하는 남은 사용시간 등을 감안하여 최소 연소시간(Min)과 최대 연소시간(Max) 사이에서 정해진 난방연소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 계속 판단하는 단계(S6)와;
정해진 난방연소시간(T1)이 경과되었으면,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7)와;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면,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예를 들어 40℃)보다는 높고 최대 난방 설정온도(Max; 예를 들어 75℃)보다는 낮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8)와;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보다는 높고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보다는 낮으면, 난방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예를 들어 2~5℃)만큼 증가(S9)시켜 주고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S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1)에서 난방모드 작동 중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 판단(S7)한 결과,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지 않으면,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으면, 난방 연소시간을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1~2분)만큼 감소시켜 주고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11)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S11)와;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 < 현재 난방시간 <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 상태를 만족하지 않으면,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2)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를 만족하면, 난방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예를 들어 2~5℃)만큼 감소(S13)시켜 주고,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를 만족하지 않을 때(S12에서 No)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11)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S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에서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는지 판단(S7)한 결과 이들 조건을 만족한 상태(S7에서 Yes)에서,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보다는 높고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보다는 낮은지를 판단(S8)한 결과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도 만족하지 않으면(S8에서 No),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14)와;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으면 난방 연소시간을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1~2분)만큼 증가(S15)시켜 주고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 < 현재 난방 연소시간 <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 상태를 만족하지 않을 때(S14에서 No)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11)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S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에서 현재 연소모드가 난방모드인지를 판단(S5)한 결과 난방모드가 아니면, 온수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16)와;
온수모드이면, 잔여 가스량 및 남은 사용시간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온수연소시간(T2)이 경과되었는지 판단(S17)하여 정해지는 온수연소시간(T2)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11)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S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정해진 온수연소시간(T2)이 경과되었으면,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8)와;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면, 현재 온수온도가 사용자의 온수설정온도보다 낮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19)와;
현재 온수온도가 사용자의 온수설정온도보다 낮으면 온수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예를 들어 2~5℃)만큼 증가(S20)시켜 주고, 현재 온수온도가 사용자의 온수설정온도보다 높을 때(S19에서 No)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11)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S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에서 온수모드 작동 중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 판단(S18)한 결과,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지 않으면(S18에서 No),
현재 온수온도가 정해진 최저 온수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21)와;
현재 온수온도가 정해진 최저 온수온도보다 높으면 온수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예를 들어 2~5℃)만큼 감소(S22)시켜 주고, 현재 온수온도가 최저 온수온도보다 낮거나 같을 때(S21에서 No)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11)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S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소시간과 소화시간을 더한 총시간을 30분으로 고정하였다고 가정할 경우, 최소 연소시간(Min)은 10분이고 최대 연소시간(Max)은 20분이며, 난방설정온도 범위는 최소 40℃에서 최대 85℃ 중 어느 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연소시간과 소화시간을 더한 총시간의 범위는 난방효율을 감안하여 정해진 시간일 수도 있으며, 잦은 점화를 피하기 위해 정해진 최소 연소시간에 대응되는 소화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고, 또한 최대 연소시간은 연소 모드별(예컨데 연속난방 연소모드, 절약난방 연소모드 등)에 의해 정해진 시간일 수 있다.
또, 난방설정온도의 범위 중 최소 설정온도는 조기소화가 발생하는 난방설정온도보다 높을 수 있으며, 최대 설정온도는 보일러의 내열성을 위해 정해진 온도일 수도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3은 제어부(1) 내에 구비된 연산장치이고, 2는 난방온도 검출센서이며, 5는 송풍팬 구동장치이고, 6은 온수온도 검출센서이며, 7은 점화장치이고, 8은 불꽃검지장치이며, 9는 가스공급 구동장치이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 방법의 작용효과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방법은 보일러 내에 구비된 제어부(1)에서 통상시 온도조절장치(4)로부터 연소지시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가 연소지시가 있으면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모드에 대응하여 난방수 또는 온수온도를 검출하며 각각의 출탕온도가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이르도록 하는 통상적인 난방운전 또는 온수운전을 실시(S1)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상운전을 실시하던 중 상기 제어부(1)에서는 계속해서 온도조절장치(4)의 출력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온도조절장치로부터 절약운전모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2)하다가, 만약 온도조절장치(4)로부터 절약운전모드신호가 입력되면, 온도조절장치(4)의 표시부(41)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예를 들어 1개월에 사용하고자 하는 총 가스 사용량)을 입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입력부(42)를 통해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을 입력하면 이를 자체 내에 구비된 기억장치(11)에 저장(S3)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통상운전 또는 후술하는 절약운전모드가 실시될 때, 상기 제어부(1)에서는 가스 사용량 검출장치(3)를 통해 연소기에서 소모되고 있는 가스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기억장치(11)에 계속해서 누적(S4)시켜 주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에서는 통상 운전중인 현재의 연소모드가 난방모드인지를 판단(S5)하여, 난방모드이면 사용자가 상기 단계(S3)에서 입력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에서 지금까지 사용한 누적 사용 가스량을 빼는 방식에 의해 산출되는 잔여 가스량 및 예를 들어 1개월 중 현재까지 사용한 시간 대비 앞으로 더 사용해야 하는 남은 사용시간 등을 감안하여 최소 연소시간(Min; 예를 들어 10분)과 최대 연소시간(Max; 예를 들어 20분) 사이에서 이전에 정해진 난방연소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 타이머(12)의 계수값을 통해 계속 판단(S6)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시간(A), 누적 사용시간(a),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B), 누적 가스 사용량(b)라고 가정하면, 남은 사용시간(D) = A-a가 되고, 남은 가스 사용량(d) = B-b이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에서 난방 연소중 타이머(12)를 통해 계수되는 난방연소시간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정해진 난방연소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 계속 판단(S6)한 결과 정해진 난방연소시간(T1)이 경과되었으면, 남은 가스 사용량을 남은 사용시간으로 나눈 값(즉,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이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을 사용시간으로 나눈 값(즉,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보다 큰지를 판단(S7)한다.
그 결과 만약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즉, 남은 사용시간 대비 남은 가스량이 충분하다고 판단된 경우)하면, 난방온도 검출센서(2)를 통해 검출되는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예를 들어 40℃)보다는 높고 최대 난방 설정온도(Max; 예를 들어 75℃)보다는 낮은 상태인지를 판단(S8)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에서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인지 판단한 결과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보다는 높고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보다는 낮으면, 현재까지 사용한 가스량 및 사용시간 등을 감안하여 볼 때 평균 사용량 및 사용시간 대비 잔여 가스량이 충분히 남아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이전에 자동 설정되어 있는 난방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예를 들어 2~5℃)만큼 증가(S9)시켜 주고,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S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에서 난방모드 작동 중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 판단(S7)한 결과,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지 않으면(S7에서 No), 현재까지 사용한 가스량 및 사용시간 등을 감안하여 볼 때 가스의 평균 사용량 및 사용시간 대비 잔여 가스량이 적은 상태로 인식하고, 타이머(12)에 의해 계수된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은지를 판단(S10)한다.
이와 같이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은지를 판단(S10)한 결과,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 < 현재 난방 연소시간 <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 상태를 만족(S10에서 Yes), 난방 연소시간을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1~2분)만큼 감소(S11; 실제로 난방 소화시간은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1~2분)만큼 증대되는 결과를 나타냄))시켜 주고,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11)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S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 < 현재 난방시간 <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 상태를 만족하지 않으면(S10에서 No),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보다는 높고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보다는 낮은지를 판단(S12)하여,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를 만족하면, 난방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예를 들어 2~5℃)만큼 감소(S13)시켜 주고,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를 만족하지 않을 때(S12에서 No)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11)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S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에서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는지 판단(S7)한 결과 이들 조건을 만족한 상태(S7에서 Yes; 즉, 잔여 사용시간 대비 잔여 가스량이 충분한 상태)에서,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보다는 높고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보다는 낮은지를 판단(S8)한 결과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도 만족하지 않으면(S8에서 No; 즉, 난방온도가 만족한 온도에 도달되지 않은 상태),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은지를 판단(S14)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에서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은지 판단(S14)한 결과,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으면, 난방 연소시간을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1~2분)만큼 증가(S15; 실제 난방 소화시간은 1~2분 감소)시켜 주고,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 < 현재 난방 연소시간 <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 상태를 만족하지 않을 때(S14에서 No)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11)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S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난방운전 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난방)에 맞춰 연소시간, 소화시간, 난방설정온도를 조절하여 가스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절약운전모드 운전을 수행함으로써 최대한 난방효과 및 사용성은 유지하면서 가스 사용량이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게 됨은 물론 사용자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에서 현재 연소모드가 난방모드인지를 판단(S5)한 결과 난방모드가 아니면, 온수모드인지 판단(S16)하여, 만약 온수모드이면, 상기 단계(S3)에서 입력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에서 지금까지 사용한 누적 사용 가스량을 빼는 방식에 의해 산출되는 잔여 가스량 및 예를 들어 1개월 중 현재까지 사용한 시간 대비 앞으로 더 사용해야 하는 남은 사용시간 등을 감안하여 최소 소화시간(Min; 예를 들어 10분)과 최대 소화시간(Max; 예를 들어 20분) 사이에서 이전에 정해진 난방소화시간(T2)이 경과되었는지 타이머(12)의 계수값을 통해 계속 판단(S17)한다.
그 결과 정해지는 온수연소시간(T2)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11)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S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정해진 온수연소시간(T2)이 경과되었으면,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를 판단(S18)하여, 만약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면, 온수온도 검출센서(6)를 통해 검출되는 현재 온수온도가 사용자의 온수설정온도보다 낮은지를 판단(S19)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에서 현재 온수온도가 사용자의 온수설정온도보다 낮은지를 판단(S19)한 결과, 현재 온수온도가 사용자의 온수설정온도보다 낮으면, 현재까지 사용한 가스량 및 사용시간 등을 감안하여 볼 때 평균 사용량 및 사용시간 대비 잔여 가스량이 충분히 남아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이전에 자동 설정되어 있는 온수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예를 들어 2~5℃)만큼 증가(S20)시켜 주고, 현재 온수온도가 사용자의 온수설정온도보다 높을 때(S19에서 No)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11)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S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에서 온수모드 작동 중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 판단(S18)한 결과,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지 않으면(S18에서 No), 현재까지 사용한 가스량 및 사용시간 등을 감안하여 볼 때 가스의 평균 사용량 및 사용시간 대비 잔여 가스량이 적은 상태로 인식하고, 현재 온수온도가 정해진 최저 온수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S21)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에서 현재 온수온도가 정해진 최저 온수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S21)한 결과, 현재 온수온도가 정해진 최저 온수온도보다 높으면 온수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예를 들어 2~5℃)만큼 감소(S22)시켜 주고, 현재 온수온도가 최저 온수온도보다 낮거나 같을 때(S21에서 No)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11)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S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온수운전 시에는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온수)에 맞춰 온수설정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가스의 사용량을 줄여 줌으로써 가스 사용량이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절약운전모드 동작 시 가스 사용량을 누적하여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과 비교하면서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이하로 제어(조기소화가 발생하는 난방설정온도의 범위를 제외)함으로써 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범위 이내에서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에너지는 최대한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품질과 상품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제어부 11 : 기억장치
12 : 타이머 13 : 연산장치
2 : 난방온도 검출센서
3 : 가스 사용량 검출장치
4 : 온도조절장치
41 : 표시부 42 : 입력부
5 : 송풍팬 구동장치
6 : 온수온도 검출센서
7 : 점화장치
8 : 불꽃검지장치
9 : 가스공급 구동장치

Claims (5)

  1. 온도조절장치로부터 연소지시가 있어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 난방수 또는 온수온도를 검출하며 각각의 출탕온도가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이르도록 하는 통상적인 난방 또는 온수운전을 실시하던 중 온도조절장치로부터 절약운전모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계속 판단하는 단계와;
    온도조절장치로부터 절약운전모드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을 저장하는 단계와;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와;
    현재 연소모드가 난방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난방모드이면 잔여 가스량 및 남은 사용시간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난방연소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 계속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난방연소시간(T1)이 경과되었으면,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면,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보다는 높고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보다는 낮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보다는 높고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보다는 낮으면 난방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만큼 증가시켜 주고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에서 현재 연소모드가 난방모드인지를 판단한 결과 난방모드가 아니면, 온수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온수모드이면, 잔여 가스량 및 남은 사용시간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온수연소시간(T2)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여 정해지는 온수연소시간(T2)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정해진 온수연소시간(T2)이 경과되었으면,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면, 현재 온수온도가 사용자의 온수설정온도보다 낮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온수온도가 사용자의 온수설정온도보다 낮으면 온수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만큼 증가시켜 주고 현재 온수온도가 사용자의 온수설정온도보다 높을 때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난방모드 작동 중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 판단한 결과,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지 않으면,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으면 난방 연소시간을 정해진 시간만큼 감소시켜 주고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와;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 < 현재 난방시간 <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 상태를 만족하지 않으면,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를 만족하면, 난방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만큼 감소시켜 주고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를 만족하지 않을 때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는지 판단한 결과 이들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현재 난방온도가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보다는 높고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보다는 낮은지를 판단한 결과 최소 난방 설정온도(Min) < 현재 난방온도 < 사용자 난방 설정온도(Max) 상태도 만족하지 않으면,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난방 연소시간이 최소 난방 연소시간(Min)보다는 크고 최대 난방 연소시간(Max)보다는 작으면 난방 연소시간을 정해진 시간만큼 증가시켜 주고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온수모드 작동 중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인지 판단한 결과, 남은 가스 사용량 / 남은 사용시간 > 사용자 설정 가스 사용량 / 사용시간 상태를 만족하지 않으면,
    현재 온수온도가 정해진 최저 온수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온수온도가 정해진 최저 온수온도보다 높으면 온수설정온도를 정해진 온도만큼 감소시켜 주고 현재 온수온도가 최저 온수온도보다 낮거나 같을 때와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기억장치에 계속 누적해 주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
KR1020160176243A 2016-12-22 2016-12-22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 KR101888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243A KR101888966B1 (ko) 2016-12-22 2016-12-22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243A KR101888966B1 (ko) 2016-12-22 2016-12-22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946A KR20180072946A (ko) 2018-07-02
KR101888966B1 true KR101888966B1 (ko) 2018-08-17

Family

ID=6291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243A KR101888966B1 (ko) 2016-12-22 2016-12-22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9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2502B (zh) * 2018-08-30 2020-10-23 广东万和新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储水式热水器的剩余洗浴时间的预报方法
CN115143636B (zh) * 2021-03-30 2023-10-20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热水器的剩余加热时长的确定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511B1 (ko) * 1997-08-22 1999-08-02 전주범 가스보일러의 출력제어방법
JP2000193314A (ja) 1998-12-25 2000-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風呂給湯器
JP2003333200A (ja) 2002-05-13 2003-11-21 Yazaki Corp 前払い式のガス残量管理システム及びガスメー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217B2 (ja) * 1993-02-22 2001-02-05 東陶機器株式会社 瞬間給湯機
KR101043894B1 (ko) 2009-06-29 2011-06-2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소비량 표시 및 설정이 가능한 보일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511B1 (ko) * 1997-08-22 1999-08-02 전주범 가스보일러의 출력제어방법
JP2000193314A (ja) 1998-12-25 2000-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風呂給湯器
JP2003333200A (ja) 2002-05-13 2003-11-21 Yazaki Corp 前払い式のガス残量管理システム及びガスメ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946A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5726B2 (en) Water heater energy savings algorithm for reducing cold water complaints
US10612817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water heater having a powered anode
KR20100001501A (ko) 온수 공급 시스템에서 저유량의 온수 사용시 온수 온도를제어하기 위한 방법
TWI575204B (zh) 根據使用者的熱水使用模式之熱水器中熱水預熱控制之方法
JP5309061B2 (ja) 給湯システム
KR101888966B1 (ko) 가스 사용량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스절약 연소제어방법
CN114183931A (zh) 一种加热器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KR101827270B1 (ko) 실내 난방공급 제어온도 설정에 따른 보일러의 난방온도 제어방법
KR101949909B1 (ko) 보일러의 잔열을 이용한 온수온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532620B1 (ko) 난방기능이 구비된 온수기 및 이를 이용한 난방수온도조절방법
CN110345645B (zh) 壁挂炉出水控制方法、装置和壁挂炉设备
KR101906218B1 (ko) 보일러의 급속 난방운전 제어방법
KR101824026B1 (ko) 난방공급 온도센서와 난방환수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난방연소 제어방법
KR101797646B1 (ko) 순간식 보일러의 계절에 따른 온수 비례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6797595B2 (ja) 給湯器
CN113007767A (zh) 燃气热水设备及其预热循环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CN217503999U (zh) 供水系统
JP5643695B2 (ja) 給湯装置
KR101635897B1 (ko) 유량조절밸브를 가진 보일러 및 온수기의 온수누수 차단방법
JP4907622B2 (ja) 開放型燃焼装置
KR101832890B1 (ko) 보일러의 난방운전 중 조기소화 시 난방운전 제어방법
KR101238391B1 (ko) 공명음 영역 회피를 위한 연소제어방법
WO2016005745A1 (en) Central-heating system
JP3273005B2 (ja) 給湯装置
TW201606239A (zh) 瓦斯器具的燃燒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