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254A - 메모리 재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 재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254A
KR20040101254A KR10-2004-7013564A KR20047013564A KR20040101254A KR 20040101254 A KR20040101254 A KR 20040101254A KR 20047013564 A KR20047013564 A KR 20047013564A KR 20040101254 A KR20040101254 A KR 20040101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ata
rewriting
batter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5123B1 (ko
Inventor
노노마사키
마츠모토후미아키
나가세고우스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텔레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텔레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1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33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during software upgra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data transmission, e.g.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electively disabling software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데이터 재기록 기능을 가지지 않은 휴대 단말에 있어서도, 그 메모리에 격납된 데이터의 재기록을 도중에 중단시키지 않고 완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종 및 영역별로 격납된 데이터의 버전 번호로부터, 갱신이 필요한 메모리 영역을 특정한다(단계 S3). 특정한 메모리 영역만큼 데이터 재기록 갱신을 위해 필요한 전지량을 산출한다(단계 S4). 산출한 전지량과 취득한 현재의 전지 잔량을 비교하여, 전지 잔량이 충분하다면(단계 S5 에서 '예'), 특정한 메모리 영역에 대해 데이터를 휴대 전화기로 송신함과 동시에 갱신하려는 메모리 영역을 지정한다(단계 S6).

Description

메모리 재기록 장치 {MEMORY REWRITING APPARATUS}
휴대 단말에서는, 메모리(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안이 복수의 기억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영역에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의 초기 상태에서 시작하는 부트 프로그램, 각종 시스템 프로그램, 문자 폰트, 컬러 일러스트, 또는 그 밖의 각종 데이터가 각각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CPU 의 지시에 따라 메인 메모리 상에 독출되어 이용에 제공된다.
메모리 중 하나인 플래시 메모리는 반도체 소자에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보존하는 미디어로서, 데이터의 처리 방법은 퍼스널 컴퓨터의 메인 메모리인 램과 동일하다. 단, 램은 전원이 끊기면 내용을 잃어버리는데 반해, 플래시 메모리는 전원이 없더라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메모리 자체의 사이즈도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일괄 소거나 신속한 기록이 가능하다. 한편, 휴대 단말에는, 반복하여 충전·방전이 가능한 전지가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충전량을 다 써버리면, 통신이나 문장 입력 등의 기본적인 동작이 실행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데이터 보존용 메모리로서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면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잃어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그 데이터를 1 비트만 재기록할 때에도 모든 비트를 일단 소거하여 재기록할 수 밖에 없는 EEPROM 에 비해, 램과 같이 플래시 메모리는 랜덤하게 액세스될 수 있기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읽기 쓰기에 수반한 메모리 내의 데이터의 재기록 빈도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재기록에 필요 불가결하게 소비되는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충전 전지에 의한 방전 시간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다면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는데 효과적이다.
또, 특정한 기억 데이터만을 새로운 데이터에 재기록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다면, 데이터의 기억 영역으로서 할당된 메모리 블록 단위로 재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기록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만을 재기록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휴대 단말(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을 작동시키는 시스템 프로그램의 버그의 존재 또는 데이터 버전의 차이에 따른 데이터 사이의 부정합 등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것 등이 문제되는 케이스가 증가하는 요즘 상황에서, 예를 들면, 그 문제로 된 시스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만을 재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고 있다.
이같은 배경으로 인해, 휴대 단말에는 각종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메모리로서 플래시 메모리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휴대 단말을 가진 유저에 대하여, 휴대 단말의 판매점 등에서 플래시 메모리 내의 시스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정상적인것으로 재기록해 주는 갱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플래시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재기록의 경우, 휴대 단말과 범용 컴퓨터를 시리얼 인터페이스로 접속하고, 컴퓨터로부터 갱신 정보(프로그램, 데이터)를 전송받아 플래시 메모리 내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기록하여 갱신한다. 그리고, 이 재기록에 있어서, 휴대 단말이 구비하고 있는 전지가 전원으로서 사용된다. 이 데이터 재기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통상, 휴대 단말 내에는, 현재의 전지 잔량을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검출한 전지 잔량을 디스플레이에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 등에 의해 전지 잔량을 유저에게 알리기 때문에, 유저나 갱신 서비스의 제공자 등은 이 잔량을 보고 현시점의 전지 잔량이 데이터의 재기록에 부족하다고 생각되면, 충전 후 데이터를 재기록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매번 충전하여 충분한 전지 잔량을 확보하고 나서 데이터의 재기록을 행한다면, 유저는 즉시 데이터의 재기록 서비스를 받을 수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서비스를 받으러 간 이후 몇 시간 후까지 또는 그 다음날까지 데이터의 재기록이 완료되지 않는 사태가 초래되며, 가능한 빨리 최신 버전의 데이터나 프로그램으로 실행되는 최신 동작을 하는 휴대 단말을 사용하고 싶어하는 유저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태는, 휴대 단말의 제공 메이커에게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한편, 현재의 전지 잔량이 충분하다고 생각된 경우라도, 플래시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의 버전은 휴대 단말의 기종마다 상이하기 때문에,얼마만큼의 영역을 재기록할 필요가 있는가는 즉석에서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 재기록의 대상으로 된 데이터의 데이터양, 단위 전력당 재기록 가능한 데이터양으로 대표되는 재기록 성능 등에 의해서도 전지 소비량의 필요량은 다르다. 그리고, 휴대 단말 내의 전지 잔량을 파악하는 수단에 의해서는 전지 잔량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을 뿐이고, 재기록하는데 필요한 전지 잔량을 충분히 파악할 수 없음으로 인해 전지 잔량이 부족하여 데이터의 재기록이 도중에 정지되는 케이스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데이터의 재기록이 도중에 끝나면, 휴대 단말이 완전히 동작하지 않게 되거나, 부트 프로그램 등이 어중간하게 기록되어, 후에 전지를 충전해도 데이터와 프로그램과의 부정합이 생겨서 정상 동작하지 않게 되는 등의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처럼 전지 잔량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때에도, 실제로 데이터의 재기록을 행하면 도중에 전지 잔량이 없어져 버려 데이터의 재기록 처리 자체가 중단되고 마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와 PDA 등의 휴대 단말의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와 같이 메모리 내의 데이터의 재기록을 제어하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실시형태의 메모리 재기록 장치와 휴대 전화기가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실시형태의 메모리 재기록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3 은 갱신 데이터 정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영역별 전지 소비량 정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1)가 실행하는 메모리 재기록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6 은 경고메세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제어부(201)의 데이터 버전업에 수반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휴대 단말에 있어 그 메모리에 격납된 데이터의 재기록이 도중에 중단되는 일 없이 완전하게 수행될 수 있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메모리에 격납된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의 전지 잔량을 취득하는 전지 잔량 취득 수단; 메모리에 격납된 데이터를 새로운 데이터에 재기록하는 경우에 휴대 단말에서 소비되는 전지 소비량을 미리 기억하는 기억 수단; 및 상기 취득한 전지 잔량과 상기 전지 소비량을 비교함으로써 재기록 가부의 판단을 행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휴대 단말이 구비한 전지의 전지 잔량과는 관계없이 메모리에 격납된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전지 잔량을 검출하여 그 용량으로 재기록이 가능한 경우에 데이터의 재기록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 잔량을 고려하여 재기록 처리가 실현된다. 그 결과, 휴대 단말의 메모리 내의 데이터 재기록을 도중에 끊어지게 하는 일 없이 완전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사이의 부정합이 회피되며, 재기록 후 휴대 단말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의 결과, 취득한 전지 잔량으로는 메모리의 재기록이 완료될 수 없는 경우에는 메모리의 재기록을 시작하지 않고, 취득한 전지 잔량으로 메모리의 재기록이 완료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메모리의 재기록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본래 재기록이 불필요한 데이터까지 포함하여 전부 일률적으로 재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전지 잔량을 검출하고 그 용량으로 재기록이 가능한 소정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재기록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취득한 전지 잔량으로는 메모리의 재기록이 완료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알리는 통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현재의 전지 잔량으로는 메모리 내의 데이터 재기록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작업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전지 잔량이 부족한 경우 작업자가 전지를 충전 또는 교환하는 등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휴대 단말의 메모리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이고, 상기 판단 수단이, 각 메모리 영역에 격납된 데이터의 버전 체크를 행하고, 버전업(Version Update)의 필요가 있는 데이터 각각에 관하여 비교 판단하며, 취득한 전지 잔량으로 재기록이 완료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에 한하여 재기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재기록에 의하여 소비되는 전지량을 최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전지 잔량이 적은 경우에도 휴대 단말의 메모리 내의 데이터 재기록을 도중에 끊어지게 하는 일 없이 완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재기록의 필요성이 비교적 낮은 데이터에 관해서는 재기록을 하지 않도록 하여, 재기록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메모리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이고, 상기 판단 수단은, 각 메모리 영역에 격납된 데이터의 버전 체크를 행하고, 버전업의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합산한 전지 소비량에 관하여 취득한 전지 잔량과 비교 판단하며, 모든 데이터를 재기록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재기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재기록이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재기록할 수 있으므로, 버전의 차이에 기인한 데이터 사이의 부정합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메모리 영역에 격납된 데이터 중 하나는 부트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메모리 영역에 격납된 데이터가 부트 프로그램인 경우, 재기록이 완료되지 않는다면 버전업 모드가 시동되지 않고 그 후의 재기록 처리가 실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메모리 재기록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의 갱신을 행하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휴대 전화기 이외의 휴대 단말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전체 구성>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20)와 메모리 재기록 장치(1)로서의 범용 컴퓨터(퍼스널 컴퓨터: 30)가 시리얼 인터페이스(RS-232C 인터페이스: 40)로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된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20)의 메모리 내의 데이터가 재기록된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메모리 재기록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 재기록 장치(1)는, 전송 데이터 제어부(101), 갱신 데이터 정보 격납부(102), 갱신 메모리 영역 특정부(103), 전지 잔량 정보 취득부(104), 재기록 가부 결정부(105) 및 영역별 전지 소비량 정보 격납부(106)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분은 CPU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어느 쪽으로 실현해도 좋다.
휴대 전화기(20)는 제어부(201), 플래시 메모리(202), 전지 잔량 검출부(203) 및 전지(204)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 구성>
·휴대 전화기(20)에 관하여
휴대 전화기(20)의 상기 제어부(201)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1)로부터의 송신 내용을 받아 플래시 메모리(202) 내의 데이터의 재기록 처리를 제어하는 것으로,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한 것이다. 재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으며, 버전업 명령을 메모리 재기록 장치로부터 받으면 이 프로그램에 따라 재기록을 실행한다.
플래시 메모리(202)는 물리 어드레스가 구분된 것으로, 복수의 메모리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각 영역에 개별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도 2 에서는, 202A, 202B, 202C, 202D, 202E 의 5개의 메모리 영역으로 분할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각 메모리 영역에, 예를 들면, 휴대 단말의 초기 상태에 시작하는 프로그램이나 메모리 재기록용 프로그램 등의 부트 프로그램(이 격납 영역을 부트부라고 부름), 각종 시스템 프로그램(이 격납 영역을 프로그램부라고 부름), 문자 폰트(이 격납 영역을 폰트부라고 부름), 컬러 일러스트(이 격납 영역을 컬러 일러스트부라고 부름), 그 밖에 각종 데이터(이 격납 영역을 데이터부라고 부름) 등을 격납한다. 또한, 각 메모리 영역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메모리 블록의 수는 저장될 데이터의 양에 따라 다르다.
전지 잔량 검출부(203)는 전지(204)의 현재의 전지 잔량을 검출하는 것으로, 통상 휴대 전화기에 범용적으로 갖추어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전지(204)는 어떤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 재기록 장치(1)에 관하여
상기 전송 데이터 제어부(101)는, 휴대 전화기(20)의 메모리에 격납된 각종 데이터의 버전업을 실행하는 취지를 휴대 전화기(20)에 통지하는 버전업 명령을 송신하거나 버전업용의 각 데이터를 송신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갱신 데이터 정보 격납부(102)는, 휴대 전화기(20)의 기종마다 플래시 메모리(202)의 각 메모리 영역에 격납된 데이터의 최신 버전 번호를 나타내는 갱신 데이터 정보를 격납하고 있다. 도 3 은 이 갱신 데이터 정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갱신 데이터 정보는, 기종과 메모리 영역별 데이터의 최신 버전 번호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기종 NP001 이라면, 프로그램의 버전은 Ver.1, 폰트의 버전 번호는 Ver.4, ‥‥ 와 같은 대응 관계가 나타나 있다.
갱신 메모리 영역 특정부(103)는 플래시 메모리(202)의 각 메모리 영역 202A, 202B, 202C, 202D, 202E 중 어느 쪽의 메모리 영역에서 데이터를 재기록하여 갱신할 것인지를 특정한다. 이 특정은 상기한 갱신 데이터 정보를 참조하여 이루어지며, 각 데이터의 최신 버전 번호를 참조하여 현재 메모리에 격납된 데이터가 최신 버전이 아니면 재기록해야 할 영역으로 특정한다.
전지 잔량 정보 취득부(104)는 휴대 전화기(20)에 있어 검출된 현재의 전지 잔량(mAh)을 취득한다.
재기록 가부 결정부(105)는, 전지 잔량 정보 취득부(104)가 취득한 전지 잔량과 데이터별로 기록에 수반하여 소비하는 전지량과의 비교에 의하여, 상기 특정한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를 재기록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이 비교는, 영역별 전지 소비량 정보 격납부(106)에 격납된 영역별 전지 소비량 정보를 독출하여 행한다.
도 4 는 영역별 전지 소비량 정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 영역별로 전지 소비량(mAh)이 대응되어 있는 테이블을 기종마다 구비한 구조이다. 이 도면은 그러한 테이블의 일례이지만, 메모리 영역 202A 내지 202E 마다 최대 5.0mAh 의 용량을 소비한다. 여기에 있어서, 데이터 기록에 수반하여 소비되는 전지량은 기록된 메모리 영역의 크기나 기종의 성능에 따라 달라진다. 이것은 기록에 필요한 시간이 이들 요인에 의하여 변동하기 때문이다. 기록 시간이 길수록 소비 용량은 커진다. 도 4 의 전지 소비량의 값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결정되어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20)와 메모리 재기록 장치(1)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송수신된 데이터는 미도시된 시리얼 통신 제어부를 통해 시리얼 데이터로서 송수신에 제공된다.
<동작>
먼저, 메모리 재기록 장치(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메모리 재기록 장치(1)에서는 메모리 재기록 처리를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도 5 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1)가 실행하는 메모리 재기록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단계 S1 에서, 전송 데이터 제어부(101)가 버전업용의 명령을 휴대 전화기(20)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송신한 결과를 받아 휴대 전화기(20)가 송신한 기종 및 영역별로 격납된 데이터의 최신 버전 번호를 갱신 메모리 영역 특정부에서 수신하며, 전지 잔량 정보 취득부(104)에서 전지 잔량을 수신한다(단계 S2).
단계 S2 에서 수신한 기종 및 영역별로 격납된 데이터의 버전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갱신 데이터 정보를 참조해서 갱신이 필요한 메모리 영역을 갱신 메모리영역 특정부(103)에서 특정한다(단계 S3).
다음으로, 특정한 메모리 영역만큼 데이터 재기록 갱신을 위해 필요한 전지 소비량을 재기록 가부 결정부(105)에서 산출한다(단계 S4). 이 산출은, 전지 소비량 정보 격납부(106)에 저장된 전지 소비량 정보로부터 독출된 값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재기록 가부 결정부(105)에서는, 단계 S4 에서 산출한 전지 소비량과 단계 S2 에서 취득한 현재의 전지 잔량을 비교해서 전지 잔량이 충분한 경우(단계 S5 에서 '예'), 단계 S3 에서 특정된 메모리 영역에 대한 갱신 데이터를 갱신 데이터 정보 격납부(102)로부터 독출하여 휴대 전화기(20)로 송신함과 동시에 갱신해야 할 메모리 영역을 지정한다(단계 S6). 이 데이터의 송신 및 메모리 영역의 지정을 받아서,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메모리의 재기록이 이루어진다.
단계 S4 에서 산출한 전지량과 단계 S2 에서 취득한 현재의 전지 잔량을 비교해서 전지 잔량이 충분하지 않으면(단계 S5 에서 '아니오'), 단계 S3 에서 특정된 메모리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도록 하고, 재기록 가부 결정부(105)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경고 메시지를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한다(단계 S7). 이로써, 현재의 전지 잔량으로는 재기록을 할 수 없다는 취지를 작업자에게 통지하여 작업자에게 대처를 촉구한다.
예를 들면, 단계 S3 에서 메모리 영역 202B 가 버전업이 필요하다고 특정된 경우, 이 메모리 영역을 재기록하는데 전지 소비량이 4.0mAh 필요하기 때문에(도 4 *1), 이 값과 단계 S2 에서 취득한 현재의 전지 잔량(예를 들어, 3.0mAh 라고 함)을 단계 S5 에서 비교하여 전지 잔량이 전지 소비량보다도 많으면, 메모리의 재기록을 단계 S6 에서 행한다. 한편, 현재의 전지 잔량이 전지 소비량보다도 적으면, 메모리 재기록을 하지 않고 단계 S7 에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서는, 현재의 전지 잔량이 재기록에 필요한 전지 소비량보다도 적기 때문에, 재기록이 수행되지 않고 경고 메시지가 표시된다.
또, 단계 S3 에서 메모리 영역 202A 및 메모리 영역 202C 가 버전업이 필요하다고 특정된 경우, 이 메모리 영역을 재기록하는데 각각 전지 소비량이 1.0mAh, 4.0mAh 필요하기 때문에(도 4 *2 및 *3), 그 합산값(1.0 + 4.0 = 5.0mAh)과 단계 S2 에서 취득한 현재의 전지 잔량(예를 들어, 3.0mAh 라고 함)을 단계 S5 에서 비교하여 전지 잔량이 합산 전지 소비량보다도 많으면, 메모리의 재기록을 단계 S6 에 행한다. 한편, 현재의 전지 잔량이 합산 전지 소비량보다도 적으면, 메모리 재기록을 하지 않고, 단계 S7 에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서는, 현재의 전지 잔량이 재기록에 필요한 전지 소비량보다도 적기 때문에, 재기록이 수행되지 않고 경고 메시지가 표시된다.
휴대 전화기(20)의 제어부(201)는 상기와 같은 메모리 재기록 장치의 동작에 대응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7 은 제어부(201)의 데이터 버전업에 수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먼저, 단계 S11 에서, 버전업용의 명령을 전송 데이터 제어부(101)로부터 수신하면, 통상의 송수신기능을 정지하고, 메모리 영역의 부트부로부터 메모리 재기록용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버전업 모드로 설정한다.
그 다음, 버전업 모드로 설정되면, 자신의 기종과 각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의 버전 번호 및 현재의 전지 잔량을 송신한다(단계 S12). 또한, 전지 잔량은 정기적으로 전지 잔량 검출부(203)가 검출하고 있으며, 그 최신의 검출값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기종,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의 버전 번호 및 현재의 전지 잔량을 송신한 후, 제어부(201)는 갱신을 위한 새로운 데이터 및 갱신해야 할 메모리 영역의 지정을 기다리는데, 이들은 메모리 재기록 장치(1)로부터 전송된다(단계 S13). 그리고,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고 갱신해야 할 메모리 영역의 지정을 받으면, 해당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의 재기록을 시작한다(단계 S14). 그리고, 재기록이 종료되면 통상의 송수신 모드로 복귀시키고(단계 S15), 버전업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판매점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를 예로 플래시 메모리에 격납된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의 메모리 재기록 장치(1)는, 범용 컴퓨터의 0S 상에서 시동하는 프로그램으로 실현된다. 먼저, 고객이 의뢰한 휴대 전화기(20)의 기종,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의 버전 번호 및 현재의 전지 잔량을 취득한다. 그리고, 메모리 재기록 장치(1)는, 미리 격납해 있는 고객이 의뢰한 휴대 전화기의 기종에 있어서 각 메모리 영역에 격납된 데이터 각각의 최신 버전 번호를 참조하여, 재기록해야 할 데이터(메모리 영역)를 특정한다.
또, 각각의 데이터를 새로운 데이터에 재기록하는 경우에 소비되는 전지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현재의 전지 잔량과 산출한 전지 소비량을 합산한 값을 비교해서 전지 잔량이 재기록에 충분한 경우에 한하여, 특정한 모든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를 최신 버전의 데이터로 재기록한다. 현재의 전지 잔량과 산출한 전지 소비량을 합산한 값을 비교해서 전지 잔량이 재기록에 충분하지 않고 부족하다면, 경고 메시지를 표시시켜서 전지의 충전 또는 교환을 점원에게 재촉한다.
<보충>
(1) 상기 설명에서는, 재기록해야 할 메모리 영역의 특정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데이터의 버전 번호가 최신의 것이 아니면 재기록해야 할 것으로 특정한다고 하였지만, 버전 번호가 최신의 것이라도 다른 데이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데이터에 관해서는 동시에 재기록해야 할 메모리 영역으로서 특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특정한 데이터만을 재기록하는 경우에 생기는 데이터 사이의 부정합을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2) 상기 설명에서는, 갱신 메모리 영역 특정부에서 특정된 메모리 영역이 복수인 경우 각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의 전지 소비량을 합산한 값과 현재의 전지 잔량을 비교하여 모든 메모리 영역을 재기록한다고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메모리 영역의 갱신에 필요한 전지 소비량과 전지 잔량을 비교하여 적어도 재기록 가능한 데이터에 관해서는 재기록을 행하고, 전지 잔량이 부족한 것에 대해서는 경고 메시지 표시에서 해당 메모리 영역의 재기록은 불가능하다는 취지를 통지하여 전지 충전이나 교환 등을 재촉하도록 하여도 좋다.
(3) 상기 단계 S4 에서 산출한 전지 소비량과 단계 S2 에서 취득한 현재의 전지 잔량을 비교하여 전지 잔량이 갱신에 충분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 S5에 있어서, 예를 들면, 현재의 전지 잔량이 갱신에 필요한 전지 소비량보다도 소정값(예를 들면, 1mAh)만큼 많은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4) 작업자에게의 통지는 재기록이 불가능한 경우에만 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재기록이 완료되는 경우에도 작업자에게 그 취지를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5)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제어부(201)에 저장되는 메모리 재기록 처리 제어용 제어 프로그램은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6) 데이터 보존용 메모리로서 플래시 메모리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 밖에 재기록이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적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메모리 재기록 장치는 휴대 단말의 메모리 내의 각종 데이터의 재기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휴대 단말의 메모리에 격납된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의 전지 잔량을 취득하는 전지 잔량 취득 수단;
    메모리에 격납된 데이터를 새로운 데이터에 재기록하는 경우에 휴대 단말에서 소비되는 전지 소비량을 미리 기억하는 기억 수단; 및
    상기 취득한 전지 잔량과 상기 전지 소비량을 비교함으로써 재기록 가부의 판단을 행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의 결과, 취득한 전지 잔량으로는 메모리의 재기록이 완료될 수 없는 경우에는 메모리의 재기록을 시작하지 않고, 취득한 전지 잔량으로 메모리의 재기록이 완료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메모리의 재기록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취득한 전지 잔량으로는 메모리의 재기록이 완료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알리는 통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메모리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이고,
    상기 판단 수단은, 각 메모리 영역에 격납된 데이터의 버전 체크를 행하고, 버전업의 필요가 있는 데이터 각각에 관하여 비교 판단하며, 취득한 전지 잔량으로 재기록이 완료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에 한하여 재기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메모리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이고,
    상기 판단 수단은, 각 메모리 영역에 격납된 데이터의 버전 체크를 행하고, 버전업의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합산한 전지 소비량에 관하여 취득한 전지 잔량과 비교 판단하며, 모든 데이터를 재기록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재기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영역에 격납된 데이터 중 하나는 부트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재기록 장치.
KR1020047013564A 2002-03-14 2003-01-24 메모리 재기록 장치 KR100615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70980 2002-03-14
JP2002070980A JP3634810B2 (ja) 2002-03-14 2002-03-14 メモリ書き替え装置
PCT/JP2003/000640 WO2003077134A1 (fr) 2002-03-14 2003-01-24 Dispositif de reecriture de memo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254A true KR20040101254A (ko) 2004-12-02
KR100615123B1 KR100615123B1 (ko) 2006-08-22

Family

ID=2780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564A KR100615123B1 (ko) 2002-03-14 2003-01-24 메모리 재기록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50245227A1 (ko)
EP (1) EP1486876B1 (ko)
JP (1) JP3634810B2 (ko)
KR (1) KR100615123B1 (ko)
CN (1) CN1302397C (ko)
AT (1) ATE404916T1 (ko)
AU (1) AU2003252806A1 (ko)
CA (1) CA2477401A1 (ko)
DE (1) DE60322851D1 (ko)
HK (1) HK1071213A1 (ko)
NZ (1) NZ534987A (ko)
WO (1) WO20030771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20142D0 (en) * 2003-08-28 2003-10-01 Ibm Data storage systems
KR100664123B1 (ko) * 2004-05-06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전원 운용장치 및 방법
KR100675437B1 (ko) * 2004-09-16 2007-01-29 주삼영 Mp3 및 노래방기기용 중앙처리장치
JP2006085534A (ja) 2004-09-17 2006-03-30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プログラム
JP4867921B2 (ja) * 2006-02-08 2012-02-0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US8335123B2 (en) * 2009-11-20 2012-12-18 Sandisk Technologies Inc. Power management of memory systems
JP2013135347A (ja) * 2011-12-27 2013-07-08 Xacti Corp 記録装置
JP6185772B2 (ja) 2013-06-27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41106B2 (ja) * 2017-03-16 2021-03-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電子時計、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3775A (en) * 1991-10-11 1995-12-05 Kabushiki Kaisha Toshiba Personal computer using flash memory as BIOS-ROM
JPH0667766A (ja) * 1992-08-21 1994-03-11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JP3215237B2 (ja) * 1993-10-01 2001-10-02 富士通株式会社 記憶装置および記憶装置の書き込み/消去方法
JPH07193860A (ja) * 1993-12-27 1995-07-28 Fujitsu Ltd プログラムメモリを有した携帯端末装置
JP2002207599A (ja) * 2001-01-05 2002-07-26 Kenwood Corp 通信端末及びそのソフトウェア更新システム
JP2002264412A (ja) * 2001-03-14 2002-09-18 Canon Inc 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EP1372063A4 (en) * 2001-03-19 2008-03-19 Sony Corp "SOFTWARE UPDATE SYSTEM, SOFTWARE UPDATE PROCESS, AND SOFTWARE UPGRADE PROGRAM"
US20030009705A1 (en) * 2001-07-09 2003-01-09 Michael Thelander Monitoring and synchronization of power use of computers in a network
US6662198B2 (en) * 2001-08-30 2003-12-09 Zoteca Inc. Method and system for asynchronous transmission, backup, distribution of data and file sh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04916T1 (de) 2008-08-15
AU2003252806A1 (en) 2003-09-22
EP1486876B1 (en) 2008-08-13
NZ534987A (en) 2006-10-27
CN1639695A (zh) 2005-07-13
US20050245227A1 (en) 2005-11-03
JP3634810B2 (ja) 2005-03-30
WO2003077134A1 (fr) 2003-09-18
JP2003271464A (ja) 2003-09-26
KR100615123B1 (ko) 2006-08-22
HK1071213A1 (en) 2005-07-08
CA2477401A1 (en) 2003-09-18
DE60322851D1 (de) 2008-09-25
EP1486876A1 (en) 2004-12-15
CN1302397C (zh) 2007-02-28
EP1486876A4 (en)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8220B2 (en) Methods for saving data on the basis of the remaining capacity of a battery in a suspend mode and resuming operations using the saved data
JP3474850B2 (ja) 電池電源装置
US74215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firmware
EP1598917A2 (en) Electronic device, battery pack, power-supply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for electronic device
KR100615123B1 (ko) 메모리 재기록 장치
KR100610354B1 (ko) 플래시메모리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정보처리시스템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7181198B2 (en) Program rewriting system and method for a portable telephone set
US6044443A (en) Portable computer with mem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olonging the lifetime of internal battery
EP0921458A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with power control means
JP2002099441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の動作方法
CN114236461B (zh) 一种电量校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6690366B1 (en) Display apparatus
US6553400B1 (en) Suspend and resume processing method for suspending and resuming a plurality of states of programmed operations
JP2004178417A (ja) 不揮発性メモリ手段を備える処理装置および不揮発性メモリ制御方法
CN113342385A (zh) 软件升级方法及装置、空调控制面板
EP1004993A1 (en) Controller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JP3692857B2 (ja) 自動販売機制御装置
KR100630871B1 (ko)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기록매체
JP2001255966A (ja) 情報処理装置
JPH11149332A (ja) 携帯情報機器、データ管理方法
JPH07319589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1060167A (ja) フラッシュメモリを用いた記憶媒体アクセス制御装置
JPH10201112A (ja) バッテリ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JP2001100891A (ja) 携帯端末のオプション装置プログラム書き換え方法
KR20030019748A (ko) 노트북 컴퓨터에서의 데이터 업데이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