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252A - 건축용 패널 및 건축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패널 및 건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252A
KR20040101252A KR10-2004-7013515A KR20047013515A KR20040101252A KR 20040101252 A KR20040101252 A KR 20040101252A KR 20047013515 A KR20047013515 A KR 20047013515A KR 20040101252 A KR20040101252 A KR 20040101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lls
building
panels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블라제빅
Original Assignee
폴 블라제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 블라제빅 filed Critical 폴 블라제빅
Publication of KR2004010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25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23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and at least one form leaf being monolith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건축용 패널(2)은, 이격되어 있으며 셀들(10)을 형성하는 벽들(4)과, 관통공(12)드을 구비한다. 외판(14)은 하나의 패널(2)과 다른 패널(2)이 서로 겹쳐 지도록 하는 돌출부(15)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건축용 패널 및 건축 방법{Building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건축 산업에서, 담, 바닥, 천정 등은 매우 다양한 기술에 의하여 축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벽은 회반죽(mortar)으로 상호 접합되는 종래의 벽돌에 의하여 축조될 수 있으며, 이 회반죽은 인접한 벽돌들 사이 및 서로 엇갈려서 쌓여져 있는 인접한 벽돌층들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시간이 많이 소모되며, 노동집약적이고, 고가이며, 벽이 형성되기 전후에 많은 준비가 종종 요구된다.
빌딩웍스(Building Works Inc.)가 출원한 미국 특허 제6189282호에 개시된 회반죽이 없는 콘크리트 블럭(concrete mortarless block)과 같은 회반죽이 필요없는 벽돌 또는 블럭이 종래의 벽돌에 대한 하나의 대체물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벽을 축조하기 위해서, 상기 콘크리트 블럭들을 서로 엇갈리게 쌓아 올리지 않고 아래의 블럭의 상부에 바로 블럭을 쌓아올림으로써, 이 쌓여진 블럭들의 깊이를 따라연장된 캐비티(cavity)는 일렬로 배열된다. 각 블럭은 각각의 단부에 한 쌍의 록킹채널(locking channel)을 구비한다. 인접한 블럭들과 인접한 블럭층들은, 인접한 블럭들의 록킹채널에 의하여 형성된 구멍에 록킹부재(locking member)가 삽입됨으로써, 함께 고정된다. 그 후, 콘크리트 또는 다른 설치 재료(settable materials)들이 이 벽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티로 직접 부어질 수 있다. 철재 보강 부재(steel reinforcing member)도 수평 및 수직하게 배치된 통로를 통해 수직하게 및/또는 수평하게 상기 벽 구조물에 부가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콘크리트가 상대적으로 덜 방해받으면서 상기 일렬로 배열된 캐비티를 통해 통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콘크리트로 채워지지 않아 상기 캐비티내에 공간이 형성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상기한 종래의 벽돌과 회반죽 방식에 비하여 보다 빠르게 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블럭이 아래 위치하는 블럭의 바로 위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반죽이 인접한 블럭들 사이 또는 인접한 블럭층들 사이에 위치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블럭들을 직접적으로 일렬로 배치하는 것과, 상기 록킹부재들을 록킹채널에 삽입시키는 것에도 역시 시간이 많이 소모된다. 더욱이, 상기 블럭들의 크기는 벽돌들과 비슷하므로 매우 작은 크기의 벽을 완성하기 위해서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콘크리트 블럭들은 또한 보통의 벽돌들에 비하여 무거우므로, 이러한 블럭으로 벽 등을 축조하는 것은 여전히 노동집약적이다. 다양한 형상의 록킹채널과 록킹부재를 활용한 이러한 블럭들은 종래 기술에 매우 많지만, 이들은 모두 상기한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건축용 패널은 담, 바닥 등을 축조하기 위한 상기 벽돌들과 블럭들의 대체물이다. 많은 유형의 건축용 패널들은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건축용 패널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장점은 종래의 벽돌과 블럭들을 이용하여 넓은 면적의 벽, 천정 등을 축조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비하여 매우 짧은 시간내에 축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패널들을 이용한 축조시간의 감소는 특히, 상기 패널들을 설치하기 전에 요구되는 준비의 양에 따라 좌우된다.
플라스터보드(plasterboard), 비막이판자(weatherboard) 등은 다양한 유형의 판벽널(paneling)은 일정한 방식으로 목재 프레임, 박스 또는 폼웍(formwork)에 부착되므로, 이 목재 프레임, 박스 또는 폼웍은 제일 먼저 축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벽, 천정 및/또는 바닥 등의 축조는 상기 폼웍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진행될 수 없다. 더욱이, 상기 판별넉과 폼웍의 위치설정 및 설치는, 가스설비, 전기설비 및 수도설비 등의 서비스시설이 필요한 도관들로 이어지게 하여 상기 폼웍과 판벽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조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하여 종래의 빌딩용 패널을 이용함으로써 아껴진 시간이 상당히 감소된다.
일 유형의 건축용 패널과 이러한 패널들을 이용한 건축방법이 써모 씨멘트 엔지지니어링 주식회사(Thermo Cement Engineering Inc.)가 출원한 미국 특허 제539791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미국 특허는 벽의 내측 및 외측의 표면으로 사용되는 사각 형상의 시멘트 패널(cementitious panel)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패널들 사이에 철재 보강 봉(rod)들의 골격이 배열된다. 그 후, 콘크리트가 시멘트 패널들 사이로 부어져 상기 철재 보강 봉들을 덮을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397516호에 개시된 패널들의 생산 프로세스가 다소 힘들다는 것과 별개로, 이렇게 생산된 패널들은 무겁고 건설현장에서 운반하기가 어려우므로, 그 결과 이 패널을 사용했을 때 설령 가능하다 해도 최소한의 시간만 절약할 수 있다. 상기 건축 방법의 또 다른 단점은 상기 패널들 사이의 캐비티내로 콘크리트를 부어 넣을 때, 빈 공간의 형성됨에 따라, 종종 상기 캐비티내에 100% 충전되지 않는다는데에 있다. 실질적으로, 다른 많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 시스템에서, 콘크리트에 의하여 채워지지 않고 남아 있는 부분이 상기 캐비티의 약 30%까지 달할 수 있다.
다른 많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 시스템들의 또 다른 문제점은, 주식회사 아메리칸 스트럭츄럴 콤포지션(American Structural Composition Imc.)이 출원한 미국 특허 제6314704호에 개시되어 있는 연결 시스템과 건축용 패널과 같은 복잡한 디자인 및 이에 따른 고비용이다. 많은 인터록킹(interlocking) 시스템도 용이하게 및/또는 간단하게 고정하는데 실패했다. 많은 경우들에 있어서, 이러한 시스템들의 사용자들은, 구성요소들간에 만족할만하게 상호 끼워 맞춰지도록, 상기 인터록킹 구조를 변경하여야 했다. 더욱이, 벽, 바닥 또는 천정 등의 구조적 완결성을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많은 패널들은 내부 및/또는 외부의 마감 표면재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양호한 마감 표면재 작업을 하기 위하여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고 비용이 올라가게 된다.
다른 많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스템들의 또 다른 문제는, 이들이 방수가 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방수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하 방수막은 쉽게 구멍이 뚫릴 수 있으며, 이는 방수막을 무용지물이 되게 하며, 결국 방수막 자체를 위한 추가적인 보호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전부는 아니라해도 상기한 문제점 일부를 해결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건축용 시스템 및/또는 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벽, 바닥 및/도는 천정 등을 효율적으로 건설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건축용 시스템 및/또는 방법이 필요하며, 이들은 약간의 기술을 가지고도 용이하게 다룰 수 있으며 상호 잘 끼워져 맞을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멸은 건축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건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본 발명은 벽, 바닥, 천정, 담과 같은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패널들과 관련되어 있는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이하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패널의 첫 번째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패널의 두 번째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패너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패널 복수 개를 사용한 건축 방법을 보여준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패널 복수 개를 사용한 다른 건축 방법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패널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건축용 패널 2개가 상호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부분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건축용 패널 복수개를 사용한 다른 건축 방법을 보여준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건축용 패널 2개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의 다른 부분 측면도를 보여준다.
하나의 형태로서, 유일한 형태 또는 실제 가장 넓은 형태는 아니지만,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이며, 건축용 패널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복수의 셀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벽들;
상기 벽들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
상기 벽들에 대하여 수직하며 이 벽들에 인접하게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판; 및
상기 벽들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부를 넘어서 뻗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을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판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판은 경사진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진 단부는 상기 외판의 대향된 적어도 두 개의 단부들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의 주변부를 따라 형성된 슬롯을 구비하며, 이 슬롯은 상기 인접한 패널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은 상기 패널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놓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판은 상기 패널과 동일한 면적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패널에 대하여 단차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들은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직사각형, 육각형, 원형, 또는 다른 바람직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벽들 및 외판은 단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들내의 관통공들은 일렬로 정렬된 것이 바람직하며, 보강 부재들, 도관들, 파이프들, 케이블들 등의 이 관통공들을 통과하는 통로로 이용되기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은 경계벽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계벽들은 함께 4변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경계벽들은 직사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건축용 패널의 또 다른 특징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다.
다른 형태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건축용 패널들로 특정한 방향으로 된 건축 구조물을 건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각 건축용 패널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복수의 셀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벽들;
상기 각 벽들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
상기 벽들에 대하여 수직하며 이 벽들에 인접하게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판; 및
상기 벽들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부를 넘어서 뻗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법은,
첫 번째 건축용 패널을 상기한 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첫 번째 패널에 두 번째 패널을 접하게 하여 상기 첫 번째 패널의 돌출부가 상기 두 번째 패널과 겹치게 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첫 번째 패널의 외판의 경사진 단부는 상기 두 번째 패널의 외판의 경사진 단부에 접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대신, 상기 두 번째 패널의 슬롯은 상기 첫 번째 패널의 돌출부를 수용한다.
상기 첫 번째 패널의 벽들내의 관통공들은 상기 두 번째 패널의 벽들내의 대응되는 관통공과 일렬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은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패널들을 결합수단들에 의하여 함께 지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세 번째 및 그 이상의 패널들을 상기 첫 번째 및/또는 두 번째 패널들에 대해 지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보강 부재들의 경로를 상기 벽들의 일렬로 정렬된 관통공들을 통과하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셀을 설치 재료로 충전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은 설치 재료들을 셀에 충전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셀에 하나 이상의 삽입물을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설치재료들이 상기 삽입물(들)을 포함하고 있는 셀(들)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도관들, 파이프들, 케이블들 등의 경로를 상기 벽들내에 일렬로 정렬된 관통공들을 통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건축용 패널들로 특정한 방향으로 된 건축 구조물을 건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각 건축용 패널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복수의 셀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벽들;
상기 각 벽들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
상기 벽들에 대하여 수직하며 이 벽들에 인접하게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판; 및
상기 벽들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부를 넘어서 뻗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법은,
첫 번째 건축용 패널들을 상기한 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및
두 번째 건축용 패널들을 상기한 방향으로 상기 첫 번째 패널로부터 이격되되록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두 번째 패널의 복수의 셀들이 상기 첫 번째 패널의 복수의 셀들과 대면하도록, 상기 두 번째 건축용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건축용 패널들을 보강 부재들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특징들은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패널(2)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첫 번재 실시예에서, 상기 건축용 패널은 상호 이격되게 배열됨으로써 셀(cell) 또는 캐비티(10)를 형성시키는 복수의 벽들(4)을 구비한다. 이 셀(10)들은, 도 1 및 도 5에서 사시도로, 도 4에서 상기 패널의 평면도로 명확하게 보여진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상호 이격되어 있는 벽들의 제2세트(8)에 대하여 수직하며 상호 이격되어 실제적으로 평행하게 놓여 있는 벽들의 제1세트(6)를 구비한다. 상기 벽들의 제1세트(6)를 구성하는 벽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벽들의 제2세트(8)를 구성하는 벽들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방식에 따라 배열된 패널(2)의 벽들(4)에 한정되지 않는 다는 것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상기 벽들은 실제적으로 상호 수직하게 배치될 필요가 없으며, 그 대신 상기 패널의 발명적 작용을 유지하면서 일정 각도를 가지고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셀(10)들은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관통공(aperture)을 통해 도관들의 통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면, 상기 셀(10)들은 어떠한 형상도 될 수 있다. 상기 셀들의 형상은, 설치 재료들이 설치된다면, 이 설치 재료들이 상기 셀들 내에 담겨질 수 있으면 된다. 따라서, 상기 셀들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육각형 또는 다른 어떤 바람직한 형상이 될 수 있다.
특히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2)의 벽(4)들은 복수의 관통공(12)들을 구비한다. 이 관통공(12)들은, 철재 보강 봉들과 같은 보강부재들과, 가스설비, 전기설비, 수도설비 및 공기조화설비와 같은 서비스시설을 위한 도관, 와이어, 파이프, 케이블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경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세트(6)를 구성하는 벽들 내의 관통공(12)들은 상호 일렬로 정렬되어, 직선 파이프 등이 상기 벽들의 제1세트내의 각 벽들을 통하여 상기 패널(2)을 통과하는 경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동일한 이유로, 상기 제2세트를 구비하는 벽들내의 관통공들도 상호 일렬로 정렬된다. 따라서, 케이블들, 도관들 등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패널을 관통하는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상기 벽(4)들 내의 관통공(12)들의 정렬의 일 예가 도 4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두 개의 다른 형상으로 다양한 관통공의 직경을 보여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선택된 관통공들의 직경, 하나의 벽내에 있는 관통공의 수 또는 상기 관통공의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 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관통공의 직경, 수, 및 형상은 상기 패널이 사용되는 특정한 용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다른 관통공 배여과 형상을 포함하는 상기 패널의 두 번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도관, 파이프 등을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키면서도 이 도관, 파이프 등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의 직경이 선택된다.
더욱이, 상기 관통공은 형상에 있어서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을 통과하게 되는 상기 도관 등의 단면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관통공은 정다각형 또는 불규칙적인 다각 형상 또는 다른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을 통해 도관, 파이프 보강 부재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첫 번째 및 두 번째 벽들의 세트들에 있어서, 보강 부재 및/또는 도관 등은 예컨대 이 패널을 수직한 방향으로 통과하는 다른 보강 부재들 및/또는 도관 등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상기 패널을 통하는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관통공(12)의 세트들은 다른 높이에 있다.
상기 건축용 패널(2)은 또한 이 패널의 일면에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판(外板,skin) 또는 평평한 표면을 구비한다. 상기 외판(14)은 상기 경계벽(16)에 의하여 둘러싸인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지만 이 경계벽(16)에 대하여 단차(offset)가 형성되어 있어, 이 외판(14)은 상기 경계벽(16)들 중 적어도 하나를 넘어서 뻗어 있는 돌출부(15)를 형성한다. 상기 외판(14)은, 예컨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나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경계벽을 넘어서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의 반대측은 개방되어 있지만 상기 외판(14)은 이 많은 셀(10)들의 일측이 밀폐되도록, 상기 벽(4)들에 대하여 배치된다. 참조번호 10a로 표시된 셀과 같은 상기 셀들 중 일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판(14)에 의하여 일측이 단지 부분적으로만 덮여지게 된다.
상기 벽(4)들에 대한 상기 외판(14)의 단차로 인하여, 이 패널을 이용한 벽, 바닥, 천정, 담 등의 축조에 있어서, 복수개의 패널(2)들이 상호 정확하게 일렬로정렬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기 패널이 정확하게 일렬로 정렬되는 것은, 도 3에 명백하게 나타난 상기 외판(14)의 경사진 단부(18)에 의하여 더욱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경사는, 다른 각도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외판(14)의 평면에 대하여 대략 45도 각도로 형성된다. 이 패널이 사용될 용도에 따라 이 각도는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경사진 단부(18)는 상기 외판(14)의 적어도 양측의 단부들에 제공되어, 상기 양측의 경사진 단부들(18)은 서로 평행하다. 상기 경사진 단부들은 또한 상기 외판(14)의 나머지 양측의 단부들에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나머지 양측의 단부들의 각도도 평행하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패널들을 이용한 벽의 축조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기 패널(2)들은 예컨대, 종래의 콘크리트 기초(concrete foundation)에 설치될 수 있다. 첫 번째 패널은 바람직한 각도로 배열되며, 담 구조물의 경우에 있어서 이 각도는 수직한 것이 일반적이다. 교호적으로, 상기 첫 번째 패널은 축조될 벽, 마루 등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응하여 어떤 방향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패널은 장측부(longer side) 또는 단측부(shorter side)가 수직하게 될 수 있으며, 첫 번째 패널의 선택된 방향은 예컨대 벽을 형성하는 다른 패널의 방향을 결정한다. 첫 번째 패널이 일단 배치되면, 이후의 패널들은 상기 첫 번째 패널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외판(14)의 돌출부(15)와 상기 경사진 단부(18)의 효과로 인하여 정확하게 일렬로 정렬하는 것이 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두 개의 패널이 상호 인접해 있을 때, 상기 첫 번째 패널(2a)의 돌출부(15)는 두 번째 패널(2b)의 외판(14)에 접하게 된다. 상기 셀(10a)을 형성하는 벽들의 일부분과 같은 상기 패널(2b)의 벽들 중 일부는 상기 패널(2a)의 돌출부(15)상에 놓여진다. 상기 인접한 패널(2a)의 돌출부(15)와 겹쳐지는 상기 패널(2b)의 벽(4) 부분들은, 이 패널을 이용하여 건설되는 벽, 마루 등의 구조적 완결성에 기여하며, 벽들(4)의 외판이 효율적으로 이어지게 한다.
일단 두개의 인접한 패널들이 정확하게 일렬로 정렬되어 배치되면, 이들은 상기 패널을 형성한 재료에 적용될 수 있는 종래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며,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기 패널들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적절한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패널들은 예컨대, 접착되거나, 클립으로 고정되거나,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채택된 유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한 적용예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패널들이 배치되어 고정되면, 철재 보강 봉들(20)과 같은 보강 부재들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내의 적절한 관통공들을 수직한 방향 및/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통과하게 된다.
도관들, 파이프들, 케이블들 등도 바람직한 관통공을 통해 통과한다. 이 패널을 통과하여 경로가 설정된 서비스 시설과, 예컨대 서비스 시설의 출구를 필요로 하는 패널 내의 위치에 따라, 관통공을 선택하는 것이 달라진다. 예컨대, 수도관에 적합한 관통공은 상기 패널(2)을 따라 100mm간격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융통성이 충분하므로, 이 융통성으로 인해 서비스 시설들이 각각의 패널을 통과하는 경로를 설정하며, 결국 종래 건축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 중 하나는 극복된것이다.
교호적으로, 상기 보강부재들이 일단 상기 패널에 삽입되면, 관련된 서비스들은 동시에 이 패널을 통과하는 관련된 서비스의 도관의 경로를 선택할 수 없으며, 지연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한 셀들이 콘크리트 또는 다른 설치 재료(settable material)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스티렌(polystyrene)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블럭 등의 삽입물(insert)이 상기 서비스시설의 경로에 필요한 셀들네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물들은 후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셀을 비dnj 놓을 수 있다.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상기 패널을 통해 지나가게 하는 경우에, 콘크리트 또는 다른 설치 재료들을 사용하려면, 상기 와이어를 위한 도관을 관련된 관통공(12)을 통해 지나가게 할 수 있다. 와이어는 상기 도관을 통해 끼워 넣고, 이후 필요하다면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종래 기술을 넘어서는 또 다른 장점은, 콘크리트 또는 다른 설치재료를 사용할 때 나타난다. 상기 패널(2)의 모든 셀(10)들은 일면이 개방되어 있어 콘크리트 등을 방해받지 않고 집어 넣을 수 있으며, 결국 콘크리트가 관련된 셀들에 완전히 충전되지 않아 빈 공간이 발생되는 종래기술의 단점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벽(4)들의 관통공(12)들은 콘크리트 등이 상기 패널(2)을 통하여 상기 바람직한 셀(10)내로 연통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들은, 단일 벽 또는 다중의 두꺼운 벽, 바닥, 담, 천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널들의 적용예로서 이중 벽(double thickness wall)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들을 이용하여, 두 개의 단일 벽(30,32)이 상호 평행하게 축조될 수 있으며, 각 벽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단일 벽으로 축조된다. 상기 두개의 벽들은 각 벽의 셀(10)들이 상호 마주하게 축조되어, 각 벽들의 외판(14)은 상호 떨어져서 대면한다. 철재 보강 봉(20)들과 같은 보강 부재들은 상기 벽(4)들의 관통공(12)들을 수직하게 또는 수평하게 관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철재 보강 봉들과 같은 보강 부재들의 루프(34,loop)들은 상기 각 벽(30,32)의 수평 및/또는 수직한 보강 부재들의 주변을 고리형태로 둘러서(looped), 상기 두 벽들이 같이 고정되도록 하며, 이 두 벽 사이에 스페이서로 작용한다. 상기 보강 부재의 루프(34)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싸서(over-looped) 이렇게 감싸진 봉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루프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통의 끈도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두 개의 벽이 각각이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셀의 개방된 면을 통해 콘크리트 또는 설치 재료들이 부어질 수 있으며, 벽들이 더욱 보강되도록 상기 두개의 벽들 사이로 콘크리트 등이 부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루프(34)들이 둘러서 통과하는 특정 보강 부재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루프(34)들은 대체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관통공(36)을 통과하는 보강 부재들과 같이 상기 외판(14)에 근접해서 이 패널을 통과하는 보강 부재들을 고리형으로 둘러쌀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루프(34)들은 상기 셀(10)들 내로 뻗어 있다. 결국, 콘크리트 등이상기 셀들내로 부어질 때, 상기 루프(34)들은 콘크리트 내에 깊이 파묻히게 되며 매우 큰 강도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다른 실시예가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패널들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방법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참조번호는 첫 번째 실시예와 건축방법에서의 동일한 특성을 나타낸다.
건축용 패널(2)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벽(4)들을 구비하여, 이들은 복수의 셀들 또는 캐비티(10)를 형성한다.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벽들의 제1세트(6)는,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벽들의 제2세트(8)에 대하여 수직하게 놓여 있다. 실제적으로 평평한 외판 또는 실제적으로 평평한 표면(14)은 상기 벽(4)에 배치되어, 이 외판은 이 셀(10)들의 일면을 밀폐시키고, 여기서 이 셀(10)들의 다른 면은 개방되어 있다. 참조번호 10a로 표시된 셀과 같이 셀들 중 일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판(14)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상기 패널(2)의 벽(4)들은 복수의 관통공(12)들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공들은 벽들의 제2세트 내에 참조번호 40a로 표시된 관통공의 형태를 취하며, 철재 보강 봉들과 같은 보강부재들과 상기한 바와 같은 가스설비, 전기설비, 수도설비 및 공기조화설비와 같은 서비스시설을 위한 도관들, 와이어들, 파이프들, 케이블들이 이들을 통해 통과할 수 있도록 이 관통공들은 어떤 바람직한 형상 및/또는 크기로 될 수 있다. 이 관통공은 교호적으로 상기 벽들의 제2세트(8)내의 참조번호 42로 표시된 관통공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관통공은 일측 단부가 개방되어 있어실질상 "U"자형으로 되어 있다. 유사한 형상의 관통공(44)들이 벽들의 제1세트(6)에도 나타나 있다. 상기 "U"자형 관통공은 도 8 내지 도 10에 잘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 관통공(42,44)들은 U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패널을 통과하는 경로를 가지는 상기 보강 부재들 및/또는 도관을 수용할 수 있는 어떤 바람직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세트(6)를 구성하는 벽들 내의 관통공(12)들은 상호 일렬로 정렬되어, 직선형 파이프 등이 상기 벽들의 제1세트(6)의 각 벽들을 통과하여 이 패널(2)을 관통하는 경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세트(8)를 구성하는 벽들 내의 관통공들도 위와 동일한 동기로 상호 일렬로 정렬된다. 결국, 케이블들, 도관들 등은 바람직한 방법을 통해 상기 패널을 통과하는 경로를 설정한다.
관통공(40,42,44)들은 외판(14)상에서 다른 높이를 가짐으로써 보강 부재들 및/또는 도관들 등이 이 패널을 예컨대 수직하게 관통하는 다른 보강 부재들 및/또는 도관들 등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경로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실제적으로 평평하며 이 패널의 일면을 형성하며 외판((14)은 제1벽들(6) 및/또는 제2벽들(8)의 주변부(perimeter portion)를 넘어서 뻗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변부는 제1벽들(6)의 단부(46)들 및 제2벽들(8)의 단부(48)들을 형성한다. 외판(14)은 상기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제1벽들(6)의 주변부를 넘어서 뻗어 있다. 교호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외판(14)은 상기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상기 제2벽들(8)의 주변부를 넘어서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돌출부(15)는 제1벽들(6) 및/또는 제2벽들(8)의주변부를 넘어서 뻗어 있다. 돌출부(15)는 상기 패널의 일측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각각을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놓여 있을 수 있다. 돌출부(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벽들(6,8) 각각의 주변부를 넘어서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의 길이 전체와 폭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슬롯(50)은 이 패널에 상기 패널(2)의 주변부의 길이 및/또는 폭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슬롯(50)은 다른 패널의 돌출부(15)를 수용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정해짐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들이 함께 고정시키는 것과 인접한 두 패널이 일렬로 정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슬롯(50)은 상기 패널의 길이 및/또는 폭 각각을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것은 상기 돌출부(15)가 부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것과 대응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패널(2a) 내의 슬롯(50)은 인접한 패널(2b)의 돌출부(15)를 수용한다. 패널(2b)의 슬롯(50a)은 패널(2a)의 돌출부(15a)를 수용한다. 패널(2b)의 리세스(52,recess)는 패널(2a)의 돌출부(15b)를 수용한다.
도 8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인접한 두 개의 패널이 함께 설치됨으로써 각 셀(10)에서 제1벽들(6)내의 관통공(44)들의 수는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도 10을참조하면, 제2벽들(8)내의 관통공(40,42)들의 수는 각 셀에서 동일하다. 두 개의 이웃한 패널들이 접하여 있을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44a)들이 제1벽들(6)내에 형성되도록, 및/또는 두 개의 패널들이 접하여 있을 때 관통공(42a)들이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벽들(8)내에 형성되도록, 제1벽들(60의 단부(46)들과 제2벽들(8)의 단부(48)들은 형상이 정해진다. 제2실시예에 따른 패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동일한 수단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패널들을 이용하여 벽 등을 축조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본 예에서, 제2벽들(8)의 관통공(40)들은 겹쳐져 있다. 보강 부재 및/또는 도관 등은 이 관통공들을 통해 지나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널들을 겹침으로써 강한 벽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벽은 종래 기술에 따라 만들어져 이에 상당할 만한 강도를 지닌 벽의 부피에 비하여 적은 부피를 차지하게 되므로 방의 공간을 넓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패널들은 벽들, 천정들 등을 축조하는데 반드시 겹쳐질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패널들은 서로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으며 그 대신 보강 루프(reinforcing loop)가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벽들, 바닥들 등은 상기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패널의 단층(single layer)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20들은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 플라스틱 재료는 관련기술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적절한 방법에 따라 재활용할 수 있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려진 600개 이상의 다른 품질을 가진 플라스틱이 상기 패널에 사용될 수 있다. 그 대신, 특별한 용도에 따라 요구된다면 보통의 알루미늄 또는 다른 금속 재료들 또는 금속 혼합물이 이 패널에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었을 때, 600×1200mm의 치수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은 대략 4-5Kg 정도의 무게를 가지며, 이 패널의 운반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이 패널들은 또한 난연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방음이 될 수 있고, 상기 난연과 방음의 수준은 상기 패널의 재료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특정한 용도에 따라 정해진 필요한 치수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패널은 그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 패널을 바둑판식으로 되게 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보강 부재들, 도관들 등이 이들을 통해 용이하게 경로를 설정할 수만 있다면, 상기 패널(2)의 경계벽(16)들은 정사각, 사변형 또는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의 외판(14)은 필요한 두께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두께는 용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패널의 외판은 마감재로 사용되어 건축이 완성되면 외관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햇볕이 노출되었을 때 상기 외판이 손상되지 않게 하는 알려진 방식에 따라 이 외판은 자외선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외판은 원하는 색상 및/또는 질감을 포함하여 바람직한 분말 코팅(powder coating)과 같은 마감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정 마감재는 정해진 용도 및 이 패널의 재료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마감재와 재료간의 적합성은 관련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익숙한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은 종래 기술의 다른 문제점을 극복한다. 상기 외판이 마감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이 수행될 필요가 없으며 외판에 별도의 재료가 사용될 필요도 없다. 상기 외판은 또한 방수되므로, 부가적인 방수막 및 이에 따른 방수막의 보호는 필요 없게 된다.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들 또는 금속들로 상기 패널이 제조되면, 이 패널은이 패널과 함께 사용되는 설치 재료(settable materials)로부터 습기를 흡수하지 않는데, 이렇게 습기를 흡수하는 것은 일부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의 문제점이다. 결국, 상기 설치 재료는 상기 패널에 의하여 습기가 추출되지 않고 원래대로 설치될 수 있는데, 패널에 의한 습기의 추출은 설치 재료의 강도와 보전을 저해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패널들의 정확한 배열은 인접한 패널과의 사이에서 거의 알아볼 수 없을 정도의 미세한 경계선을 형성하므로, 마감표면이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패널은 또한 방충작용이 있는데, 이것은 많은 환경들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들은 매우 가볍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며, 이들의 복잡하지 않은 디자인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정렬과 결합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벽의 건축 방법도 또한 벽의 전체 두께를 종래의 이중 벽의 두께보다 얇게 만들 수 있으므로, 더 넓은 내부 바닥 공간이 실현된다.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보강 부재들을 루핑(looping)하는 것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들을 겹치게 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벽널(panelling)의 강도는 상기 패널 벽들의 조합과 이 벽들을 관통하는 보강 부재들의 격자구조와 콘크리트 또는 다른 설치 재료들을 효율적으로 셀내에 충전하는 것에 의한 것이며, 콘크리트를 효율적으로 충전함으로써 콘크리트내에 빈 공간이 생성되어 강도를 떨어트리는 것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종래 기술을 뛰어 넘는 또 다른 장점은 그 사용에 있어서의 단순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들을 이용하여 많은 경험없이도 벽 등을 쉽게 축조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들을 이용하여 상기한 방식으로 하루만에 50m의 길이와, 대략 3m 높이의 벽을 건설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
이 명세서의 목적은 본 발명을 일 실시예 또는 일정한 특성으로 제한함이 없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특정한 실시예들로부터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실시예들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31)

  1.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복수의 셀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벽들;
    상기 벽들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
    상기 벽들에 대하여 수직하며 이 벽들에 인접하게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판; 및
    상기 벽들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부를 넘어서 뻗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판의 일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판은 경사진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단부는 상기 외판의 적어도 두 개의 마주하는 단부들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이 패널의 주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이 패널의 주변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이 패널의 주변부를 따라 형성된 슬롯을 구비하며, 이 슬롯은 상기 인접한 패널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판은 상기 패널과 동일한 면적을 덮지만, 이 패널에 대하여 단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원형, 다른 정다각형, 다른 불규칙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들 및 외판은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평행한 벽들내에 있는 관통공들은 일렬로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들은, 그들을 통하여, 보강 부재들, 도관들, 파이프들, 튜브들, 봉들, 케이블들 중 하나 이상의 통로로 이용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경계벽들을 구비하며, 이 경계벽들은 함께 4변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벽들은 함께 직사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18. 건축용 패널들로 특정 방향으로 된 건축 구조물을 건설하는 방법으로서,
    각 건축용 패널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복수의 셀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벽들;
    상기 각 벽들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
    상기 벽들에 대하여 수직하며 이 벽들에 인접하게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판; 및
    상기 벽들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부를 넘어서 뻗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법은,
    첫 번째 건축용 패널을 상기한 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첫 번째 건축용 패널에 두 번째 건축용 패널을 접하게 하여 상기 첫 번째 건축용 패널의 돌출부가 상기 두 번째 건축용 패널과 겹치게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을 건설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건축용 패널의 외판의 경사진 단부는 상기 두 번째 패널의 외판의 경사진 단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패널의 슬롯은 상기 첫 번째 패널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패널의 벽들내의 관통공들은 상기 두 번째 패널의 벽들내의 대응되는 관통공과 일렬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패널들을 결합수단들에 의하여 함께 설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패널들을 상기 첫 번째 및/또는 두 번째 패널들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보강 부재들의 경로는 상기 벽들의 일렬로 정렬된 관통공들을 통과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8항에 있어서,
    도관들, 파이프들, 튜브들, 봉들, 케이블들 중 하나 이상의 경로는 상기 벽들의 일렬로 정렬된 관통공들을 통과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셀을 설치 재료들로 충전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18항에 있어서,
    설치 재료들을 셀에 충전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셀에 하나 이상의 삽입물을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설치재료들이 상기 삽입물(들)을 포함하고 있는 셀(들)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복수의 건축용 패널들로 특정한 방향으로 된 건축 구조물을 건설하는 방법으로서,
    각 건축용 패널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복수의 셀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벽들;
    상기 각 벽들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
    상기 벽들에 대하여 수직하며 이 벽들에 인접하게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판; 및
    상기 벽들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부를 넘어서 뻗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법은,
    첫 번째 건축용 패널들을 상기한 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및
    두 번째 건축용 패널들을 상기한 방향으로 상기 첫 번째 패널로부터 이격되되록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을 건설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패널의 복수의 셀들이 상기 첫 번째 패널의 복수의 셀들과 대면하도록, 상기 두 번째 건축용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건축용 패널을 보강 부재들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패널들 사이의 공간에 설치 재료들을 삽입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7013515A 2002-03-01 2003-02-28 건축용 패널 및 건축 방법 KR200401012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S0840 2002-03-01
AUPS0840A AUPS084002A0 (en) 2002-03-01 2002-03-01 Building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PCT/AU2003/000245 WO2003074804A1 (en) 2002-03-01 2003-02-28 Building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252A true KR20040101252A (ko) 2004-12-02

Family

ID=383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515A KR20040101252A (ko) 2002-03-01 2003-02-28 건축용 패널 및 건축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50204695A1 (ko)
EP (1) EP1490560A4 (ko)
JP (1) JP4339695B2 (ko)
KR (1) KR20040101252A (ko)
CN (1) CN100594276C (ko)
AU (1) AUPS084002A0 (ko)
BR (1) BR0308107A (ko)
CA (1) CA2497156A1 (ko)
EG (1) EG23522A (ko)
IL (1) IL163678A0 (ko)
MX (1) MXPA04008457A (ko)
NZ (1) NZ535324A (ko)
RU (1) RU2304672C2 (ko)
WO (1) WO2003074804A1 (ko)
ZA (1) ZA2004068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945B1 (ko) * 2005-04-27 2007-07-06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필터와 협대역 써큐레이터를 이용한 광대역 써큐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4228B2 (en) * 2006-05-17 2011-03-29 Antonio Rapaz Multi-purpose construction module
US20070266667A1 (en) * 2006-05-17 2007-11-22 Antonio Rapaz Multi-purpose construction module
US8464490B2 (en) * 2007-05-09 2013-06-18 Antonio Rapaz Construction panel
US20080276557A1 (en) * 2007-05-09 2008-11-13 Antonio Rapaz Construction panel
US9010060B2 (en) 2007-05-09 2015-04-21 Antonio Rapaz Construction panel
US20110099932A1 (en) * 2008-07-11 2011-05-05 Roger Saulce Panel interlocking system
AU2010256330A1 (en) * 2009-06-03 2011-12-22 Djd Projects Pty Ltd Modular building system
WO2011106884A1 (en) * 2010-03-04 2011-09-09 Michael Bettiol Building envelope member with internal water reservoir
US9050766B2 (en) 2013-03-01 2015-06-09 James Walker Variations and methods of producing ventilated structural panels
US9091049B2 (en) 2010-08-24 2015-07-28 James Walker Ventilated structural panels and method of construction with ventilated structural panels
US8490355B2 (en) * 2010-08-24 2013-07-23 James Walker Ventilated structural panels and method of construction with ventilated structural panels
US8534018B2 (en) * 2010-08-24 2013-09-17 James Walker Ventilated structural panels and method of construction with ventilated structural panels
US9604428B2 (en) 2010-08-24 2017-03-28 James Walker Ventilated structural panels and method of construction with ventilated structural panels
US8615945B2 (en) * 2010-08-24 2013-12-31 James Walker Ventilated structural panels and method of construction with ventilated structural panels
RU2453427C1 (ru) * 2010-12-24 2012-06-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жно-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Новочеркас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линия сборки каркасных деревянных панелей
CN104213654A (zh) * 2013-06-05 2014-12-17 杨遂震 房屋墙体、框架、楼层同步砌筑新方法
CN106149974B (zh) * 2016-06-29 2019-01-29 深圳时代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水泥发泡保温墙板的龙骨架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01986A (en) * 1921-07-27 1924-07-22 Jr William Lewis Evans Building construction
US2276071A (en) * 1939-01-25 1942-03-10 Johns Manville Panel construction
GB625037A (en) * 1946-06-24 1949-06-21 Walter Frederick Bak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ellular panelling or like cellular constructional work
GB1206395A (en) * 1966-10-25 1970-09-23 Colin Henry Davidson Improvements relating to cast or moulded building units
US3895152A (en) * 1973-12-26 1975-07-15 Continental Oil Co A composite cellular construction
US4241555A (en) * 1978-05-30 1980-12-30 Radva Plastics Corporation Composite pane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AU573297B2 (en) * 1985-01-02 1988-06-02 Johansson, G.E. Prefab. wall module
US5180619A (en) * 1989-12-04 1993-01-19 Supracor Systems, Inc. Perforated honeycomb
US5157892A (en) * 1990-07-27 1992-10-27 Ryther Ronald R Structural interlocking joint system
US5092093A (en) * 1990-12-31 1992-03-03 Lu Shin Yuang Panel forms having panel reinforcing means
US5397516A (en) * 1993-03-25 1995-03-14 Thermo Cement Engineering Corp. Process for making building panels
US5396750A (en) * 1993-11-08 1995-03-14 Kleyn Die Engravers, Inc. Modular building panel
CA2121965C (en) * 1994-04-22 2002-05-28 Paul Mayrand Composite structural steel wall reinforced with concrete and mold therefor
US5701710A (en) * 1995-12-07 1997-12-30 Innovative Construction Technologies Corporation Self-supporting concrete form module
US5809722A (en) * 1997-02-06 1998-09-22 Keith M. Wright Girder supported reinforced concrete slab building structures with shearing connector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the building structures and connectors
US6233892B1 (en) * 1997-10-25 2001-05-22 The Namlyt Company Structural panel system
US6189282B1 (en) * 1998-06-24 2001-02-20 Building Works, Inc. Mortarless concrete block
AU6296699A (en) * 1998-10-09 2000-05-01 American Structural Composites, Inc. Composite structural building panels and connection systems
IL148269A0 (en) * 1999-09-03 2002-09-12 Niemann Michael H Improved concrete form wall building system
US6871462B2 (en) * 2001-07-09 2005-03-29 Board Of Regents Of University Of Nebraska Composite action system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945B1 (ko) * 2005-04-27 2007-07-06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필터와 협대역 써큐레이터를 이용한 광대역 써큐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4008457A (es) 2005-07-13
EG23522A (en) 2006-03-22
RU2004129312A (ru) 2005-04-10
RU2304672C2 (ru) 2007-08-20
CA2497156A1 (en) 2003-09-12
CN100594276C (zh) 2010-03-17
CN1639430A (zh) 2005-07-13
EP1490560A4 (en) 2009-04-15
IL163678A0 (en) 2005-12-18
AUPS084002A0 (en) 2002-03-21
JP2005519209A (ja) 2005-06-30
ZA200406855B (en) 2005-09-20
JP4339695B2 (ja) 2009-10-07
EP1490560A1 (en) 2004-12-29
WO2003074804A1 (en) 2003-09-12
US20050204695A1 (en) 2005-09-22
NZ535324A (en) 2005-12-23
BR0308107A (pt) 200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1252A (ko) 건축용 패널 및 건축 방법
US8800230B2 (en) Stacking masonry block system with transition block and utility groove running therethrough
US8176696B2 (en) Building construction for forming columns and beams within a wall mold
US6880304B1 (en) Structural thermal framing and panel system for assembling finished or unfinished walls with multiple panel combinations for poured and nonpoured walls
US4319440A (en) Building blocks, wall structures made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167671B1 (en) Prefabricated concrete wall form system
US8161699B2 (en) Building construction using structural insulating core
US6176059B1 (en) Modular concrete building system
US7627997B2 (en) Concrete foundation wall with a low density core and carbon fiber and steel reinforcement
US9885177B2 (en) Masonry wall assembly
US20090013638A1 (en) Block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lock wall
US9399867B2 (en) Concrete panel corner connection
US6321496B1 (en) Insulated form assembly for a poured concrete wall
WO2010014192A1 (en) A building construction for forming columns and beams within a wall mold
US5887405A (en) Precast integral structure elements and procedure for the fast construction of buildings with such elements
KR100255380B1 (ko) 콘크리트 옹벽의 치장벽돌 조적구조
PL143356B1 (en) Building unit for erection of basic load carrying and siding building structures
KR20070083455A (ko) 가변길이의 벽 타이를 구비한 단열 콘크리트 성형 시스템
AU2003205439B2 (en) Building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JP2994587B2 (ja) 壁構築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
WO2009076646A1 (en) Dry stack block wall systems and methods
JPH07238605A (ja) 壁構造
GB2367308A (en) Prefabricated form for constructing walls
FR2572107A1 (fr) Systeme de construction prefabriquee
FR2478703A1 (fr) Elements incombustibles d'isolation thermique et acoust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